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후기 通信使 繪畵資料를 통해 본 朝·日 文化交流 연구 = Cultural Exchange of Joseon-Japan through Tongsinsa Paintings Data in the Late Joseon Dynasty

황은영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후기 通信使 繪畵資料를 통해 본 朝·日 文化交流 연구 = Cultural Exchange of Joseon-Japan through Tongsinsa Paintings Data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사행록
  • 수행화원
  • 조일 문화교류
  • 조일 회화교류
  • 통신사
  • 필담창화집
  • 회답겸쇄환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5 0

0.0%

' 조선후기 通信使 繪畵資料를 통해 본 朝·日 文化交流 연구 = Cultural Exchange of Joseon-Japan through Tongsinsa Paintings Data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의 참고문헌

  • 􋺷한국회화사용어집􋺸
    이성미 다할미디어 [2003]
  •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정장식 고즈윈 [2005]
  •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 􋺷통신사 필담창화집 문학연구􋺸
    허경진 보고사 [2011]
  • 􋺷통신사 선단의 항로와 항해􋺸
    손재학 국립해양박물관 [2017]
  • 􋺷조선후기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한태문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1995]
  • 􋺷조선후기 대일정책의 성격연구􋺸
    孫承喆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89]
  • 􋺷조선화원대전􋺸, 삼성미술관
    Leeum [2011]
  • 􋺷조선통신사􋺸
  • 􋺷조선통신사의 문학􋺸
    이혜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 􋺷조선통신사의 길 위에서 - 한일관계의 미래를 읽다􋺸
    손승철 역사인 [2018]
  • 􋺷조선통신사와 일본􋺸. 김세민 외 譯
  • 􋺷조선통신사와 일본근세문학􋺸
    박찬기 보고사 [2001]
  • 􋺷조선통신사, 타자와의 소통􋺸
    손승철 경인문화사 [2017]
  • 􋺷조선인대시집 일 - 조선후기 통신사 필담창화집 번역총서 22􋺸
    구지현 보고사 [2014]
  •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연구-교린관계의 허와 실􋺸
    손승철 경인문화사 [2006]
  • 􋺷조선시대 통신사와 부산􋺸
    부산박물관 [2015]
  • 􋺷세이켄지 소장 조선통신사 유물도록􋺸
    (사)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2006]
  • 􋺷산해관을 넘어, 현해탄을 건너 동아시아 지식인의 교유􋺸
    한림대학교박물관 [2012]
  • 􋺷사진으로 보는 북한회화 조선미술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마음의교류 朝鮮通信使􋺸
    조선통신사문화사업추진위원회 [2004]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품도록􋺸
    국립해양박물관 [2013]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품도록􋺸
    국립해양박물관 [2016]
  • 􋺷韓日交流一千年􋺸, 悅話堂, 1984.
  • 􋺷豪生館崔北􋺸
    국립전주박물관 [2012]
  • 􋺷萍遇錄􋺸을 통해 본 朝 日學人의 友好와 그 이면 , 􋺷한문학보􋺸 28
    한수희 우리한문학회 [2013]
  • 􋺷癸未(1763) 通信使使行文學硏究􋺸
    구지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畵史會要􋺸를 통해 본 18세기 한중일 회화교류-大岡春卜(오오카 슌보쿠)의 ‘漢 畵’ 인식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송희경 한국미술사학회 [2015]
  • 􋺷特別展觀朝鮮通信使􋺸, 東京國立博物館, 1985.
  • 􋺷海行摠載􋺸소재 使行錄에 반영된 일본의 通過儀禮와 사행원의 인식 , 􋺷한국논 총􋺸 26
    한태문 한국문학회 [2000]
  • 􋺷毫生館崔北의 繪畵硏究: 眞景山水를 中心으로􋺸
    장동만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毫生館崔北(1712-1786년경)의 生涯와 繪畵世界硏究􋺸
    변혜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 􋺷東槎錄􋺸所載書簡에 반영된 韓日文士의 교류양상 연구
    한태문 한국문학회 , 􋺷韓國文學論叢􋺸 23 [1998]
  • 􋺷朝鮮通信使􋺸
    신성순 이근성 중앙일보사 [1994]
  • 􋺷朝鮮通信使􋺸
    李元植 민음사 [1991]
  • 􋺷朝鮮通信使의 발자취􋺸
    金義煥 정음문화사 [1985]
  • 􋺷朝鮮通信使隨行畵員硏究􋺸
    이정은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朝鮮通信使繪圖集成􋺸, 講談社, 1985.
