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반복 구문 연구

진관초 2019년
' 한국어 반복 구문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gnitive Linguistics
  • Construction Grammar
  • constructional idioms
  • corpusbasedapproach
  • discoursepragmaticfunction
  • echoed verb construction
  • metonymy
  • repetition construction
  • repetition construction of connective endings
  • tautology
  • 구문 문법
  • 구문적 관용표현
  • 담화⋅화용적 기능
  • 동사구 반복 구문
  • 말뭉치 기반 접근법
  • 반복구문
  • 연결어미 반복 구문
  • 인지언어학
  • 항진명제 구문
  • 환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65 0

0.0%

' 한국어 반복 구문 연구' 의 참고문헌

  • 「후기 중세국어의 ‘-거-’ 통합형 연결어미에 대한 연구」
    이래호 韓國學中央硏究院 박사학위논문 [2005]
  • 「환유의 두 가지 기능」,『外大論叢』27
    정희자 부산외국어대학교, 249-272 [2003]
  • 「환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반복 구문」,『한국문법교육학회 제26차 전국학술대 회 발표논문집』
    진관초 한국문법교육학회, 181-193 [2017]
  • 「환유 표현의 의미특성」,『人文論叢』55
    임지룡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65-300 [2006]
  • 「환유 개념의 통사적 적용」,『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6년 창립 60주년 기념 여름학술대회』
    박진호 한국언어학회, 381-396 [2016]
  • 「현대국어의 선택씨끝 연구」
    김형배 『한국어의 토씨와 씨끝』, 457-472 [1992]
  • 「현대국어 중첩구성 연구」
    김유권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현대국어 동사 ‘하-’의 의미와 기능」
    양명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현대 한국어 ‘-든지’와 ‘-든가’ 에 대한 연구: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고비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현대 국어의 선택어미 연구」
    김형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항진명제적 발화 ‘V-기는 V-다’의 시인 화행의 의미 분석」
    이정애 『2017년도 한국 어학회⋅한국어의미학회⋅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공동 전국학술대회 논문발표집』, 109-123 [2017]
  • 「항진명제(tautology)의 의미해석」,『인문과학연구』창간호
    최중열 전주대학교 인문과학종합연구소, 139-150 [1992]
  • 「항진 명제 발화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담화와 인지』16-2
    이미순 담화 인지언어학회, 123-147 [2009]
  • 「한중 대조를 통한 완곡 표현 연구」
    채춘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어의 중첩현상과 단어형성」,『국어국문학』172
    김옥영 국어국문학회, 123-151 [2015]
  •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전영철 『국어학』68, 99-133 [2013]
  • 「한국어의 과장 표현 연구」,『한말연구』13
    김미형 한말연구학회, 39-84 [2003]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복합형식 연구」
    서희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외국어교육』19-3
    강현화 한국외국어교육학회, 395-414 [2012]
  • 「한국어 후보충 구문의 몇 문제」,『현대문법연구』59
    이정훈 현대문법학회, 119-132 [2010]
  • 「한국어 환유 표현의 체계적 분류 방법」,『한국어 의미학』45
    박재연 한국어의미학회, 1-30 [2014]
  • 「한국어 헤지 표현 ‘-기는 하-’의 담화적 기능 연구: ‘V기는 V’와의 상황 맥락 비교를 중심으로」
    김유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반복 현상 연구: 모어화자와 학습자의 담화에서」
    황은하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한국어 학습자 담화에서의 반복현상 연구」,『우리말글』58
    안주호 우리말글학회, 189-215 [2013]
  • 「한국어 탈종속화(Insubordination)의 한 종류」,『한국어학』69
    문숙영 한국어학회, 1-39 [2015]
