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속가능 인성함양을 위한 인권, 문화다양성 통합교육 : 대학생을 중심으로 = Integra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to cultivate sustainable character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김우정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지속가능 인성함양을 위한 인권, 문화다양성 통합교육 : 대학생을 중심으로 = Integra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to cultivate sustainable character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문화
  • 다문화 교육
  • 문화다양성
  • 문화다양성교육
  • 인권
  • 인권 교육
  • 인성
  • 인성교육
  • 지속가능 교육
  • 통합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46 0

0.0%

' 지속가능 인성함양을 위한 인권, 문화다양성 통합교육 : 대학생을 중심으로 = Integra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to cultivate sustainable character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의 참고문헌

  • 교육부 제1차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6-2020) [2016]
  • 효과적 대학 독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도서관 연계활동과 독서 교과, 비교과 활동
    조미숙 동남어문논집, 40, 299-326 [2015]
  • 홍석영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
    강옥태 윤 리교육연구, 49, 31-49 [2018]
  • 호주 지속가능성 교육의 성립과 특징
    남경희 조의호 홀리스틱융합 교육연구, 18(1), 29-48 [2014]
  • 현대사회와 문화다양성 이 해
  • 한준 교육비전 중장기 계획 연구
    강영혜 김태은 박재윤 이혜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2 [2007]
  • 한문고전(漢文古典)을 통한 대학에서의 인성교육(人性敎育)
    박세진 [2016]
  •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 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숙자 김현정 박인아 박현진 열린유 아교육연구 Ⅲ, 17(1), 337-358 [2012]
  •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정영근 교육철학, 44, 113-137 [2009]
  • 한국 사회의 세계화와 글로벌 의식. 17, 279-345. 정광희, 이혜영, 이재덕, 이성회, 송수연, 조덕주, 임진택, 장수진
    전태국 한국교육 [2010]
  •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박순덕 선곡유화 이영선 다문화와 평화, 7(2), 173-203 [2013]
  • 학생상담 실적평가의 인성교육적 개선과제 - 국립대 학생 지도비 제도를 중심으로 -
    조정호 人文科學硏究, 36, 99-125 [2017]
  • 학교 폭력 예방 및 효율적 대처 방안
    허종렬 저스티스, 134(3), 118-140 [2013]
  •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유병열 도덕윤리과교육, (39). 239-264 [2013]
  • 학교 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 안
    김남준 손경원 신호재 정창우 한혜민 교육부 정책연구보고서 [2013]
  • 팀 프로젝트 형 실천기반 학습과 대학생 리더십 교육에 관한 연구
    양민석 교육문화연구, 22(5), 209-236 [2016]
  • 통합교육 경험이 대학생들의 장애인 인권 의식 및 인성에 미친 영향 연구
    권회연 이미애 통합교육연구, 10(2), 1-27 [2015]
  • 통계청
    http://kostat.go.kr
  • 초등학생의 예절과 인성의 관계 연구
    나미경 한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편견 및 다문 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위경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권의식 및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에 관 한 인식
    이주한 한국초등교육, 24(4), 37-55 [2013]
  • 초‧중등 학생 인성교 육 활성화 방안 연구(Ⅱ):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자료 개발 (RR20144-02)
  • 초 중등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4 : 고등학 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자료 개발
    개발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6]
  • 초 중등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박윤경 성경희 조영달 시민교육연구, 40(3), 1-28 [2008]
  • 초 중 고등학교 인권교육 실태조 사
    구정화 박성정 정해숙 최윤정 2011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2011]
  • 청소년의 글로벌 역량개발을 위한 학교 밖 활동의 중요성과 과제
    한상철 미래청소년학회지, 6(3), 91-110 [2009]
  •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민하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J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홍성화 교육혁신연구, 25(3), 107-128 [2015]
  • 창의 인성교육 강좌가 사범대학생들의 창 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 임정하 조은영 敎育問題硏究, 58, 43-68 [2016]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네스코 [2008]
  • 지속가능성을 위한 평생교육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이 버대학을 중심으로-
