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 1970年代在日朝鮮人文??究

이영호 2019년
'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 1970年代在日朝鮮人文??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70년대
  • 「조선문학」
  • 김일면
  • 김학영
  • 다듬이질하는 여인
  • 디아스포라
  • 마당
  • 민족전통
  • 박종석
  • 삼천리
  • 아쿠타가와상
  • 우리 청춘의 길목에서
  • 위안부
  • 이회성
  • 인권운동
  • 임종국
  • 자이니치
  • 재일
  • 재일 조선인
  • 재일조선인 문학
  • 재일코리안
  • 재일코리언
  • 조선문학의 회
  • 히타치 투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60 0

0.0%

'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 1970年代在日朝鮮人文??究' 의 참고문헌

  • 「환기와 소거, 그리고 일본어문학―김석범의 1945년 여름
    김계자 한림일본학 25(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2014]
  • 「현대 일본 대중문화에 재현된 ‘재일남성상’ 고찰」
    이승진 일본학 43(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자리 만들기」
    이재봉 韓國文學論叢 74(한국문학 회 [2016]
  • 「해방 직후의 재일한국인의 본국 귀환, 그 과정과 통제구조」
    최영호 한일관계사연 구 Vol.4(한일관계사학회 [1995]
  • 「해방 직후 재일한인 문단과 "일본어" 창작문제― 朝鮮文藝 를 중심으로」
    이재봉 韓國文學論叢 42(한국문학회 [2006]
  • 「한국현대사의 재조명;"민주기지"의 남북통일노선―8.15 해방이후부터 6.25전쟁 직전까지」
    양호민 국제문제연구 16(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1992]
  • 「한국소설과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체제의 의도와 주체의 의지 사이」
    서세림 한 국문예비평연구 57(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 「한국과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유지아 한일 관계사연구 53(한일관계사학회 [2016]
  • 「틈새 인간의 말더듬이 존재론―김학영과 그의 문학」
    현대문학이론연구 43(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 「특집(特集)―재일한인(在日韓人) 정치사회운동(政治社會運動)과 대외연 대(對外連帶) ; 재일한인(在日韓人) 민족교육운동(民族敎育運動)에 나타난 대 외연대(對外連帶) 네트워크」
    최영호 한일민족연구 13(한일민족문제학회 [2007]
  • 「특집(特集)―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과 일본(日本)의 식민지배(植民支 配) ; 일본(日本)의 패전(敗戰)과 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 부관항로(釜關航 路)의 귀환자(歸還者)들」
    최영호 한일민족연구 11(한일민족문제학회 [2006]
  • 「조총련에 의한 민족교육의 어제와 오늘」
    최영호 황해문화 47(새얼문화재단 [2005]
  •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장편시집 니이가타 에 표현된 ‘재일’ 의 의미」
    김계자 비교문화연구 45(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 「조국의 흙을 만져보며」 월간 중앙
    이회성 (중앙일보사) [1972]
  • 「전후 재일 코리안 문학의 변용과 특징」
    김환기 일본학보 86(한국일본학회 [2011]
  • 「전후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수용―잡지 민주조선 을 중심으로」
    오미정 우리 어문연구 40(우리어문학회 [2011]
  • 「전후 일본의 ‘반지성주의’와 마이너리티―양정명과 도미무라 준이치를 중 심으로」
    곽형덕 일본사상 34(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8]
  • 「저항담론으로서의 ‘재일’일본어―재일여성문예지 땅에서 배를 저어라 ( 地に舟をこげ )를 중심으로」
    마경옥 일본언어문화 19(한국일본언어문학회 [2011]
  • 「재일한인의 커뮤니티 구축― 계간 삼천리 를 통하여 본 정책변화를 중심으로」
    손동주 신종대 이상수 이수진 동북아문화연구 35(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 「재일한인의 전후보상운동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연대의 특징―일본군위안 부 운동을 중심으로」
    이상봉 21세기정치학회보 제16집 2호(21세기정치학회 [2006]
  • 「재일한인 잡지의 변화의 양상과 청구 의 역할」
    나승회 일어일문학 36(대한일 어일문학회 [2007]
  • 「재일한인 에스닉 미디어의 계보와 현황―에스닉 잡지를 중심으로」
