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우희(優戱)의 역사와 연행 양상

이보람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우희(優戱)의 역사와 연행 양상'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나례
  • 연행공간
  • 연행양상
  • 연희자
  • 우희
  • 우희의 역사
  • 유희(儒戱)
  • 재담
  • 전통연희
  • 흉내내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6 0

0.0%

' 우희(優戱)의 역사와 연행 양상' 의 참고문헌

  • 李頤命, 『疎齋集』
  • 李嚞煥, 『象山三昧』
  • 金名, 『相聲史雜談』,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1983.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 한국사전연구사 편, 『미술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 전경욱 편,『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 임형택 편역,『李朝時代敍事詩(상)』
    창작과비평사 [1992]
  • 이응수 역, 『일본연극사(상)』
    河竹繁俊 청우 [2001]
  • 이우성 심우성 역편, 『이조한문단편집(중)』
    일조각 [1973]
  • 이용진 역, 『중국희곡우령사(1) (2)』
    孫崇濤 徐宏圖 중문출판사 [2011]
  • 이대형 역, 『18세기 내포가야산 유람기 상산삼매』
    이철환 내포가야산보 원사 [2017]
  • 옮김, 『어우야담(1) (2)』
    신익철 유몽인 돌베개 [2006]
  • 민족문화추진회 편, 『韓國文集叢刊(172)』
    民族文化推進會 [1996]
  •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편, 『한국한자어사전』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 국립민속박물관 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6]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진도다시래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 魚叔權, 稗官雜記
  • 馮不異外, 『中國傳統相聲大全增補版(4)』, 北京: 文化藝術出版社, 2003.
  • 韓在洛, 〈綠波雜記〉
  • 郗文倩, 「張衡西京賦‘魚龍曼延’發覆」, 『文學遺産』2012-6, 北京: 中國社會科 學出版社, 2012.
  • 趙秀三, 『秋齎紀異』
  • 許筠, 〈蔣生傳〉
  • 西野春雄外, 『能狂言事典』, 東京: 平凡社, 1987.
  • 經國大典
  • 申光河, 〈崑崙奴〉
  • 洪愼猷, 〈達文歌〉
  • 柳夢寅, 『於于野談』
  • 李瀷,『星湖僿說』
  • 朝倉無聲, 『見世物硏究』, 京都: 思文閣, 1977.
  • 成俔, 慵齋叢話
  • 徐珂編撰, 『清碑類鈔』, 北京: 中華書局, 1984.
  • 崔樂泉編著, 『圖說中國古代百戱雜技』, 西安: 世界圖書出版西安公司, 2007.
  • 崔滋, 『補閑集』
  • 宋晩載, 〈觀優戱〉
  • 侯寶林外, 『相聲藝術論集』, 黑龍江: 黑龍江人民出版社, 1981.
  • 任半塘『唐戱弄(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6.
  • 『한국의 전통연희』
    전경욱 학고재 [2004]
  •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손태도 집문당 [2013]
  • 『한국연극사(신수판)』
    이두현 학연사 [2000]
  • 『한국연극사 연구』
    사진실 태학사 [1997]
  • 『한국문화사3: 거상, 전국 상권을 장악하다』
    고동환 두산동아 [2005]
  • 『한국근대극장변천사』
    유민영 태학사 [1998]
  • 『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전경욱 열화당 [1998]
  • 『한 중 두 나라의 가무와 잡희』
    김학주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하회별신굿탈놀이』
    박진태 도서출판피아 [2006]
  • 『춘향전 연구』
    김동욱 연세대학교출판부 [1965]
  • 『중국희곡』
    양회석 민음사 [1994]
  • 『중국의 전통 잡기』
    안상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중국공연예술의 이해』
    권응상 신아사 [2014]
  • 『중국 소수민족 연구』
    정재남 한국학술정보 [2007]
  •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푸른역사 [2003]
  •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고동환 지식산업사 [2013]
  • 『조선민속탈놀이연구』
    김일출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 『조선민간극』
    권택무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6]
  • 『조선구전문학연구』
    고정옥 평양: 과학원출판사 [1962]
  • 『재담 천년사』
    반재식 백중당 [2000]
  • 『일본전통문화론』
    박전열 이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
  • 『일본 전통극의 이해』
    김충영 지식을만드는사람들 [2013]
  • 『이야기 일본연극사』
    이응수 세종대학교출판부 [2011]
  • 『융합형 공연제작실습 교육을 위한 전통연희 매뉴얼』
    사진실 태학사 [2017]
  • 『연극의 이해』
    한옥근 국학자료원 [1998]
  • 『실크로드 사전』
    정수일 창비 [2013]
  • 『수사학/시학』, 천병희 역
    Aristotle [2017]
  • 『봉산탈춤』
    박전열 화산문화 [2001]
  • 『문학개설』
    구인환 삼영사 [1976]
  • 『만담 백년사』
    반재식 백중당 [2000]
  • 『근대조선의 대중문예 연구』
    엄현섭 어문학사 [2011]
  • 『광대의 가창 문화』
    손태도 집문당 [2003]
  • 『공연문화의 전통: 樂戱劇』
    사진실 태학사 [2002]
  • 『고려시대 무역과 바다』
    이진한 경인문화사 [2014]
  • 『강령탈춤』
    정형호 화산문화 [2002]
  • 『高麗史』.