    이진수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6), 53-68 [2010]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홍승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고등학생의 도덕판단력과 인권태도와의 관계에서 공고화 발달국면의 조절효과
    문미희 교육심리연구, 21(2), 437-457 [2007]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지현아 교양교육 연구, 11(6), 39-61 [2017]
  • 정부산하 비형식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 탐색 : Banks의 성찰적 학습전략을 바탕 으로
    강은성 강인애 남미진 比較敎育硏究, 22(5), 303-335 [2012]
  •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김숙자 김현정 아동교육, 21(3), 19-34 [2012]
  •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동현 특수교육, 10(3), 197-217 [2011]
  •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유아의 인권, 공 감,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상희 이미나 독서치료연구, 8(1), 77-94 [2016]
  • 인성교육진흥법의 개정방안 논의: 인성 - 시민성의 연계모 델을 중심으로
    채진원 분쟁해결연구, 16(1), 139-170 [2018]
  •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녕 생명연 구, 39, 55-102 [2016]
  • 인성교육진흥법(법률 제13004호)
    교육부 42206 [2015]
  •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정창우 경기: 교육과학사 [2015]
  • 인성교육의 성과와 한계
    유병열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71-95 [2015]
  • 인성교육을 위한 핵 심 가치 덕목과 핵심 역량의 연구 모형에 관한 고찰
    강선보 김영래 류은영 이동윤 이성흠 정창호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2), 21-45 [2015]
  • 인성교육을 위한 우리나라 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이영문 초 등도덕교육, 40, 265-286 [2012]
  • 인성교육으로서의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송호섭 경성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 인성교육과 민주시민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선행연구: 양심 개념을 중심으로
    장준호 교육논총, 36(1), 93-114 [2016]
  • 인성교육개론
    최원호 서울: 학지사 [2016]
  • 인성교육 측면에서의 유교문화 고찰과 활성화 방안
    허소정 철학과 문화, 31, 43-62 [2015]
  •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김선주 교양교육연구, 11(3), 217-258 [2017]
  • 인성교육 진흥 중 장기 발전방안 연구(RR 24-200)
  •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 천 방안 연구
    김수아 김왕준 성기옥 정일화 천세영 교육과학기술부 인성교육 비전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2012-41 [2012]
  • 인성 평가 척도 개발 을 위한 기초 연구
    김현수 김현지 문용린 이명준 이우용 조난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4-4-14 [2004]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
    고재석 도승이 유홍준 교양교육연구, 11(6), 447-474 [2017]
  • 인권의식발달경향에 관한 연구 : 사형, 고문, 장애인, 치우에 관한 추론을 중심으로
    이승미 인간발달연구, 6(2), 103-140 [1999]
  • 인권생각
    김녕 인천: 도서출판선 [2013]
  • 인권기반 개발협력 애드보커시 수행가이드
    한국인권재단 [2015]
  • 인권교육의 실태와 질적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법무부 [2015]
  • 인권교육의 국내외적 현황과 지향 과제
    나달숙 교육법학연구, 23(1), 85-121 [2011]
  • 인권교육 개념 및 방향 정립 모색 연구
  • 인권감수성과 다문화인식 상관관계 연구
    어석원 성공회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1]
  • 인권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연구
    박성익 이승미 교육학연구, 38(1), 185-20 [2000]
  • 인권 교육의 방향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 권의식 관계분석
    박봉규 미국헌법연구, 22(3), 91-126 [2011]
  • 인격교육과 인권교육의 영역 확장을 통한 홀리스틱 융합
    심성보 홀 리스틱융합교육연구, 14(1), 83-99 [2010]
  • 인간과 사회의 진보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 평화 인권 참여의 학습을 통한 민주적 시민 되기의 길잡이
    심성보 서울: 살림터 [2014]
  • 이송이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심태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352-360 [2018]
  • 융합형교양교과목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인성교육의 방 안과 `새로운` 인간상 모색-〈힐링을 위한 음악과 문학의 만남〉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홍순희 교양교육연구, 8(1), 451-483 [2014]
  • 융복합교육의 확장적 재개념화 가능성 탐색
    안성호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다문화교육연구, 9(1), 153-183 [2016]
  • 유아인성예절지도
    주영애 서울: 신정 [2017]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적 접근 가 능성 탐색