    소명선 일어 일문학 30(대한일어일문학회 [2006]
  •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이주와 집거지 형성 비교 연구―올드커머와 뉴커머 를 중심으로」
    지충남 대한정치학회보 20권 2호(대한정치학회 [2012]
  • 「재일한국인의 참정권에 대한 한일 양국의 정치적 태도에 관한 연구」
    최영호 영 산논총 7(영산대학교 [2001]
  • 「재일한국인의 일본 지방참정권, 그 현황과 전망」
    최영호 21세기정치학회보 Vol. 14 No.3(21세기정치학회 [2004]
  • 「재일한국인, 조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광현 일본연구 13(고려대학교 일 본연구센터 [2010]
  • 「재일코리언 문학의 당사자성―양석일의 밤을 걸고 」
    김계자 일본학 41(동국대 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 「재일코리안의 정체성과 초(超)국가주의―재일 코리언 문학과 디아스포라 ―이회성의 유역(流域) 을 중심으로」
    김환기 일본학 32(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 「재일코리안, 그 Locality 역사에 대한 소묘」
    최영호 로컬리티의 인문학 2(부산 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 (ほるもん文化)연구―재일조선인잡지사에 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이승진 일본학보 113(한국일본학회 [2017]
  • 「재일조선인의 ‘전장(戰場)’과 ‘전후(戰後)’」
    박광현 한국학연구 41(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재일조선인, 일본의 지역사회를 살다―해방 후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 인의 정주와 생활을 중심으로」
    정계향 구술사연구 Vol.8 No.2(한국구술사학회 [2017]
  •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 연구」
    신재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6]
  •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 연구」
    신재민 일본학보 115(한국일본학회 [2018]
  •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연구― 계간 삼천리(季刊三千 里)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영호 일본문화연구 61(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과 민중문화―지면의 구성과 전통 담론을 중심으로」
    이영호 일본학 46(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 「재일조선인 문학과 ‘스파이 이야기’―김학영과 원수일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의 내면을 중심으로」
    신승모 동악어문학 73(동악어문학회 [2017]
  • 「재일조선인 귀국(歸國)문제를 기억하는 문화적 방식」
    김종회 이영미 현대소설연 구 64(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 「재일조선인 ‘북송문제’와 일본인의 ‘귀국협력’―‘일조우호운동’의 연속이라 는 관점에서」
    박정진 사회와역사 91(한국사회사학회 [2011]
  • 「재일의 심상지리와 사할린」
    박광현 한국문학연구 47(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 소 [2014]
  • 「재일문학의 2세대론을 넘어서―‘역사화와 영역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 로」
    박광현 일어일문학연구 53권 2호(한국일어일문학회 [2005]
  • 「재일문학에 나타난 ‘집’이라는 장소」
    이승진 한국학연구 43(인하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16]
  • 「재일문예지 민도(民涛) 의 기획과 재일문화의 향방―서지적 고찰을 중 심으로」
    신승모 일본학연구 43(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 「재일문예 민도(民濤) 연구― 민도 의 서지고찰과 이회성의 문제의 식」
    김주영 양명심 일본어문학 62(한국일본어문학회 [2014]
  • 「재일동포문학의 작품성향 연구」
    이한창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재일동포 작가와 <아쿠타가와상>」
    이한창 외국문학 51(열음사 [1997]
  • 「재일교포사회의 형성과 민족 정체성 변화의 역사」
    최영호 한국사연구 140(한국 사연구회 [2008]
  • 「재일교포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민단 조총련 간의 갈등 양상」
    이승하 한국문예창 작 11(한국문예창작학회 [2012]
  • 「재일(在日)을 사유하는 여러 겹의 길―다케다 세이지(竹田靑嗣), ‘재일' 이라는 근거 在日という根據 」