  • 『韓國假面劇』
    이두현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 『芝陽漫錄』
  • 『狂言』
    김학현 열화당 [1991]
  • 『燕山君日記』
  • 『朝鮮王朝實錄』
  • 『朝鮮常識問答續編』
    최남선 삼성문화재단 [1972]
  • 『改訂韓國演戱詩硏究-송만재의〈觀優戱〉를 중심으로』
    윤광봉 박이정 [1997]
  • 『右捕廳謄錄』
  • 『加平簡氏大同譜』
  • 『京畿道唱才都廳案』
  • 『(재개정 증보판)중국 고대의 가무희』
    김학주 명문당 [2015]
  • 「해서탈춤의 악사와 재인촌」
    전경욱 『구비문학연구』24, 한국구비문학회 [2007]
  • 「한국의 국왕 행차와 전통 연희」
    김은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 코미디 영화 형성과정 연구」
    박선영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 중 일 가무희에 나타나는 서역 계통 인물의 양상과 그 의미」
    이보람 『국학연구』26, 한국국학진흥원 [2015]
  • 「한 중 우희의 관련 양상에 대한 한 고찰」
    안상복 『구비문학연구』 8, 한 국구비문학회 [1999]
  • 「평양기생의 인생을 묘사한 小品書綠波雜記연구」
    안대회 ‚ 『漢文學報』 14, 우리한문학회 [2006]
  • 「판소리 담당층의 변화에 따른 19세기 판소리사와 중고제의 소멸」
    정출헌 『민족문화연구』3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 「판소리 너름새와 口技, 優戱의 관련양상」
    우지용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0]
  • 「판소리 發生攷(一)」
    김동욱 『논문집』 2, 서울대학교 [1955]
  • 「탈춤과 판소리의 연행문학적 성격 비교」
    전경욱 김동욱 외, 『문학연구( 3)』, 경원문화사 [1984]
  •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의」
    송미경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중국적 ‘비극’ ‘희극’ 개념 설정의 문화 논리」
    이창숙 한국중국희곡학회 편, 『중국 전통극의 공연과 문화』, 신아사 [2010]
  • 「중국 상성(相聲)과 한국 가면극 재담(才談)의 기원과 연행양상」
    강소천 고 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줄타기」
    이호승 『한국전통연희총서 1차년도 결과보고서』, 미간행
  • 「조선후기 왈자 집단의 구성과 성격」
    이태화 『한국학연구』22, 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2005]
  •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강명관 『민족문학사연구』2 권 1호, 민족문학사학회 [1992]
  • 「조선후기 民間의 游俠崇尙과 游俠傳의 성립」
    박희병 『韓國漢文學硏究』 9, 한국한문학회 [1987]
  • 「조선중기 匿名書事件의 특징과 정치사회상-연산군~명종대를 중심으 로-」
    이상배 『史林』15, 수선사학회 [2001]
  • 「조선전기 儺禮의 변별 양상과 공연의 특성」
    사진실 『구비문학연구』3, 한국구비문학회 [1996]
  • 「조선시대의 巫稅制度와 그 실태」
    임학성 『역사민속학』3, 한국역사민속 학회 [1993]
  • 「조선시대 화극의 역사와 그 전통」
    손태도 『공연문화연구』 12, 한국공연 문화학회 [2006]
  •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정은경 『한국민속학』39. 한국민속학회 [2004]
  • 「조선시대 서울지역 연극의 공연상황 연구」
    사진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7]
  • 「조선시대 서울에서의 상업정책과 市廛」
    이헌창 『경제사학』40권 1호, 경 제사학회 [2016]
  • 「조선시대 궁중연향 고찰: 進宴을 중심으로」
    김종수 韶巖權五聖博士華甲紀 念論文集刊行委員會편, 『(韶巖權五聖博士華甲紀念)音樂學論叢』, 韶 巖權五聖博士華甲紀念論文集刊行委員會 [2000]
  • 「조선 후기 서울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
    조재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조선 세조대 말엽의 정치적 추이」
    김순남 『역사와 실학』60, 역사실학 회 [2016]