    공영미 유연옥 정선영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6-206 [2018]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 효능감과 다문화교육의 실태
    신수경 채영란 한국교육문제연구, 30(3), 227-246 [2012]
  •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실태 비교
    원인숙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고정관념이 다문화교육 태도에 미치 는 영향에서 교직인성의 매개효과
    김근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887-906 [2018]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고정관념, 교직인성이 다문 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정희정 한국영유아보육학, 106, 79-100 [2017]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우민정 이은영 幼兒 敎育學論集, 17(3). 433-455 [2013]
  •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가점검도구 개발 연구
    김경령 서은희 한국 교원교육연구, 31(1), 117-139 [2014]
  • 예비교사용 인성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이지혜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8(20), 1425-1446 [2018]
  •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수진 노선숙 서경혜 이지영 최진영 현성혜 교육과학연구, 44(1), 147-176 [2013]
  • 영상매체와 쓰기활동을 통한 대학생 인성교육 방안
    최윤희 인문사 회 21, 9(2), 1025-1034 [2018]
  •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 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위한 복음적 인성교육
    허도화 神學 思想, 173, 235-266 [2016]
  • 신상은 대학생들의 환경의식에 따른 인성 및 창의성 개발을 위한 환경교육 제안
    김유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451-472 [2017]
  •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
    차윤경 다문화 교육연구, 1(1), 1-23 [2008]
  •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초 중등 도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대성 동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 성 및 출생순위가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김병숙 진로교육연구, 19(1), 1-24 [2006]
  • 생활문화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한국생활문화연구
  • 사회적 관심과 연대를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모색
    김녕 생명연구, 43, 367-416 [2017]
  • 사회과 인성교육 개념 및 요소에 대한 탐색
    은지용 시민교육연구, 45(3), 143-174 [2013]
  •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융복합교육의 방 안 탐색 : 미술과, 국어과, 음악과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아 임가영 홍지영 美術敎育 論叢, 28(3), 179-206 [2014]
  • 부모의 헬리콥터형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친구관계, 공 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혜 GRI연구논총, 17(2), 181-205 [2015]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민혜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박하나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분석
    박윤경 성경희 이소연 조영달 시민교육연구, 42(1). 151-184 [2010]
  • 미래한국
    www.futurekorea.co.kr
  •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곽영순 이근호 이승미 최정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2012]
  • 문화다양성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 경 고찰
    김영천 이동성 주재홍 다문화교육연구, 6(1), 51-72 [2013]
  •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방안
    김효정 서울: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12]
  •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1 -이론적 논의 와 내용 체계-
    김항인 송선영 윤리연구, 100(0), 257-282 [2015]
  •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이동성 다문 화교육연구, 6(1), 51-72 [2013]
  • 모-자녀간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성 및 안전 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애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이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에 주는 시사 점
    김상무 교육사상연구, 24(3), 65-89 [2010]
  • 도덕교육 담론을 통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의미에 대 한 연구
    권순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665-686 [2017]
  • 대학특성과 전공을 고려한 대학생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 호텔관광경영전공을 중심으로
    정해용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19-32 [2015]
