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선교 전략 = A Strategy of Convergence Mission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정혜원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선교 전략 = A Strategy of Convergence Mission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문화 사회
  • 다문화선교
  • 디아스포라 선교
  • 선교 전략
  • 외국인 유학생
  • 유학생선교
  • 융합선교
  • 이주민선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89 0

0.0%

'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선교 전략 = A Strategy of Convergence Mission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의 참고문헌

  • 한국 교회의 이주민 선교
    문창선 ” 「한국선교KMQ」통권 60호 (겨울호): 18-28 [2016]
  • 코스타 홈페이지. <http://kostaworld.org/homepage_30th/board/introduce>
    [2018]
  • 선교 패러다임 전환 -현지교회 선교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정아브라함 ” 「선교타임 즈」통권 제247호 년 3월): 70-85 [2017]
  • 『한국사회와 다문화』
    이찬욱 광명: 경진 [2012]
  • 『카리스 종합주석 제14권: 사도행전 19-28장』. 강병도 편
    강병도 서울: 기독지혜사 [2007]
  •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사회 문화적응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배상률 세 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18년-2022년)』
    과천: 법무부, [2018]
  • 『이주민선교 기초조사 보고서』
    황홍렬 서울: 꿈꾸는터 [2013]
  • 『이민정책론』
    한국이민재단 서울: 박영사 [2016]
  • 『라이프 성경사전』. 가스펠서브 편
    가스펠서브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6]
  • 『다문화복지론』
    김동진 고양: 공동체 [2016]
  • 『다문화가족의 상담과 실제』
    김정열 고양: 공동체 [2014]
  • 『글로벌 인재유치를 위한 유학생 활용방안』
    강동관 고양: IOM이민정책연구 원 [2011]
  • 『9가지 접근 다문화사회의 이해』
    권금상 서울: 태영출판사 [2013]
  • 『2017년도 중앙행정기관 외국인정책 시행계획: 제 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2013-2017』
    과천: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7]
  • 『2017년 다보스 리포트』
    박봉권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2017]
  • 『2017 간추린 교육통계』.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편
    교육부 진천 군: 한국교육개발원, [2017]
  • 『10년후 4차산업혁명의 미래』
    미래전략정책연구원 고양: 일상과 이상 [2016]
  •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정기선 과천: 법무부 출입국 외 국인정책본부 [2016]
  • 「한중일 인구동향과 국가 인구전략」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법무부 8월호 [2018]
  • 「2018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양승호 교육부, 2018년 11월 5 일 [2018]
  • 「2017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빈현준 통계청 법무부, [2017]
  • “한국 교회, 청년을 어떻게 섬겨야 하는가.”
    한용 서울: IVP, 『청년 트렌드 리포트: 우리 시대 청 년들은 무엇으로 사는가』. 학원복음화협의회 편: 377-387 [2017]
  • “제4차 산업혁명.”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T용어사전』. [2017]
  • “융합.”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T용어사전』. [2017]
  • “연도별 외국인유학생수.”
    교육통계. http://kess.kedi.re.kr/mobile/stats/school?menuC d=0102&cd=4196&survSeq=2018&itemCode=01&menuId=m_010205&uppCd1 =010205&uppCd2=010205&flag=B&tab=table [2018]
  • “세계 선교와 중국 디아스포라 선교.”. 박찬식, 정노아 편
    Wan, Enoch. 서울: (사)기독교산업사회연구소, 『세계 속의 디아스포라 선교와 이주자 선교』, : 138-161 [2012]
  • “선교로서 바라본 비즈니스에 대한 전략적 연구.” In On Kingdom Business. Eds. Tetsunao Yammamori and Kenneth A. Eldred
    Sudyk, Tomas. Wheaton: Crossway Books, [2003]
  • “다문화인구 100만 육박하는데도 배타성은 여전.”
    고충 「국민일보」. 년 3월 15 일. [2016]
  • “난민, 이주민, 탈북민에 대한 선교 책무: 마무리 요약.”
    Bonk, Jonathan J. 서울: 두란노서원, 『난민, 이 주민, 탈북민에 대한 선교 책무』. 김진봉 외 4인 편: 452-467 [2018]
  • “기독교 역사 속의 이주.”
    Walls, Andrew F. 서울: 두란노서원, 『난민, 이주민, 탈북민에 대한 선교 책 무』: 50-66 [2018]
  • “How Christians See Muslims.”; 편 집부 역. Kate Shellnutt. “그리스도인들이 무슬림을 바라보는 방식”
    Shellnutt, Kate. 「크리스채너 티 투데이 한국판」통권 101호 (2017년 6월호): 13-15 [2017]
  • “2015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정윤종 행정자치부 사회통합지원과. 2015년 7월 6일. [2015]
  • ‘장래인구추계: 2015-2065’
