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낙동강 하구 환경인자 상관관계 분석 및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diction of Topographic Change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김강민 2019년
' 낙동강 하구 환경인자 상관관계 분석 및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diction of Topographic Change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Nakdong river estuary
  • deposition
  • erosion
  • river discharge
  • river estuary barrage
  • surface sediments
  • tidal-current
  • tide
  • topographic change
  • wave
  • wave-induced current
  • 낙동강 하구
  • 조류
  • 지형 변화
  • 침식
  • 퇴적
  • 파랑
  • 표층 퇴적물
  • 하굿둑
  • 하천 유량
  • 해빈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2 0

0.0%

' 낙동강 하구 환경인자 상관관계 분석 및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diction of Topographic Change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의 참고문헌

  • 해역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해수유동 수치모 의
    류청로 윤한삼 이영복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64-268 [2006]
  • 해양조사원
    http://www.khoa.go.kr [2018]
  •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 공간 변화
    류청로 유창일 윤한삼 이인철 한국해양공학회지, 20권 6호, pp.54-60 [2006]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http://www.grandculture.net
  • 한국수자원공사
    http://busan.kwater.or.kr [2018]
  • 한국수문조사연보
  •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 화
    김성환 대한지리학회, 40권 4호, pp.416∼427 [2005]
  • 지질해양학
    오재경 인하대학교 출판부, pp. 197~217 [2003]
  • 이정만,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 구
    김기철 김재중 한국해양공학회지, 9권 1호, pp.120-131 [1995]
  • 유역별 강수통계정보
  •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보고서
    부산지방해양수산청 [2016]
  • 부산 신항만 건설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수리환경 특성 연 구
    정현돈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물환경정보시스템
    환경부 http://water.nier.go.kr
  • 명지녹산 해역 매립 후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김기철 김재중 한건모 한국해양공학회지, 7권 1호, pp.441-454 [1993]
  • 낙동강하굿둑 퇴사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995]
  • 낙동강하구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 낙동강하구둑 내의 퇴사량 산정에 관한 연구
    김병달 [2008]
  • 낙동강하구 연안사주 변화와 낙동강하굿둑과의 상관 성에 대한 연구 용역
    한국수자원공사 , pp.170∼189 [2016]
  • 낙동강하구 사주지형의 시공간적 변화와 SS거동과의 상관성
    이인철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41-245 [2006]
  • 낙동강 하굿둑 유지관리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2008]
  •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류청로 장선덕 한국해양학회지, 14권 2호, pp.71-77 [1979]
  •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류청로 이문옥 이재철 장선덕 한국해양학 회지, 16권 1호, pp.31-37 [1981]
  • 낙동강 하구의 물리적 해황에 관한 연구
    윤갑동 어업기술, 24권 (2,3), pp.65-70 [1988]
  • 낙동강 하구의 간석지
    반용부 지리학연구, 9권, pp.537-559 [1984]
  •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 환경 변화
    김석윤 하정수 한국수산학회지, 34권 3호, pp.268-278 [2001]
  • 낙동강 하구역의 토사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김미은 윤은찬 이종섭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614-617 [2007]
  • 낙동강 하구역 해수유동 특성과 부유사 수송량 산정
    김상우 부경대 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와 신자도 전면의 최근(2006년-2012년)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박진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 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한국해안 해양공학회논문집, 21권 6호, pp.444-452 [2009]
  •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강윤구 류청로 유창일 윤한삼 한국해양공학회지, 21권 2호, pp.22-34 [2007]
  • 낙동강 하구역 사주지형변동과 부유 사(SS) 수송량 산정 -진우도를 중심으로-
    김헌태 윤한삼 이인철 임성필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권, pp.13-20 [2008]
  •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김기철 장성태 한국해양학회지, 11권 1호, pp.11-20 [2006]
  •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수유동
    김기철 장성태 동아대학교 해양자원연 구소 연구논문집, 10권, pp.11-17 [1997]
  • 낙동강 하구언 축조전후 주요환경 변화조사
    부산지방해양환경청 [1982]
  • 낙동강 하구사주의 지형조사와 해저토 이동방향에 관한 연구(Ⅱ),
    김진후 이상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권 3-B호, pp.365-370 [2002]
  • 낙동강 하구 표층퇴적물 분석 및 사 주 지형변화
    권소현 김강민 백동진 이중우 한국항해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2018]
  • 낙동강 하구 진우도 주변의 해저지형 변화에 관한 연구
    박봉운 동 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의 변화
    반용부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40권, pp.155-195 [1995]
  • 낙동강 하구 사주의 지형조사와 해 저토 이동 방향에 관한 연구(Ⅰ)
    김진후 박운용 신동수 이상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7권 1-6호, pp.553-558 [1997]