  • 􋺷朝鮮王朝の繪画と日本-宗達, 大雅, 若冲学んだ隣國の美􋺸, 読売新聞大阪本社, 2008.
  • 􋺷朝鮮時代韓日關係史硏究􋺸
    孫承喆 지성의샘 [1995]
  • 􋺷朝鮮時代遊覽文化硏究􋺸
    이상균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朝鮮時代通信使􋺸
    국립중앙박물관 [1986]
  • 􋺷朝鮮時代通信使行列􋺸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국사편찬위원회 [2005]
  • 􋺷朝鮮時代明靑使行關聯繪畵硏究􋺸
    鄭恩主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 􋺷新實學思想論􋺸
    윤사순 예문서원 [1996]
  • 􋺷崔北의 作品硏究􋺸
    송희령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宗家記錄と朝鮮通信使展􋺸, 朝日新聞社, 1992.
  • 􋺷壺谷南龍翼의 使行文學硏究􋺸
    金美定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國譯通信使謄錄􋺸Ⅰ∼Ⅴ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4]
  • 􋺷十七世紀祖․日外交使行硏究􋺸
    홍성덕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1998]
  • 􋺷UNESCO 세계기록유산 통신사기록물􋺸
    부산박물관 [2018]
  • 􋺷19세기 조선의 대일 역지통신 연구􋺸
    이와카타 히사히코 경인문화사 [2017]
  •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문예공화국-하버드 옌칭도서관에서 만단 후지쓰카 컬렉 션􋺸
    정민 문학동네 [2014]
  • 􋺷1811년 辛未通信使行과 朝日문화 교류 : 筆談ㆍ唱酬를 중심으로􋺸
    신로사 성균관대 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1764년 通信使의 繪畵活動과 그 交流􋺸
    서윤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1763) 계미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구지현 보고사 [2011]
  • 柳鍾玄 譯, 􋺷조선통신사 이야기􋺸
    仲尾宏 한울 [2005]
  • 金龍鮮 역, 에도시대의 통신사 , 􋺷조선통신사􋺸
    中村榮孝 東湖書館 [1982]
  • 金鍾旭, 朝鮮後期通信使點描, 􋺷國會圖書館報􋺸9․10, 1973.
  • 金明國의 丙子 癸未通信使行활동작품 분석 - <達磨圖> <蘆葉達磨圖> 중심 으로 -
    이정은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논총􋺸 27 [2011]
  • 한일선린외교와 조선통신사
    이원식 􋺷史學硏究􋺸 58․59합집(내운최근영박사정년기념 논문집), 한국사학회 [1999]
  • 한일문화교류기금 편, 􋺷조선통신사 기록물의 'Unesco 세계기록 문화유산' 등재􋺸
    경인 문화사 [2018]
  • 한일국교 재개와 國書改作에 관한 연구 , 􋺷江原史學􋺸 2
    유재춘 임란후 강원사학회 [1986]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편, 􋺷통신사 왜관과 한일관계􋺸
    景仁文化史 [2005]
  • 한류의 시초:조선통신사 수행화원 이성린의 사로승구도
    이현주 한국예술문화단체총 연합회 부산광역시연합회 [2008]
  • 한글 편지에 나타난 조선통신사의 路程, 􋺷선비문화􋺸 5
    백두현 남명학연구원 [2005]
  • 한,일간 회화의 교류에 대하여 -이성린과 대강춘복를 중심으로- , 􋺷大東文化 硏究􋺸 29
    최박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4]
  • 통신사행에서의 세계인식 , 􋺷국어국문학􋺸 34
