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정은 시기 정치담론 동학에 관한 연구 :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ynamics of Political Discourse in Kim Jong Un Era: focusing on the text analysis

김에스라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김정은 시기 정치담론 동학에 관한 연구 :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ynamics of Political Discourse in Kim Jong Un Era: focusing on the text analysi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김정은 정치담론
  • 김정일애국주의
  • 백두의 혁명정신
  • 북한 정치담론
  • 시멘틱네트워크 분석
  • 클러스터분석
  • 토픽 모델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06 0

0.0%

' 김정은 시기 정치담론 동학에 관한 연구 :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ynamics of Political Discourse in Kim Jong Un Era: focusing on the text analysis' 의 참고문헌

  • 후계자문제의 이론과 실천
    김재천 평양: 발행처 불명 [1989]
  •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이남인 서울: 한길사 [2014]
  • 철학사전
    문성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 주체사상의 이반: 지배이데올로기에서 저항이데올로기로
    서재진 서울: 박영사 [2006]
  • 인민의 령도자 1
    오성길 장은옥 평양: 평양출판사 [2014]
  • 우리 당의 주체사상과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최성욱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1966]
  • 사회과학도를 위한 연구조사방법론
    김렬 서울: 박영사 [2007]
  • 사회 네트워크 분석
    손동원 서울: 경문사 [2002]
  • 빅데이터 경영론
    김창수 송민정 서울: 학현사 [2014]
  • 백두의 혁명정신은 영원한 조선의 정신.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문성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0 [2011]
  •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정재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응용
    전치혁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3]
  •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원용진 서울: 한나래 [1996]
  •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이수상 서울: 논형 [2012]
  • 김정일 정권 등장 이후 북한의 체제유지 정책 고찰 과 변화 전망
    이기동 전현준 정영태 최수영 서울: 통일연구원 [2008]
  •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제제: 통치이데올로기, 권 력엘리트, 권력구조의 지속성과 변화
    박형중 이교덕 이기동 정창현 서울: 통일연구원 [2004]
  • MBN. 년 9월 13일. “38노스 “250kt 상향 ‘수소폭탄’ 북한 주장 확인””
    두산백과(http://www.doopedia.co.kr) [2017]
  • 홍재성 권오룡 역. 언어와 이데올로기
    Reboul Olivier 서울: 역사비평사 [1994]
  • 한국 공적연금개혁에 관한 연구: 기초연금개혁 담론 분석을 중심으 로
    이은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케이시 저, 이은숙 역. 이데올로기와 탈이데올로기
    사에키 서울: 푸른숲 [1996]
  • 조선백과사전편찬위원회 편. 광명백과사전3: 정치, 법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9]
  • 정명선.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한 재활심리연구의 연구주제 동향 분 석
    한건환 ” 재활심리연구. 제23권 4호 [2016]
  • 정권의 대남정책 및 통일담론: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분 석
    김정은 오경섭 이경화 서울: 통일연구원 [2016]
  • 빅데이터 분석
    이용한 임동훈 파주: 자유아카데미 [2015]
  • 박은정 조동준. “북한 신년사(1946-2015)에 대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박종희 ” 한국정치학회보. 제49권 2호 [2015]
  • 네트워크분석
    곽기영 소셜 서울: 청람 [2014]
  • “항일혁명선렬들의 백두의 혁명정신과 기풍을 적극 따라배우자”
    로동신문. 년 8월 13일 [1990]
  • “함남의 불길”
    로동신문. 년 10월 26일 [2011]
  •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박수정 최영출 한국행정학보. 제45권 1호 [2011]
  • “한국인의 기업시민성 개념의 특징과 경제 교육적 함의: 토픽모델링을 활 용한 언론매체 및 기업신년사 분석.”
    양선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정재철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8호 [2015]
  •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보건학 분야 국내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류지혜 고신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북한 보도동향과 북한 도발과의 연관성 분 석.”
    문호석 이창용 국방연구. 제59권 4호 [2016]
  • “텍스트 마이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상청 기상연감 자료분 석.”
    선혁석 이영섭 임창원 응용통계연구. 제30권 4호 [2017]
  • “집단따돌림 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습전략 신장을 위한 숲 치유 프 로그램의 효과 검증.”
    김동준 김재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5호 [2016]
  • “주체사상의 생성과 변천: 정치변동과의 관련에서.”
    김영명 아시아문화. 제7호 [1991]
  •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주체사상과 유일지도체계를 중심으로.”
