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국, 중국, 태국의 수산물 소비구조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afood consumption behavior in the US, China and Thailand

임경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미국, 중국, 태국의 수산물 소비구조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afood consumption behavior in the US, China and Thailand'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소비 선호
  • 소비 행태
  • 소비태도
  • 수산물
  • 순위 프로빗 모형
  • 시장세분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15 0

0.0%

' 미국, 중국, 태국의 수산물 소비구조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afood consumption behavior in the US, China and Thailand' 의 참고문헌

  • 中国国家统计局
    www.stats.gov.cn/english/statisticaldata/censusdata/검색) [2018]
  • 『한국인의 식품소비 심층분석』
    김상호 이계임 허성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 『한국 수산식품 세계화 전략 수립 연구 -수 산물 수출을 중심으로-』
    김지연 이상건 임경희 한기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 『패널자료를 이용한 중국 수산물 소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임설매 부경대학교 경영학박사 학위논문 [2014]
  • 『중국 소비자의 수입농식품 구매 결정요인 및 지불의향가격 영향요인 분석-북경, 상해, 광주, 청도를 중심으로-』
    편지은 서울대학교 경제학석사 학위 논문 [2015]
  • 『중국 상해권역의 수산물 소비와 수출 전략에 관한 연구』
    임경희 장춘봉 정명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4]
  • 『주요 어류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임경희 정명생 한국해양수산개발 원 [2004]
  • 『주요 식품의 소비구조 변화와 전망』
    이계임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5]
  • 『수산물 친숙도에 의한 시장세분화 연구』
    김지웅 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학 위논문 [2016]
  • 『수산물 소비패턴 변화와 수요 전망』
    박성쾌 정명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4]
  • 『수산물 소비에 대한 가치체계 분석과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장춘봉 부 경대학교 경영학박사 학위논문 [2011]
  • 『뉴질랜드․노르웨이의 양식 수산물 수출 전 략』
    김지연 박혜진 임경희 한기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민인식 최필선 한국STATA학회 [2012]
  • 『SPSS 21을 이용한 통계분석은 어떻게?』
    남기성 천영민 자유아카데미 [2014]
  • 「패스트푸드점의 시장 세분화 분석을 통한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대구 지역 햄버거점을 중심으로-」
    박진영 신도길 『관광연구』, 제12집 [1998]
  • 「최적 시장 세분화 결과 도출을 위한 기준변수와 군 집분석기법의 선정에 관한 연구」
    안광호 이영효 임병훈 『마케팅관리연구』, 14(3) [2009]
  • 「중국 소비행태와 한국 농식품 수출마케팅 전략」
    고진주 김성훈 손창수 『농 촌경제』, 36(2) [2013]
  • 「중국 상하이 소비자의 수산물 시장 세분화」
    박기섭 장영수 『수산경영론 집』, 45(3) [2014]
  • 「주거형태에 따른 대학생 식습관 및 외식행태 연구」
    권혁성 이혜련 진양호 『외식경영연구』, 17(1) [2014]
  • 「전통식품 수출을 위한 표적시장 선정에 관한 연구」
    이정희 『한국유통학 회』, 년 한국유통학회 추계학술대회, 2003.11 [2003]
  • 「일본의 수산물 수입 분석」
    김동민 『농촌경제』, 16(1), (봄) [1993]
  • 「인구통계적 특징에 따른 수산물 소비패턴 변화 분 석」
    김도훈 박정아 장영수 『수산경영론집』, 45(3) [2014]
  • 「우리나라 가계의 식품소비지출 변화 분석」
    이정희 『산업경영연구』 [1997]
  • 「온라인 수산물거래에서 외재적 품질신호가 품질속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진백 『식품유통연구』, 25(2) [2008]
  • 「식품소비의 다양성 변화 분석」
    김성용 『식품유통연구』, 25(4) [2008]
  • 「식품소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수산물 선호도 분석 : 육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규호 임정빈 정연희 『농촌경제』, 39(3) [2016]
  • 「식품 소비구조 분석-, 1993년 횡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이계임 최지현 『농촌경제』, 19(1), 1996(봄) [1984]
  • 「수산물소비의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가구를 중심으로-」
    임경희 장영수 『식 품유통연구』, 17(3), 113-134 [2001]
  • 「수산물가공식품의 선택속성 및 추구혜택에 관한 연구」
    김종성 하규수 『한 국식생활문화학회지』, 25(5) [2010]
  • 「수산물 소비구조 분석」
    김성용 이계임 『농촌경제』, 26(3), (가을) [2003]
  • 「수산물 선호도에 의한 시장 세분화와 친숙시장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지웅 장영수 『수산경영론집』, 47(3) [2016]
  • 「소비 주체와 구매량이 다양성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진 『마케팅 관리연구』, 17(4) [2012]
  • 「브랜드 수산물이 소비자 태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이유진 장영수 『수산경영론집』, 42(1) [2012]
  • 「도시가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식료품비 지출 형태」
    정은수 『농협조사 월보』, 557 [2004]
  • 「도시가구 소비자의 농식품 구매 행태 분석」
    박정운 양승룡 『한국식품유통 학회』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012.2.10 [2011]
  • 「국내거주 외국인의 국내산 과일 구매특성 및 선호도 분석」
    김성용 김윤식 신재민 전상곤 『농업경영․정책연구』, 38(3) [2011]
  • 「구매속성에 의한 태국 김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김지웅 장영수 『수 산경영론집』, 48(3) [2017]
  • 「가정식사대용식(Home Meal Repacement) 소비자의 시장 세분 화에 관한 연구」
    김동진 김현정 『한국조리학회지』19(2) [2013]
  • 「An Analysis on Region Differences i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hinese Urban Households」
    박명숙 이시영 『경제연구』, 30(1) [2014]
  • www
    United States Census Bureau census.gov/quickfacts/fact/table/US/PST045217검색) [2018]
  • aT 방콕사무소, 「태국 조미김 시장조사」, www.kati.net(2018.10.10. 검색)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수산물 교역 통계 원자료(2018.09.25
    검색) [2015]
