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女訓書의 편찬과 역사적 전개 : 조선시대~근대전환기를 중심으로

성민경 2019년
논문상세정보
' 女訓書의 편찬과 역사적 전개 : 조선시대~근대전환기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근대 전환기
  • 내면화
  • 내훈
  • 모성
  • 여훈서
  • 유교의 여성관
  • 정절
  • 종법
  • 행실도
  • 女禍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4 0

0.0%

' 女訓書의 편찬과 역사적 전개 : 조선시대~근대전환기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柳永善, 閨範要鑑, 1925.
  • 盧相稷, 女士須知, 1889.
  • 현풍곽씨언간 주해
    백두현 [2003]
  • 한국의 유교화 과정 (이훈상 옮김)
  • 한국의 열녀전
  •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
    고미숙 [2001]
  • 한국기독교박물 소장 기독교 자료 해제
  • 한국가족론
  •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70년
    장미혜 [2017]
  • 한국 기독교 고전 세계화 시리즈 1
  • 한국 근대문학 해제집 2 – 문학잡지(1896~1929) (강진호 외 해제)
    [2015]
  •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
    이혜순 [1999]
  • 푸코와 페미니즘 (최영)
  • 캘리번과 마녀 (황성원 김민철 옮김)
  • 중국, 여성 그리고 역사 (진동원, 송정화․최수경 역)
    [2005]
  • 주디스 버틀러 읽기
    임옥희 [2006]
  • 조선조 사회와 가족-신분상승과 가부장제문화
  • 조선시대의 열녀 담론
    이혜순 월인 [2002]
  • 조선시대의 규범서
    김신연 [2000]
  •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주영하 [2008]
  • 조선 전기 가부장제와 여성
    최홍기 [2004]
  • 조선 여성의 일생
  • 젠더와 민족 (박혜란 역)
  • 정절의 역사
    이숙인 [2014]
  • 재생산에 대하여 (김웅권 옮김)
  • 일본 정치사상사 17~19세기 (김선희 박홍규 역)
  • 유교문화와 여성
    김미영 [2004]
  • 위험한 여성-젠더와 한국의 민족주의 (박은미 역)
    최정무 [2001]
  • 우암션계녀셔(斯文學會編, 송우암선생계녀서 : 附 尤庵先生略傳및 事蹟 收錄本)
    宋時烈 [1978]
  • 열녀전 의 보급과 전개 : 유교적 여성 주체의 형성과 내면화 과정
    김경미 한 국문화연구 13 [2007]
  • 열녀의 탄생
    강명관 [2009]
  • 역사 속의 성리학 (김영민 옮김)
  • 션비졍부인박시유 
    尹光濩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한구1356]
  • 성적 지배와 그 양식들
    이종영 [2001]
  • 성이론-성관계, 성노동, 성장치
  •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재판) (이규현 옮김)
  • 사소절 현전본에 대한 연구 ,
    한미경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 [2015]
  • 병곡션죠내정편(屛谷先祖內政篇)(成炳禧編著, 民間誡女書 收錄本)
    權榘 [1980]
  • 미셀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황정미 편역)
  • 문화사란 무엇인가 (조한욱 역)
  • 명황계감(明皇誡鑑)의 편찬 및 개찬 과정에 관한 연구
    김승우 어문논집 72 [2014]
  • 류한당언실록(김신연, 조선시대의 규범서 收錄本)
  • 류한당언행실록 연구 ,
    조연숙 아시아여성연구 44 [2005]
  •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2판) (정재서 엮)
    [2009]
  •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이숙인 [2005]
  • 담론의 질서(개정판) (이정우 옮김)
  • 녀초  (成 炳禧 編著, 民間誡女書 收錄本)
    金宗壽 [1980]
  • 녀 소학슈신셔
    盧炳喜 [1909]
  • 녀 독본 (張志淵 編)
    [1908]
  • 녀계약언(계녀약언)(成炳禧 編著, 民間誡女書 收錄本)
    趙焌 [1980]
  • 내훈 (이경하 주해)
  • 근대의 책읽기
    천정환 [2003]
  • 근대계몽기 여성 담론
    홍인숙 [2009]
  • 규문보감을 통해 본 근대기 여성교육 ,