    문학관과 한태문 문창어문학회 [1997]
  • 통신사행록에 반영된 대일 민속관
    한태문 􋺷초전장관진교수정년기념 국문학논총􋺸 [1995]
  • 통신사행과 문화교류 , 􋺷한․일관계 학술회의 발표요지􋺸
    이원식 한국사학회 [1991]
  • 통신사행과 근세한일관계
    하우봉 􋺷全北史學􋺸 25 [2002]
  • 통신사행 문화교류의 새 양상 - 1763년 계미통신사행을 중심으로 - , 􋺷韓日關 係史硏究􋺸 59
    하우봉 한일관계사학회 [2018]
  • 통신사의 길에 비친 한일교류
    辛基秀 민문고 , 􋺷한일문화교류사􋺸 [1991]
  • 통신사왕래를 통한 문화교류 ,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 집
    한태문 한일공동연구위원회 [2005]
  • 통신사와 연행사의 비교연구 ,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 집
    이철성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5]
  • 통신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2
    장순순 한일역사공동연구 위원회 [2005]
  • 통신사등록의 사료적 성격
    河宇鳳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한국문화􋺸 12 [1991]
  • 통신사는 신의의 상징인가 조공의 상징인가 , 􋺷한국과 일본-왜곡과 콤플렉스 의 역사􋺸 2
    홍성덕 자작나무 [1998]
  • 통신사기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성일 􋺷역사와 경계􋺸 55 [2005]
  • 통신사가 남긴 문화 , 􋺷한일교류사􋺸
    이원식 민문고 [1991]
  • 통신사 문학에 반영된 조선시대의 부산
    한태문 􋺷항도부산􋺸 21 [2005]
  • 통신사 단절과 서계문제 , 􋺷통신사․왜관과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현명철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5]
  • 토쿠가와(德川) 時代前期儒學의 形成과 特徵, 􋺷한국철학논집􋺸 22호
    이용수 한국철 학사연구회, , 490~491쪽 [2007]
  • 찰문을 중심으 로-
    부산 수희대 한태문 해신제와 􋺷동양한문학연구􋺸 11 [1997]
  • 진재교 외 옮김, 􋺷18세기 일본 지식인, 조선을 엿보다 : 평우록(萍遇 錄)􋺸
    다이텐[大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조영심 옮김, 􋺷동아시아 문예공화국􋺸
    다카하시 히로미 보고사 [2018]
  • 조선후기의 통신사행 연구
    이민호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84]
  • 조선후기(강호시대) 한․일교류의 위상
    李元淳 􋺷水邨박영석교수화갑기념한국사학논총􋺸 [1992]
  • 조선후기 한일관계에 대한 재검토-사절왕래를 중심으로 , 􋺷동양학􋺸 27-1
    하우봉 단 국대 동양학연구소 [1991]
  • 조선후기 한일간의 화적의 연구
    홍선표 􋺷미술사연구􋺸 11 [1997]
  • 조선후기 한일 회화교류와 상호인식 , 􋺷학예연구􋺸 2
    홍선표 국민대 박물관 [2001]
  •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제술관에 대한 일고찰
    張舜順 전북대 사학회, 􋺷전북사학􋺸 13 [1990]
  •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대일인식 , 􋺷대동문화연구􋺸 41
    김문식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 소 [2002]
  • 조선후기 통신사행 수행 寫字官의 신분과 가계 및 혼인 , 􋺷향도부산􋺸 33
