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Participatory Use of K-Pop Youtube Contents in Trans Media Environment

김현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Participatory Use of K-Pop Youtube Contents in Trans Media Environmen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TS
  • K-Pop
  • Trans Media
  • Youtube Kpop contents
  • fandom
  • social network analysis(sna)
  • 연결망분석(SNA)
  • 케이팝(k-pop)
  • 트랜스미디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56 0

0.0%

'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Participatory Use of K-Pop Youtube Contents in Trans Media Environment' 의 참고문헌

  • 공저):김세은 김수미 김용찬 김희정 마정미 박태순 서명준 심영섭 이준웅 이영주 이희은 주재원 최영송 홍성일 황인성『커뮤니케이션의 새 로운 은유들』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 행정학 학문공동체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 구
    박치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권 4호, 129-153 [2012]
  • 한준 조선시대 서원의 배향인물 연결망
    송은영 <한국사회학>, 44 권 5호, 22-47 [2010]
  •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장규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1권 9호, 166-173 [2011]
  • 한류의 소비자 지각성 경제적 파급효과
    한은경 한국방송학보 [2005]
  • 한류의 무역창출효과, <경제분석>
    박순찬 최종일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제15권 [2003]
  •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집> 제 8권 제 6호
    김봉 안성아 황인석 한국콘텐츠학회. 140-150 [2008]
  •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박대민 박소정 홍석경 <한국언론학보>, 61권 6호, 318-353 [2017]
  • 한류관광 관련 연구동향 내용분석
    김미경 김보경 <호텔경영학연 구>, 23권 3호, 1-18 [2014]
  • 한류 제조하기: 역사제도주의적 해석
    김명수 <한국사회학>, 49 권 2호, 35-65 [2015]
  • 한국 멜로드라마 계보에서의 로맨틱코미디
    윤성민 <영상문화콘텐츠연구>, 9권, 107-120 [2015]
  • 포털사이트 TV콘텐츠 큐레이션에 나타난 스낵컬처 특성 분석
    김앵아 오영훈 <문화교류연구>, 6권 2호, 109-128 [2017]
  •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동후 <한국언론정보학보>, 172-192 [2012]
  • 팬덤의 기호와 문화정치
    이동연 <진보평론>, 8권, 437-449 [2001]
  • 팬덤 내 문화번역 차원의 중국어 유통
    양인화 <대중음악>, 14권, 98-132 [2014]
  •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김희경 남정은 <글로벌문 화콘텐츠>, 제 20호 , 30-33 [2015]
  • 통합 뉴스룸 환경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활용방안 연구
    김성철 윤영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 탈신화화하는 그들만의 놀이
    김형식 윤정민 <문화과학>, 78권, 201-221 [2014]
  • 케이 팝의 유럽적 수용과 문화 확산의 청소년 수용전략
    윤선희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135-161 [2013]
  •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방송콘텐츠 이용 행위에 관하 여
    김은미 이혜미 <한국방송학보>, 25(4), 39-81 [2011]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 적 접근
    김경모 <커뮤니케이션 이론>, 1권 2호, 162-207 [2005]
  •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파주: 교육과학사 [2015]
  • 지역교육청 기능 재검토를 위한 초등학교 공문서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의 적용
    박수정 최영출 <지방정부연구> 14권 3호, 165-188 [2010]
  •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상품 구매 및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형식 <소비자학연구>, 17권 3호, 79-101 [2006]
  • 종합편성채널 출범이 지상파 방송 뉴스에 미친 영 향
    윤석민 한수연 <한국방송학보>, 30(1), 169-210 [2016]
  • 정보발신자와 조기수용자의 위계와 관계가 정보확산에 미 치는 영향
    조웅현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Youtube)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박병언 임규건 <지능정보연구>, 21권 3호, 19-36 [2015]
  •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진 최영 <한국방송학보>, 30권 2호, 5-53 [2016]
  • 이용자 생산 컨텐츠(User-Generated Content) 플랫폼에서 생산자 참여 전 후의 이용자 기여 성과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손정민 <마케 팅연구>, 31권 1호, 31-55 [2016]
  • 이동후 역, <미디어생태학 사상>
    캐이시 맨 콩 럼 한나래 [2008]
  • 융합매체환경 하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심미선 <방송통신 연구>, 175-220 [2007]
  • 유튜브와 소녀시대 팬덤
    노광우 심두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호, 125-137 [2012]
  • 유튜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 의 확산
    송정은 장원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권 4호, 155-169 [2013]
  • 유튜버(YouTuber)와 KPOP MV Reaction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 유럽의 한류를 통해 본 문화혼종화 - KPOP 열풍을 중심 으로
    이수안 <한 독사회과학논총> [2012]
  •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 아이돌 그룹의 ‘공정한’ 선발을 위 한 모험
    김수아 <문화과학>, 92권, 285-298 [2017]
