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김명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배움의 공동체
  • 통합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55 0

0.0%

'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의 참고문헌

  • 희망의 학교를 꿈꾸다
    박현숙 서울: 해냄 [2013]
  •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앵커드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 용 (2)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학습장애연구 , 7(3), 43-61 [2010]
  • 활동중심 국어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 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김명숙 임경원 홍재영 특수교육학연구, 49(1), 303-321 [2014]
  • 협력교수를 통한 초등 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 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승희 이영아 특수교육. 13(1), 245-271 [2014]
  • 협력교수가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수업선호도,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김애화 유현주 학습장애연구 , 8(2), 183-204 [2011]
  • 협력교수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및 교사와 일반아동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곽은정 신진숙 지적장애연구 , 13(3), 69-90 [2011]
  • 협동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인지 및 언어발달 에 미치는 효과
    이윤미 특수교육학연구 , 48(3), 67-87 [2013]
  •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 지능과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
    박승희 홍정아 특수교육학연구 , 49(2), 213-239 [2014]
  • 협동학습 : 배움의 공동체를 위한 필요조건
    윤상혁 수학교육 학술지, 2011(1), 179-189 [2011]
  •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 실행 연구
    박대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 13(5), 383-411 [2013]
  •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2015]
  •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 찾기
    유혜령 현상 해석학적 교육연구, 10(1), 5-31 [2013]
  • 혁신학교 조현초 4년의 기록 학교가 달라졌다
    이중현 서울: 우리교육 [2012]
  • 혁신학교 운동을 위한 수업 혁신 모델 비교 연구
    김현섭 열린교육실행연구, (14), 55-78 [2011]
  •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서용선 서울: 살림터 [2012]
  • 한국의 통합교육 실태 및 지원체계
    김은숙 2017 공주대학교 BK21플러스 국제학 술대회 논문집, 3-13 [2017]
  • 한국의 교육 생태계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5]
  •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 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승희 허희선 특수교육, 10(1), 155-186 [2011]
  • 학급차원의 긍정적인 행동지원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장애 학생과 그 또래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박지연 특수교육학연구 , 40(2), 355-376 [2005]
  •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학 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삼성 이효신 정서ㆍ행동장애연구 , 28(3), 1-35 [2012]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장애학 생과 그 또래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송중만 특수교육학연구 , 40(2), 335-376 [2006]
  • 학교 교육의 형식성과 배움의 공동체의 무형식성. 석사학위논문
    이재창 인하대 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김성애 유아특수교육연구 , 10(2), 23-49 [2010]
  •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김현아 양경숙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8(2), 33-51 [2011]
  • 팀강화 및 전체강화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영어시간 의 학급풍토와 학생들의 영어받아쓰기 성취도에 미친 효과
    박승희 최재완 특수교육학연구 , 48(3), 227-246 [2013]
  • 특수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김삼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특수교육에서의 AAC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2(2), 131-138 [2014]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이은주 특수아동교육연구 12(2), 1-29 [2010]
  •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승희 유은정 특수아동교육연구, 11(1), 95-120 [2009]
  •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번영 박승희 특수교육학연구 , 42(1), 19-49 [2007]
  •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 습원리를 중심으로-
    박혜준 통합교육연구 5(2), 103-128 [2010]
  •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경일 김용욱 우정한 조태곤 특수교육저 널 : 이론과 실천, 15(1), 79-98 [2014]
  •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1993년과 2008년의 태도 비교
    정정진 통합교육연구, 4(1), 2009., 101-133 [2009]
  • 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은주 박현옥 특수교육학연구 , 38(4), 285-309 [2004]