    김두헌 부 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7]
  • 조선후기 통신사의 일본문학인식
    김성진 􋺷한국문학논총􋺸 18 [1996]
  • 조선후기 통신사의 기행시문에 나타난 일본관연구
    김성진 􋺷도남학보􋺸 [1996]
  • 조선후기 통신사와 왜관의 역할
    崔永禧 한국사학회, 􋺷한일관계학술회의 발표요지􋺸 [1991]
  • 조선후기 통신사에 대해
    金錫禧 한국 사학회 , 􋺷조선후기 한일관계사학술강연회 발표요지􋺸 [1991]
  • 조선후기 통신사 수행화원의 회화활동 , 􋺷18세기 한일문화교류의 양상􋺸
    홍선표 태학사 [2007]
  • 조선후기 통신사 수행화원의 파견과 역할
    홍선표 􋺷미술사학연구􋺸 205 [1995]
  • 조선후기 통신사 사행문학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한태문 􋺷동양한문학연구􋺸 10 [1996]
  • 조선후기 韓 日서적 교류 고찰
    김경숙 􋺷韓中人文科學硏究􋺸23 [2008]
  • 조선후기 通信使使行錄에 반영된 日光山行, 􋺷韓民族語文學􋺸 65
    한태문 한민족어문 학회 [2013]
  • 조선후기 對日外交使節問慰行硏究
    홍성덕 􋺷國史館論叢􋺸 93 [2000]
  • 조선통신사접대와 대마번의 재정-1811년 신미통신사를 중심으로
    이 훈 􋺷역사와경 계􋺸 55 [2005]
  • 조선통신사인식에 대한 재검토
    황창윤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1991]
  • 조선통신사의 회화교류: 17~18세기를 중심으로 , 􋺷동북아 문화연구􋺸 1
    김선화 동북 아시아문화학회 [2001]
  • 조선통신사의 의례성에 관한 고찰 , 􋺷교육이론과 실천􋺸 9
    장용걸 경남대 교육문제연구소 [1999]
  • 조선통신사의 방일과 문화교류-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을 중심으로 , 􋺷보산학보􋺸 2
    이원식 보산학술연구소 [1991]
  • 조선통신사의 遺墨-일본에 남아 있는 書畵를 중심으로 , 􋺷여행과 체험의 문 학․일본편􋺸
    이원식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 조선통신사와 조일관계
    진해옥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조선통신사와 민중
    小林幸夫 일본문화연구회 , 􋺷일본학연보􋺸 23 [1991]
  • 조선통신사를 통해본 한일 음식문화 , 􋺷조선통신사 한일학술대회􋺸
    김상보 한일관계 사학회 [2002]
  •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등재대상 회화 연구 , 􋺷朝鮮通信使硏究􋺸 21
    이현주 朝鮮通信使 學會 [2016]
  • 조선통신사 여정의 해양인문학적 고찰 - 1636년 사행의 해로를 중심으로 , 􋺷 동북아 문화연구􋺸 49
    김상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 조선통신사 수행화원이 일본에 남긴 회화특성
    이정은 경성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文化傳統論集􋺸 12 [2004]
  • 조선통신사 수행화원 연구1-수행화원을 중심으로-
    강대민 이정은 경성대 한국학연구소, 􋺷문화전통논집􋺸 11 [2003]
  • 조선통신사 닛코(일광)유람의 문화관광적 고찰 , 􋺷문화관광연구􋺸4-2
    정희선 한국문화 관광학회 [2002]
  • 조선왕조기 한․일교류의 성격
    田中健夫 한국사학회, 􋺷한․일관계학술회의 발표요지􋺸 [1991]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http://waks.aks.ac.kr/rsh/dir/rwork_view.aspx?rshID=AKS--EBZ-2101) [2012]
