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김장래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lm
  • 교사학습공동체
  • 다층 모형
  • 위계적 선형 모형
  • 학습공동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98 0

0.0%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분석 =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의 참고문헌

  •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이 전문가 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 류춘근 홀리스틱교육연구, 19(3), 17-40 [2015]
  • 현대 교직관의 분석적 연구
    황기우 총신대논업, 25, 414-435 [2005]
  • 혁신학교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
    서우철 교육비평, 34(1), 223-242 [2014]
  • 학교특성과 교사 헌신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박사학위논문
    홍창남 서울대학교 [2005]
  •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가 교 사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이상철 교육혁신연구, 28(3), 403-429 [2018]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동료교사 간 신 뢰와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 중심. 박사학위논문
    김혁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교 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권순호 김병주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153-176 [2012]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학 생, 수업, 학교 조직에 대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성낙돈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37-158 [2008]
  • 학교장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의 유형과 교사의 학습조직 인식 간의 관계 분석
    박주호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1(2), 71-99 [2008]
  • 학교단위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분산적 지도성 실행
    김희규 주영효 교육문제연구, 43, 1-26 [2012]
  •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탐색
    김민조 김종원 이현명 교육문화연구, 22(6), 87-113 [2016]
  •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대안으로서의 학습조직
    김희규 교육논총, 20, 277-295 [2002]
  • 학교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방안 연구
    박영숙 한 국교육개발원 [2016]
  •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2008]
  • 학교 구성원 간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학박사학위논문
    이쌍철 부산대학교 [2013]
  • 초임체육교사의 교육실천공동체 참여 실태 분석
    이의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지, 22(3), 23-50 [2015]
  •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김여경 오지연 최진영 교원교육, 32(2), 213-241 [2016]
  •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권순교 이성은 한국교원 교육연구, 23(2), 59-78 [2006]
  •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 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
    이윤식 한재민 한국교원교육연구, 30(4), 407-432 [2013]
  •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김송자 맹재숙 박수정 교육연구 논총, 34(1), 227-247 [2013]
  •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고연숙 김병찬 교육행정학연구, 26(4), 457-487 [2008]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김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식 공유, 직무 수행 간 의 구조관계. 박사학위논문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분석
    김영화 한영수 평생교육학연구, 14(4), 133-154 [2008]
  • 초등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연구
    신범철 교육문제연구, 63, 79-102 [2017]
  • 초등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직무 효능감과의 관계
    박연경 교육 과학연구, 37(2), 187-210 [2006]
  • 초 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송경오 최진영 한국 교원교육연구, 27(1), 179-201 [2010]
  •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 색. 박사학위논문
    조기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서경혜 서울: 학지사 [2015]
  • 지도성・정의(justice)・신뢰(trust)에 관한 구조 분석
    유길한 교육행정학연구, 23(4), 1-27 [2005]
  • 중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 탐색
    김도기 김지선 교육 행정학연구, 35(1), 411-439 [2017]
  •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장 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유학근 이정열 HRD연구, 14(2), 163-190 [2012]
  • 중등교원의 의사결정 참여 수준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성훈 교육종 합연구, 8(3), 131-150 [2010]
  •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1-27 [2007]
  •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교리더십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이준희 주영효 한국교육학연구, 21(4), 227-254 [2015]
  • 전문가학습공동체 운영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미국 ‘Cottonwood Creek School’의 실천을 중심으로
    이경호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95-419 [2010]
  •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이경호 교육행정학연구, 29(3), 195-221 [2011]
  •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이경호 이준희 교육문제연 구, 55, 1-29 [2015]
  •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교장의 지도성
    이윤식 인천대 교육대학원 논문집, 10, 81-102 [2006]
  •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적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 예술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강주희 조형교 육, 55, 1-28 [2015]
  • 신뢰의 영향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이재연 차동욱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7(3), 251-280 [2003]
  • 수업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학교풍토가 교사전문공동 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일권 전상훈 조흥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9-50 [2016]
  •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의 교직헌신 간의 관 계
    강경석 교사교 육연구, 55(3), 350-362 [2016]
  • 병원 근로자들의 최종 학력이 진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오원 오상석 한국 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6), 559-566 [2018]
  •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김운종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79-94 [2009]
  • 단위학교에서의 민주적 의사결정참여가 교사 협력, 수업 개선 활동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기수 박혜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951-972 [2016]
  • 다층모형
    강상진 서울: 학지사 [2016]
  • 내 외적 보상 요인과 교사의 교직 만족 및 몰입과의 관계-광주, 전남 초 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장래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9-38 [2009]
  • 기간제 교과전담예비교사, 교대생 및 현장교사 간의 교직관 비교분석
    임종철 한국교원교육연구, 16(2), 29-48 [1999]
  • 교장・교감 변혁적 리더십이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 프리더십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병면 이윤식 교육행정학연구, 35(1), 35-39 [2017]
  •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관한 최근 연구와 시사
    이윤식 한국교원교육연구, 19(2), 31-55 [2002]