    윤송아 일본학 44(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 「재일 한인소설의 민족 정체성에 관한 연구―이회성의 소설을 중심으로」
    송하춘 韓民族語文學 38(韓民族語文學會 [2001]
  • 「재일 한인 잡지 소재 시문학과 비평문학의 현황과 의미― 조선문예 , 한 양 , 삼천리, 청구 를 중심으로―재일 한인 잡지 소재 시문학과 비평문학의 현황과 의미」
    하상일 韓國文學論叢 42(한국문학회 [2006]
  • 「재일 한민족 문학에 나타난 내셔널리즘」
    장사선 한국현대문학연구 21(한국현대 문학회 [2007]
  • 「재일 한국인 문학과 일본 근대문학과의 영향관계 고찰―재일 한국인 2세 대 작가 김학영(金鶴泳)을 중심으로」
    이승진 아시아문화연구 33(가천대학교 아시아 문화연구소 [2014]
  • 「재일 코리언 문학에 나타난 ‘아버지상’ 고찰―전세대의 생활공간과 이데 올로기를 중심으로」
    김환기 비교일본학 29(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 「재일 코리안 문학과 디아스포라」
    김환기 일본학 32(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분화」
    김환기 일본학보 74(한국일본학회 [2008]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
    김환기 횡단인문학 Vol.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혼종성’과 세계문학으로서의 가치」
    김환기 일본학보 7 8(한국일본학회 [2009]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과 [제주 4.3사건]」
    김환기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1 (한중인문학회 [2009]
  • 「재일 동포조직이 동포문학에 끼친 영향―좌익 동포조직과 동포작가와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한창 日本語文學 8(한국일본어문학회 [2000]
  • 「재일 교포문학의 주제 연구」
    이한창 日本學報 29(한국일본학회 [1992]
  • 「장혁주의 「춘향전을 통해 본 제국과 식민지의 변주」
    김계자 비교문화연구 38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 「잡지 미디어를 통해 본 재일한인 문학― 계간 삼천리 를 중심으로」
    이미주 고려 대학교 대학원 [2012]
  • 「잡지 내선일체(內鮮一體) 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양상 연구」
    오오야 치히로(大屋千尋) 사이間SAI 1(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6]
  • 「작품 발표의 장으로서의 민주조선 연구」
    이한창 일본어문학 60(한국일본어문 학회 [2014]
  • 「일본패전 직후 참정권문제에 대한 재일한국인의 대응」
    최영호 한국정치학회보 34(한국정치학회 [2000]
  • 「일본인의 식민주체로서의 기억과 그 표상」
    남상욱 황해문화 88(새얼문화재단 [2015]
  • 「일본이라는 타자와 1960년대 한국의 주체성―한일회담에 관한 논의를 중 심으로」
    김성환 어문론집 61(중앙어문학회) [2015]
  •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회고와 전망」
    송석원 아태연구 13(경희대학교 아태지 역연구원 [2006]
  • 「일본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역사적 반성 및 협동 연구 전망」
    장사선 한국 현대문학연구 30(한국현대문학회 [2003]
  •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정대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정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일본 우익과 재일조선인의 역사」
    김인덕 일본학 36(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 「일본 마이너리티문학의 양상과 가능성―오키나와문학과 재일한국인 조 선인문학을 중심으로」
    강우원용 일본연구 14(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0]
  • 「일기와 작품을 통해 본 김학영의 자살 원인」
    이한창 일본어문학 47(한국일본어 문학회 [2010]
  • 「이회성의 전기 작품 활동과 문학세계」
    이한창 日本語文學 72(한국일본어문학 회 [2017]
  • 「이회성의 유역으로 연구―죄의식 서술을 통한 이동 서사의 방법화」
    김주영 日 語日文學硏究 Vol.102 No.2(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 「이회성의 새로운 상상력과 구성의 전환점」
    양명심 日本文化學報 56(한국일본문 화학회 [2013]
  • 「이회성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과 나카가미 겐지의 미사키 를 통해 보는 ‘마이너리티’와 장소론」
    이헬렌 동악어문학 71(동악언문학회 [2017]
  • 「이회성(李恢成)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정체성’에 관한 연구」