  • 대학의 교양과목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노이경 人間理解, 37(2), 115-138 [2016]
  •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
    박은숙 인문사회 21, 9(2), 127-136 [2018]
  • 대학에서의 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내 기구의 역할과 발 전방향
    김영중 경찰법연구, 16(1), 265-283 [2018]
  • 대학에서의 가치관 교육의 의미와 방향
    이원봉 가톨릭철학, 26, 85-110 [2016]
  • 대학생의 인성수준이 취업태도와 취업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김선주 김우정 주영애 교양교육연구, 12(1), 35-56 [2018]
  • 대학생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김성원 윤정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8), 541-550 [2017]
  • 대학생의 성매매 여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 구
    박선영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8), 207-233 [2016]
  • 대학생의 서번트 리더십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프 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인식
    김은주 성명희 리더십연구, 7(4), 33-59 [2016]
  • 대학생을 위한 몸철학과 미적체험 중심 인성교육 활 성화 방안
    이현민 정복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18 [2016]
  • 대학생용 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철수 이기용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7(6), 401-422 [2017]
  • 대학생들의 인성발달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적・글로벌, 창의융합, 봉사헌신・소통협업 역량을 중심으로-
    김은주 성명희 한 국윤리교육학회, 40, 133-156 [2016]
  • 대학생 창의 인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이지선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17(2), 26-37 [2017]
  • 대학생 인성수준의 종단적 분석
    권미진 이윤선 윤리교육연구, 36, 259-282 [2015]
  • 대학생 인성수준 및 요구도에 따른 인성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김선주 人間發達硏究, 23(2), 1-19 [2016]
  • 대학생 인성교육 연구 동향분석 및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명실 문화와융합, 39(3), 101-134 [2017]
  • 대학생 인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은진 청소년복지연구, 19(3), 1-108 [2017]
  • 대학생 인성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강혜영 김소정 이윤선 윤리교 육연구, 31, 261-282 [2013]
  • 대학생 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논문 의 통합적 고찰
    김정선 김한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47-555 [2016]
  • 대학생 대상 도슨트 프로그램의 창의 인성 교육적 가치 고찰 : ASYAAF SAM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주희 남지연 造形敎育, 54, 137-166 [2015]
  • 대학교의 인성교육진흥을 위한 교양교과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김지원 디지털융복합연구, 13(11), 481-491 [2015]
  • 대학 차원 인성교육의 내용체계 개발
    강경숙 김영준 문화와 융합, 40(4), 117-148 [2018]
  • 대학 인성교육체제와 발전방안 연구
    이연주 문화와 융합, 40(5), 253-278 [2018]
  • 대학 인성교육의 재고: 인성교육의 현황 및 인성실천도를 중심으 로
    박인선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과 활성화를 위한 시론 ― S 대학 인성 교과목 개설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大同哲學, 72, 23-45 [2015]
  •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22-330 [2013]
  •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손승남 교양교육연구, 8(2), 11-41 [2014]
  • 대학 인성교육을 위한‘교양음악’의 방향
    최원선 음악이론포럼, 22(2), 137-167 [2015]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 ‘삶의 치유(Lebenstherapie)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가능성 탐색
    손승남 임배 교양교육연구, 9(2), 117-144 [2015]
  • 대학 인성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 연구
    이한샘 전종희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375-396 [2017]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대학의 역할에 대한 반 성
    홍경남 교양교육연구, 11(6), 507-528 [2017]
  • 대학 인권교육의 의의에 관한 고찰
    김녕 인간연구, (35), 137-168 [2018]
  •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연 구
    이종현 교양교육연구, 10(2), 219-250 [2016]
  •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인성교과 설계 및 운 영사례
    김누리 박현린 표정민 교양교육연구, 11(5), 449-479 [2017]
  • 대학 신입생 인성교육 방안 연구 - 명상과 그 창작사례를 중심으로
    최경춘 동학학보, 48, 519-544 [2018]