  •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년부장교사의 리더십이 동학년 팀워크를 매개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남해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팔로워십과 교사 컬리그십의 매개효과
    이윤식 이정란 교육행정학연구, 32(4), 79-107 [2014]
  •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장교사의 리더십, 초임교사의 교직 관 및 교직적응 간의 구조관계
    김현수 이윤식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05-130 [2014]
  •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리더 십을 매개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홍성철 교육행정학연구, 35(5), 1-27 [2017]
  • 교장 수업지도성, 교감수업지도성, 교장교감상호협력, 교사 학습공동체성, 교사 교수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영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7]
  • 교육행정학에서 사용되는 학교문화 개념들의 유용성과 한계
    박삼철 교육행 정학연구, 24(4), 91-112 [2006]
  •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직관 비교
    김남순 생활지도연구, 22(1), 103-116 [2003]
  •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직관 분석
    김달효 코기토(Cogito), 70, 427-451 [2011]
  • 교원양성 교육기관 학생들의 교육‧교직관 연구: 전북지역 사범 대학생과 교직이수자를 중심으로
    김영태 손충기 교육연구, 23, 17-38 [2004]
  •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 한 질적 메타 분석
  • 교사학습공동체-신자유주의 그 이후
    곽영순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 향 분석: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고연주 김영주 이현주 임규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429-457 [2017]
  • 교사의 혁신적 태도 및 신념의 내면화 결정 요인 분석: 경 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관련 연수를 중심으로
    백병부 성열관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101-125 [2011]
  • 교사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차응수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 교사의 팀학습 활동 분석과 학습조직의 관계 연구
    이석열 교육행정학연구, 25(4), 95-115 [2007]
  • 교사의 전문학습공동체 진단 척도 개발 및 적용
    이석열 교육행정학연구, 36(2), 201-277 [2018]
  • 교사의 자발적 참여 동기와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이 현업 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청 지원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김지현 박수정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8(10), 935-975 [2018]
  • 교사에게 제공되는 보상 유형, 직무동기, 교직헌신 간의 관계
    이광수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3(4), 49-70 [2013]
  •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2010]
  •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 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 공립학교군별 전문적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장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리더 신뢰
    권석균 이춘우 조 직과인사관리연구, 28(1), 173-208 [2004]
  • 고등학교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초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습공동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현 김이경 중등교육연구, 64(3), 497-520 [2016]
  •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제
    노승철 이희연 서울: 법문사 [2012]
  •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초등학교 사례를 중 심으로
    김명수 장훈 학습 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1(1). 311-333 [2011]
  • “다층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활용방법”
    강상진 교육평가연구, 8(2), 63-94 [1995]
  • Wohlstetter, P., Smyer, R., & Mohrman, S.(1994). New boundaries for school-Based management: The high involvement model.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6(3), 268-286.
  • Westheimer, J.(1999). Communities and consequences: an inquiry into ideology and practice in teachers’ professional work.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5(1), 71-105.
  • Vescio, V., Ross, D., & Adams, A.(200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ing practice and student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1), 80-91.
  • Tschannen-Moran, M.(2004). Trust matters: leadership for successful schools. JOSSEY-BASS.
  • Talbert, J. E.(2010).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the crossroads: How systems hinder or engender change. In A. Hargreaves, A. Lieberman, M Fullan, & D. Hopkins (Eds.), The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change (pp.555-571). New York, NY: Springer.
  • Supervision a redefinition. New York: McGraw-Hill Humanities. 오은경, 한유경, 서경혜, 김경이, 안정희, 안선영 역(2008). 장학론
    Sergiovanni, T. J. Starratt. R. J.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6]
  • Stoll, L., Bolam, R., McMahon, A., Wallace, M., & Thomas, S.(2006).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7(4), 221-258.
  • Stoll, L.(1999). Realizing our potential: Building capacity for lasting improvement.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0(4), 503-532.
  • Somech, A., & Bogler, R.(2002).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8(4), 555-557.
  • Sergiovanni, T. J.(1992). Moral leadership: Getting to the heart of school improvement. CA: Jossey-Bass.
  • Senge, P. M. (1997).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Executive Excellence, 15(3), 17-18.
  • Scribner, J. P., Cockrell, K. S., Cockrell, D. H., & Valentine, J. W.(1999). Creating professional communities in schools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An evaluation of a school improvement proces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5, 130-160.
  • School teacher
    Lortie, D.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진동섭 역(1993).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1975]
  • Sarason, S. B.(1995). Some reactions to what we have learned. Phi Delta Kappan, 77(1), 84-85.
  • Roy, P., & Hord, S. (2006). It's everywhere, but what is i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16. 490-501.
  • Rosenholtz, S. J., & Simpson, C.(1990). Workplace conditions and the rise and fall of teacher’s commitment. Sociology of Education, 63, 241-257.
  • Rosenholtz, S. J.(1989). Teachers’ work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Robinson, W. S.(1950). Ecological correlations and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5(3), 351-357.
  • Reyes, P. (1992). Preliminary models of teac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for restructuring the workplace.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Research and Improvement.
  • Raudenbush, S. W., & Bryk, A. S.(2002). Hiera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California: Sage.