    양명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 「이회성(李恢成)의 청춘소설을 통해서 본 일본 전후」
    양명심 일본어문학 52(한 국일본어문학회 [2012]
  • 「이회성 문학의 특징―시대별 특징을 중심으로」
    박정이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 포라 1 (제이앤씨 [2008]
  • 「이언어(二言語)의 장(場)에서 끌어올린 목소리들의 향연―宋惠媛, 「在日 朝鮮人文學史」のために-聲なき聲のポリフォニ- 」
    윤송아 일본학 42(동국대학교 일 본학연구소 [2016]
  • 「위안부 문제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김일면―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의 기사를 중심으로」
    이영호 日本學報 113(한국일본학회 [2017]
  • 「오무라(大村)조선문학회 기관지 오무라문학(大村文学) 에 관한 연구」
    마경옥 아시아문화연구 45(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 「오무라(大村)수용소와 재일조선인의 강제추방 법제화」
    전갑생 역사연구 28(역 사학연구소 [2015]
  • 「역사의 빛 아래 드러나야 할 한―《군대 위안부》의 저자 김일면」
    김혜원 딸들 의 아리랑 (허원미디어 [2007]
  • 「역사가 남긴 상처와 민족의식―이회성론 (2)」
    송하춘 한국학연구 11(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1999]
  • 「역사가 남긴 상처와 민족의식―이회성론 (1)」
    송하춘 한국학연구 10(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1998]
  • 「아쿠타가와 상을 통해 본 재일동포 문학」
    이한창 일본학 19(동국대학교 일본학 연구소 [2000]
  • 「식민지기 조선 대만 일본전통시가 비교연구―로컬컬러 관련 하이쿠(俳 句) 단카(短歌) 문헌을 중심으로」
    김보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식민지 시기 재일조선인에 대한 일본 치안당국의 인식」
    이승희 한일관계사연구 44(한일관계사학회 [2013]
  • 「소외감과 내향적인 김학영의 문학세계―「얼어붙은 입」과 「흙의 슬픔」을 중심으로」
    이한창 일본학보 37(한국일본학회 [1996]
  • 「비교문화 연구의 현재적 지평―재일 코리안 화가 오병학(吳炳學)의 작품 에 있어서의 민족관념 분석」
    이정민 人文科學 55(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 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 「박중호의 回帰 론―민족사로서의 글쓰기와 정주의 재일성」
    신재민 일어일문학 77(대한일어일문학회 [2018]
  • 「민족의 주체적 근대화를 향한 한양 의 진보적 비평정신―1960년대의 비 평 담론을 중심으로」
    고명철 한민족문화연구 19(한민족문화학회) [2006]
  • 「민족 정체성 서사로서 재일동포 한국어 소설」
    허명숙 현대소설연구 40(한국현 대소설학회 [2009]
  • 「미점령기 오키나와 소설론」
    한선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미군정기 남한과 일본의 문학으로서의 탈식민화 1945-1948 ― 문학 과 민주조선 의 두 사례」
    조나단 글레이드 한국어문학연구 57(한국어문학연구학 회) [2011]
  • 「문예지를 통해 본 재일의식의 양상」
    이승진 일본어문학 67(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 「문예지 진달래(ヂンダレ) 와 재일여성문학의 발현」
    이승진 일본어문학 63(한국 일본어문학회 [2014]
  • 「문예지 진달래(ヂンダレ) 에 나타난 ‘재일’의식의 양상」
    이승진 일본연구 37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 「류큐 오키나와(인)의 아이덴티티 형성사―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손지연 일본 학연구 33(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 여성의 결혼문제」
    지은숙 在外韓人硏究 25 (在外韓人學會 [2011]
  • 「디스토피아의 언어세계―다와다 요코의 「불사의 섬」과 「헌등사」를 중심 으로」
    남상욱 비교문화연구 51(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 「도쿄도의 에스닉 정책과 재일조선인 시책―대 총련 시책을 중심으로 본 그 형성과 변화의 인과성」
    박정진 일본연구논총 33(현대일본학회 [2011]
  • 「노(能)에 그려진 「기다리는 여인들」의 恨」
    김충영 일본학보 106(한국일본학회 [2016]
  • 「김희로 사건과 재일조선인 문학―이회성(李恢成)의 「우리 청춘의 길목에 서(われら靑春の途上にて)」 를 중심으로」
    이영호 일본연구 27(고려대학교 글로벌일 본연구원 [2017]
  • 「김희로 사건과 내파하는 한일 미디어―츠츠이 야스타카(筒井康隆)의 「신 킨타로(晋金太郎)」를 중심으로-」
    임상민 인간과 문화 연구 25(동의대학교 인문사회 연구소 [2014]