  • 대학 신입생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 『소학(小學)』 을 중심으로 -
    최경춘 韓國思想과 文化, 84, 411-435 [2016]
  • 대학 글쓰기와 인성 교육의 연계 가능성
    손혜숙 문화와 융합, 39(5), 569-598 [2017]
  • 대학 교양한문 교육과 인성교육 -논어(論語) 세미나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안순태 한문교육연구, 48, 95-120 [2017]
  •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지희진 교양교육연 구, 10(7), 433-466 [2013]
  •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은지용 시민교육연구, 41(1), 107-139 [2009]
  • 다문화인권교육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소고(小 考)
    강현민 정상우 법과인권교육연구, 8(3), 1-23 [2015]
  • 다문화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련성 고찰
    심승환 교육사상연구, 28(3), 119-146 [2014]
  •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 분석과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이영문 도덕윤리과교육, (44), 99-119 [2014]
  •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 현황
    여성가족부 [2018]
  • 다문화가정자녀 멘토링 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의 수퍼비젼에 관한 연구
    김금희 김영순 인문과학연구제33집, 453-476 [2012]
  • 다문화 사회통합에서 상호접촉의 의미 : 신뢰와 문화다양성 을 중심으로
    심규선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인성교육의 방향
    손경원 교육연구와 실천, 81(-), 101-120 [2015]
  • 다문화 교육과정 모형을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인성 프로그 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주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논쟁과 설득 글쓰기 전략을 통한 대학생 인성교육 연구
    김인경 인 문사회 21, 8(3), 1021-1034 [2017]
  • 기본권의 개념
    정종섭 서울: 금붕어 [2007]
  • 기독교대학의 채플이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한만오 복음과 실천신학, 38, 179-208 [2016]
  •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에 대한 한 연구
    조용훈 대학과 선교, 31, 227-258 [2016]
  • 기독교대학의 복음적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하나님 나라 의 성육신적 영성교육의 신학과 실행방안-
    최영근 대학과 선교, 30, 223-261 [2016]
  • 기독교 대학의 기독교 교양 과목이 대학생들의 인성 개발에 끼친 영향 분석
    김춘이 대학과 선교, 33, 65-90 [2017]
  • 국외문화다양성 정책사례 조사 및 분석연구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기본연구 2014-28 [2014]
  •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5]
  •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 국내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의 다문화 시티즌십 분석
    윤노아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국내 외 공공분야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6]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백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04]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 교원자격실무편람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14]
  • 교양과목을 통한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의 전략적 운영 방안 탐색
    이은성 기독교교육논총, 51, 101-124 [2017]
  • 교과를 통한 인성교육의 접근
    남궁달화 실과교육연구, 2003(1), 1-28 [2003]
  •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RRC 2011-7-1)
  •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 과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비교 -
    고연주 이현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395-405 [2017]
  • 고용노동통계
    http://laborstat.moel.go.kr
  • 고등학교 인권 교육에 관한 연구 : '법과 사회' 수업을 위한 사례 개발을 중심으로
    오승윤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간호대학생들의 인성 분석: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특성을 중심으로
    곽윤경 이미련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7), 491-499 [2017]
  •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열 탐구
    김경식 안우환 중등교육연구, 53(1), 29-50 [2005]
  • 人權敎育 프로그램의 認知 情緖 要因에 관한 實驗 硏究
    이승미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사의(士儀)』성인편(成人篇)을 토대로한 대학의 청년기 인성교육 연구
    최배영 차문화ᆞ산업학, 32, 225-262 [2016]
  • 『대학』의 공부론과 인성교육 ―‘격물치지’와 ‘성의정 심’을 통한 ‘지(知) 정(情) 의(意)’ 통합의 문제―.
    신순정 東洋哲學硏 究, 92, 165-190 [2017]
  • 『士小節』에 나타난 부모인성덕목에 대한 현대적 해석.