  • 싸이의 영상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 에 드러난 키치 (Kitsch)와 밈(Meme)에 대한 탐구
    이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권 11호, 148-158 [2013]
  • 실시간 인터넷 방송과 K-Pop, 그리고 수용자
    이규탁 <예술경영연구>, 39권, 33-65 [2016]
  •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채지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신유형 1인 미디어 콘텐츠 소비 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 1-78 [2017]
  • 시청행위의 복잡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안민호 <언론과 사회>, 17(3), 116-150 [2009]
  •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세대간 미디어 이용 특징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5권 1호 [2015]
  • 스낵미디어 산업동향
  • 수용자 파편화와 분극화 현상 분석을 통한 스포츠 방송 콘텐츠의 사회통합 기능 검증
    김기한 노예영 <미디어 경제와 문화>, 14권 1호, 7-38 [2016]
  • 수용자 분극화
    강남준 조성동 <한국방송학보>, 22권 5호, 323-361 [2008]
  • 소셜 웹 시대 팬덤문화의 변화
    김수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 보>, 31권 1호, 45-94 [2014]
  •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 맞춤형 정보추천 기법
    김보현 김연정 이민수 전련화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19(12), 668-672 [2013]
  •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 – 프랑 스에서 바라본 한류의 세계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홍석경 서울대학언론정보연구소 [2013]
  • 사회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이용한 온라인 공동체의 네트워 크 구조 탐색
    김병석 , 59-72 [2012]
  • 사회 네트워크 분석
    손동원 서울 : 경문사 [2002]
  • 사용자의 소셜 카테고리를 이용한 유튜브 동영상 추천 알고리즘
    유소엽 정옥란 <정보과학회논문지>, 42권 5호, 664-670 [2015]
  • 빅데이터와 사회과학
    이재현 <커뮤니케이션 이론>. 9권 3호, 127-165 [2013]
  • 북한에 아이돌 '엑소' 팬 있다?…트윗 15건 발견
    김윤상 『SBS』 [2017]
  • 방탄소년단: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소통 방식, 그리고 감 정노동
    이규탁 <문화과학>, 93권, 278-291 [2018]
  • 방탄소년단 성공 뒤엔..‘K-Pop 전문 채널’ 있었다
    박지현 『파이낸셜뉴스』 [2018]
  • 방송 프로그램의 크로스플랫폼 시청행위 측정을 위 한 방법론적 제언
    강남준 조성동 <한국방송학보>, 25권 3호, 7-45 [2011]
  • 미디어의 탈경계화
    백욱인 Trans-Humanities, 3권 1호, 185-207 [2010]
  •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플렛폼 전략, 김대호 외, 미디어생태 계, 5∼144
    안재현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권경은 김은미 <한국언론정보학 보>, 69권, 111-138 [2015]
  • 문화와 콘텐츠 산업 :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김인설 이종석 <문화체육관광부> [2012]
  • 문화연구에서 빅데이터의 효용과 의미
    김기홍 <인문콘텐츠>, 41권, 193-215 [2016]
  • 멀티미디어로서의 '보이는 라디오'
    이재현 <언론과 사회>, 15권 3호, 71-95 [2007]
  • 마케팅에서 Network 연구를 위한 탐색적 고찰
    김윤식 옥경영 한상만 홍재원 <소비자학연구>, 27권 3호, 219-239 [2006]
  • 리액션 비디오의 주목경제
    김예란 방송문화연구, 24(2), 161-192 [2012]
  •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음악시장 변화
    이충한 장미혜 <경제와 사회>, 230-256 [2006]
  • 드라마에 대한 TV수용자의 트위터 반응 연구
    권상희 최윤정 <사 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권 4호, 5-55 [2014]
  • 동남아 지역의 한류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수출과 FDI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강한균 <무역학회지>, 34권 1호, 29-47 [2009]
  • 대중음악(KPOP) 산업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
    강정수 김수철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21 [2012]
  • 다채널 시대 텔레비전 시청자의 동질성에 관한 연구
    김은미 <한 국방송학보>, 15권 2호, 43-80 [2001]
  • 다차원 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 미지 비교 분석 연구
    박천일 안민호 <서울도시연구>, 7권 4호, 95-113 [2006]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다채널 시대의 시청행태 분석
    강남준 정영호 <한국방송학보>, 24권 6호, 323-364 [2010]
  • 내 스타는 내가 키운다.커지는 '팬덤' 영향력
    박성희 『KBS』 [2017]
  •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SNS
    이재현 <커뮤니케이션 이론>, 8권 1호, 323-351 [2012]
  • 관계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뉴스 공유
    김은미 박현아 임소영 <한국방송학보>, 31권 3호, 114-151 [2017]
  • 관계망과 인터넷리터러시가 청소년의 온라인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미 양소은 <한국언론학보>, 61권 3호, 121-154 [2017]
  • 관계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Early Takeoff와 확산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옥경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9호, 348-356 [2012]
  • 『조선일보』
    최주용 싸이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 유튜브 30억뷰 돌파… 韓최초 최고 기록 [2017]
  • 『연합뉴스』
    김현재 유튜브, 유료 음악 서비스 '리믹스' 내년 3월 출시 [2017]
  •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연구』
  • 『광고 연구의 질적 방법론』
