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해양경계획정에서 도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국제판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Status of the Islands and Islets i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Judicial Precedents

김임향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해양경계획정에서 도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국제판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Status of the Islands and Islets i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Judicial Prece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도서영유권
  • 도서의 법적 지위
  • 도서의 효과
  • 해양경계 획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 0

0.0%

' 해양경계획정에서 도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국제판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al Status of the Islands and Islets i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Judicial Precedents' 의 참고문헌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
    http://www.archives.go.kr>
  • 정영진·황준식 역, 「이안 브라운리 국제법」
    서울 : 현암사 [2004]
  •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
    https://www.kr.emb-japan.go.jp/territory>
  • 이준규 역,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 학자의 대담한 제언”,
    세리타 겐타로 「신동아」, http://shindonga.donga.com/Library/3/04/13/1061941 [2007]
  • 외교통상부, 문태영 대변인 정례 브리핑
    [2008]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
    http://www.law.go.kr>
  • 독도연구소 홈페이지 <
    http://www.dokdohistory.com/main.do>
  • 국제법상 섬의 지위에 관한 연구
    이석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
    http://www.khoa.go.kr>
  • 교부 홈페이지 <
    http://www.mofa.go.kr>
  • 교부 독도 홈페이지 <
    http://dokdo.mofa.go.kr/kor/introduce/residence.jsp>
  • 袁古洁, 「國際海洋境界的理論與實踐」北京: 法律出版社, 2001.
  • 山本草二, 「國際法」東京: 有斐閣, 2002.
  • 「현대 일본외교와 중국」
    손기섭 부산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2]
  • 「해양과학조사법」 법률 제14605호
  • 「해양경계관련 섬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주장 및 타당성 분석」
    이창위 정진석 서울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 「한일 어업협정은 파기되어야 하는가」
    최낙정 서울 : 세창출판사 [2002]
  • 「한국해양사」
    윤명철 서울 : 학연문화사 [2014]
  •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김영구 서울 : 21세기북스 [2004]
  • 「유엔해양법협약 해설서Ⅰ」
    박찬호 서울 : 지인북스 [2009]
  • 「영해 및 접속수역법」 법률 제15429호
  •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17803호
  • 「알기 쉬운 조약업무」
    외교부 서울 : 외교부 [2006]
  • 「신국제법강의」
    정인섭 제6판, 서울 : 박영사 [2016]
  • 「신 한일어업협정」
  • 「신 한 일 어업협정과 독도영유권」
    제성호 서울 : 우리영토 [2007]
  •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 법 률 제5152호
  • 「배타적 경제수역법」 법률 제5151호
  • 「독도영유권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연구」
    정갑용 주문배 서울 : 한국해양수산개발 원 [2004]
  •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양국에 인접한 대륙붕 남부구역 공동개발에 관한 협정」 조 약 제645호
  •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와 동북아 해양정책: 한중일 대륙붕 외측한계 획정의 이론과 전략」
    양희철 안산 : 해양연구원 [2009]
  • 「국제해양분쟁해결」
    이석용 대전 : 글누리 [2007]
  • 「국제해양법」
    김현수 서울 : 연경문화사 [2007]
  • 「국제법신강」
    이병조 이중범 제9개정판, 서울 : 일조각 [2008]