  • 「전통적 언어유희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적 의의-한국 재담(才談)과 중국 상성(相聲)을 중심으로-」
    강소천 『공연문화연구』37, 한국공연문화학 회 [2018]
  • 「전통사회 화극(話劇), 재담소리, 실창판소리에 대한 시각」
    손태도 『판소 리연구』 39, 판소리학회 [2015]
  • 「일본 산악(散樂)의 연구」
    박전열 『한국연극학』8, 한국연극학회 [1996]
  • 「인조 이후 나례(儺禮)의 사습(私習)과 산대도감패의 흥행 활동」
    사진실 ‚ 『공연문화연구』28, 한국공연문화학회 [2014]
  • 「이야기꾼의 한 고찰-김중진의 경우-」
    황인덕 『語文硏究』23, 忠南大學 校文理科大學語文硏究會 [1992]
  • 「우희와 판소리 가면극의 관련 양상」
    전경욱 『한국민속학』 34, 한국민 속학회 [2001]
  • 「예헌(例軒) 이철환(李嚞煥)의 생애와 〈상산삼매(象山三昧)〉」
    김영진 『민 족문학사연구』27, 민족문학사학회 [2005]
  • 「솟대타기」
    신근영 『한국전통연희총서 1차년도 결과보고서』, 미간행
  • 「소학지희의 공연방식과 희곡의 특성」
    사진실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소학지희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안상복 『고전희곡연구』 1, 한국고전희 곡학회 [2000]
  • 「소학지희(笑謔之戱)/배우희(俳優戱) 연구의 쟁점과 전망」
    사진실 『구비문 학연구』35, 한국구비문학회 [2012]
  • 「서울의 시정문화와 탈춤의 성장」
    사진실 『한국사시민강좌』45, 일조각 [2009]
  • 「새 자료를 통해 본 연희자로서의 수척과 반인」
    전경욱 『한국민속학』 60, 한국민속학회 [2014]
  • 「새 자료 채색화 「낙성연도」를 통해 본 산희(山戱)의 실체」
    전경욱 ‚ 『민 족문화연구』7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 「상성(相聲)의 기원론적 검토와 인접 장르와의 변별적 거리」
    유정일 『중국 소설논총』38, 한국중국소설학회 [2012]
  •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웃음 연출 방식」
    이보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배뱅이굿 연구」
    최원식 한매 최정여박사송수기념논총 편찬위원회 편, 『민 속어문논총』, 계명대학교출판부 [1983]
  • 「배뱅이굿 기원고」
    김상훈 『국어국문학』110, 국어국문학회 [1993]
  • 「민속극의 전개와 발전 과정」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 「년대 후반 라디오 예술과 전통의 문제」
    서재길 ‚ 『한중인문학연구』 23, 한중인문학회, 2008 [1930]
  • 「년대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만담 넌센스 스케치 연구」
    김만수 최동현 ‚ 『한국극예술연구』7, 한국극예술학회, 1997 [1930]
  • 「년대 신파극의 전통과 전통 연희의 관련 양상」
    양승국 ‚ 『한국극예술 연구』9, 한국극예술학회, 1999 [1910]
  • 「근대 초기 서울지역 극장문화 형성과정 연구」
    백두산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7]
  • 「근대 일본 미세모노의 변화와 그 안에 표상된 조선」
    신근영 『공연문화연 구』21, 한국공연문화학회 [2015]
  • 「궁중 정재(宮中呈才)의 공연공간과 연출원리」
    사진실 『韓國音樂硏究』 38, 한국국악학회 [2005]
  • 「궁중 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 를 생각하며-」
    배영동 『한국민속학』45, 한국민속학회 [2007]
  • 「교겐(狂言)을 통해 본 일본의 웃음문화」
    박전열 『日本硏究』22, 中央大 學校日本硏究所 [2006]
  • 「교겐(狂言) 조선 공연기-식민지 조선과 일본전통예능의 조우-」
    김난주 『동아시아문화연구』57,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 「광문전승에 나타나는 형상화의 양상」
    강현모 『한민족문화연구』41, 한민 족문화학회 [2012]
  • 「고려시대의 南京」
    김갑동 『서울학연구』18,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 연구소 [2002]
  • 「고려말 염흥방의 정치활동과 사상의 변화」