  • Pang, N. S.(2003). Binding forces and teachers’ school life: A recursive model.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4, 293-320.
  • Osborne, J. W.(2000). Advantag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7(1), 1-3.
  • Olivier, D. F., Antoine, S., Cormier, R., Lewis, V., Minckler, C., & Stadalis, M. (2009). Assessing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ymposium. Louisiana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Nickols, F.(2000). Community of practice: an overview. Retrieved from https://nickols.us/CoPs.htm
  • Newmann, F. M.(1996).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Activities and accomplishments.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Morrissey, M. S.(2000).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 ongoing exploratio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1).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acMullen, M. M.(1996). Taking stock of a school reform effort: A research collection and analysis. Annenberg Institute for School Reform, Brown University.
  • Louis, K. S., Marks, H. M., & Kruse, S. D.(1996).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 757-798.
  • Louis, K. S., Kruse, S. D., & Marks, H. M.(1996). Schoolwide professional community. In F. Newmann & Associates (Ed.), Authentic achievement: Restructuring schools for intellectual quality (pp. 179-203). San Francisco: Jossey-Bass.
  • Louis, K. S., & Marks, H. M.(1998). Does professional community affect the classroom? Teachers’ work and student experiences in restructuring school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6, 532-575.
  • Louis, K. S.(1991). The effects of teacher quality of work life in secondary schools on commitment and sense of effic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 Leithwood, K., Leonard, L., & Sharratt, L.(1998). Conditions fostering 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4(2), 243-276.
  • Leithwood, K., Jantzi, D., & Steinbach, R.(1999). Changing leadership for changing times. Philadelphia, PA: Open University Press.
  • Kushman, J. W. (1992). The organizational dynamics of teacher workplace commitment: A study of urb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28(1), 5-42.
  • Kasten, K. L.(1984). The efficacy of institutionally dispensed rewards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7, 1-13.
  • Karsten, S., Voncken, E., & Voorthuis, M.(2000). Dutch primary schools and the concep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The Learning Organization, 7(3), 145-156.
  • Johnson, S. M.(1990). Teachers at work: Achieving success in our schools. New York: Basic.
  • Ingersoll, R. M., Alsalam, N., Quinn, P., & Bobbitt, S.(1997). Teacher professionalization and teacher commitment: A multilevel analysis.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Washington, D. 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6 349).
  • Hord, S. M.(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 Hipp, K. K., & Huffman, J. B.(2003).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sessment-development-effect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for School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Sydney Australia.
  • Hausman, C. S., & Goldring, E. B. (2001). Sustaining teacher commitment: The role of professional communitie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6(2), 30-51.
  • Hargreaves, A.(2003). Teaching in the knowledge society. N.T.: Teachers College Press.
  • Hargreaves, A.(1992). Restructuring: Postmodernity and the prospects for educational change. Journal of Education Policy Educational Leadership, 9, 47-65.
  • Hargreaves, A. (1994).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Hackman, R. J., & Oldham, G. R.(1980). Work redi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 Graham, P., & Ferriter, W. M.(2009). Build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work. Bloomington: Solution Tree Press.
  • Giles, C., & Hargreaves, A.(2006). The sustain ability of innovative schools as learning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uring standardized reform.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2(1), 124-156.
  • Firestone, W. A., & Pennell, J. R.(1993). Teacher commitment, working conditions, and differential incentive polic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4), 489-515.
  • Fawcett, G.(1996). Moving another big desk.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17(1), 23-27.
  • Eaker, R., & Gonzalez, D.(2006). Lead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National Foru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Journal, 24(1), 6-13.
  • DuFour, R., DuFour, R., Eaker, R., Many, T. W., & Mattos, M.(2016). Learning by doing: A handbook fo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loomington: Solution Tree Press.
  • DuFour, R., & Marzano, R. J.(2011). Leaders of learning: How district, school, and classroom leaders improve student achievement. Bloomington: Solution Tree Press.
  • DuFour, R., & Eaker, R.(2005).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IN: Solution Tree Press.
  • Darling-Hammond, L., & Goodwin, A. L.(1993). Progress towar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n G. Cawelti (Ed), Challenges and achievements of American education (1993 ASCD Yearbook), 19-53.
  •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 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손민 호, 배을규 역(2007). 실천공동체 CoP. 서울: 학지사 [1998]
  • Chappuis, S., Chappuis, J., & Stiggins, R.(2009). Supporting teacher learning teams. Educational Leadership, 66(5), 56-60.
  •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주철안 역(2004). 학교 공동체 만들기: 배움과 돌봄을 위한 도 전
    Sergiovanni, T. J. 서울: 에듀케어 [1994]
  • Bryk, A., Camburn, E., & Louis, K. S.(1999). Professional community in chicago elementary schools: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5(5), 751-781.
  • Blitz, C. L., & Schulman, R.(2016). Measurement instrument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L 2016-144).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Evaluation and Regional Assistance,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Mid-Atlantic. Retrieved from Http://ies.ed.gov/ncee/edlabs
  • Bagozzi, R. P., & Yi, Y.(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