  • 「국제법신강」
    김태운 최재훈 서울 : 신영사 [2005]
  • 「국제법론」
    김대순 서울 : 삼영사 [2009]
  • “해양국가와 해양수도”
    이주완 「부산일보」, 년 3월 19일, 23면 [2015]
  • “해양경계획정원칙의 변천과 한반도 주변해역의 경계문제”
    백진현 「해양정책연구」 제6권 제1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1]
  • “해양경계획정에 있어 도서의 기점사용에 관한 국제사례 연구”
    김민종 김선표 홍성걸 「한국도서연구」제15권 제1호, 한국도서학회 [2003]
  • “한중 황해 해양경계획정에서의 고려요소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양희철 「국제법 학회논총」제126권 제3호, 대한국제법학회 [2012]
  • “한일수교 50년, 3개의 전선, 위안부 강제징용 독도”
    김효정 「연합뉴스」, 년 6 월 14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14/0200000000 AKR20150614059900043.HTML [2015]
  • “한일 간 동중국해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일본주장의 대응 논리”
    김현수 「국제법학 회논총」제52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2007]
  • “한국의 해양경계획정 문제에 대한 소고 : 2009년 ICJ의 흑해해양경계획정 판결을 참고로 하여”
    이창위 「서울법학」제17권 제1호,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 소 [2009]
  • “한 중간 이어도海 領有權 분쟁에 관한 지리적 고찰”
    송성대 「대한지리학회지」제 45권 제3호, 대한지리학회 [2010]
  • “한 중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법제 비교연구: 한국의 대륙붕법 입법의 필요성 을 겸론하여”
    강효백 「한국동북아논총」제72호, 한국동북아학회 [2014]
  • “중일 동중국해 자원 개발 합의의 법적 해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양희철 「국제 법학회논총」제57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2012]
  • “중국 인공섬 건설에 일본은 산호초 섬 조성 맞불”
    강주형 「한국일보」, 년 12월 28일, http://www.hankookilbo.com/v/7f973ae0ebeb404595366dd 65db59096 [2015]
  • “정부, 이어도 中기점 변경”
    강갑수 「세계일보」, 년 4월 14일, http:// www.segye.com/newsView/20090413004234 [2009]
  • “전설의 섬 ‘이어도토피아’가 해양영토 전초기지로”
    주미령 「국민일보」, 년 12월 8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 d1=102&oid=005&aid=0000491518 [2011]
  •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부당성과 남북간의 협력방안”
    이장희 「안암법학」제15 호, 안암법학회 [2002]
  • “일본의 독도 영유권 문제 국제사법재판소 제소주장에 대한 반박논리 연구”
    김현수 「해사법연구」제26권 제3호, 한국해사법학회 [2014]
  • “일본의 도서와 해양경계 문제”
    이창위 「국제법학회논총」제54권 제2호, 대한국제 법학회 [2009]
  • “일본, 해양기본계획서 北위협 中해양진출 대비 강조”
    최이락 「연합뉴스」, 년 3월 24일, https://www.yna.co.kr/view/AKR20180324044100073?section =search [2018]
  • “일본 주장은 거짓말이었다”
    이용수 「조선일보」, 년 5월 18일, http://news. 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5/18/2012051800168.html?Dep0=t witter&d=2012051800168 [2012]
  • “이어도의 법적 지위 및 관련 문제에 관한 고찰”
    박성호 윤영민 「해사법연구」 제 26권 제3호, 한국해사법학회 [2014]
  • “유엔해양법협약에서 영토분쟁에 대한 관할권 행사 가능성 분석”
    이창열 「국제법학 회논총」제60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회 [2015]
  • “신 한일어업협정상 독도와 그 주변수역의 법적 문제”
    이상면,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 제40권 제3호 [1999]
  • “시마네현 지사, 日정부에 ‘독도영유권 ICJ 단독제소’ 요구”
    김정선 「연합뉴스」, 년 11월 8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1/08/02 00000000AKR20181108177000073.HTML?input=1195m [2018]
  • “섬이냐 바위냐…日-대만, '오키노토리시마' 놓고 신경전”
    최이락 「연합뉴스」, 년 4월 28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28/02 00000000AKR20160428175300073.HTML [2016]
  • “섬의 국제법상 지위: 바위섬의 해양관할권을 중심으로”
    박찬호 「국제법학회논총」 제47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회 [2002]
  • “모호한 미해결의 해결, 일본에 ‘독도 몽니’ 명분 줬다.”