    도현철 『東方學志』141, 연세 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 「고려 충숙왕ㆍ충혜왕과 商人의 官界진출」
    이숙경 『한국인물사연구』4, 한국인물사연구소 [2005]
  • 「魚龍曼延小考-佛敎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광영 『중국문화연구』35, 중국문화연구학회 [2017]
  • 「韓國의 左方樂과 右方樂」
    이혜구 『韓國音樂序說』, 서울대학교출판부 [1967]
  • 「韓半島西南海岸石舟說話의 歷史的考察」
    김형준 송화섭 『東아시아古代 學』25,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 「韓中두 나라의 異國人假面戱와 ‘貢物바치기’에 대한 비교 고찰」
    안상복 『中國文學』90,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 「韓中優戱의 比較」
    안상복 『공연문화연구』3, 한국공연문화학회 [2001]
  • 「朝鮮前期의 僧軍」
    안계현 『東方學志』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2]
  • 「朝鮮初期漢陽의 形成과 都市構造」
    고동환 『지방사와 지방문화』8권 1 호, 역사문화학회 [2005]
  • 「日本演劇史硏究〔Ⅰ〕-神話的起源을 中心으로-」
    박전열 『日本硏究』 10, 中央大學校日本硏究所 [1995]
  • 「山臺都監劇의 成立에 對하여」
    이두현 『국어국문학』 18, 국어국문학회 [1957]
  • 「山臺都監劇成立의 諸問題」
    최정여 『한국학논집』1, 계명대학교 한국학 연구원 [1980]
  • 「山臺戱에 就하여」
    양재연 『중앙대 30주년 기념 논문집』, 중앙대학교 [1955]
  • 「唐戱를 통해서 본 李穡의 驅儺行」
    김학주 『고전희곡연구』4, 한국고전희 곡학회 [2002]
  • 「元雜劇의 ‘揷科打諢’-喜劇性창출 기법을 중심으로-」
    김명학 ‚ 『中國文學硏 究』50, 한국중문학회 [2013]
  • 「儺禮와 假面舞劇」
    조원경 『學林』 4,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55]
  • 「俠傳의 초기적 형태로서의 ‘長生殿’ 연구」
    박혜순 『어문논집』60, 민족어 문학회 [2009]
  • 「『추재기이』의 인간 발견과 인생 해석」
    안대회 ‚ 『한국학논집』38, 한양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 「『太平廣記詳節』편찬의 시대적 의미」
    김장환 『중국소설논총』23, 한국 중국소설학회 [2006]
  • 「〈성시전도시(城市全圖時)〉와 〈한양가〉에 나타는 조선후기 상업 정책과 한양 시장의 풍경」
    노경희 『서울학연구』70,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 연구소 [2018]
  • 「〈무숙이타령〉(왈자타령) 연구」
    김종철 『한국학보』18권 3호, 일지사 [1992]
  • 「18 19세기 탈춤꾼 山臺造成匠人卓文漢연구」
    안대회 ‚ 『정신문화연구』 33권 4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매일신보》
  • 〈게우사〉
  • “조선후기 서울의 주민구성과 성곽의 의미”
    조성윤 『鄕土서울』83, 서 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3]
  • The theatre: an introduction(4th ed.) ,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김윤철 역, 『연극개론』
    Oscar G. Brockett, 연극과 인간, 2014 [1979]
  •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조경철 역,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 사람 들』, 예담, 2001
    Percival Lowel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85]
  • , 『일본전통공연예술』
    이지선 제이앤씨 [2007]
  • , 「한국 가면극의 골계 연출에 나타나는 우희(優戱)의 전통」
    정지은 고려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땅재주의 역사와 연행원리」
    서지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땅재주」,
    서지은 미간행 『한국전통연희총서 1차년도 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