  •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 에 대한 세 가지 해석과 논점」
    권성우 한민족문화연구 60(한민족문화학회 [2017]
  •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 론」
    김환기 日語日文學硏究 39(한국일어일문학회 [2001]
  • 「김학영문학에 있어 ‘정체를 알 수 없는’ 표현의 의미」
    박정이 일어일문학 34(대 한일어일문학회 [2007]
  • 「김학영(金鶴泳)론―<얼어붙는입(凍える口)> <끌(鑿)> <서곡(序曲)> <흙의 슬픔(土の悲しみ)>을 중심으로」
    이정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학영 문학론―작가적 고뇌의 원질(原質), 그로부터의 해방구 모색」
    김환기 한 일민족문제연구 9(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 「김학영 문학과 '벽'」
    김환기 일본학 19(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0]
  • 「김학영 문학과 '恨'―‘恨'의 내향적 승화를 중심으로」
    김환기 일본학 21(동국대 학교 일본학연구소 [2002]
  • 「김시종과 진달래 」
    하상일 한민족문화연구 57(한민족문화학회 [2017]
  • 「김석범 문학이 재일조선인 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치」
    中村福治 용봉인문논총 29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 「기쿠치 간(菊池寛)과 조선예술상―제국의 예술제도와 히에라르키」
    홍선영 日本 文化學報 50(한국일본문화학회 [2011]
  •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이승희 일본학 43(동국대학교일본학 연구소 [2016]
  • 「귀국사업과 ‘니가타’」
    박광현 동악어문학 67(동악어문학회 [2016]
  • 「귀국 운동과 ‘재일(在日)의 현실―재일본문학예술가동맹의 소설을 중심으 로」
    김형규 한중인문학연구 15(한중인문학회 [2005]
  • 「국어와 일본어의 틈새, 재일 한인 문학의 자리― 漢陽 , 三千里, 靑丘 의 이중 언어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이재봉 韓國文學論叢 47(한국문학회 [2007]
  •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박광현 창작과비평 Vol.32 No.3(창비 [2004]
  • 「교포작가 이회성씨가 남긴 것」
    신상웅 새가정 8 9월호(통권 206호)(새가정사 [1972]
  • 「고백과 용서의 담론―이회성의 백 년 동안의 나그네 」
    변화영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3 (제이앤씨 [2008]
  •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 성 문제를 중심으로」
    정계향 구술사연구 Vol.7 No.1(한국구술사학회 [2016]
  • 「金鶴泳試論」
    원덕희 日本研究 6(중앙대학교 일보연구소 [1991]
  • 「金鶴泳文學硏究―作家의 經驗이 갖는 의미를 中心으로」
    원덕희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4]
  • 「金鶴泳 論」
    유숙자 比較文學 24(韓國比較文學會 [1999]
  • 「金嬉老事件と<反共>―映画「金の戦争」論」
    임상민 일본문학학보 51(한국일본문 화학회 [2011]
  • 「梶山季之と金嬉老─「俺は半島人―小説⋅金嬉老」論」
    임상민 동북아문화연구 3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 「李恢成의「砧をうつ女」과 「人面の大岩」硏究―在日의 記憶과 回歸를 中心 으로」
    김주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李恢成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연구―재일교포 작가로서의 특수성을 중 심으로」
    유은숙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日本에서의 한국문학 연구현황과 전망(2)」
    罔山善一郞 語文論集 34(중앙어문학 회 [2006]
  • 「日本文壇과 在日僑胞作家」
    김윤식 세대 (세대사) [1972]
  • 「新聞을 통해 보는 解放直後 在日朝鮮人의 動向―「民衆新聞」 특집호 (1945년 10월 15일자)」
    최영호 한일민족연구 9(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 「在日작가 李恢成―소설가 李浩哲씨 대담」
    이호철 이회성 동아일보 (동아일보사) [1995]
  • 「在日韓人 雜誌에 나타나는 言語生活의 樣相― 民主朝鮮 朝鮮文藝 三 千里 靑丘 의 「特集」과 「對談」을 중심으로」
    趙堈熙 일본어문학 33(일본어문학회 [2006]
  • 「在日韓人 民族敎育運動에 나타난 對外連帶 네트워크」
    최영호 한일민족연구 13 (한일민족문제학회 [2007]
  • 「在日コリアン敎育と民族アイデンティティ―雜誌 三千里 靑丘 にみられ る在日コリアン敎育言說」
    김태영 한국민족문화 27(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6]