    이동준 「한국일보」, 년 5월 11일,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5111485391769 [2015]
  •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흑해 해양경계 사건”
    이창위 「법학논고」제33권,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 “루마니아-우크라이나간 흑해 해양경계획정 사건에 관한 분석 및 평가”
    김현수 「해 사법연구」제21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 [2009]
  • “동중국해 대륙붕 경계획정 문제에 관한 소고 : 잠정적 공동개발 가능성 검토 를 중심으로”
    김관원 「영토해양연구」제4권, 동북아역사재단 [2012]
  • “동북아시아 도서영유권 분쟁의 법적쟁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욱 목포대 학교 대학원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동북아 해양영토분쟁의 현재화 분석”
    손기섭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34권 제2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3]
  • “동북아 해양레짐 연구: 해양경계획정과 어업협정을 중심으로”
    정호진 부산대학교 국 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동북아 각국의 해양법과 정책: 해양수역과 관할권 비교연구”
    이석용 「일감법학」 제33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 “독도의 영유권문제”
    정용태 「법학논집」제7집,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1992]
  • “독도영유권의 국제법적 논거로서 식민지 국가책임에 대한 연구”
    이동원 한국외국어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독도영유권문제/분쟁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의 강제적 관할권”
    김명기 독도시민연 대창립기념 학술토론회 발표자료집, 년 10월 24일 [2013]
  • “독도문제의 주요 법적쟁점에 관한 고찰”
    윤영민 이윤철 「해사법연구」제22권 제2 호, 한국해사법학회 [2010]
  • “독도문제의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한 고찰”
    정갑용 「영산법률논총」제5권 제2호, 영 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09]
  • “독도문제와 국제재판의 Mixed Case에 관한 고찰”
    정갑용 「독도연구」제5권, 영남 대학교 독도연구소 [2008]
  • “독도 문제의 국제사법재판소 회부를 둘러싼 쟁점 및 대응방안”
    정민정 「국제법학 회논총」제58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2013]
  • “독도 문제와 국제사법분쟁”
    박현진 「국제법학회논총」제50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 회 [2005]
  • “독도 관련 문제 연구를 위한 일제언”
    김병렬 「영토해양연구」제11권, 동북아역사 재단 [2016]
  • “도서 영유권 분쟁관련 국제판례에서 나타난 실효적 지배 내지 점유개념과 독 도영유권문제”
    박기갑 「국제법학회논총」제45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회 [2000]
  • “니카라과 콜롬비아 간 도서영유권 및 해양경계획정 분쟁에 관한 ICJ 판결의 분석 및 시사점”
    윤영민 「해사법연구」제25권 제3호, 한국해사법학회 [2013]
  • “남중국해 해양분쟁의 국제법적 쟁점”
    정갑용 「해사법연구」제27권 제2호, 한국해 사법학회 [2015]
  • “남중국해 중재판정의 국제해양법상 도서제도에 대한 영향”
    이석용 「영토해양연 구」제12권, 동북아역사재단 [2016]
  • “남중국해 바위섬에 관한 상설중재재판소판정에 따르는 섬으로서 독도”
    김태운 「해 사법연구」제28권 제3호, 한국해사법학회 [2016]
  • “국제판례를 통해 본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에 관한 소고”
    김석균 「해사법연구」제21 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9]
  • “국제사법재판소의 흑해해양경계획정사건 판결에 나타난 특징분석”
    이석용 「서울법 학」 제20권 제2호,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국제사법재판소의 도서영유권 및 해양경계획정 관련 분쟁해결”
    이석용 「국제법학 회논총」제51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2006]
  • “국제법상 해양관할수역을 갖는 독도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김임향 「해사법연 구」제30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 [2018]
  • “日, 독도 단독 제소 판단 차기 정권에 넘겨”
    김종현 「연합뉴스」, 년 11월 26일, https://m.yna.co.kr/view/AKR20121126033600073 [2012]
  • “日, "강제징용 판결 ICJ 제소" 자신감 내비치는 속내는?”