    이종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제2차 북미 핵갈등의 담론적 기원: 2002년 10월 3일-11월 26일, 말의 공 방과 담론의 생태계.”
    구갑우 한국과 국제정치. 제30권 4호 [2014]
  • “일기자료 연구에서 토픽모델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검토.”
    남춘호 비교문화연구. 제22권 1호 [2016]
  •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이수상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 4호 [2014]
  • “융복합 교육을 위한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김동성 김선아 김시정 김종우 이삼형 미술교육논총. 제29권 1호 [2015]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우리 공화국의 강성 번영을 위하여 쌓아올리신 업적은 영원불멸할 것이다”
    로동신문. 년 4월 9일 [2018]
  • “위대한 김정일애국주의는 백전백승의 기치이다”
    로동신문. 년 6월 21일 [2012]
  • “우리나라 기상자료에 대한 군집분석.”
    여인권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2권 5호 [2011]
  •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한 환경분야별 특성 분석과 활용방 안.”
    김지연 이미숙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
  • “생산과 건설에서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를 더욱 발양하자.”
    오윤수 근로자. 1959-4(제161호) [1951]
  • “새 세기 산업혁명의 기발을 더 높이 들자”
    로동신문. 년 11월 10일 [2011]
  •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기법에 기초한 도시 연담화 특성 연구.”
    심용주 충북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빅데이터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감성분석 연구: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 망 분석을 중심으로.”
    안효선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키워드 및 토픽 분석.”
    김지은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북한의 권력구조 분석: 김정일 김정은시대 비교.”
    송정호 이상원 세계북한학 학술대회 자료집 제2권 [2015]
  • “북한체제 위기관리의 동학: 김정일 시대, 체제위기의 양상과 수준에 관한 평가.”
    윤철기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6권 2호 [2015]
  •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김창희 한국정치연구. 제22집 3호 [2013]
  • “북한의 출판.”
    이광재 북한의 언론. 서울: 을유문화사 [1989]
  • “북한의 정치체제 변화와 국가변용: 김정일 정권의 정책적 한계.”
    류길재 북한연 구학회보. 제3권 1호 [1999]
  • “북한의 애국주의의 기원과 변용.”
    정고은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북한의 남한연구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 전문학술지와 단행본을 중심으 로.”
    강성윤 통일문제연구. 제52호 [2009]
  • “북한연구를 위한 문헌자료의 활용.”
    이주철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편. 북한연 구 방법론. 서울: 한울 [2003]
  • “북한 스케치: 2000년대 신문 빅 데이터에 표상된 북한의 모습.”
    강진웅 김일환 이도길 현대북한연구. 제20권 2호 [2017]
  • “북한 민족주의의 기원과 지향에 관한 연구 :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김일 성민족론을 중심으로.”
    송기호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북한 급변사태 가능성 연구.”
    박동형 전략연구. 제16권 3호 [2009]
  • “북한 권력엘리트 관리에서 나타난 김정일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Transactional Leadership) 특성을 중심으로.”
    권지연 임재천 동서문제연구. 제26권 1호 [2014]
  • “백두의 혁명정신의 특징.”
    진문정 김일성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제58권 1 호 [2012]
  • “백두의 혁명정신의 사상적기초.”
    진문정 철학연구. 2012-1(제128호) [2012]
  • “백두의 혁명정신을 꿋꿋이 이어나가는 조선인민군 은 필승불패이다”
    로동신문. 년 4월 25일 [2014]
  • “백두의 혁명정신은 주체혁명위업을 승리에로 떠밀어나가는 사상정신적재 보.”
    강설경 정치법률연구. 2014-3(제47호) [2014]
  • “백두의 혁명정신은 우리 인민의 강의한 정신력의 억센뿌리.”
    문성세 철학연구. 2012-4(제131호) [2012]
  • “백두의 혁명정신은 우리 군대와 인민의 사상정신 적기둥이다”
    로동신문. 년 4월 12일 [2008]
  • “백두의 혁명정신은 사람들을 견결한 혁명가로 키우는 정신적량식.”
    김금영 정치 법률연구. 2015-2(제50호) [2015]
  • “백두의 혁명정신으로 선군조선의 번영기를 열어나 가자”
    로동신문. 년 1월 16일 [2014]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을 간직하는 것은 현시기 일군들의 신념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담보.”
    김광철 철학연구. 2018-1(제152호) [2018]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은 최후승리를 위한 강위력한 사상정 신적보검.”