    주영애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9), 521-534 [2018]
  • 「창의・인성 교육의 총론」
    문용린 최인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심 포지움, 2010(10), 21-29 [2010]
  • 「상호문화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의 이해」
    이화도 비교교육연구, 21(5), 171-193 [2011]
  • “인성지수개발 연구”
  • “대학생의 인권인식에 대한 요인분석 및 인권태도의 인식수준”
    류지헌 허창영 민주주의와 인권, 8(1), 175-202 [2008]
  • ‘지속가능한 교육발전’의 의미와 원리 탐색
    이정화 허병기 敎 育行政學硏究, 34(5), 97-123 [2016]
  • ‘영성지능(실존지능)'를 통한 대학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강남대학교 중심으로 -
    윤성민 신학과 실천, 54, 445-469 [2017]
  • ‘나눔' 가치에 기반한 실천형 인성교육 사 례 연구 - 이화여대 <나눔리더십>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혜령 양민석 이은아 교양교육연구, 10(3). 415-446 [2016]
  • www
    인사이트 insight.co.kr/news/137247
  • e-나라지표
    www.index.go.kr
  • Y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 인 분석
    박혜숙 양상희 人文社會科學硏究, 56(-), 33-58 [2017]
  • Yuval-Davis, N.(2000). Gender and Nations. London: Sage.
  •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1-167.
  • UNESCO(2001).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www.timeshighereducation.com
  • The Emilypost Institute. http://emilypost.com
  •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 R언어를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인성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분석
    이현정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Residential college에서 효과적인 인성 교 육을 위한 룸메이트 배정 문제
    김우성 남지혜 최혜봉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9), 319-330 [2017]
  • Ponterotto, Joseph G., Baluch, Suraiya & Greig, Tamasine(1998). "Development and Initial score Validation of th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TMA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8(6), 1002-1016.
  • Obuljen, N.(2008). Principles of cultural pluralism,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ociety, with reference to UNESCO's international standard setting instruments such as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UNESCO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In UNESCO's international standard setting instruments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new challenges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11-24.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 Munroe, A. & Pearson, C.(2006).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MASQU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5), 819-834.
  • Le developpement durable. 윤인숙(역)(2011). 지 속가능한 발전
    Clauveau, L. 서울; 현실문화 [2009]
  • Kujawa-Holbrook(2002). Beyond diversity: Cultural Competence, White Racism Awareness, and European-American Theology Students. Teaching Theology and Religion, 5(3), 141-148.
  • Klafki, W.(1991). Neue Studien zur Bildungstheorie und Didaktik. 2. erweiterte Aufl . Weinheim: Beltz.
  • KEDI 인성검사 실시요강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4]
  • Jackman, C. F., Wagner, W. G. & Johnson, J. T.(2001). "The Attitudes Toward Multiracial Children Scale". Journal of Black Psychology, 27(1), 86-99.
  • Guyton, E. M. & Wesche, M. V. (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ulticultural Perspectives, 7(4), 21-29
  • Getz, I.(1985). Moral reasoning, religion, and attitude toward human righ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 Dee, J. R. & Henkin, A. B.(2002). "Assessing Dispositions Toward Cultural Diversity Among Preservice Teachers". Urban Education, V37(1), 22-40.
  • DS 인성교육 인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강지희 박은민 이주희 敎員敎育, 32(3), 219-239 [2016]
  • Arnesen, A. L., Hadzhitheodoulou-Loizidou, P., Birzea, C., Essomba, M. A., & Allan, J. (2008). Teacher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for teaching socio-cultural diversity. Council of Europe.
  • 21세기 환경변화와 인재상
    김병구 학생생활연구, 6, 87-96 [2001]
  •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 21세기 세계화 시대 유 초 중 고교의 인 권 교육 탐구핸드북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교육과학사 [2013]
  •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 통계
    국가인권위원회 [2018]
  •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보고서
    여성가족부 [2016]
  • 2012 지속가능미래를 위한 모의 유네스코 총 회 종합보고서 : 세계화시대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청소년의 역할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2]
  • -『明心寶鑑』을 활용한 수업 모형-
    방안(方案) 한문교육연구, 46, 423-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