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구려 도성 연구

권순홍 2019년
논문상세정보
인용/피인용
' 고구려 도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구려
  • 국내성
  • 도성
  • 졸본
  • 평양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04 0

0.0%

' 고구려 도성 연구' 의 참고문헌

  • 􋺷신라왕경-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2]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분주 재론
    李康來 􋺷白山學報􋺸 67 [2003]
  • 􋺷대성산의 고구려 유적􋺸
    김일성종합대학출판 부 [1973]
  • 􋺷대성산-평양성􋺸
    채희국 조선로동당출판사 [1963]
  • 􋺷가족, 사적 소유 및 국가의 기원􋺸
    프리드리히 엥겔스 박종철출판사 [1991]
  • 􋺷高句麗集權體制成立過程의 硏究􋺸
    林起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高句麗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金光洙 延世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83]
  • 􋺷高句麗初期의 國家形成􋺸
    曺泳光 慶北大學校博士學位論文 [2011]
  •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金瑛河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院 [2002]
  • 􋺷三國史記􋺸 高句麗本紀分註의 연구
    申東河 􋺷同大史學􋺸 1 [1995]
  •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체제」
    林起煥 􋺷慶熙史學􋺸 14 [1987]
  • 「高句麗의 成長과 鐵」
    李龍範 􋺷白山學報􋺸 1 [1966]
  • 「高句麗初期의 王室交替와 五部」
    田美姬 탐구 당, 􋺷朴永錫敎授華甲紀念史學論叢上􋺸 [1992]
  •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余昊奎 李明 􋺷한국 고대사연구􋺸 85 [2017]
  • 「朱蒙의 出自傳承과 桂婁部의 起源」
    盧泰敦 􋺷韓國古代史論叢􋺸 5 [1993]
  • 「中國古代의 市의 觀念과 機能」
    李成九 􋺷東洋史學硏究􋺸 36 [1991]
  • 「4, 5세기 高句麗 王室의 世系認識 變化」
    趙仁成 􋺷한국고대사연구􋺸 4 [1991]
  • 「3세기 高句麗 諸加會議와 國政運營」
    李廷斌 􋺷震檀學報􋺸 102 [2006]
  • 樂浪文化의 歷史的位置
    金元龍 探求堂, 􋺷韓國文化의 起源􋺸 [1976]
  • 현도군의 군현 지배와 고구려
    尹龍九 동북아역사재단 ,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2008]
  • 한국사에서 攝政․垂簾聽政權의 변화 양상
    林惠蓮 􋺷韓國思想과 文化􋺸 62 [2012]
  • 한국 고대의 신관념과 왕권-新羅王室의 祖上祭祀를 중심으로-
    羅喜羅 􋺷국사관 논총􋺸 69 [1996]
  • 한국 고대의 샤머니즘적 세계관
    徐永大 가락국사적개발 연구원 , 􋺷강좌 한국고대사 8권􋺸 [2002]
  • 평양성을 쌓은 연대와 규모
    최희림 􋺷고고민속􋺸 -2, 1967 [1967]
  • 평양성외성안의 고구려도시리방과 관련한 몇가지 문제
    리호 한인호 􋺷조선고고 연구􋺸 -1, 1993 [1993]
  • 평양성(장안성)의 축성 과정에 대하여
    채희국 􋺷고고민속􋺸 -3, 1965 [1965]
  • 평양성 출토 고구려 刻字城石의 판독 및 위치 재검토