    김미옥 정치법률연구. 2015-3(제51호) [2015]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은 조선의 영 원한 정신이다”
    로동신문. 년 8월 4일 [2015]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은 우리 군대와 인민이 안고살아야 할 영원한 혁명정신.”
    김봉덕 김일성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제61권 4호 [2015]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은 우리 군대와 인민이 심장속에 영 원히 품어안고 살아야 할 숭고한 정신.”
    김성현 정치법률연구. 2015-2호(제50호) [2015]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으로 최후승 리의 진격로를 열어나가자”
    로동신문. 년 3월 12일 [2018]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으로 살며 투쟁하는 것은 혁명의 최 후승리를 앞당기기 위한 중요한 요구.”
    백영철 정치법률연구. 2015-4(제52호) [2015]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으로 살며 투 쟁하자”
    로동신문. 년 3월 10일 [2015]
  • “무용학의 지적 구조 분석 연구.”
    이정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모두다 열렬한 김정일애국주의자가 되자”
    로동신문. 년 9월 4일 [2012]
  • “매스 미디어의 여가 관광 담론 분석: 일간지의 사설 분석.”
    박시사 조광익 관광 학연구. 제30권 2호 [2006]
  • “독후감 텍스트의 토픽모델링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수상 한국도서관 정 보학회지. 제47권 4호 [2016]
  • “대북 소식지들 “김정운후계설 확산” 일치”
    연합뉴스. 년 5월 31일 [2009]
  •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남인용 박한우 한국정당학회보. 제6권 1호 [2007]
  •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이기형 언론과 사회. 제14권 3호 [2006]
  • “남성욱 北 3대 세습 추진으로 내부 불안 초래”
    연합뉴스. 년 12월 20일 [2010]
  • “김정일체제의 지배담론: 붉은기 사상과 강성대국을 중심으로.”
    배성인 북한연구 학회보. 제5권 1호 [2001]
  • “김정일애국주의의 본질적 특징.”
    박영훈 정치법률연구. 2012-4(제40호) [2012]
  • “김정일애국주의의 본질.”
    최원철 사회과학원학보. 2012-3(제76호) [2012]
  • “김정일애국주의를 철저히 구현하는데 당사업의 화 력을 집중하자”
    로동신문. 년 11월 6일 [2013]
  • “김정일애국주의를 철저히 구현하는 것은 사회주의강국건설위업실현의 필 수적요구.”
    최금춘 철학연구. 2017-1(제148호) [2017]
  • “김정일애국주의를 구현하여 부강조국건설을 다그치자 - 조선로동당 중앙 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김정은 년 7월 26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2 [2012]
  • “김정일애국주의를 구현하여 내 나라, 내 조국의 강성번영을 이룩해나가자”
    로동신문. 년 12월 10일 [2014]
  • “김정일애국주의로 승리하자”
    로동신문. 년 5월 30일 [2012]
  • “김정일애국주의는 조국에 대한 사랑의 최고정화”
    로동신문. 년 10월 1일 [2017]
  • “김정일애국주의는 조국번영의 위력한 사상정신적 무기”
    로동신문. 년 3월 10일 [2016]
  • “김정일애국주의는 조국과 인민을 위한 가장 적극적이고 희생적인 헌신.”
    전하철 사회과학원학보. 2014-4(제85호) [2014]
  • “김정일애국주의는 우리 혁명의 고귀한 정신적유산.”
    양혜영 정치법률연구. 2013-3(제43호) [2013]
  • “김정일애국주의는 우리 인민이 실천활동에 철저히 구현하여야 할 참다운 애국주의.”
    허은미 김일성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제59권 1호 [2013]
  • “김정일애국주의는 우리 인민을 참된 애국자로 키워주는 밝은 등대, 투쟁 과 생활의 라침판.”
    김경숙 사회과학원학보. 2014-4(제85호) [2014]
  • “김정일애국주의는 영웅적인 삶과 투쟁의 원동력”
    로동신문. 년 7월 26일 [2017]
  • “김정일애국주의는 숭고한 후대관으로 일관된 애국주의.”
    김용일 사회과학원학보. 2012-4(제77호) [2012]
  • “김정일애국주의는 숭고한 조국관에 기초하고있는 애국주의.”
    박영훈 김일성종합 대학보(철학, 경제학). 제59권 1호 [2013]
  • “김정일애국주의는 사회주의문명국건설의 사상정신적무기.”