  • 조선시대 꿩그림[雉圖] 연구
    오송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조선시대 通信史硏究의 회고와 전망 , 􋺷한일관계사연구􋺸 16
    손승철 한일관계사학회 [2002]
  • 조선시대 ‘通信使’개념의 재검토 , 􋺷조선시대사학보􋺸 27
    손승철 조선시대사학회 [2003]
  • 조선 후기 왜물의 유입과 인식-『通信使謄錄』을 중심으로 , 􋺷미술사연구􋺸 31
    권주영 미술사연구회 [2016]
  • 조 광, 중․근세 한일관계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2 [2005]
  • 정미사행을 전후한 화원 이홍규의 행적 및 활동
    이정은 동아시아문 물연구학술재단 , 􋺷文物硏究􋺸 28 [2015]
  • 임술사행과 조일관계 , 􋺷일본학보􋺸 47
    정장식 한국일본학회 [2001]
  • 임란후의 한일관계 , 􋺷한국사􋺸12
    전해종 국사편찬위원회 [1977]
  • 일본인이 그린 통신사-癸未使行에서 제작된 朝鮮文士像을 중심으로- , 􋺷한국 민족문화􋺸37
    송희경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 일본의 조선통신사 접대와 도쿠가와 바쿠후의 재정
    池內敏 􋺷역사와 경계􋺸 55 [2005]
  • 일본의 근세 일한관계 연구동향
    淺倉有子 혜안출판사 , 􋺷역사교과서속의 한국과 일본􋺸 [2000]
  • 일본 淸見寺소장 通信使의 遺墨조사 보고 , 􋺷韓日關係史硏究􋺸 24
    유종현 한일관계 사학회 [2006]
  • 이용화 옮김, 􋺷신기수와 조선통신사의 시대 - 한류의 원점을 찾아서􋺸
  • 이규수 譯, 􋺷조선통신사의 일본견문록􋺸
    강제언 한길사 [2005]
  • 을미통신사행 수행화원 한시각의 행적
    이정은 조선통신 사학회 , 􋺷조선통신사연구􋺸 제12호 [2011]
  • 유종현 역, 􋺷조선통신사이야기􋺸
    나카오 히로시 한울 [2005]
  • 에도시대의 조선통신사가 본 京都의 服飾文化
    곽정숙 동서대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2]
  • 새로 발견된 日本使行錄들:《海行摠載》의 보충과 관련하여 , 『歷史學報』 112집
    하우봉 歷史學會 [1986]
  • 상한훈지 칠 팔 십 - 조선후기 통신사 필담창화집 번역총서 21
    구지현 김정신 보 고사 [2014]
  • 비용으로 본 交隣儀禮-1811년 신미통신사 파견시 예물 교환을 중심으로-
    이 훈 한일관계사학회 , 􋺷 한일관계사연구􋺸 38 [2011]
  • 부산의 초량왜관과 대일통신사외교
    金義煥 민문고 , 􋺷한일문화교류사􋺸 [1991]
  • 부산왜관과 한일간 문화교류 , 􋺷한국문학논총􋺸 22
    김성진 한국문학회 [1998]
  • 명청대 西學書의 視學지식과 조선후기 회화론의 변동
    홍선표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48 [2005]
  • 대영박물관 소장 1748년 朝鮮通信使行列繪卷
    James B. Lewis 한일관계사학회, 􋺷韓日關係史硏究􋺸 38 [2011]
  • 대마도역지빙례에 참가한 통신사 일행에 대해
    鄭成一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호남문화연구􋺸 20 [1991]
  • 다니 분쵸[谷文晁](1763∼1840)를 倣한 이의양의 산수화 , 􋺷朝鮮通信使硏究􋺸 19
    위순선 朝鮮通信使學會 [2015]
  • 김경숙 역, 􋺷乘槎錄􋺸
    원중거 소명출판 [2006]
  • 그림과 찬으로 화폭 위에 남긴 朝ㆍ日인사들의 교유 , 􋺷아시아문화 연구􋺸 17
    김지인 허경진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 국사편찬위원회 편, 􋺷일본 소재 통신사자료􋺸Ⅰ
