박사

退溪·高峯·栗谷 四端七情論의 爭點에 관한 對比的 硏究 : ‘所從來’의 問題를 中心으로

조첨첨 2019년
논문상세정보
' 退溪·高峯·栗谷 四端七情論의 爭點에 관한 對比的 硏究 : ‘所從來’의 問題를 中心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四端七情
  • 性發爲情
  • 或生或原
  • 所從來
  • 退溪
  • 高峯
  • 栗谷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 0

0.0%

' 退溪·高峯·栗谷 四端七情論의 爭點에 관한 對比的 硏究 : ‘所從來’의 問題를 中心으로' 의 참고문헌

  • 林月惠외 편, 高橋亨與韓國儒學硏究
    臺灣大出版中心 [2015]
  • 林月惠, 異曲同調: 朱子學與朝鮮性理學, 臺灣大學出版中心, 2010.
  • 李象靖, 大山集
  • 李珥, 栗谷全書
  • 李滉, 退溪集.
  • 李明輝, 四端與七情: 關於道德情感的比較哲學探討, 臺灣大學出版中心, 2008.
  • 栗谷의 이통기국설과 호락논변에 끼친영향
    이천승 한국사상사학, 제25집 [2017]
  • 金昌協, 農巖集
  • 栗谷이 묻고 退溪가 답하다
    김형찬 바다출판사 [2018]
  • 禮記
  • 횡설과 수설
    이승환 휴매니스트 [2012]
  • 한국철학사: 16개의 주제로 읽는 한국철학
    최영진 새문사 [2009]
  • 한국정치사상사
    박충석 三英社 [1982]
  • 한국유학사
    류승국 성대출판부 [2008]
  • 한국유학사: 한국유학의 특수성 탐구
    윤사순 지식산업사 [2012]
  •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 실학적 변용
    최영진 문사철출판사 [2017]
  •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류승국 성대출판부 [2008]
  • 중용 대학
    이동환 나남출판사 [2000]
  • 주희철학의 인식론
    김우형 서울: 심산 [2005]
  • 주자의 철학
    大濱皓 동경대학출판회 [1983]
  •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스를 상상하며 理와 氣를 논하다
    이향준 예문서원 [2011]
  •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고영진 풀빚 [1999]
  • 조선 성리학 논쟁의 분석적 탐구
    유원기 역락 [2018]
  • 율곡철학연구
    황의동 경문사 [1987]
  • 유교와 한국유학
    오석원 성대출판부 [2014]
  •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최영진 성대출판부 [2002]
  • 서양윤리학에서 본 유학
    도상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이상호 글항아리 [2011]
  • 논리와 철학
    곽강제 서광사 [1993]
  • 고봉기대승의 성리설 연구
    남지만 이화 [2012]
  • 감정과 도덕
    홍성민 소명출판 [2016]
  • 退溪李滉의 哲學
    윤사순 예문서원 [2013]
  • 退溪栗谷철학의 비교연구
    蔡茂松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5]
  • 退溪의 생애와 학문
    이상은 예문서원 [2000]
  • 退溪의 삶과 성리학
    유정동 유교문화연구서 [2014]
  • 朱子의 思想形成, 東京: 春秋社
    友枝龍太郞 昭和44년
  • 孟子
  • 大學 中庸, 東京: 集英社
    山下龍二 昭和58년
  • 四端七情論
  • 한국유학의 특성에 대한 한 가지 단상
    최영진 철학과 현실, 제66집 [2005]
  •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인심도심논변
    조남호 퇴계학보, 제1집 [1999]
  • 퇴계와 율곡의 이기심성론 비교연구
    양승무 유교사상연구, 제22집 [2005]
  •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논변에 있어 ‘사단무불선’과 ‘사단유선악’의 충 둘