    정승혜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경향신문』
    김향미 한 달간 앨범 판매 신기록…숫자로 보는 방탄소년단 의 파워 [2017]
  • 『가요 K-Pop 그리고 그너머』
    신현준 돌베개, 45-46 [2013]
  • 『2017 글로벌 한류 트렌드』
    김덕중 김아현 남상현 서울:KOFICE [2017]
  • Youtube and K Pop fan's tribute activity
    Noh, Kwang Woo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24-32 [2015]
  • Yew, J. C.(2011), Social Performances: A Sociotechn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nline prosocial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 Webster. G.J(1989). Television audience behavior : Patterns of exposure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Salvaggio, J. L., & J. Bryant(Eds), Media Use in the Information Age.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 Webster,J.G.,&Phalen,P.F.(1997). The mass audience: Rediscovering the dominant model. Mahwah,NJ: Lawrence Elrbaum.
  • Webster,J.G.,&Ksiazek,T.B.(2012). The dynamics of audience fragmentation: Public attention in an age of digital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s
  • Wasko,M. M. and Faraj, S.(2000). ’It Is What One Does’: Why people participate and help Others in Electronic Communities of Practic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9(2), 155-173.
  • Vellar.A(2012) The recording industry and grassroots marketing: from sweet teams to flas mobs. Participations :Journal of Audience and Reception Studies. 9(1), 95∼118.
  • Thorburn, D. & Jenkins, H.(Eds.)(2003). Rethinking media change: The aesthetics of transition. Cambridge, MA: MIT Press.
  • Terranova, T.(2004). Network culture : Politics for the information age. London:Pluto
  • Terranova, T.(2000). Free labor. Social Text, 1(2), 33-58.
  • TV 시청흐름 변화 및 채널 간 역학관계 분석
    최수진 <한국방송 학보>, 27권 5호, 285-318 [2013]
  • TV 시청과 온라인 대화의 결합
    최윤정 <한국방송학보>, 28권 4호, 315-355 [2014]
  • Shirky, C.(2010). Cognitive surplus: Creativity and generosity in a connected age. New York, NY: Penguin Press.
  • Schau, H. J., & Gilly, M. C. (2003). We are what we post? Self-presentation in personal webspa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3), 385–404.
  • Ronchetto, John R. Jr., Michael D. Hutt, and Peter h. Reingen(1989), Embedded influence patterns in organizational buying systems, Journal of Marketing, 53(October), 51-62.
  • Rogers, E. M., & Cartano, D. G. (1962). Methods of measuring opinion leadership. Public Opinion Quarterly, 26, 435-441. doi:10.1086/267118
  • Rheingold, Howard(1993). A Slice of life in my virtual community.
  •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MA: The MIT Press; 이재현(역)(2006)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Bolter, J. D. Grusin, R.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Pech, R.J.(2003). Memes and cognitive hardwring:why are some memes more successful than others?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6, 173-181.
  • Paranyushkin, D. 2010. "Text Network Analysis." Available at http://issuu.com/deemeetree/docs/text-network-analysis
  • Pace, Stefano(2008). YouTube: an opportunity for consumer narrative analysis Qualitative Market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1, No. 2 pp 213- 226.
  • Ong, W. J.(1977) Interface of the wor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Marshall, P. D.(2004). New media cultures. London: Arnold.
  • Manovich, L.(2011).Trending:The promises and the challenges of big social data. In Gold, M. K(ed.)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pp.460.(475). Universigy of Minnesota Press
  •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김치호 <인문콘텐츠>, 40권, 167-187 [2016]
  • Leydesdorff, L.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 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 으로
    박한우 <한국자료분석학회>, 6권 5호, 1377-1387 [2004]
  • Lee, L., Chen, D. T., Li, J. Y., & Lin, T. B.(2015). Understanding new media literacy: The development of a measuring instrument. Computers & Education, 85 , 84-93.
  • Khamis, S., Ang, L., & Welling, R.(2017). Self-branding, ‘micro-celebrity’ and the rise of Social Media Influencers. Celebrity Studies, 8(2), 191–208.