    국사편찬위원회 [2016]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韓客酬唱』연구 , 􋺷향도부산􋺸 33
    한태문 부산광역시 시사편 찬위원회 [2017]
  • 계미통신사와 실학자들의 일본관 , 􋺷창작과 비평􋺸
    임형택 가을호 [1994]
  • 계미(1763)통신사행의 畵員활동 연구 , 􋺷정신문화연구􋺸 제34권
    정은주 한국학중앙연 구원 [2011]
  • 계미 통신사행 기록의 장르 선택 : 해사일기와 일동장유가를 중심으로
    이동찬 􋺷한 국문학논총􋺸 18 [1996]
  • 靑泉申維翰と日本
    최박광 􋺷논문집􋺸 6, 건국대 교육연구소 [1982]
  • 金善臣의 生涯와 그의 著作에 관한 一考, 􋺷東方漢文學􋺸 36
    신로사 동방한문학회 [2008]
  • 通信使記錄을 통해 본 對日本認識
    이원식 􋺷國史館論叢􋺸 76 [1997]
  • 近世日本の知識人に見る朝鮮認識の原點
    鄭章植 한국일본학회, 􋺷日本學報􋺸 22 [1989]
  • 趙學允 譯, 􋺷近世日本과 朝鮮通信使􋺸
    三宅英利 景仁文化史 [1994]
  • 趙嚴의 해사일기를 통해 본 일본인식
    배수영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1997]
  • 譯官洪禹載의 일본인식-􋺷東槎錄􋺸을 중심으로
    孫旻希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 繪畵를 통한 疏通:새로운 맥락으로 보는 韓日繪畵交流-일본 다이묘(大名)가 소장한 조선그림
    박은순 온지학회, 􋺷溫知論叢􋺸 47 [2013]
  • 繪畵를 통한 疏通:가노 탄유[狩野探幽]가 기록한 조선그림
    박은순 온지학회 , 􋺷溫知論叢􋺸 35 [2016]
  • 繪畵를 통한 疏通:朝鮮에 전해진 日本繪畵
    박은순 국립중앙박물관, 􋺷미술자료􋺸 91 [2017]
  • 純祖11年辛未日本通信使差遣에 중심으로
    이원식 􋺷史學硏究􋺸 23 [1973]
  • 癸未(1643년)通信使行의 日本認識, 􋺷일본문화학보􋺸 10
    정장식 한국일본문화학회 [2001]
  • 異(夷)文化를 보는 두 視覺-燕行使와 通信使
    鄭章植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人文科學論集􋺸36 [2007]
  • 申維翰의 􋺷海遊錄􋺸 硏究
    李慧淳 숭실대, 􋺷論文集􋺸 18 [1988]
  • 申維翰의 海游錄재론 Ⅱ ― 필담창수집 􋺷桑韓星槎答響􋺸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37
    고운기 열상고전연구회 [2013]
  • 申維翰의 海游錄재론 Ⅰ ― 朝日필담창수 자료 대비를 중심으로 , 􋺷열상고 전연구􋺸 34
    고운기 열상고전연구회 [2011]
  • 甲子通信使行記􋺷東槎錄􋺸 연구 , 􋺷人文論叢􋺸 50
    한태문 부산대 [1997]
  • 田代和生, 朝鮮通信使行列絵巻の研究-正徳元年(1711)の絵巻仕立てを中心に, 􋺷朝鮮學 報􋺸 137, 天理大學朝鮮學會, 1990.
  • 江戶時代通信使登城行列圖
    車美愛 미술사연구회, 􋺷미술사연구􋺸 20 [2006]
  • 正德元年(1711) 朝鮮通信使行列繪卷연구 , 􋺷美術史論壇􋺸 23
    정은주 한국미술연구소 [2006]
  • 朴銀順 譯, 朝鮮通信使와 近世日本의 庶民文化
    Ronald P. Toby 단 국대 동양학연구소, 􋺷東洋學􋺸 18 [1988]
  • 木村겸가堂(1736~1802)의 總畵硏究: 18世紀大坂畵壇의 朝 淸總畵交流를 중심으로
    김영남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朝鮮通信使路程記硏究, 􋺷釜山外大論叢􋺸 5
    임성철 부산외국어대 [1987]
  • 朝鮮通信使의 발자취
    芳賀登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 􋺷韓國學論集􋺸 2 [1982]
  • 朝鮮通信使의 日光山致祭연구
    최종일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1998]