    조첨첨 최영진 양명학, 제38집 [2014]
  • 퇴계에 있어 리의 능동성에 관한 논리적 접근
    최영진 현단 유정동박사 화갑기 념논총 [1981]
  • 주희 인심도심론의 심성론적 함의
    박길수 철학연구 제46집 [2012]
  • 주희 미발론에 있어서 ‘주체’와 ‘성격’
    유원기 새한철학 회, 철학논총, 제56집 2권 [2009]
  • 조선성리학에서 주자학의 수용과 정립-퇴계와 율곡의 이기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기용 동방학지, 제98집 [1997]
  • 조남호 옮김, 조선의 유학
    다카하시 도오루 소나무 [1999]
  • 인심도심설의 성립과정 , 한국동서철학회
    전현희 주희 동서철학연구, 제45집 [2007]
  • 인간과 만물의 차별성에 대한 검토 , 한국철학사상연구회편
    김형찬 논쟁으로 보 는 한국철학 [1995]
  • 이형성 역, 범주로 보는 주자학
    大濱皓 예문서원 [1997]
  • 이형성 교주, 풀어 옮긴 조선유학사
    현상윤 현음사 [2003]
  • 이광호역, 李子粹語
    李瀷 예문서원 [2010]
  • 이광호 편역, 退溪와 栗谷, 생각을 다투다
    홍익출판사 [2013]
  • 율곡과 우계 사단칠정논변 연구
    양승무 동양철학, 제11집 [1999]
  • 율곡 이기론에 있어서의 의양과 자득
    최영진 동서철학연구, 제2집 [1985]
  • 유형론의 논리적 분석
    김준섭 서울대 출판부 , 철학과 논리의 연구 [1983]
  • 유학사상의 양상
    조선조 최영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유학사상사의 분류방식과 그 문제점-‘주리’ ‘주기’의 문제를 중심으 로
    조선조 최영진 한국사상사학, 제8집 [1997]
  • 우계의 사단칠정설에 대한 재조명
    김기현 우계학보, 제19집, 1 [2000]
  • 우계 성훈 성리설의 구조적 이해-우/율 ‘사칠논변 왕복서’ 분석을 중심으로
    안유경 최영진 우계학보, 제27집 [2008]
  • 우계 성리설의 특성과 사상사적 의의
    이동희 한국학논집, 제24집 [1997]
  • 안병주/이기동 역, 李退溪와 경의 철학
    고교진 신구문화사 [1985]
  • 성우계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한 율곡의 성리학설
    이동준 대동문화연구, 제13 집 [1979]
  • 사칠논변과 대설 인설의 의의-퇴고논쟁의 초점을 찾아서
    이상은 아세아연구, 제16집 [1973]
  • 사상사란 무엇인가 , 한국사상사학, 제52집
    차하순 한국사상사학회 [2016]
  • 사단칠정에 대한 고봉 기대승의 입장
    김용헌 중국철학, 제3집 [1992]
  • 사단칠정논변 발생의 원인에 관한 연구
    김기현 동양철학, 제7집 [1996]
  •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김형찬 민족문화연구, 74호 [2017]
  • 대한 연구
    강경현 이철학에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2014]
  • 노양진 번역,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넘어서(The Collapse of the Fact/Value Dichotomy and Other Essays)
    Hilary Putnam 서광사 [2010]
  • 김민철 역, 유학의 갈림길
    데이비드 S. 니비슨 철학과 현실사 [2006]
  • 기대승의 사칠논변에 대한 분석적 검토-‘소취이언’과 ‘소종래’ 함의 를 중심으로
    유원기 이황과 유교사상연구, 제44집 [2011]
  • 고봉 기대승의 사칠설 중 ‘기발’의 의미변화
    남지만 공자학, 제14집 [2007]
  • 韓元震, 朱子言論同異攷
  • 陳榮捷, 朱子新探索, 臺灣學生書局, 1988.
  • 陳來, 近世東亞儒學硏究, 北京大學出版社, 2018.
  • 陳來, 朱熹哲學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 陳來, 中國近世思想史硏究, 商務印書館, 2004.