  • 통합교육 질 지표의 개발과 활용
    박승희 최선실 홍정아 특수교육학연구 , 47(1), 2012., 87-117 [2012]
  • 통합교육 지원프로그 램 –서로 다른 아이들이 함께 만드는 우정-
  • 통합교육 담당교사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권현수 한국교원교육연구 , 27(4), 71-96 [2010]
  • 통합교육 관점에서 본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방향
    이대식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1), 95-116 [2013]
  •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임병덕 서울: 교육과학사 [1998]
  •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험연구 동향분석
    곽승철 김명희 특수교육교과교육연 구, 8(2), 145-175 [2015]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권효숙 유지영 뇌교육연구 16(-), 93-128 [2015]
  • 체육수업에서 긍정적 경험의 축적 및 확장 :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생태학적 평가기반 수업. 박사학위 논문
    홍재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질적연구 방법의 이해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이근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학술발표대 회논문집, 2011(3), 29-48 [2011]
  •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한 교실 붕괴 현상의 이해와 진단
    이혁규 교육인류학연구, 6(2), 125-164 [2003]
  • 좋은 수업을 하는 통합학급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김수연 통합교육연구 , 6(1), 65-87 [2011]
  • 정신지체 : 이해와 교육
    백은희 경기: 교육과학사 [2005]
  • 전문가학습공동체가 학교혁신에 주는 정책 시사점: 미국의 성공적 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박종필 이경호 교육정치학연구, 19(4), 133-153 [2012]
  • 장지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지원 중재 연구의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소현 이지연 자폐성 장애연구 16(1) [2016]
  •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시사점
    김봉세 정동영 정윤우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 14(1), 99-128 [2014]
  •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강종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2(1) [2013]
  • 장애유아 통합교육기관의 협력교수 수행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박소영 단국대 학교 대학원 [2008]
  • 작은 학교 행복한 아이들
    작은학교교육연대 서울: 우리교육 [2009]
  • 자폐성 장애아 부모의 삶과 교육에 대한 존재론적 사유. 박사학위논문
    이원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 일본의 ‘배움의 공동체 운동’ 사례 연구
    유상덕 한국교육연구 , 11(1), 85-110 [2006]
  • 일반학급에 통합된 경도장애아동을위한 효과적인 통합교육 모형 개발 연구
    김연진 이대식 이민주 교육논총 24(-), 209-236 [2004]
  • 일반교사의 장애인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관계 분석
    김용욱 우정한 특수교 육저널 : 이론과 실천, 15(2), 55-84 [2014]
  • 일반교사들이 특수아 지도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가 지원
    이대식 한국교원 교육연구, 22(3), 263-279 [2005]
  • 의견교환하기 교수학습이 초등부 건청학생과 통합된 청각장애학생 의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승숙 허명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1(2), 197-220 [2012]
  • 위기학생 지도와 인성교육의 중요성
    현 주 Issue Paper, 2013 제 2호 [2013]
  • 연구공동체’ 교사의 ‘배움의 공동체’ 역사 수업 연구: 지향과 실제
    김민정 역사교 육연구, (25), 7-48 [2016]
  •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이야기 읽기 교수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의 기본 감정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효과
    김은경 송인혜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7(3), 87-122 [2011]
  • 수업협의회에 기초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전현곤 한대동 한국교 원교육연구 , 24(3), 197-219 [2007]
  •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음악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사례연구. 석사학위논 문
    하명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회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김경은 열린 교육연구, 18(4), 31-55 [2010]
  • 수업의 두 측면: 안과 밖. 석사학위논문
    김명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수업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전현곤 한대동 교육 학연구, 47(1), 119-144 [2009]
  • 수업을 비우다 배움을 채우다
    의정부여자중학교 서울: 에듀니티 [2015]
  • 수업에서의 인성교육 원리: 대화와 참여를 촉진하는 배움의 공동체 형성
    김민성 교육심리연구 , 28(1), 117-142 [2014]
  •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탐색
    서근원 손종현 교육종합연구, 12(2), 57-77 [2014]
  •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이대식 통합교육연구 , 2(1), 1-27 [2007]
  •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 적 지식
    이권재 임경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6(3), 49-82 [2017]
  • 사회과 수업의 협력적 실행연구