    김태훈 「세계일보」, 년 11월 8일, http://www.segye.com/newsView/20181108001195 [2018]
  • “中 시진핑 ‘日의 댜오위다오 국유화는 코미디’”
    최유식 「조선일보」, 년 9월 20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20/201209200 0209.html [2012]
  • “[심층인터뷰] 박춘호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 ‘동북아 해상 영유권 화약고’ 독도 대처 차분히”
    이석우 「서울신문」, 년 8월 5일, 6면 [2008]
  • “UN해양법협약상 중재재판소 판례의 독도문제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차 고스군도 사건을 중심으로”
    김임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UN, 일본이 콘크리트 덧씌운 암초를 일본 섬으로 인정”
    장상진 「조선일보」, 년 4월 29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29 /2012042900904.html?Dep0=twitter&d=2012042900904 [2012]
  • “ITLOS의 벵갈만 해양경계획정사건 판결에 나타난 특징분석”
    이석용 「강원법학」 제39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 “ITLOS의 방글라데시-미얀마 경계획정 사례의 의미와 시사점”
    양희철 「독도연구저 널」제20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2]
  • “Disputes over Islands and the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C. H. Schofield 동북아역사재단 편, 독도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학술자료집, 년 8월 6일 [2009]
  • “1802년 일본 지도 ‘독도는 조선의 것’”
    이영희 「중앙일보」, 년 7월 17일, 1 면 [2015]
  • Zou Keyuan, “Maritime Legislation of Mainland China and Taiwan : Developments, Comparison, Implications, and Potential Challenges for the United States”, Ocea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Law, Vol.31(2000).
  • Zou Keyuan, “China’s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 : Developments, Problems, and Prospects”, Marine Policy, Vol.35(2001).
  • Yoshiro Matsui, “International Law of Territorial Acquisition and the Dispute over the Senkaku Islands”, The Japanese Annual of International Law, Vol.40(1997).
  •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1956.
  •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1954.
  • Y. Tanaka, Predictability and Flexibility in the Law of Maritime Delimitation, United Kingdom : Hart Publishing, 2006.
  •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1969.
  • United Nations Document, A/RES/195(III), 12 December 1948.
  •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1982.
  •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Oceans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Affairs, “Straight Baselines and Territorial Sea Claims: China”, Limits in the Seas, No.117, New York : United Nations, 1996.
  •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Oceans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Affairs, “Straight Baseline and Territorial Sea Claims: Japan”, Limits in the Seas, No.120, New York : United Nations, 1998.
  • UN Office for Ocean Affiars and the Law of the Sea, The Law of the Sea: R gime of Islands, New York : United Nations, 1988.
  •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Philippines v. China), Award, PCA, 12 July 2016.
  • Territorial and Maritime Dispute(Nicaragua v. Colombia), Judgment of 19 November 2012.
  • Territorial and Maritime Dispute between Nicaragua and Honduras in the Caribbean Sea (Nicaragua v. Honduras), Judgment, ICJ Reports 2007.
  • Shunji Yanai,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D. V. Attard, The IMLI Manual on International Maritime Law, Vol.Ⅰ, United Kingdom : Oxford University Press(2014).
  • Shi Jiuyong,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Jurisprudenc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9(2010).
  • Shabtai Rosenne, The Law and Practice of the International Court 1920-2005, 4th ed., Vol. I, Leiden : Martinus Nijhoff Publisher, 2006.
  • S. P. Sharma, Territorial Acquisition Disputes and International Law, Hague : Martinus Nijhoff Publisher, 1997.
  • S. Oda, “Exclusive Economic Zone”, in R. Bernhardt,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Vol.11. Amsterdam : North-Holland Publishing Co., 1989.