    김정화 비교민속학 60 [2016]
  • 공자의 이름으로 죽은 여인들 (이재정 역)
    田汝康 [1999]
  •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시대 사회사
    김현영 [2003]
  • 경계에선 유교 지식인의 여성 담론
  •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재판) (오생근 옮김)
    미셸 푸코 나남출판 [2003]
  • 가부장제의 창조 (강세영 역)
  • 顧菴家訓 (金民樹 譯)
    李擎根 [1976]
  • 韓國近代女性運動史硏究
    박용옥 [1984]
  • 韓國西學思想硏究
    김옥희 [1998]
  • 韓國家族制度史硏究
    최재석 [1983]
  • 韓國家庭小說硏究
    우쾌재 [1988]
  • 閨門軌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고전연구팀 역)
    王性淳 [2002]
  • 訓婦錄
    尹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한구317]
  • 荷汀草稿
    林喬鎭 국립중앙도서관 소장[한古朝46-가1884]
  • 聖學輯要(栗谷全書 권 19~26)
    李珥 韓國文集叢刊44~45
  • 續三綱行實圖 烈女 (정우영 등 역)
    申用漑 [2008]
  • 童蒙先習 (성백효 외 역)
    朴世茂 [1992]
  • 浩然齋遺稿 (송창준 譯)
  • 朱子家禮 (임민혁 옮김)
    朱熹 [1999]
  • 本朝女史 연구 ,
    황수연 열상고전연구 64 [2018]
  • 本朝女史 (金相楫 編)
    고려대학교 소장[대학원 B12 A42]
  • 朝鮮王朝實錄(http://sillok.history.go.kr).
  • 朝鮮時代의 旌表政策
    박 주 [1990]
  • 朝鮮女俗考 (김상억 옮김)
    李能和 [1990]
  • 明皇誡鑑諺解
    崔恒 金一根校說 [1974]
  • 擊蒙要訣(栗谷全書 권 27)
    李珥 韓國文集叢刊44~45
  • 承政院日記(https://sjw.history.go.kr).
  • 少女必知의 체제상의 특징과 여성교육 담론의 성격 ,
    백순철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 25 [2012]
  • 家와 여성
    김경미 [2012]
  • 女範 편찬자 고찰
    강현경 한국언어문학 29 [1991]
  • 女四書 (이숙인 역주)
    王晉升 [2003]
  • 女四書芸文図絵의 번각과 여훈물 연구 : 여사서수용과 전개에 관한 연구(Ⅱ) ,
    박찬기 일본어문학 43 [2009]
  • 士小節의 초학교재로의 변화과정 연구
    권정원 동양한문학연구 34 [2012]
  • 增補山林經濟 (노재준 외 역)
    柳重臨 [2003]
  • 周易傳義 (성백효 역주)
    朱熹 [2010]
  • 列女傳 (이숙인 옮김)
    劉向 [2013]
  • 內訓과 '小學 烈女 女敎 明鑑'의 관계 재고 ,
    이경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 [2008]
  • 內訓撮要
    李景嚴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한구3375]
  • 儒敎社會의 創出-조선 중기 입양제와 상속제의 변화 (김혜정 옮김)
  • 三綱行實圖 烈女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偰循등 [1982]
  • 19세기․20세기 초 여성생활사자료집 1~9권
    홍학희 [2013]
  • 18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1~8권
    황수연 [2010]
  • 17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1~4권
    김경미 [2006]
  • (초판)한국의 여성과 남성
    조혜정 [1988]
  • (역주)오륜행실도 (성낙수 등 역주)
    李秉模등,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6]
  • (역주)여소학언해 (이상규 역주)
    朴文鎬 [2014]
  • (역주)여사서언해 (이상규 역주)
    李德壽 [2014]
  • (역주)東國新續三綱行實圖 烈女 (정호환 등 역주)
    李惺 [2015]
  • (소장자료총서 2)여러 여성들의 이야기, 열녀전
  • (국역)육선생유고 (조동영 역)
    朴彭年 [1999]
  • (개정)한국가족연구
    최재석 [1982]
  • 호연재 자경편 의 서술방식과 여성문학적 성격 ,
    박무영 한국문학연구 2 [2001]
  • 한말 도학파의 여성 담론-艮齋田愚를 중심으로 ,
    황수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8 [2014]
  • 한국여성노동사 ,