  • Kaplan, A. M. & Haenlein, M.(2010)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YouTube Google 조회수와 검색을 중심으로
    이장혁 <마케팅관리연구> 19권, 4호 [2014]
  • KPOP, 영광의 순간들
    권혜련 『조선일보』 [2018]
  • K-Pop의 세계화와 디지털화-유튜브 반응 동영상과 커버 댄스 경연대회
    이규탁 <한류비즈니스연구>, 1권 1호, 73-107 [2014]
  • K-Pop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강정수 김수철 <언 론정보연구>, 50권 1호, 84-120 [2013]
  • K-Pop(KPOP)의 현황과 국내 음악콘텐츠의 미래
    이우창 이은솔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185-188 [2017]
  • K-Pop(KPOP)의 한국 팬덤에 대한 연 구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 <한국언론정보학보>, 81권, 272-298 [2017]
  • Jones, Steven(1995) Understanding Community in the Information Age. In Steven G. Jones(ed.), Cybersociety: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Community. London: Sage, 10-35.
  • Jenkins, H., Ford, S., & Green, J.(2013). Spreadable media: Creating value and meaning in a networked culture. NYU Press.
  • Jenkins, H.(2007). Afterword: The future of the fandom. In J. Gray, C. Sandvoss & C. L. Harrington(Eds.), Fandom: Identities and communities in a mediated world(357-364). New York,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 Jacob Goldenberg, Sangman Han, Donald R. Lehmann, Jae Weon Hong(2009). The Role of Hubs in the Adopt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March 2009, Vol. 73, No. 2, pp. 1-13.
  • Irina Lyan, Sulafa Zidani, Limor Shifman.(2015). When Gangnam Hits the Middle East.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2(2), 10-31.
  • Global Networks: Computers an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Cambridge, Mass
    In Harasim Linda M. : The MIT Press. 박승관 외 (역) 가상 공동체에서의 삶의 단편. 『글로벌 네트워크』. 전예 원, 107-143.인터넷과 가상 공동체(인터넷, 201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 Gill,R(2007). Technobohemians ofr the new cybertariat? New Media work in Amsterdam a decade after the web. Network Notebooks. Amsterdam:Institute of Network Cultures.
  • Gill & Pratt,(2008). In the social factory? Immaterial labour, precariousness and cultural work. Theory, Culture & Society, 25(7-8), 1-30.
  • Foster, Derek(1997) Community and Identity in the Electronic Village. In David Porter(ed.), Internet Culture. New York: Routledge, 23-37.
  • FREE CULTURE: : How big media uses technology and the Law to Lock down culture and control creativity . 이주명(역). 『자유문화』.(인터넷 시대의 창 작과 저작권 문제), 2005.필맥
    Lawrence Lessig Penguin Press [2004]
  • Dyer-Witheford & de Peute(2009). Games of Empire: Global Capitalism and Video Games.
  • De Veirman, M., Cauberghe, V., & Hudders, L.(2017). Marketing through instagram influencers: The impact of number of followers and product divergence on brand attitud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6(5), 798–828.
  • Dator, J. & Seo, Y.(2004). Korea as the wave of a future: The emerging Dream Society of icons and aesthetic experience. Journal of Futures Studies, 9(1), 31-44.
  •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Jenkins, H.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김정희원(역) (2008). 서울: 비즈앤비즈 [2006]
  • Colliander, J., & Dahl n, M. (2011). Following the fashionable friend: The power of social media weighing the publicity effectiveness of blogsversus online magazin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1), 313–321.
  • Chun, H. K. & Keenan, T.(2006). New media, old media: A history and theory reader. New York: Routledge.
  • Carrington, Peter j., John Scott, and Stanley Wasserman, eds.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Vol. 2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Bolter, J. D.(2006). The desire for transparency in an era of hybridity. Leonardo, 39(2), 109-111. http://muse.jhu.edu/ journals/leonardo/v039/39.2bolter.pdf
  • Barabasi, Albert-Laszlo(1999).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 Science, 286, 509-512.
  • Agrawal, A (2016). Why Influencer Marketing Will Explode. Forbes. Akrouf, S., L. Meriem, B. Yahia, and M. N. Eddin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formation propagation: A Case study using flickr and YouTube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Future Computer and Communication, Vol. 2, No. 3(2013), 21-22.
  • <사회연결망 분석>
    김용학 서울 : 박영사 [2011]
  • 2017년 3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 1990년대 하위문화 스타일에 관한 연구
    김민자 임은혁 <복식>, 53권 3호, 13-30 [2003]
  • . KPOP 공연과 엔터투어먼트
    정경란 <한국콘텐츠학회지>, 14권 2호, 26-31 [2016]
  • ,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이나영 정민우 <미디어, 젠더 & 문화>, 21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