    통계청
  • Understanding Church Growth; 전재옥 외 2인 역. 『교회성장 이해』
    McGavran, Donald A.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7]
  • Transforming Worldviews: An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People Change. Grand Rapids: Baker Academic, ; 황병룡 역 (2010). 『21세기 선교와 세계관의 변화』
    Hiebert, Paul G. 서울: 복있는사람, [2008]
  • Thriving in Babylon: why hope, humility and wisdom matter in a godless culture. Colorado: David C. Cook, ; 정성묵 역. 『바벨론에서 그리 스도인으로 살기』
    Osborne, Larry. 서울: 두란노서원 [2015]
  • The Sharing Economy. ; 이은주 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 경제』
    Sundararajan, Arun 서울: 교보문고, 2018 [2016]
  • The Cape Town Commitment: Study Edition. Massachusetts: Hendrickson Publishers, ; 최형근 역 (2014). 『케이프타운 서약: 로잔 운동』
    Dowsett, Rose. 서 울: IVP, [2012]
  • The Age of Migratio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 한국이민학회 역 (2013). 『이주의 시대』
    Castles, Stephen Miller, Mark J. 서울: 일조각, [2009]
  • The 25 Unbelievable Years 1945-1969. Pasadena: William Carey Library, ; 임윤택 역 (2012). 『랄프 윈터의 비서구 선교운동사: 세계 선교의 흐름 을 바꾼 격동 25년』
    Winter, Ralph D. 고양: 예수전도단, [2005]
  • THE NONRESIDENTIAL MISSIONARY. Monrovia: MARC, ; 김창영, 조은화 역 (1994). 『비거주 선교사』
    Garrison, V. David.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0]
  • Sociology. Cambridge: Polity, ; 김미숙 외 6인 역 (2018). 『현대사회학』
    Giddens, Anthony Sutton, Philip W. 서울: 을유문화사, [2017]
  • Mattew Henry’s commentary.; 모수환 역. 『메튜헨리주석 사도행 전』
    Henry, Mattew. 고양: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7]
  • Key Concepts in Migration.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and Singapore: SAGE Publications, ; 이영민 외 5인 역 (2017). 『(개념으로 읽는) 국제 이주와 다문화사회』
  • Global Societ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 박 지선 역 (2012), 『글로벌 사회학』
    Cohen, Robin Kenndy, Paul 고양: 인간사랑, [2007]
  •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Routledge, ; 유영민 역 (2017). 『글로벌 디아스포라: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들의 역사와 문화』
    Cohen, Robin 서울: 민속원, [2008]
  • For Calvinism. Grand Rapids: Zondervan, ; 윤석인 역 (2012), 『칼빈 주의 찬성』
    Horton, Michael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 Evangelical dictionary of world missions. Grand Rapids: Baker Books, ; 김만태 외 12인 역 (2014). 『선교학 사전』.
    Moreau, A.S cott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 Cultural Anthropology in a Globalizing World. Upper Saddle, N.J.: Prentice Hall, ; 홍석준 외 3인 역 (2013). 『글로벌시대의 문화인류학』
    Miller, Barbara D. 서 울: 시그마프레스, [2010]
  • Connecting: The Mentoring Relationships You Need to Succeed in Life. Navpress Publishing Group, ; 네비게이토 역. 『인도: 삶으로 전달되는 지혜』
    Clinton, J. Robert Stanley, Paul D. 서울: 네비게이토 출판사, 2010 [1992]
  • Business Mission. Ventura: Regal Books, ; 안정임 역 (2006). 『비즈니스 미션』.
    Eldred, Ken 고양: 예수전도단, [2005]
  • Anthropological Reflections on Missiological Issues. Grand Rapid: Baker Books, ; 김영동, 안영권 역 (1997). 『선교현장의 문화이해』.
    Hiebert, Paul G. 서울: 죠이선교회출 판부, [1994]
  •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Grand Rapid: Baker Book House Company, ; 김동화 외 3인 역 (1996). 『선교와 문화인류학』
    Hiebert, Paul G. 서울: 죠이선교회출판부, [1985]
  • Ambassador for Christ: The Life and teaching of Paul. London: The Saint Andrew Press, ; 이희숙 역 (1989). 『바울의 생애와 선교』.
    Barclay, William 서울: 종로 서적, [1973]
  • 2017년 12월말 기준 체류외국인 원본통계표.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 보」. 법무부, 2017년 12월호 [2017]
  • 2017 사회문화 전망 및 문화선교트렌드
    문화선교연구원. 「선교타임즈」통권 제246 호 (2017년 2월): 70-7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