  • Yilmazsoy, B., Schmidbauer, H., & R sch, A., 「Green segmentation: a cross-national study」,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33(7), 2015.
  • Wim Verbeke, Iris Vermeir, Karen Bruns , 「Consumer evaluation of fish quality as basis for fish market segmenta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4), 2006.
  • Wim Verbeke Isabelle Sioen Karen Bruns Stefaan De Henauw John Van Camp, 「Consumer perception versus scientific evidence of farmed and wild fish: exploratory insights from Belgium」, 『Aquacult Int』, 15, 2007.
  • VELMA PIJALOVIĆ, LEJLA LAZOVIĆ-PITA, ALMIR PEŠEK, DANIJELA MARTINOVIĆ, 「The analysis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related to ageing in the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Public Sector Economic s』, 42(3), 2018.
  • UN comtrade
    comtrade.un.org검색) [2018]
  • Tynan, A. C., & Drayton, J., 「Market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3), 1987.
  • The World Bank
    databank.worldbank.org/data/source/world-development-indicators?l=en검색) [2018]
  • T. Trondsen, T. Braaten, E. Lund, A.E. Eggen, 「Health and seafood consumption patterns among women aged 45–69 years : A Norwegian seafood consumption study」,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5(2), 2004,3.
  • Smith, W. R.,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rket segmentation as alternative marketing strategies」, 『Journal of marketing』, 21(1), 1956.
  • Smith, D.,「Market Segmentation: A Step-by-Step Approach to Creating Profitable Market Segments」, 『Journal of the Market Research Society』, 38(2), 1996.
  • Russell I. Haley,『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s strategy: A benefit segmentation approach』, Ronald Press, 1985.
  • Poppy Arsil, Elton Li, Johan Bruwer, Graham Lyons, 「Motivation-based segmentation of local food in urban cities: A decision segmentation analysis approach」, 『Local food in urban cities』, 120(9), 2018.
  • Philip Kotler, 『Principles of marketing(14th)』, Prentica-Hall, Pearson Education, 2013. Malcolm McDonald, Ian Dunbar, 『Market Segmentation(1st)』, Butterworth-Heinemann, 2004.9.
  • Phili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Lond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1994.
  • OFFICE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NATIONAL ACCOUNTS OF THAILAND , www.nesdb.go.th(2018.10
    22 검색) [2016]
  • OECD-FAO,『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18-2027』, OECD publishing, 2018.
  •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nso.go.th/en/stat_theme_socpop.htm검색) [2018]
  • NOAA Fisheries of the United States &2016, www.fisheries.noaa.gov(2018.10
    26 검색) [2010]
  • Michael J. Croft,『Market segmentation』, Routledge, 1994.
  • Machiel J. Reinders Marija Banovi Lluis Guerrero Athanasios Krystallis , 「Consumer perceptions of farmed fish A cross-national egmentation in five European countries」, 『British Food Journal』, 18(10), 2016.
  • Lesley A Smith & David R Foxcroft., 「The effect of alcohol advertising, marketing and portrayal on drinking behaviour in young people: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BMC public health』, 9(1), 2009.
  • Laura Helena Hartmann, Sina Nitzko, Achim Spiller, 「The significance of definitional dimensions of luxury food」, 『British Food Journal』, 118(8), 2016.
  • Kara, A., & Kaynak, E., 「Markets of a single customer: exploiting conceptual developments in market segment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1(11․12), 1997.
  • IMF
    www.imf.org검색) [2018]
  • Hong Bo Liu, Breda McCarthy & Tingzhen Chen, 「The Chinese wine market: a market segmentation study」,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26(3), 2014.
  • Global Trade Atlas(GTA)
    www.gtis.com/gta검색) [2018]
  • Gary L. Lilien, Arvind Rangaswamy, 『Marketing engineering: computer-assisted marketing analysis and planning』, DecisionPro, 2004.
  • FAO Food Balance Sheets
    www.fao.org/faostat/en/#data/FBS검색) [2018]
  • FAO FishStatJ ver.3.04
    11검색) [2018]
  • Birch LL1, Fisher JO, 「Development of ea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3(2), 1998.3.
  • Arsil, P., Li, E., & Bruwer, J.,「Perspectives on consumer perceptions of local foods: a view from Indonesia」, 『Journal of International Food & Agribusiness Marketing』, 26(2), 2014.
  • Almir Peštek, Emir Agic, Merima Cinjarevic,「Segmentation of organic food buyers: an emergent market perspective」, 『British Food Journal』, 120(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