  • 「한국어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의 담화 반복 표현 연구」,『한국어 의미학』
    김현진 한국어의미학회, 115-144 [2015]
  • 「한국어 주어의 격표지 연구」
    김민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조사의 연구: ‘-가’와 ‘-를’을 중심으로」
    고석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한국어 조사 ‘만’과 ‘도’의 의미론」
    임동훈 『조선학보』205, 1-20 [2007]
  • 「한국어 조사 {가}, {를}, {도}, {는}의 의미체계: 불어 관사와의 대응성과 관 련하여」
    목정수 『언어연구』18, 1-49 [1998]
  • 「한국어 조건문 항진명제에 대한 재고찰」,『언어사실과 관점』36
    진관초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167-207 [2015]
  • 「한국어 접속조사 ‘-이나 (-이나)’」,『한국어 의미학』29
    류병율 한국어의미학회, 29-56 [2009]
  • 「한국어 의외성 표지 ‘-다니’에 대한 연구」,『한국어 의미학』54
    진관초 한국어의미학회, 91-126 [2016]
  •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국어학』68
    박재연 국어학회, 253-288 [2013]
  • 「한국어 유사 병렬 구성 연구」
    주지연 『형태론』18-1, 28-51 [2016]
  • 「한국어 용언 반복 구문: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
    최기용 『생성문 [2002]
  • 「한국어 완화 표현 연구」
    고재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국어학』70
    박재연 국어학회, 117-155 [2014]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중심으로」
    오승은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병렬문의 문법적 위상」,『국어학』56
    임동훈 국어학회, 87-130 [2009]
  • 「한국어 병렬구성 연구」
    주지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반복 구성 연구」
    이수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명령문의 문법과 화행 연구」
    이지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동사 반복 구문 분석」,『한국어학』80
    박소영 한국어학회, 87-124 [2018]
  • 「한국어 담화에 나타난 반복 표현의 기능」,『한국어 의미학』4
    전영옥 한국어의미학회, 25-63 [2003]
  • 「한국어 담화에 나타난 반복 표현 연구」
    전영옥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강조법 연구」,『한말연구』23
    전정미 한말연구학회, 367-390 [2003]
  •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 -“무슨”-수사의문문을 중심 으로-」,『새국어교육』88
    서희정 홍윤기 한국국어교육학회, 221-244 [2011]
  •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과 그 문법 범주」,『한국어학』43
    박재연 한국어학회, 151-177 [2009]
  • 「특수조사 목록의 재검토」,『국어학』23
    채완 국어학회, 69-92 [1993]
  • 「특수어미 ‘-느니’의 형태통사론」,『한글』284
    김양진 한글학회, 73-105 [2009]
  • 「지시사 ‘이, 그, 저’의 범주 지시」,『人文論叢』17
    장경희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 5-27 [1989]
  • 「중첩의 두 유형」,『한국어 의미학』33
    송정근 한국어의미학회, 131-152 [2010]
  • 「조사와 활용형의 범주통용」,『국어학』45
    이정훈 국어학회, 145-175 [2005]
  • 「정체 밝힘의 형용사 ‘이다’ 문제와 연어」,『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임홍빈 역락 [2006]
  • 「자리채우미」,『KLing』2
    박진호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1-6 [2008]
  • 「자리채우미에 대한 보론」,『국어학회 2010년 여름학술대회발표집』
    박진호 국어학회 [2010]
  • 「이접과 양태의 상관관계 고찰: ‘-인가’를 중심으로」,『국어학』60
    최윤지 국어학회, 146-181 [2011]
  • 「의미중복에 대하여」,『배달말』8-1
    임지룡 배달말학회, 35-60 [1983]
  • 「의미 확장 기제로서의 환유」,『담화와인지』24-4
    정병철 담화 인지 언어학회, 181-212 [2017]
  •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동유럽발칸연구』 25-1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77-102 [2010]