    안광일 정치법률연구. 2015-3(제51호) [2015]
  • “김정일애국주의는 사회주의강국건설에서 우리 군대와 인민이 간직하여야 할 정신력의 근본핵.”
    정영선 정치법률연구. 2017-4(제60호) [2013]
  • “김정일애국주의는 모든 사람들을 대를 이어가며 참된 애국자로 키워주는 사상정신적량식.”
    김강민 김일성종합대학보(철학, 경제학). 제61권 3호 [2015]
  • “김정일애국주의는 강성국가건설의 위력한 추동력”
    로동신문. 년 5월 19일 [2012]
  • “김정일애국주의는 《마식령속도》창조를 위한 정 신력의 근본핵”
    로동신문. 년 7월 19일 [2013]
  • “김정일 정권의 위기극복을 위한 정치담론과 담론의 정치.”
    배성인 통일정책연구. 제12권 2호 [2003]
  • “김정일 건강 경제난 등 감안하면 권력 승계 압축 적으로 진행될 것”
    세계일보. 년 8월 30일 [2010]
  • “김정은, 트럼프 보란듯 “중국 동지들은 한 식구, 한 참모부””
    조선일보. 년 6월 21일 [2018]
  • “김정은, 신설된 黨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선임”
    연합뉴스. 년 9월 29일 [2010]
  •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구호 ‘김정일애국주의’의 의미와 정치적 의 도.”
    이수원 한승호 국방정책연구. 제29권 2호 [2013]
  •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김근식 한 국과 국제정치. 제30권 1호 [2014]
  • “김정은 시대 지배이데올로기의 특징과 전망: ‘김일성주의’에서 ‘김일성-김 정일주의’로.”
    김진환 북한연구학회보. 제17권 2호 [2013]
  • “김정은 시기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변화 가능성.”
    신대진 통일문제연구. 제 30권 1호 [2018]
  • “김정은 권력승계의 담론 연구.”
    김현경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김일성 주체사상에 관한 연구: 그 민족주의적 성격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연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기초노령연금정책결정에 관한 사회연결망 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중심 으로.”
    이덕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6권 3호 [2012]
  • “근로자들속에서의 사회주의적애국주의교양.”
    주학성 근로자. 1971-11(제356호) [1971]
  •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이재윤 한국문헌 정보학회지. 제40권 3호 [2006]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신년사를 높이 받들고 백두 의 혁명정신으로 최후승리의 진격로를 열어나가자”
    로동신문. 년 1월 3일 [2015]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는 온 나라에 김정일애국주의 열풍을 세차게 일으켜 나가시는 절세의 애국자.”
    김혜옥 정치법률연구. 2014-2(제46호) [2014]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밝히신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으 로 살며 투쟁할데 대한 사상이 본질적요구.”
    오천일 김일성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제61권 3호 [2015]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밝혀주신 국토관리사상과 리론은 김정일애국주 의로 일관된 사상리론.”
    양치범 사회과학원학보. 2014-1(제82호) [2014]
  • “北 SLBM 실전배치 ‘임박’…초기비행단계 넘어 미사일로 성능발휘”
    연합뉴스. 년 8월 24일 [2016]
  • “‘체육’의 부정적 인식 형성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류태호 고려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4]
  • “[전문] 김정은 제1비서 7차 당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오마이뉴스. 년 5월 8일 [2016]
  • “[로동신문①] 사라진 ‘핵전쟁’, ‘핵강국’…급증한 ‘경 제건설’”
    KBS. 년 11월 19일 [2018]
  • “[김정은 시대의 신조어(끝)] “새 것, 새 것, 또 새 것”을 강조한 김정은”
    중앙일보. 년 4월 26일 [2018]
  • “TF-IDF의 변형을 이용한 전자뉴스에서의 키워드 추출 기법.”
    김한준 이성직 한 국전자거래학회지. 제14권 4호 [2009]
  • Thomas L. Griffiths Mark Steyvers.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1 (2004).
  • Thomas Hofmann. “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indexing.” In Proceedings of the 22nd annual international ACM SIGIR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1999).
  • Ted R. Gurr. Why Men Reve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70).
  • Salton, G. Buckley, C.. “Term-weighting approaches in automatic text retrieval.”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 24 (1988).
  • P. Bonacich.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2 (1987).
  • Mitchell, J. C..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9.
  • Manning Christopher D. Raghavan Prabhakar Schutze Hinrich.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Li, F.. “Textual analysis of corporate disclosures: a survey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ccounting Literature. Vol. 29 (2010).