  • 朝鮮通信使派遣路交涉狀況의 展開, 􋺷釜山外大文化硏究􋺸
    임성철 부산외국어대 [1985]
  • 朝鮮通信使服飾의 一硏究
    弓民峯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3]
  • 朝鮮通信使往還における日本側の接待問題
    임성철 􋺷論文集􋺸 3 부산외대 [1985]
  • 朝鮮通信使の殘した發口短冊について
    管宗次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9 [2000]
  • 朝鮮祖日本通信使の意義と日韓の將來
    仲尾宏 경상대 일본문화연구소, 􋺷일본학보􋺸 [1995]
  • 朝鮮時代通信使와 日本의 文壇-1711년 使行時林家및 木下順庵門과의 交流 를 중심으로- , 􋺷日本學報􋺸 23
    박창기 한국일본학회 [1989]
  • 朝鮮時代通信使및 隨行員服飾의 通時的考察, 􋺷문화재􋺸 19
    김영숙 문화재관리국 [1986]
  • 朝鮮後期의 對日抗禮外交와 對馬東藩意識-通信使行錄을 中心으로-
    金泳圭 서울대 교육석사학위논문 [1989]
  • 朝鮮後期鷹圖硏究
    박민경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朝鮮後期通信使隨行畵員의 選拔要因
    李貞殷 한국색채조형학회 [2007]
  • 朝鮮後期通信使隨行畵員의 繪畵活動
    홍선표 􋺷미술사논단􋺸 6 [1998]
  • 朝鮮後期對日交隣政策硏究-年通信使와 朝鮮의 對馬島認識을 중심으로
    김정일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8 [1936]
  • 朝鮮後期對日交易用繪畵硏究: 東萊倭館輸出畵를 中心으로
    박성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朝鮮後期《槎路勝區圖卷》의 作者와 畵風에 관한 연구 , 􋺷美術史學硏究􋺸 260
    권혜은 미술사연구회 [2008]
  • 朝鮮前期朝鮮通信使와 日本使臣간의 交易品을 통해 본 服飾文化硏究-일본 으로부터의 收入品을 중심으로- , 􋺷服飾􋺸 52-4
    이자연 한국복식학회 [2002]
  • 朝鮮ㄴ通信使의 일본어 접촉
    송 민 􋺷금오공대 논문집􋺸 7, 금오공과대학 [1986]
  • 日本에서 제작된 癸未(1763) 通信使行관련 繪畵
    정은주 􋺷동아시아문화연구􋺸 제49집 [2011]
  • 日本에 있는 朝鮮繪畵의 전래 및 존재 유형과 사례 , 􋺷東岳美術史學􋺸 14
    홍선표 동 악미술사학회 [2013]
  • 日本派遣朝鮮通信使의 歷程, 􋺷도서관􋺸 28-2
    이준걸 국립중앙도서관 [1973]
  • 己亥通信使의 儀式改正에 대한 새로운 검토 , 􋺷韓日關係史硏究􋺸 16
    한승희 한일관계 사학회 [2002]
  • 崔北의 生涯와 意識世界, 􋺷미술사연구􋺸5
    홍선표 미술사연구회 [1991]
  • 島井宗室과 1590년 通信使派遣問題에 대해서
    김문자 􋺷상명사학􋺸 2 [1994]
  • 天和二年(1682)の筆語唱和
    미노와 요시쓰구 (箕輪吉次) 한국 일어일문학회, 􋺷日語日文學硏究􋺸 63집, 417∼428쪽 [2007]
  • 國立中央博物館所藏通信使受贈日本金屛風考察
    정미연 , 􋺷美術資料􋺸 91, 국립중 앙박물관, [2017]
  • 十九世紀를 前後한 韓日文化交涉
    李東宇 원광대, 􋺷韓國宗敎􋺸 13 [1988]
  • 倭館圖를 그린 卞璞의 대일 교류 활동과 작품들 , 􋺷韓日關係史硏究􋺸19
    김동철 한일 관계사학회 [2003]
  • ․芳賀登, 朝鮮通信使服飾의 一硏究
    이경자 􋺷服飾􋺸 7 [1983]
  • 19세기 「朝鮮書畵傳」을 통해 본 韓日繪書交流􋺸
    박은순 미술 사학연구회, 􋺷美術史學硏究􋺸 273 [2012]
  • 18세기의 일본체험-􋺷日東壯遊歌􋺸를 중심으로-􋺸
    蘇在英 숭실대, 􋺷論文集􋺸 8 [1988]
  • 18세기 한일문화교류의 양상 - 􋺷江關筆談􋺸을 중심으로-
    金泰俊 숭실 대, 􋺷論文集􋺸 18 [1988]