    이효재 여성학논집 2 [1985]
  • 한계(韓溪) 이승희(李承熙)의 여훈서(女訓書) 편찬에 대한 고찰 ,
    성민경 어문논집 78 [2016]
  • 주자가례의 수용과 17세기 훈례의 양상
    김경미 東洋古典硏究 25 [2006]
  •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
    김경미 한국여성학 28 [2012]
  • 조선후기 여성규훈에 대한 고찰-사대부가의 가훈류를 중심으로
    이지원 경성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조선후기 사대부 女訓書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김언순 韓國敎育 史學會 28 [2006]
  • 조선후기 과부의 또 다른 선택 ,
    정지영 역사와 문화 5 [2002]
  • 조선중기 사대부의 혼례 행태 : 가관친영례(假館親迎禮)의 시행을 중심으 로 ,
    장병인 朝鮮時代史學報 45 [2008]
  • 조선전기 열녀전 연구 ,
    이대형 연세어문학 26 [1994]
  • 조선시대의 권력과 성-‘禮治’개념 중심으로 ,
    김혜숙 한국여성학 9 [1993]
  •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
    황수연 열상고전연구 32 [2010]
  • 조선 초기 明皇誡鑑과 內訓 ,
    최선혜 남도문화연구 21 [2011]
  • 조선 여성의 유교적 여성상 내면화 연구-여훈서와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
    김언순  페미니즘 연구 8 [2008]
  • 조선 시대 여성 독서의 지형도 ,
    조혜란 한국문화연구 8 [2005]
  • 조 은, 모성 성 신분제-조선왕조실록 ‘재가 금지’ 담론의 재조명 ,
    사회와 역사 51 [1997]
  • 조 은, 가부장적 질서화와 부인권의 약화-재산상속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 여성학 16 [2000]
  • 젠더 관점에서 본 여계(女誡)의 "위부지도(爲婦之道)" 담론과 이데올로기 ,
    김영숙 中國學報 57 [2008]
  • 제례공간의 통과의례적 속성-정침, 사당, 묘소를 중심으로
    김미영 비교민속학 34 [2007]
  • 임진왜란 이후의 여성교육과 새로운 ‘충’의 등장-동국신속삼강행실도를 중심으로 ,
    정지영 국학연구 18 [2011]
  • 의암 유인석의 민족자존론과 여성 인식
    김남이 대동한문학 18 [2003]
  • 육용정의 군인처모소사전 을 읽는 한 가지 방식 ,
    조혜란 한국문화연구 19 [2010]
  • 유영선의 규범요감에 대한 고찰
    김기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8 [2014]
  • 예를 통해 본 ‘여성’의 규정: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
    양현아 유교의 예와 현대 적 해석 [2004]
  • 열녀상의 전통과 변모-삼강행실도에서 조선후기 열녀전 까지 ,
    이혜순 진단학 보 85 [1998]
  • 에도 시대 여성교육과 리터러시-교훈형 여성용 “왕래물”(往來物)에 주목하 여 ,
    이미숙 인문논총 72 [2015]
  • 신사임당 담론의 계보학(1): 근대이전 ,
    이숙인 진단학보 106 [2008]
  • 식민지 시기 한국가족법을 통해 본 가부장제의 국가제도화와 ‘관습’의 문제
    양현아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2010]
  •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 수용 양상과 의미 ,
    이경하 大東文化硏究 70 [2010]
  • 성장치와 여성주의 문화론-구분하기, 가로지르지, 바꾸어내기
    고정갑희 여/성이 론 2 [2000]
  • 선비의 아내, 그녀들의 숨은 노동
    김경미 여/성이론 11 [2004]
  • 대한제국 말 여학생용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교육론의 특성과 한계 : 녀자 독본, 초등여학독본, 녀자소학수신서를 중심으로 ,
    조경원 교육과학연구 30 [1999]
  • 김호연재의 생애와 호연유고 ,
    박무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 [2001]
  •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김복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2007]
  • 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 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