  • 陈来, 韩国朱子学新论—以李退溪与李栗谷的理发气发说为中心, 廈門大學學報, 2015.
  • 陈来, 李栗谷理气思想研究, 復旦大學, 韓國硏究論叢, 2014.
  • 鄭之雲, 天命圖說
  • 邢麗菊, 试论韩国儒学的特性, 中国哲学史, 2007.
  • 邢麗菊, 朝鲜时期儒学者对孟子“四端说”的阐释——以退溪、栗谷与茶山为中心, 社 会科学战线, 2006.
  • 邢麗菊, 关于韩国儒学三大论争关联性之思考——以四端七情论争、未发论争、心说论 争为中心,復旦大學,韓國硏究論叢, 2015.
  • 邢丽菊; 郑杰朱子学的传人及其对韩国儒学的影响, 韓國硏究論叢, 2014.
  • 退溪李滉사단칠정 소종래 구분의 객관타당성 검증
    선병삼 동양철학연구 79 집 [2014]
  • 謝曉東, 精微之境:李栗谷对人心、道心的诠释, 学术月刊, 2015.
  • 藤井倫明, 朱熹思想結構探索, 臺大出版中心, 2011.
  • 蔡沈, 書集傳.
  • 蒙培元, 理學範疇系統, 人民出版社, 1998.
  • 牟宗三先生哲学之贡献与朱子思想新诠
    楊祖漢 云南大學學報, 제2기 [2018]
  • 牟宗三, 心體與性體, 正中書局, 1969.
  • 熊十力, 體用論, 中華書局, 1996.
  • 洪軍, 朱熹與栗谷哲學比較硏究,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3.
  • 洪军, 韩国儒学史上的“四端七情”论辩——以退溪和栗谷为中心, 哲学研究, 2015
  • 洪军, 退溪与栗谷哲学异同点之比较, 韩国研究论丛, 2001.
  • 洪军, 栗谷心性论之特色, 当代韩国, 2001.
  • 楊祖漢, 從當代儒學觀點看韓國儒學的重要論爭,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8.
  • 李红军, 朝鲜朝儒学家成浑的性理学特征及其意义, 东疆学刊, 2016.
  • 李甦平, 韩国儒学史, 人民出版社,2009.
  • 李甦平, 韩国儒者对中国朱子学的几点发展, 韩国研究论丛, 2007.
  • 李甦平, 论韩儒李退溪的性理学思想, 国际汉学, 2016.
  • 李甦平, 论奇大升理气混沦的儒学思想, 社会科学战线, 2015.
  • 李甦平, 朱子学在高丽时代的传播与发展, 南昌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 2013.
  • 李明辉, 从比较视域看韩国儒学研究——脉络化与去脉络化, 福州大学学报(哲学社会 科学版), 2014.
  • 李明辉, “理”能否活动?——李退溪对朱子理气论的诠释, 现代哲学, 2005.
  • 朱熹, 朱子語類
  • 朱熹, 朱子學大系
  • 朱熹, 晦庵先生朱文公文集.
  • 朱熹, 孟子集注
  • 朱熹, 中庸章句大全
  • 成渾, 牛溪集.
  • 成中英,伍至学, 李退溪的“四端七情”说与孟子、朱熹思想, 学术月刊, 1988.
  • 張立文主編, 朱熹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13.
  • 張立文, 朱熹與退溪思想比較硏究, 臺灣: 文津出版社, 1995.
  • 張學智, 明代哲學史, 北京大學出版社, 2000.
  • 张立文中国与朝鲜李朝朱子学的比较及特质——以朱熹、退溪、栗谷、艮斋为例, 社 会科学战线, 2017.
  • 张立文, 中韩性理学之互动, 哲学研究, 1995.
  • 张敏, 李栗谷“理通气局说”辨析, 韩国学论文集, 2003.
  • 尋求眞理: 朱子“人心道心” 問題的探索
    謝曉東 河北大學學報, 제30 권, 제3기 [2005]
  • 宋明理學中的道心人心問題
    謝曉東 厦門大學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報) , 제196기 [2009]
  • 奇大升, 高峯集.
  • 丁若鏞, 與猶堂全書
  • 丁晓慧; 解光宇, 栗谷对朱熹理气论的传承与创新, 朱子学刊, 2017.
  • ‘사칠리기논변’ 논고
    이기용 동서철학연구, 제53집 [2009]
  • Bertrand Russel, The Problems of Philosophy,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 18-19세기 조선성리학의 심학화 경향에 대한 고찰
    최영진 한국민족문화, 제33 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