    천호성 사회과교육 46(3), 5-30 [2007]
  •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문정애 한국일본교육학연구 , 16(1), 31-48 [2011]
  •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이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 향
    곽승철 최유림 특수교육논집 , 21(-), 101-115 [2017]
  • 비고츠키 이론에 기반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이 고등학생의 사회성과 성 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유라 창원대학교 [2013]
  •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 통합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승희 조선화 특수교육학연구 46(2), 51-84 [2011]
  • 보편적 교수 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곽승철 지체중복건 강장애연구 , 53(4), 1-29 [2010]
  • 배움의 공동체학교 운영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천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 문
    윤순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배움의 공동체의 인식론적 배경탐구
    박동섭 이영만 초등교육연구, 23(1), 183-209 [2010]
  • 배움의 공동체와 수업혁신
    고남숙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2), 229-242 [2011]
  • 배움의 공동체식 영어수업이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손유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배움의 공동체 학교의 사회과 수업 실천 사례 비교. 석사학위논문
    김효수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 배움의 공동체 철학을 활용한 모둠주도형 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혜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배움의 공동체 철학을 적용한 음악수업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희정 전남 대학교 대학원 [2015]
  • 배움의 공동체 직무연수자료
    손우정 서울: 에듀니티 행복한 연수원 [2015]
  • 배움의 공동체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 문
    오승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의 통합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곽승철 김명희 특수교 육, 15(1), 151-179 [2016]
  • 배움의 공동체 방식의 교사학습공동체 구축에 관한 실행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홍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 배움의 공동체
    손우정 서울: 해냄 [2012]
  • 배움과 돌봄의 학 교공동체
  • 배움 공동체와의 비교를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방법론 개선 방안
    김회용 오창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3), 127-152 [2010]
  • 배수진 가정과 연계한 AAC 말하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의 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특수학교에서 실시한 일상 경험 말하기 프로그램 사 례를 중심으로-
    민미영 지경미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5(2), 125-155 [2017]
  • 발달장애학생 부모의 통합교육 인식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곽승철 이원희 특수교육학연구 , 49(3), 89-119 [2014]
  • 발달장애유아 및 학생의 자기결정 기술 촉진을 위한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 장의 과제
    김성애 지적장애연구 , 3(-), 93-105 [2001]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곽승철 이유리 특 수아동교육연구 , 16(1), 127-156 [2014]
  • 미국의 통합교육 관련 통계자료가 국내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
    이미숙 지체 중복건강장애연구, 55(2), 57-74 [2012]
  •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 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신혜순 발달장애연구, 17(4), 29-55 [2013]
  • 또래 중재가 읽기장애아동 및 또래교사의 읽기유창성 향상에 미치 는 효과
    김동일 이태수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7(3), 121-135 [2006]
  • 동화활용 수학수업을 통해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은해 임경원 지적 장애연구, 17(1), 269-293 [2015]
  • 대중음악을 활용한 음악수업에서 얻게 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 의 실천적 지식
    문혜리 임경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3), 135-162 [2016]
  • 다문화교육과 통합교육의 연계적 개념고찰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이은정 최진오 교양교육연구, 10(3), 179-210 [2016]
  • 놀이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학수업에서 나 타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김대권 임경원 홍재영 교육종합연구, 11(1), 205-235 [2013]
  • 내용교수지식 (PCK)을 적용한 배구수업 실행연구
    허 정 대구가 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나딩스 배려교육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유재봉 임정연 도덕교육연구, 24(2), 135-162 [2012]
  • 긍정탐색 모형을 활용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 설계
    김효정 박수홍 허성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7(2), 334-342 [2016]