  • S. N. Nandan and S. Rosenn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1982: A Commentary, Vol.3, Dordrech t: Martinus Nijhoff Publisher, 1995.
  • S. A. Alexandrov, “Delimitation of the Continental Shelf in an Enclosed Sea”, Hague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Vol.5(1992).
  • R. W. Smith & B. L. Thomas, “Island Disputes and the Law of the Sea : An Examination of Sovereignty and the Delimitation Disputes”, Maritime Briefing, Vol.2, No.4(1988).
  • R. R. Churchill, “The Bangladesh/Myanmar Case : Continuity and Novelty in the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Cambridge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Vol.Ⅰ(2012).
  • R. R. Churchill & A. V. Lowe, The Law of the Sea, 3rd ed., United Kingdom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 R. D. Hodgson, “Islands : Normal and Special Circumstances”, in J. K. Gamble & G. Pontecorvo eds., The Law of the Sea : The Emerging Regime of the Oceans, Cambridge : Ballinger Publishing Co., 1973.
  • R. D. Hodgson & R. W. Smith, “The Informal Single Negotiating Text (Committee Ⅱ): A Geographical Perspective”, Ocea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Law, Vol.3(1976).
  • P. B. Beazley, Maritime Limits and Baselines: A Guide to Their Delineation, United Kingdom : Hydrographic Society, 1987.
  • Nuno Marques Antunes, Towards the Conceptualisation of Maritime Delimitation: Legal and Technical Aspects of a Political Process, Boston : Martinus Nijhoff Publisher, 2004.
  • North Sea Continental Shelf(Federal Republic of Germany/Denmark; Federal Republic of Germany/Netherlands), Judgement, ICJ Reports 1969.
  • M. N. Shaw, International Law,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M. J. Valencia, “Northeast Asia: Petroleum Potential, Jurisdictional Claim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cean Development & International Law, Vol.20(1989).
  • M. Gjetnes, “The Spratlys : Are They Rocks or Islands?”, Ocea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Law, Vol.32(2001).
  • Land and Maritime Boundary between Cameroon and Nigeria(Cameroon v. Nigeria: Equatorial Guinea intervening), Judgement, ICJ Reports 2002.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ICJ Reports 2001.
  • L. Caflisch, A Handbook on the New Law of the Sea, Vol.Ⅰ, Dordrecht : Martinus Nijhoff Publisher, 1991.
  • Kiyofumi Nakauchi, “Problems of Delimitation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Sea of Japan”, Ocean Development & International Law, Vol.6(1979).
  • K. E. Calder, “China and Japan’s Simmering Rivalry”, Foreign Affairs, Vol.95, No.2(2006).
  • Jeanette Greenfield, China’s Practice in the Law of the Sea, New York : Clarendon Press, 1992.
  • J. R. Prescott & C. H. Schofield, The Maritime Political Boundaries of the World, 2nd ed., Leiden : Martinus Nijhoff Publisher, 2005.
  • J. M. Van Dyke, J. R. Morgan, & Jonathan Gurish,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f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When Do Uninhabited Islands Generate an EEZ?”, San Diego Law Review, Vol.25(1988).
  • J. M. Van Dyke & R. A. Brooks, “Uninhabited Islands : Their Impact on the Ownership of the Ocean’s Resources”, Ocean Development & International Law, Vol.12(2009).
  • J. I. Charney, “Rocks that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93(1999),
  • J. I. Charney, “Progress in International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Law”,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88, No.2(1994).
  • J. G. Merrils, Julie Dahlitz ed., “International Boundary in Theory and Practice : Precedents Established”, Peaceful Resolution of Major International Disputes, New York : United Nations(1999).
  • In the Matter of the Chagos Marine Protected Area Arbitration before an Arbitral Tribunal Constituted under Annex Ⅶ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between the Republic of Mauritius and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Award, 18 March 2015.