    기경량 􋺷사학연구􋺸 126 [2017]
  •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기경량 􋺷한국고대사연구􋺸 88 [2017]
  • 최재영 옮김,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세오 다쓰히코 황금가 지 [2006]
  •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를 통해본 고구려 守墓制의 변천
    林起煥 􋺷韓國史學報 􋺸 54 [2014]
  • 전성우 옮김, 􋺷막스 베버의 고대 중세 연구􋺸
    막스 베버 나남 [2017]
  • 이윤기역, 􋺷샤마니즘-고대적 접신술-􋺸
    Mircea Eliade 까치 [1992]
  • 이영석 옮김, 􋺷잉글랜드 풍경의 형성􋺸
  • 이볼가(Ivolga) 성지 유적의 예를 통해 본 흉노 제국 내 정착 민
    니콜라이 N. 크라딘 􋺷한국상고사학보􋺸 71 [2011]
  • 오세연 옮김, 􋺷경관고고학􋺸
    매튜 존슨 사회평론 [2015]
  •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나남 [2016]
  • 양영란 옮김, 􋺷공간의 생산􋺸
    앙리 르페브르 에코리브르 [2011]
  • 안학궁터부근의 고구려리방에 대하여
    리호 한인호 􋺷조선고고연구􋺸 -4, 1991 [1991]
  • 삼국시대의 도성제
    閔德植 신서원 , 김정배 편저, 􋺷한국고대사입문􋺸 2 [2006]
  • 복잡성 사고를 통해 본 ‘과정’으로서의 도시 공간
    신지은 소명출판 , 류지석 엮음,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2013]
  • 모용선비 전연(前燕)의 부여․고구려 질자(質子)
    李廷斌 􋺷동북아역사논총􋺸 57 [2017]
  • 도성의 성립과 장지․묘장
    小田裕樹 􋺷동아시아 古代都城과 墓域자료집􋺸 [2016]
  • 대성산 일대의 고구려 유적에 관한 연구
    채희국 사회과학원출판사 [1964]
  • 단군숭배의 역사
    徐永大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단군․단군신화․단군신앙􋺸 [1992]
  • 김용성 옮김, 􋺷중국 고대 성시의 발생과 전개􋺸
    許宏 진인진 [2014]
  • 기와의 전래-백제와 일본의 초기 기와생산체제의 비교-
    淸水昭博 􋺷百濟硏究􋺸 41 [2005]
  • 광개토왕비의 국연(國烟)과 간연(看烟)-4・5세기 고구려 대민편제의 일례-
    林起煥 􋺷역사와 현실􋺸 13 [1994]
  • 광개토왕비의 건립 과정 및 비문 구성에 대한 재검토
    林起煥 사계절 , 􋺷노태돈 교수 정년 기념논총 2-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2014]
  • 고대중국의 동이관(東夷觀)과 고구려-동이교위(東夷校尉)를 중심으로-
    尹龍九 􋺷 역사와 현실􋺸 55 [2005]
  • 고국원왕대 평양성의 위치에 관한 試考
    閔德植 신서원, 􋺷龍巖車文燮敎授華甲紀念史學 論叢􋺸 [1989]
  • 고구려의 주․군․현에 대하여
    리승혁 􋺷력사과학􋺸 -1, 1987 [1987]
  • 고구려의 장지명 왕호와 왕릉 비정
    林起煥 동북 아역사재단, 􋺷고구려 왕릉 연구􋺸 [2009]
  • 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
    盧泰敦 서 울대학교출판부 ,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문화􋺸 [1999]
  • 고구려의 국가형성-세 연구에 기초한 예비적 모델-
    Mark E. Byington 충남대 백제연구소, 􋺷동아세 아의 국가형성(제10회 백제 연구 국제학술회의)􋺸 [2000]
  • 고구려의 漢江流域喪失原因과 長安城축조 배경