  •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 업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민휘 백은희 특수교육학연구 , 45(1), 269-289 [2010]
  •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문장원 재활심리연 구, 18(3), 301-319 [2011]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전략 교수가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 오정민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4(2), 1-30 [2018]
  • 국어교과 수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의 과정과 중학생들의 장애 인식 변화
    김수연 임경원 통합교육연구 , 12(2), 199-229 [2017]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강민채 특수아동교육연구 , 13(3), 163-183 [2011]
  •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강지영 소경희 아시아교육연 구, 12(3), 197-224 [2011]
  • 국내 ‘통합교육프로그램’ 학위 논문의 최근 연구 동향
    김동일 정광조 특수교육학 연구, 40(2), 333-353 [2005]
  •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 방법
  • 교육철학 및 교육사
    윤재홍 서울: 학지사 [2018]
  • 교육인류학과 질적연구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2012]
  •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교육학적 내용지식 변화에 관한 실행연구
    남도희 남윤석 특수교육학연구 , 45(4), 47-70 [2011]
  • 교육과정의 수정과 조절을 통한 통합교육 교수적합화
    신현기 서울: 학지사 [2008]
  • 교실 수업의 혁신과 지원을 위한 수업분석의 방법과 실제(2) -질적 연 구방법을 중심으로-
    천호성 서울: 학지사 [2016]
  • 교수적합화를 통한 초등학교 정신지체 장애아동의 통합체육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이만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 교수적 수정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도, 문제행동, 학습 목표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황인영 특수교육학연구 40(1), 179-199 [2005]
  •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 구. 박사학위 논문
    이경숙 경상대학교대학원 [2015]
  •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리교사 전문성 발달. 박사학위논문
    김대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 교사전문성과 수업: 질적연구를 통한 실천적 접근
    오영범 경기: 교육과학사 [2017]
  •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전문성 성장과정;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연구 . 박사학위논문
    김성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조성민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2009]
  •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김태현 서울: 좋은교사 출판부 [2012]
  • 교사, 삶에서 나를 만나다
    김태현 서울: 에듀니티 [2016]
  • 교사, 교육전문가로 성장하다
    하건예 경기: 행복한미래 [2018]
  • 고등학교 2학년 수학과에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의 효과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서우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
    황성원 비교교육연구 , 19(2), 147-173 [2009]
  • 教師たちの挑戦. 손우정 (역)(2013). 교사의 도전
    佐藤學 서울: 우리교육 [2013]
  • 敎育改革をデザインする. 손우정 (역)(2009). 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佐藤學 서 울: 학이시습 [2007]
  • 敎育の方法. 박찬영 (역)(2011). (세계적 혁신 교육의 선구자 사토 마나 부 선생의)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佐藤學 서울: 살림터 [2010]
  • 授業を變える學校が變わる. 손우정 (역)(2015).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 뀐다
    佐藤學 서울: 에듀니티 [2011]
  • 學び合う學びが深まるとき. 방지현, 이창희 (공역)(2014). 아이들의 배움 은 어떻게 깊어지는가 ?(이시이 쥰지)
    石井順治 서울: 살림터 [2013]
  • 學びから逃走する子どもたち. 손우정, 김미란 (공역)(2003). 배움으로부 터 도주하는 아이들
    佐藤學 경기: 북코리아 [2003]
  • 学校の挑戦: 学びの共同体を創る. 손우정 (역)(2012). 학교의 도전
    佐藤學 서울: 우리교육 [2012]
  • ‘배움의 공동체’에 기초한 수업 사례 참여 관찰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유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배움의 공동체’에 기반한 혁신학교의 음악수업 사례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배움의 공동체’ 기반 창작표현활동이 체육수업소 외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박종성 한국체육대학교 [2013]
  •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 수학 흥미도 및 수학적 자기효능 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박영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Whitman, Thomas, L. (2011). Key learning skil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Wehmeyer, M. L., Argan, M, & Hughes, C. (2000). Teaching self-determinations to Student with Disabilties: Basic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Baltimore. MD: Paul H, Brookes.
  • Wehmeyer, M. L., & Schalock, R. L. (2001).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 and support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33(8), 1-16.