  •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권 3호, pp.26-36 [2003]
  • 낙동강 유역 종합치수계획
    국토교통부 [2009]
  • 낙동강 연안사주 변화와 낙동강 하굿둑과의 상관성 연구용역
    한국수자원공사 , pp.45-77 [2015]
  • 낙동강 생태계모니터링(2012∼2013)
    부산광역시 낙동강 생태계모니터링(2012∼2013), pp.39-55 [2013]
  •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권혁재 지리학회지, 8호, pp.8-23 [1973]
  •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 퇴적물 분석
    반용부 경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115 [1986]
  •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오건화 한국제4기학회지, 13권 1호, pp.67-89 [1999]
  •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유창일 윤한삼 이인철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권 1호, pp.13-20 [2007]
  • 기상자료포털
    기상청 [2018]
  • “부산만 해저지질의 특성연구 ; 낙동강 하구 수역의 퇴적 영 력”
    이유대 한국지구과학회지, 14권 1호, pp.67∼74 [1993]
  • “문헌고찰을 통한 낙동강 하구역의 해저표사 공간분포”
    유창일 한 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22∼227 [2006]
  • “명지대교 건설에 따른 퇴적물 이동변화에 관한 연 구검토 보고서”,
    한국해양공학회 pp.9∼111 [2003]
  • “드론을 이용한 부산 신호항 인근 표층퇴적물 채취 및 물리 적 특성 분석”
    우아현 동아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관한 고 찰”
    김원형 이형호 한국지구과학회지, 16권 3호, pp.180∼188 [1980]
  •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 퇴적물의 특성 및 퇴적환경”
    하정수 부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윤은찬 이종섭 한 국해안 해양공학회논문집, 20권 4호, pp.372∼389 [2008]
  • “낙동강 하구둑 건설에 따른해역의 염분 영 향분석 및 하구둑 운영 개선방안”
    백경훈 신성교 홍석진 부산발전연구원 보고서(2006-6), pp. 34-36 [2006]
  • “낙동강 하구 울타리섬(가덕도∼다대포 사이 울타리형 모래 톱) 육지화 진행”
    반용부 부산일보 [2015]
  •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섬들의 해 안선 변화율 연구”
    김백운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153 [2012]
  • Young I. R. and Banner M. L.(1991),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Evolution of Fetch Limited Waves, Breaking Waves, pp.267-275
  • Weber, S. L.(1991b). Eddy-viscosity and drag-law models for random ocean wave dissipation. Journal of Fluid Mechanics, 232, pp.73–98
  • Weber, S. L.(1991a). Bottom friction for wind sea and swell in extreme depth limited situations. Journal of Physical Oceano., 21, pp.149–172
  • Vincent, C. L., J. M. Smith and J. Davis.(1994), Parameterization of wave breaking in models, Proc. of Int. Sy,p.. Waves-Physical and Numerical Modeling, Univ.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M. Isaacson and M. Quick (Eds.), Vol. Ⅱ, pp.753-762
  • Villaret, C. and M. Paulic(1986), Experiments on the erosion of deposited and placed cohesive sediments in an annular flume and a rocking flume, Coa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Dept., University of Florida, Report UFL/COEL-86/007, Gainesville, FL
  • UNDP/FAO(1977), The Investigation of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 Tolman H. L.(1992), An evaluation of expressions for wave energy dissipation due to bottom friction in the presence of currents, Coastal Engineering, Volume 16, issue 2, pp.165-179
  • Thornton, E. B., & Guza, R. T.(1983). Transformation of wave height distribu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8, pp.5925–5938
  • Stelling G.S.(1984), On the construction of computational methods for shallow water flow problems, Rijkswaterstaat Communications No. 35/1984, The Hague, Netherlands
  • Soulsby, R.L.(1983), The bottom boundary Layer in the shelf seas; Johns, B. (Eds); Physical Oceanography of Coastal and Shelf Seas,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Amsterdam, pp.189-266
  • Snyder R. L. et al.(1981), Array measurements of atmospheric pressure fluctuations above surface gravity waves,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ume 102, pp.1-59
  • Shrestha, P.A. and G.T. Orlob(1996), Multiphase distribution of cohesive sediments and heavy metals in estuarine systems, J. Envion, Engrg., 122, pp.730-740
  • ShemdinK et al.(1978), Nonlinear and Linear Bottom Interaction Effects in Shallow Water, Turbulent Fluxes Through the Sea Surface, Wave Dynamics and Prediction, pp.347-372
  • SWAN모델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입사파향별 파랑분포 특성
    류승우 류청로 박순 박효봉 윤한삼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지, 12권 3 권, pp.188-196 [2009]
  • Philips, O.M.(1957), On the Generation of Waves by Turbulent Wind, Journal of Fluid Mechanics, 2, pp.417-455
  • Nishimura, H(1985), Numerical Simulation of the Nearshore Circulation, Proceedings 29th Japanese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JSCE, 28