    李道學 􋺷東아시아 古代學􋺸 47 [2017]
  • 고구려에서의 촌
    金賢淑 􋺷한국고대사연구􋺸 48 [2007]
  • 고구려사1
    손영종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林起煥 􋺷한국고대사연구􋺸 42 [2006]
  • 고구려 평양 도성의 정치적 성격
    林起煥 􋺷韓國史硏究􋺸 137 [2007]
  • 고구려 태학의 설립의 배경과 성격
    李廷斌 􋺷한국교육사학􋺸 36 [2014]
  • 고구려 초기의 천도에 관한 약간의 논의
    盧泰敦 􋺷한국고대사연구􋺸 68 [2012]
  • 고구려 초기도읍과 비류국성 연구
    趙法鍾 􋺷白山學報􋺸 77 [2007]
  • 고구려 초기 도성에 대한 몇 가지 고고학적 추론
    姜賢淑 􋺷역사문화연구􋺸 56 [2015]
  •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遷都
    金賢淑 􋺷先史와 古代􋺸 54 [2017]
  • 고구려 전기 都城관련 기사의 재검토-기사의 原典계통을 중심으로-
    林起煥 􋺷 역사문화연구􋺸 65 [2018]
  • 고구려 적석총의 입지와 존재 양태의 의미
    姜賢淑 􋺷한국고대사연구􋺸 66 [2012]
  • 고구려 왕도, 왕기의 형성 과정과 성격
    曺泳光 􋺷한국고대사연구􋺸 81 [2016]
  • 고구려 사회의 檀君認識과 종교문화적 특징
    趙法鍾 􋺷한국고대사연구􋺸 21 [2001]
  • 고구려 국가형성기의 왕계
    金基興 고구려연구재단 , 􋺷고구려의 국가형성􋺸 [2005]
  • 고구려 都城制의 변천
    林起煥 서울학연구소 , 􋺷한국의 도성-都城造營의 傳統􋺸 [2003]
  •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林起煥 􋺷한국고대사연구􋺸 28 [2002]
  • 고구려 國內都城의 형성과 공간 구성
    林起煥 􋺷韓國史學報􋺸 59 [2015]
  • 高句麗律令에 關한 一試論
    盧重國 􋺷東方學志􋺸 21 [1979]
  • 高句麗의 樂浪․帶方故地영역화 과정과 지배방식
    안정준 􋺷한국고대사연구􋺸 69 [2013]
  •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朴淳發 􋺷韓國古代史探究􋺸 12 [2012]
  • 高句麗의 解氏王과 高氏王
    金賢淑 􋺷大丘史學􋺸 47 [1994]
  • 高句麗의 巡狩制
    金瑛河 􋺷歷史學報􋺸 106 [1985]
  • 高句麗의 寺院造成과 그 意味
    申東河 􋺷韓國史論􋺸 19 [1988]
  • 高句麗의 國家形成
    金基興 민음사,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1990]
  • 高句麗의 中期都城
    閔德植 􋺷韓國史論􋺸 19 [1989]
  • 高句麗遺民高性文․高慈父子墓誌의 考證
    拜根興 􋺷忠北史學􋺸 22 [2009]
  • 高句麗王號와 葬地에 관한 檢證
    李道學 􋺷慶州史學􋺸 34 [2011]
  • 高句麗故國原王의 平壤移居와 南進
    金智姬 􋺷韓國史論􋺸 62 [2016]
  • 高句麗平壤遷都의 動機
    徐永大 􋺷韓國文化􋺸 2 [1981]
  • 高句麗平壤城의 都市形態와 設計
    閔德植 􋺷高句麗硏究􋺸 15 [2003]
  • 高句麗安鶴宮中央建築群에 대한 考察
    梁正錫 􋺷中國史硏究􋺸 56 [2008]
  • 高句麗太祖王系의 登場과 朱蒙國祖意識의 成立
    李鍾泰 􋺷北岳史論􋺸 2 [1992]
  • 高句麗國都移動에 關한 一考察
    姜仙 􋺷韓國學硏究􋺸 4 [1995]
  • 高句麗國內城의 空間과 廣開土王陵-地圖와 陵碑文檢討를 中心으로-
    趙法鍾 􋺷 고구려발해연구􋺸 44 [2012]
  • 高句麗國內城遷都의 歷史的意味
    琴京淑 􋺷高句麗硏究􋺸 15 [2003]
  • 高句麗前期의 都城
    車勇杰 􋺷國史館論叢􋺸 48 [1993]
  • 高句麗初期王系의 復元을 위한 檢討