  • 「‘조선인 사형수’를 둘러싼 전유의 구도―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과 일본/‘조선’」
    조경희 동방학지 158(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정치의 계절’ 1950년대 일본의 사회참여미술에 관한 연구」
    마이 후지무라 (국민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이 사람의 삶] 23년 만에 조국 찾은 재일 동포 작가 이회성」
    이회성 시사저널 (㈜시사저널사 [1995]
  • 「<재일문학>의 장소와 교포 작가의 <조선>표상」
    박유하 일본학 22(동국대학 교 일본학연구소 [2003]
  • 「<재일문학>과 김희로 사건」
    임상민 일본문화학보 69(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 「4 19 혁명 정신의 계승과 정권 비판 논리―1960년대 한양 소재 4 19 혁명 담론과 시를 중심으로」
    손남훈 문창어문논집 52(문창어문학회) [2015]
  •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장르 형성 연구―1971년 이회성(李恢成)의 <아쿠타가와상>(芥川賞) 수상을 중심으로」
    이영호 한림일본학 27(한림대학교 일본 학연구소) [2015]
  • 「1970년대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연구 경향 분석―조선문학의회(朝鮮文学 の会)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작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영호 일본학보 107(한국일본 학회) [2016]
  • 「1960년대의 한양 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한양 의 매체사회학적 위 상을 중심으로」
    고명철 한국문학이론과비평 46(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 「1960년대 한양 소재 재일 한인 시문학 연구」
    하상일 韓國文學論叢 47(한국 문학회) [2007]
  • 「1960년대 문학비평과 한양 」
    하상일 어문논집 50(민족어문학회) [2004]
  •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
    장문석 한국학연구 40(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1960-70년대 일본 아동문학과〈전쟁아동문학〉」
    서기재 日本語文學 62(한국 일본어문학회) [2014]
  • 「1950년대 재일조선인의 문화운동」
    김계자 아시아문화연구 44(가천대학교 아시 아문화연구소) [2017]
  • 「1950년대 일본의 탄광노동자 화가 센다 우메지(千田梅二)」
    후지무라 마이 인물 미술사학 8(인문미술사학회) [2012]
  • 「1950년대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특징― 新日本文學 과 人民文學 을 중심으로」
    오미정 한국근대문학연구 25(한국근대문학회) [2012]
  • 「1940, 식민지 조선문학의 행방을 둘러싸고」
    곽형덕 한민족문화연구 52(한민족 문화학회, ) [2015]
  • 「"난민" 아닌 "난민수용소", 오무라(大村)수용소―수용자, 송환자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이정은 사회와 역사 103(한국사회사학회 [2015]
  • 「 한양 게재 재일 한인 시의 주체 구성과 언술 전략」
    손남훈 (부산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6]
  • 「 한양 게재 시편의 변화 과정 연구―庚連과 鄭英勳의 시를 중심으로」
    손남훈 韓國文學論叢 70(한국문학회 [2015]
  • 「 청구(靑丘) 와 재일코리안의 자기정체성―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김환기 일본 연구 22(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 「 민주조선(民主朝鮮) 과 "재일문학"의 전개」
    이한정 일본학 39(동국대학교 일 본학연구소 [2014]
  • 「 땅에서 배를 저어라( 地に舟をこげ ) 에 관한 고찰 2―재일' 여성문예지 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마경옥 일본언어문화 43(한국일본언어문학회 [2012]
  • 「 다리 誌의 현실참여와 행동주의의 의미」
    박대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한국 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 「 계간 삼천리 연구―「우키시마마루호 폭침」 기사를 중심으로」
    김용안 日本硏究 72(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 「 계간 삼천리 를 통한 재일한인의 커뮤니티 구축」
    손동주 이상수 동북아시아문화 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5(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2013]
  • 「 계간 삼천리 (季刊三千里)의 민족정체성과 이산적 상상력」