  • Nelson, R. C.(1994), Depth limited wave heights in very flat regions. Coastal Engineering, 23, pp.43–59
  • Miles J. M.(1957), On the generation of surface waves by shear flows,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ume 3, Issue 2, pp.185-204
  • Metha, A.J(1986), Characteriz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and transport processes in estuarie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mics, A.J. Metha ed., Springer-Verlag, Berlin, pp.290-325
  • Madsen, O. S., Poon, Y. K., & Graber, H. C.(1988). Spectral wave attenuation by bottom friction: Theory. In Proceedings of the 21st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New York: ASCE, pp.492–504
  • Luo, W. and J. Monbaliu.(1994), Effects of the bottom friction formulation on the energy balance for gravity waves in shallow water, J. Geophys. Res., Vol. 99, No. C9, 18, pp.501-511
  • Longuet-Higgins, M.S(1970), Longshore currents generated by obliquely incident sea waves, Journal Geophysical Research, 75(33), pp.6778-6801
  • Kuik. A. J.(1988), A Method for the Routine Analysis of Pitch-and-Roll Buoy Wave Data,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Vol. 18, pp.1020-1034
  • Komen G. J. et al.(1984), On the Existence of a Fully Developed Wind-Sea Spectrum, Max-Planck-Institut f r Meteorologie, Hamburg, FRG
  • Johnson, I. G.(1980), A new approach to rough turbulent boundary layers, Ocean Engineering, Vol. 7, pp.109-152
  • Johnson, I. G.(1966), Wave boundary layers and friction factors, Proc. 10th Int. Conf. Coastal Engineering, ASCE, pp.127-148
  • Johnson, I. G. and Carlsen N. a.(1976),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in an oscillatory turbulent boundary layer, J. Hydraulic Research, Vol. 14, pp.46-60
  • Janssen, Peter A. E. M.(1991), Quasi-linear Theory of Wind-Wave Generation Applied to Wave Forecasti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Royal Netherlands Meteorological Institute (KNMI), De Bilt, The Netherlands
  • Hasselmann, S., Hasselmann, K. and Komen, G.J.(1974), On the existence of a fully developed wind-sea spectrum,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Vol. 14, pp.1271-1285
  • Hasselmann, K.(1974), On the spectral dissipation of ocean waves due to white capping, Boundary-Layer Meteorology, Volume 6, Issue1-2, pp.107-127
  • Hasselmann, K.(1962), On the non-linear energy transfer in a gravity wave spectrum. Part 1:General theory, J. Fluid Mech, Vol. 12, pp.481-500
  • Hasselmann, K. et al.(1973), Measurements of wind-wave growth and swell decay during the Joint North Sea Wave Project(JONSWAP), Deutches Hydrographisches Institut
  • Hasselmann, K. & Collins, J. I.(1968). Spectral dissipation of finite depth gravity waves due to turbulent bottom friction. Journal of Marine Research, Vol. 26, pp.1–12
  • Folk and Ward(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pp.3-26
  • Eldeberky, Y.(1996), Nonlinear transformations of wave spectra in the nearshore zone. (Ph.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Delft, Netherlands
  • Eldeberky, Y. and J. A. Battjes(1996), Parameterization of triad interactions in wave energy models, Proc. Coastal Dynamics Conf. ‘95, Gdansk, Poland, pp.140-148
  • Collins, J. I.(1972), Prediction of shallow water spectr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77(15), pp.2693–2707
  • Charnock H.(1955), Wind stress on a water surface,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ume 81, Issue 350, pp.639-640
  • Cavaleri L. and Malanotte Rizzoli(1981), Wind wave prediction in shallow water: Theory and applications, JGR Oceans, Volume 86, Issue C11, 20
  • Battjes, J. A., & Stive, M. J. F.(1985).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a dissipation model for random breaking wav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C5), pp.9159–9167
  • Battjes, J. A., & Janssen, J. P. F. M.(1978). Energy loss and set-up due to breaking of random waves. In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Hamburg, Germany, pp.569–587
  • Bagnold, R.A.(1966), An Approach to the Sediment Transport Problem from General Physics Geological Survey Prof., Paper 422-Ⅰ, Washington
  • , 낙동강 하굿둑 운영방법에 따른 상류 둔치부 홍수위 검토
    안상도 한국위기관리논문집 10권 7호, pp.139-14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