  • The Forth Way. 이찬승, 김은영. (공역)(2015). (학교교육) 제4의 길
    Hargreaves, A. Shirley, D. 서울: 21세기교육연구소 [2009]
  • Teachers’ Guides to Inclusive Practices: Modifying Schoolwork, Third edition.. 박윤정, 강은영, 김민영, 남경욱 (공 역)(2017).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Janney, R. Snell, M. E.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3]
  • Stringer, E. T. (2007). Action Research (3rd ed) . Thousand Oaks, CA: Sage.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 Schumuck, R. A. (1997). Practical action research for change . Arlington Height, IL: Skylight Professional Development.
  • Novak A. D. & Bartelheim, F. J. (2012). General Education Students’' Changing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urrent issues in education, Vol. 15, No. 2
  • Mitchell, L. Yell, Nancy, B. Meadows, Erik, Drasgrow, & James, G. Shriner (2010). Evidence-Based Practice for Educat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
  • Mills, G. E. (2011). 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 (4th ed) . Boston: Pearson.
  • Mills, G. E. (2007). 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3rd ed.) .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 Mertler, C. A. & Charles, C. M. (2011). Instruction to educational research(7th ed) . Boston: Allyn & Bacon.
  • McNiff, J., & Whitehead, J. (2006). All you need to know about action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 Lyons, W. (2016). Principal preservice education for leadership in inclusive schools. Canadian J ournal of action research, Vol. 7, 36-50.
  • Lyons, W. (2012). Examining role issues in inclusive classrooms throug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anadian J ournal of action research, V13, 19-37
  • Luiselli, James K. (2011). Teaching and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Lewin, K. (1946).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Journal of Social Issues, 2, 34-46.
  • Laura, J. Hall (2012). Autism spectrum disorders. Boston: Pearson.
  • Kourkoutas, E., Eleftherakism T. G., Vitalaki, E. & Hart, A. (2015). Family-School-Professionals Partnerships: An Action Research Program to Enhance the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Resilience of Children at Risk
  • Kemmis, S., & McTaggart, R. (2005).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ommunication action and the public sphere. In Denzin, N. K., & Lincoln, Y. S.,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s). Sage, Thousand Oaks: CA, pp. 559-603.
  • Kagan의 협동학습 구조를 적용한 사회수업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오 김성애 초등특수교육연구 , 14(1), 25-45 [2012]
  • Johnson, A. P. (2008). A short guide to action research(3rd ed) . Boston: Allyn & Bacon.
  • Hubband, R. S., & Power, B. M. (2003). The Art of classroom inquiry: A handbook for teacher-researchers (2nd ed) . Portsmouth, NH: Heinemann.
  • Hallahan, D. P., Kauffman, J. M., & Pullen, P. C. (2012). Exceptional Learners. Boston: Pearson Education.
  • Glense, C. (2006).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struction (3rd ed.). New York: Longman.
  •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1.
  • Bender Differentia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김자경, 김기주 (공역)(2007).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법
    William, N. 서 울: 시그마프레스 [2007]
  • Agrawal, N., Moya E. M., Yasui, N. Y. & Seymour, C. (2015).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ith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hotovoice for an Inclusive Campus. J 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28(2), 243-350.
  • Action research : improving schools and empowering educators.. 노경주, 박성선, 서순식, 윤혜경, 이면우, 추병완 (공역)(2015). 실행연구: 학교개선 과 교육자의 역량강화
    Mertler, C. A. 서울: 창지사 [2014]
  •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류태호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 21세기 유아교육의 과제에 따른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역할
    김성애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5-71 [2007]
  • . 곽승철, 임경원, 변찬석, 박계신, 황순영 (공역) 증거기반 실제를 통한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
    Disorders 경기: 교육과학사 [2010]
  • , 교사의 배움
  •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수업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3]
  • '배움의 공동체’에 기초한 사회과 수업 참여 관찰 연구
    채송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배움의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개혁에 관한 연구
    손우정 교육학연구 , 42(3), 375-396 [2004]
  • '배움의 공동체 수업'의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송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