  • Landauer, Thomas K. Dumais, Susan T.. “A solution to Plato’s problem: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theory of acquisition, induction, and representation of knowledge.” Psychological Review. Vol. 104, No. 2 (1997).
  • Krippendorf, Klaus.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Thousand Oaks, Calif.: Sage, 2004.
  • Koji Tanaka Masakazu Takahashi Kazuhiko Tsuda. “Comparison of Centrality Indexes in Network Japanese Tex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Education, e-Business, e-Management and e-Learning. Vol. 3, No. 1 (2013).
  • Kim Young-Gul Sauk Hau Yong Song Seulki Ghim Ghi-Hoon. “Trailing organizational knowledge paths through social network lens: integrating the multiple industry cases.”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 18 (2014).
  • Joe H. Ward, Jr..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8, No. 301 (1963).
  • Hayden White. The Tropics of Discourse: Essays in Cultural Criticism.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8.
  • Griffiths, T. Steyvers, M..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1 (2004).
  •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ssification.” Social Networks. Vol. 1, No. 3 (1979).
  • Franz Schurmann.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Communist Chin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
  • Doug McAdam John D. McCarthy Mayer N. Zald.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olitical Opportunities, Mobilizing Structures and Cultureal Feel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 Diesner, J. Carley, K. M.. “Explor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from the enron email corpus.” Proceedings of Workshop on Link Analysis. Counterterrorism and Security. SIA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2005 (2005).
  • Diane Macdonell. Theories of Discourse-An Introduction. Malden: Blackwell Publishers, 1986.
  • Di Maggio, Paul Nah, Manish D. M. Blei.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Poetics. Vol. 41, No. 6 (2013).
  • David McLellan. Ideology.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6.
  • D. Blei J. Lafferty. “Topic Models.” Ashok N. Srivastava Mehran Sahami. Text Mining: Classification, Clustering, and Applications. FL: CRC Press, 2009.
  • Christos H. Papadimitriou Prabhakar Raghavan Hisao Tamaki Santosh Vempala. “Latent Semantic Indexing: A probabilistic analysis.” Journal of Computer and System Sciences. Volume 61, Issue 2 (2000).
  • Bryon J. Wilfert. Les notions philosophiques: dictionnaire, Auroux Sylvian, Encyclopédie philosophique universelle Vol. 2, Tome 1.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90.
  • Bennett, T.. Culture: A reformer’s science. London: Sage, 1998.
  • Battisti, F. D. Ferrara, A. Salini, S.. “A decade of research in statistics: a topic model approach.” Scientometrics. Vol. 103, Issue 2 (2015).
  • Anthony Easthope. Poetry as Discourse. London: Methuen, 1983.
  • . 조국번영의 위대한 기치 김정일애국주의
    리성환 박길성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3]
  • . 소셜 네트워크의 세계와 빅데이터 활용
    홍순만 서울: 파워북 [2013]
  • . “토픽 모델링 기반 한국 노인의 행복과 불행 이슈 분석
    김희웅 문동지 연다인 ”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20권 2호 [2018]
  •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감미아 송민 ” 지능정보연구. 제18권 3호 [2012]
  • . “위대한 수령님께서 물려주신 조국, 맡기고 가신 인민의 운명을 책임졌다 는 숭고한 사명감은 김정일애국주의의 출발점
    리선일 ” 정치법률연구. 2013-4(제 44호) [2013]
  • . “쏘련을 선두로 하는 사회주의 진영의 위대한 통일과 국제공산주의 운동 의 새로운 단계(위대한 사회주의 10월 혁명 40주년 경축 행사와 각국 공산 당 및 로동당 대표들의 모쓰크바 회의에 참가하였던 당 및 정부 대표단의 사업에 관한 보고, 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확대 전원회의, 1957년 12월 5 일).”
    김일성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김일성 선집 제5권 [1960]
  • . “성공적인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3대 요소: 자원, 기술, 인력
    정지선 ” IT & Future Strategy. 제3호 [2012]
  • .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은 주체혁명위업완성을 담보하는 가 장 귀중한 정신적재보
    리광용 ” 정치법률연구. 2015-1(제53호) [2016]
  • . “김정일애국주의는 우리 인민을 참된 애국자로 키워주는 밝은 등대
    로승일 ” 철 학연구. 2017-1(제148호) [2017]
  • . “김정일애국주의는 숭고한 인민관에 바탕을 두고있는 애국주의.” 
    리정범 김일성 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제60권 3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