  • 18세기 한일문사의 교류양상-기해사행시 한일문사의 唱酬集을 중심으로 , 􋺷大 東文化硏究􋺸 26
    이혜순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1991]
  • 18세기 서화제발 연구(1)-서화제발의 사적(史的) 전개와 18세기 양상을 중심 으로 , 􋺷漢文學報􋺸 21
    정은진 우리한문학회 [2009]
  • 18세기 申維翰의 일본인식에 관한 고찰-통신사기록 ‘海遊錄’을 중심으로
    김윤향 이 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7]
  • 18세기 朝鮮通信使製述官및 書記의 文學世界; 서얼의 신분과 문학관을 통 해
    김경숙 􋺷溫知論叢􋺸 [1995]
  • 18世紀韓日間의 漢文學交流- 靑泉申維翰과 新井白石- , 􋺷전통문화연구􋺸 1
    최박광 명지대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83]
  • 1811년 통신사파견과 경상도의 재정
    변광석 􋺷역사와 경계􋺸 55 [2005]
  • 1811년 통신사의 사행비와 호조의 부담
    김덕진 􋺷역사와 경계􋺸 55 [2005]
  • 1811년 쓰시마 통신사행의 서화 교류 , 􋺷동아시아문화연구􋺸 60
    정은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 1811年辛未通信使隨行畵員李義養에 대하여 , 􋺷강원사학􋺸 22․23
    황은영 강원사학회 [2008]
  • 17세기 전반 회답겸쇄환사의 파견과 경제적 의미
    양흥숙 􋺷항도부산􋺸 21 [2005]
  • 17세기 通信使隨行畵員의 禪宗畵硏究
    蔡智媛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17세기 通信使使行文學의 전개와 문학사적 의의 , 􋺷인문논총􋺸 57
    한태문 부산대 인 문학연구소 [2001]
  • 17世紀筆談唱和集의 出現과 初期形態, 􋺷東洋漢文學硏究􋺸 30집
    구지현 東洋漢文學 會 [2010]
  • 17∼19세기 한일 문화교류의 흐름과 의미 , 􋺷大東文化硏究􋺸 98
    하우봉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 17․18세기의 한일간 회화교류 , 􋺷고고미술􋺸 143
    홍선표 한국미술사학회 [1979]
  • 1764年度의 朝鮮通信使의 日本使行에 대해
    강재언 􋺷아세아문화연구􋺸 4 [2000]
  • 1763 계미통신사행과 한일 관계의 변화 탐색 -충돌과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 49
    이홍식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 1748年通信使와 日本에 대한 認識變化, 􋺷人文科學論集􋺸31
    정장식 청주대학교 인 문과학연구소 [2005]
  • 1711년 通信使와 朝鮮의 對應, 􋺷日語日文學硏究􋺸 40
    김성진 한국일어일문학회 [2000]
  • 1711年通信使와 朝鮮의 對應, 􋺷일어일문학연구􋺸 40
    정장식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 17. 18세기 한 일 회화교류의 관계성 - 에도시대의 조선화 열기와 그 관련 양 상을 중심으로 , 􋺷朝鮮後半期美術의 對外交涉􋺸
    홍선표 예경 [2007]
  • 1655년 通信使行과 日本硏究, 􋺷日本學報􋺸 44
    정장식 한국일본학회 [2000]
  • 1636년 通信使의 日本認識, 􋺷일본문화학보􋺸
    정장식 한국일본문화학회 [1999]
  • 1636년 通信使의 日本認識, 􋺷韓日關係史硏究􋺸 11
    정장식 한일관계사학회 [2001]
  • , 1643년 계미사행을 전후한 화원 이기룡의 행적 및 활동
    이정은 부 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 􋺷향도부산􋺸 3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