    성민경 한국 고전여성문학연구 35 [2018]
  • 근대전환기 女訓書에 나타난 烈의 형상과 그 의미 ,
    성민경 열상고전연구 65 [2018]
  • 근대계몽기 여학생용 초등 수신서의 특징과 한계 연구
    김민재 초등도덕교육 43 [2013]
  • 근대계몽기 여성용 교과서, 근대적 ‘여성’의 기원과 형성 ,
    박선영 한국문예비평연 구 47 [2015]
  •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연구
    홍인숙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7]
  • 근대계몽기 여성교육용 독본과 가치 혼재 양상 ,
    박선영 한국문예비평연구 42 [2013]
  • 근대계몽기 여성 교과서의 열녀전(列女傳/烈女傳), 그리고 애국부인들 -장 지연의 여자독본을 중심으로 ,
    문혜윤 泮矯語文硏究 35 [2013]
  • 근대 지식과 전통 가치의 공존, 가정학의 번역과 야담의 번안 및 개작-가 뎡잡지 결호의 발굴 ,
    임상석 코기토 79 [2016]
  • 규방가사 민요 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
    이형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2007]
  • 국어사 자료로서의 녀자초학 연구 ,
    김한별 우리말글 73 [2017]
  •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션비졍부인박시유사의 자료적 고찰 ,
    이승희 韓國文化 75 [2016]
  •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 개화기 호남 유림의 여성 인식-송사 기우만을 중심으로
    김기림 한국고전연구 30 [2014]
  • 개화기 열녀전 연구
    김경미 국어국문학 132 [2002]
  • 개화기 여성교육에 내재된 유교적 여성관 ,
    김언순 페미니즘 연구 10 [2010]
  • 개화기 여성교육론의 양상 분석 ,
    조경원 교육과학연구 28 [1998]
  • 개화기 여성 수신서에 나타난 근대와 전통의 교차
    김수경 한국문화연구 20 [2011]
  • 가족과 국가의 새로운 상상력-신소설의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한국 현대문학연구 10 [2001]
  • 가부장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조옥라 한국여성학 2 [1986]
  • 가부장 담론과 여성억압 : 내훈서 및 의례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김진명 아시아 여성연구 33 [1994]
  • 가(家)의 확장과 내부의 실천: ‘여성’으로 본 성호학파의 유가적 세계
    김선희 민 족문화연구 65 [2014]
  • 魚有鳳, 杞園集, 韓國文集叢刊183~184.
  • 高麗社會의 兩側的親屬組織硏究
    노명호 서울대 박사논문 [1988]
  • 韓國家父長權法制의 史的考察,
    박병호 한국여성학 2 [1986]
  • 韓國家族法에 있어서의 外國法의 繼受
    정동호 고려대 박사논문 [1978]
  • 韓元震, 韓氏婦訓, 南塘集, 韓國文集叢刊202.
  • 閔遇洙, 貞菴集, 韓國文集叢刊215~216.
  • 金鎭圭, 竹泉集, 韓國文集叢刊174.
  • 金瑗根編, (名媛)新女子寶鑑, 永昌書館, 1922.
  • 金源兢, 初等女學讀本, 普成館, 1908.
  • 金元行, 渼湖集, 韓國文集叢刊220.
  • 金佐明, 歸溪遺稿, 韓國文集叢刊122.
  •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2000)CD-ROM 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 趙顯命, 歸鹿集, 韓國文集叢刊212~213.
  • 筧久美子(1982), 中國の女訓と日本の女訓, 日本女性史3 近世, 東京大學出版會.
  • 碑誌 傳狀 哀祭類로 본 조선후기 여성의 지식 습득과 향유 양상 ,
    김준형 한국고 전여성문학연구 27 [2013]
  • 申叔舟, 家訓, 保閑齋集, 韓國文集叢刊10.
  • 洪原妓女趙生관련 趙生帖 一考, ,
    박종훈 한국한문학연구44 [2009]
  • 權純九編, 婦人言行錄, 廣學書鋪, 1916.
  • 權好文, 松巖集, 韓國文集叢刊41.
  • 柳麟錫, 毅菴集, 韓國文集叢刊337~339.
  • 柳希春, 眉巖集, 韓國文集叢刊34.
  • 李趾秀, 果齋集, 韓國文集叢刊299.
  • 李用休, 集, 韓國文集叢刊223.
  • 李瀷, 星湖全集, 韓國文集叢刊198~200.
  • 李恒福, 白沙先生別集, 韓國文集叢刊62.
  • 李德懋, 士小節婦儀, 靑莊館全書, 韓國文集叢刊257.
  • 朴胤源, 近齋集, 韓國文集叢刊250.
  • 朴允默, 存齋集, 韓國文集叢刊292.
  • 朱熹, 晦庵先生朱文公文集.