    李道學 􋺷韓國學論集􋺸 20 [1991]
  • 集安高句麗碑文의 판독과 해석
    權仁瀚 􋺷목간과 문자􋺸 16 [2016]
  • 集安高句麗早期遺存硏究新進展
    王志剛 􋺷東北史地􋺸 -4, 2012 [2012]
  • 關于高句麗建國初期王都的探討
    梁志龍 동북아 역사재단, 􋺷졸본시기의 고구려 역사 연구􋺸 [2008]
  • 石槨積石塚을 통해 본 高句麗五部
    姜賢淑 􋺷역사문화연구􋺸 12 [2000]
  • 石戰의 起源과 그 性格變化
    金昌錫 􋺷國史館論叢􋺸 101 [2003]
  • 百濟泗沘都城의 官僚와 居住空間
    山本孝文 서경, 충남대학교 백제학연구소, 􋺷古代都 市와 王權􋺸 [2005]
  • 百濟泗沘期기와 生産施設과 生産體制
    文玉賢 􋺷文化史學􋺸 38 [2012]
  • 漢長安城與墓地․墓葬
    劉振東 􋺷동아시아 古代都城과 墓域자료집􋺸 [2016]
  • 植民主義的韓國史觀批判
    李基白 一潮閣, 􋺷民族과 歷史􋺸 [1971]
  • 日本에 있어서의 韓國史硏究의 傳統
    旗田巍 􋺷한국사시민강좌􋺸 1 [1987]
  • 戰國時代官營産業의 構造와 性格
    李成珪 􋺷東方學志􋺸 30 [1982]
  • 廣開土王陵碑文에 나타난 守墓制硏究-守墓人의 編制와 性格을 중심으로-
    趙法鍾 􋺷韓國古代史硏究􋺸 8 [1995]
  •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守墓人의 社會的性格
    金賢淑 􋺷韓國史硏究􋺸 65 [1989]
  • 廣開土好太王期高句麗南進의 性格
    朴性鳳 􋺷韓國史硏究􋺸 27 [1979]
  • 平壤遷都이후의 高句麗地方統治制度
    崔熙洙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唐前期長安城의 構造와 治安組織
    崔宰榮 􋺷震檀學報􋺸 109 [2010]
  • 古代遷都의 역사적 의미
    金瑛河 􋺷한국고대사연구􋺸 36 [2004]
  • 古代國家의 成長과 交通路
    李道學 􋺷國史館論叢􋺸 74 [1997]
  • 北魏洛陽社會와 胡漢體制
    朴漢濟 􋺷泰東古典硏究􋺸 6 [1990]
  • 前漢의 京畿統治策
    閔斗基 􋺷東洋史學硏究􋺸 3 [1969]
  • 六朝健康의 불교사원과 도시공간
    劉淑芬 서경 , 충남대학교 백제학연구소, 􋺷古代都市 와 王權􋺸 [2005]
  • 中國歷代수도의 유형과 사회변화
    朴漢濟 서울대 학교 출판부 , 동양사학회 편, 􋺷역사와 도시􋺸 [2000]
  • 中國文明의 起源과 形成, 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編
    李成珪 지식산업사, 􋺷講座中國史Ⅰ -古代文明과 帝國의 成立􋺸 [1989]
  • 中國吉林省集安東台子遺蹟再考
    姜賢淑 􋺷한국고고학보􋺸 75 [2010]
  • 中國古代都城의 構造와 里坊制의 기원에 관하여
    王維坤 􋺷地理敎育論集􋺸 38 [1997]
  • 三國時代의 刑律硏究
    韓容根 신서원, 􋺷韓國史의 理解-古代考古編􋺸 [1991]
  • Problems Concerning the First Relocation of the Koguryo Capital ,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Mark E. Byington 서경문화사 [2004]
  • 7세기 이후 중국 사서에 나타난 韓國古代史像
    李康來 􋺷한국고대사연구􋺸 14 [1998]
  • 6․7세기 高句麗政治勢力의 동향
    林起煥 􋺷한국고대사연구􋺸 5 [1992]
  • 4~6세기 中國史書에 나타난 韓國古代史像
    林起煥 􋺷한국고대사연구􋺸 14 [1998]
  • 4세기 고구려의 낙랑 대방지역 경영
    林起煥 􋺷역사학보􋺸 147 [1996]
  • 3세기 이전 中國史書에 나타난 韓國古代史像
    尹龍九 􋺷韓國古代史硏究􋺸 1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