    최범순 일본어문학 41(한국일본어문학회 [2009]
  • 「 季刊三千里 における日本進歩的知識人の「在日朝鮮人 観」―1975~1977年を中心に」
    가네코 루리코(金子るり子) 일본어문학 79(일본어문학회) [2017]
  • 「 季刊三千里 が語る日本人の朝鮮蔑視観―日帝強占期に創造された「停滞論」 を基に」
    박정이 일본근대학연구 53(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 「 季刊三千里 が語る在日の日本定住」
    박정이 日本文化學報 62(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 「 季刊三千里 季刊青丘 に関する一考察」
    孫東周 朴美瑩 沈素暎 申宗大 金玉枝 일 어일문학 58(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김윤식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일지사 [1974]
  • 하유상(역), 얼어붙는 입
    김학영 (화동 [1992]
  • 친일문학론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 최민순(역),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 제도
    윤명숙 (이학사 [2015]
  • 조현설(역),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오구마 에이지 (소명출판 [2003]
  • 정신대 실록
    임종국 정신대 실록 (일월서각 [1981]
  • 전후문학을 묻는다
    가와무라 미나토 (소화 [2005]
  • 재일코리안변호사협회, 박인동(편), 「일본 재판에 나타난 재일코리안」
    (한국학술정보 [2010]
  • 재일조선인문화연구회(역), 재일이라는 근거
    다케다 세이지 (소명출판 [2016]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선 집 1 시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선 집 1 시 (소명출판 [2017]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5 연구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4 평론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3 소설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2 소설
  •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연구
    김학렬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연구 (국학자료원 [2007]
  •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연구
    한승옥 (국학자료원 [2007]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새미 [2006]
  •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제이앤씨 [2011]
  •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1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1 (제이앤씨 [2008]
  • 임종국(역), 정신대
    김정면 (일월서각 [1992]
  • 이호철(역), 다듬이질하는 여인
    이회성 (정음사 [1972]
  •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인문당 [1982]
  •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고려원 [1988]
  •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비서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 치는 영향
    강재언 김동훈 재일 한국 조선인―역사와 전망 (소화 [1999]
  •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 역
    김윤식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 역 (솔 [2005]
  • 반역하는 “단카이(團塊)” -전공두(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송인선 현대문학 의 연구 50(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 박진우, 박이진, 남상욱, 황익구, 김병진(역), 자이니치의 정신사
    윤건차 (한 겨레출판 [2016]
  • 데이 신 따이
    김정면 임종국 임종국(역) 데이 신 따이 (일월서각 [1990]
  • 김재원 외(역), 호러국가 일본
    다카하시 도시오 (비(도서출판b) [2012]
  • 곽형덕(역), 아무도 들려주지 않았던 일본현대문학
    다카하시 도시오 (글누림 [2014]
  • 개번 매코맥, 노리마츠 사토코, 정영신(편), 저항하는 섬
    오끼나와 (창비 [2014]
  • 강상구(역), 얼어붙은 입
    김학영 (한진출판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