  • 朝鮮時代女訓書에 나타난 女性의 正體性硏究
    김언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논문 [2005]
  • 朝鮮時代의 相續制에 관한 硏究-分財記의 分析에 의한 접근 ,
    최재석 歷史學報 53 [1972]
  • 朝鮮前期의 社會變動과 相續制度,
    이수건 역사학보 129 [1991]
  • 朝鮮前期無子女亡妻財産의 相續을 둘러싼 訴訟事例,
    문숙자 古文書硏究 5 [1994]
  • 朝鮮前期士大夫禮의 변화양상 ,
    박연호 청계사학 7 [1990]
  • 朝鮮初期宗法의 수용과 女性地位의 변화
    이순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논문 [1994]
  • 明末淸初遺民의 기억, 서사, 그리고 ≪女範捷錄≫ ,
    김지선 중국학논총 36 [2012]
  • 成近默, 果齋集, 韓國文集叢刊299.
  • 成海應, 硏經齋全集, 韓國文集叢刊273~279.
  • 徐少錦陳延斌(2011), 中國家訓史(再版), 人民出版社.
  • 庶孽差待의 淵源에 대한 一問題,
    李相佰 진단학보 1 [1934]
  • 尹衡老, 戒懼菴集, 韓國文集叢刊219.
  • 宋時烈, 宋子大全, 韓國文集叢刊108~116.
  • 宋明欽, 櫟泉集, 韓國文集叢刊221.
  • 守節과 再嫁사이에서-식민지시기 寡婦담론 ,
    소현숙 한국사연구 164 [2014]
  • 姜賢敬(1990), 中韓女誠文學之硏究, 國立臺灣師範大學國文硏究所博士論文.
  • 姜華錫, 婦幼獨習, 皇城新聞社, 1908.
  • 女範․ 閨儀, 韓溪遺稿 권9 (李承熙 編)
    韓國史料叢書第23
  • 女子初學考,
    成炳禧 論文集 8 [1975]
  • 壻留婦家婚俗의 變遷과 그 性格,
    박혜인 민족문화연구 14 [1979]
  • 壺山朴文鎬의 女小學硏究
    김미란 충남대 석사논문 [2015]
  • 司馬光, 家範.
  • 俞漢雋, 自著, 韓國文集叢刊249.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https://ctext.org/zh)
  • 丁範祖, 海左集, 韓國文集叢刊239~240.
  • 《內訓》연구 : 유학의 여성 윤리
    고은강 泰東古典硏究 18 [2002]
  • “여성/문학/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경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5, [2002]
  • ‘욕망의 억압’에서 ‘쾌락의 활용’으로-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를 중심으로 ,
    허경, 인문과학연구 23 [2009]
  • Louis Althusser의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國家機構에 대한 論議,
    朱原德 東 院論集 [1991]
  • <明皇誡鑑諺解>의 서사문학적 성격 ,
    정하영 한국고전연구 6 [2000]
  • <戒女略言>硏究,
    崔台鎬, 아시아여성연구 17 [1978]
  • 20세기 초 여훈서의 존재 양상과 의미 ,
    임미정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2009]
  • 20세기 초 여훈서의 일 양상-婦人言行錄을 중심으로 ,
    성민경 한국고전여성문 학연구 34 [2017]
  • 20세기 열녀 담론과 한국 영화에 나타난 열녀 표상의 의미 ,
    노지승 古典文學硏 究, 48 [2015]
  • 19세기 여성 孝烈담론 일고찰
    강성숙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6 [2013]
  • 19~20세기 초 규훈서 연구 ,
    황수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 [2012]
  • 1920년대 초기의 여성 담론과 (名媛)新女子寶鑑 ,
    성민경 고전과 해석 16 [2014]
  • 1910~20년대 조선어 가정용 백과사전의 출판과 그 내용-강의영(姜義永)의 가뎡보감류를 중심으로 ,
    노상호 한국학연구 48 [2014]
  • 1905~10, 서구근대여성상(西歐近代女性像)의 이해(理解)와 인식(認識) -장 지연(張志淵)의 여자독본(女子讀本)을 중심으로 ,
    박용옥 人文科學硏究 12 [1993]
  • 18세기 함흥 기생 可憐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
    정우봉 한문교육연구 34 [2010]
  • 18세기 여성의 친정,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김경미 한국고전연구 19 [2009]
  • 17세기 조선 사회의 결혼형태 변화에 따른 젠더 계층화 시도와 갈등 양상- 현풍곽씨 한글편지를 중심으로 ,
    하여주, 여성학연구 27 [2017]
  • 17세기 士族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
    이경하 국어국문학 140 [2005]
  • 15세기 상층여성의 문식성(literacy)과 읽기교재 내훈 ,
    이경하 정신문화연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