  • I. Brownlie,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Hungdah Chiu, “An Analysis of the Sino–Japanese Dispute over the Tiaoyutai Islets(Senkaku Gunto)”, Chinese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and Affairs, Vol.15(1999).
  • Hsu, “A Rational Approach to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Ocean Development & International Law, Vol.13(1983).
  • Hiran W. Jayewardene, The Regime of Islands in International Law, Dordrecht :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0.
  • Hankey, Blair and Legault, Leonard, “Method, Oppositeness and Adjacency, and Proportionality”, in J. I. Carney and L. M. Alexander eds., International Maritime Boundaries, Vol.Ⅰ, Dordrecht : Martinus Nijhoff Publisher (1993).
  • Guifang Xue, “Deep Danger: Intensified Competition in the South China Sea and Implications for China”, Ocean and Coastal Law Journal, Vol.17(2002).
  • G. V. Glahn, Law Among Nations: An Introduction to Public International Law, 5th ed., New York : MacMillan, 1985.
  • G. Fitzmaurice, “The Law and Procedur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ribunals”, British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Vol. 29(1952).
  • Erik Franckx, “The Regime of Islands and Rocks”, in D. V. Attard, The IMLI Manual on International Maritime Law, Volume Ⅰ: The Law of the Sea,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2014).
  • Eastern Greenland Case(Norway v. Denmark), 1933 PCIJ Report Ser. A/B, No. 53.
  • Dispute Concerning Delimitation of the Maritime Boundary between Bangladesh and Myanmar in the Bay of Bengal (Bangladesh v. Myanmar), Judgment of 14 March 2012.
  • D. W. Bowett, The Legal Regime of Islands in International Law, Dobbs Ferry, New York : Oceana Publications, 1979.
  • D. J. Harris, Cases and Materials on International Law, London : Sweet and Maxwell, 1979.
  • D. H. Anderson,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Black Sea Case(Romania v. Ukraine)”, The Law & Practice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Vol.8(2000).
  • D. E. Karl, “Islands and the Delimitation of Continental Shelf : A Framework fo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71((1977).
  • Convention o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Contiguous Zone, 1958.
  • Conven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1958.
  • Continental Shelf(Tunisia/Libya), Judgement, ICJ Reports 1982.
  • Continental Shelf(Libya/Malta), Judgement, ICJ Reports 1985.
  •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Black Sea(Romania v. Ukraine), Judgement of 3 February 2009.
  • C. R. Symmons, The Maritime Zones of Islands in International Law, Hague : Martinus Nijhoff Publisher, 1979.
  • Barbara Kwiatkowska,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nd Equitabl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Environmental Policy & Law, Vol.28(1988).
  • B. Vukas, Essays on the new Law of the Sea, Zagreb, Yugoslavia : Sveučiliš nanaklada Liber, 1985.
  • B. Kwiatkowska & Alfred H. A. Soons, “Entitlement to Maritime Areas of Rocks Which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Netherlands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Vol.21(1990).
  • B. H. Oxman, “The Territorial Temptation: A Siren Song at Sea”,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100(2006).
  • B. H. Oxman, J. I. Charney & L. M. Alexander eds., “Political, Strategic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Maritime Boundaries, Vol.Ⅰ (1993).
  • Aegean Sea Continental Shelf, Judgement, ICJ Reports 1978.
  • , 「동북아 해양법령집」
    외교통상부 조약국 서울 : 일조각 [2003]
  • , 「국제해양분쟁사례연구Ⅴ」
    해양법포럼 서울 : 해양수산부 [2006]
  • , “아베 일중관계 '경쟁서 협조로', 北비핵화는 양국 공통목표”, 「연합 뉴스」, 년 10월 26일
    데라사키 유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 /10/26/0200000000AKR20181026090700073.HTML?input=1195m. [2018]
  • , “독점발굴, 독도의 증언: 독도는 우리땅이다”,
    KBS KBS 스페셜 년 8월 19일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