  • 「월조각의 되풀이법 연구」,『한글』221
    한길 한글학회, 157-186 [1993]
  • 「월되풀이표현의 생성과 특징」,『한국어학』7
    나찬연 한국어학회, 133-158 [1998]
  • 「영어 관용어의 개념과 특성」
    이선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대하여」,『한글』261
    유현경 한글학회, 123-148 [2003]
  • 「연결어미 “-지”의 형태 의미와 의미 기능」,『문법교육』25
    이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15-131 [2015]
  • 「어휘상 유형에 따른 ‘-었-’의 결합 양상 고찰」,『국어학』81
    김천학 국어학회, 115-144 [2017]
  • 「어휘부란 무엇인가」,『국어학』66
    채현식 국어학회, 307-333 [2013]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새국어교육』79
    서희정 한국국어교육학회, 129-152 [2008]
  • 「어미 반복 사용에 의한 복합구성 연구」
    김연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양태 의존명사 구문의 융합형 연구: ‘터’와 ‘것’을 대상으로」
    명정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씨끝의 [-기]에 의한 되풀이월의 문법적 처리」,『국어국문학』35
    나찬연 문창어문학회, 409-429 [1998]
  • 「선행절에 어미 ‘-지’가 결합된 절이 나타나는 문장에 대한 연구」,『한글』303
    김건희 한글학회, 115-146 [2014]
  • 「선택형 어미 <거나>와 <든지>의 화용론」,『말』4
    김승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9-26 [1979]
  • 「선택표현의 의도성 고찰」,『언어교육』32
    조경순 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81-104 [2002]
  • 「서술어의 분할과 되풀이현상에 대해서」,『국어교육연구』28
    최웅환 국어교육학회, 177-200 [1996]
  • 「복합 구성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한국어문학』 64
    서형국 한국어문학회, 25-44 [2008]
  • 「복수와 반복」,『한국어 의미학』27
    최형강 한국어의미학회, 315-340 [2008]
  • 「복문에 쓰인 어미 ‘-지’의 유형과 의미」,『우리말글』70
    박미은 우리말글, 1-23 [2016]
  • 「보조용언 ‘보다’ 가정 구문에 대한 맥락 문법 연구」
    김강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보조사의 의미론」
    임동훈 『국어학』73, 335-373 [2015]
  • 「반어적 의미의 규정방식과 그 성격에 대하여」,『텍스트언어학』8
    박성철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65-393 [2000]
  • 「반복형 접속어미 연구」
    배유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반복법의 체계와 특징」,『어문연구』19
    임성규 어문연구학회, 9-33 [1989]
  • 「반복 유형의 체계적 분류를 위하여」,『韓國國語敎育硏究會 論文集』63
    노은희 한국어교육학회, 29-52 [1997]
  • 「반복 사건과 문장 의미 구성」,『한국어학』36
    임채훈 한국어학회, 249-287 [2007]
  • 「명령 조건 구문의 언어유형론적 연구」,『언어와 정보 사회』23
    이의종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15-254 [2014]
  • 「러시아어 반복표현 연구-발화 단위내의 반복표현을 중심으로」,『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24
    박혜옥 한국러시아문학회, 369-395 [2007]
  • 「뜻바탕되풀이표현의 설정」,『우리말연구』14
    나찬연 우리말학회, 153-169 [2004]
  • 「동일어미 반복 구문의 통사와 의미」,『이중언어학』34
    김정남 이중언어학회, 49-75 [2007]
  • 「동일 연결어미 반복 구성의 문법범주와 의미」,『언어와 정보사회』24
    한명주 서강대 학교 언어정보연구소, 159-190 [2015]
  • 「동일 어간 반복 구문의 의미 특성 -‘V-기는 V, V-기만 V’ 구문을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46
    이수연 한국어의미학회, 141-161 [2014]
  • 「동의중첩에 의한 단어형성 연구」,『어문연구』92
    조현룡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25-139 [1996]
  • 「동의(同義) 중첩(重疊) 현상(現象)에 대한 연구(硏究)」 ,『국어교육』122
    이석주 한 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385-406 [2007]
  • 「대화지도를 위한 반복표현의 기능 연구」
    노은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대화에서 반복표현의 성립조건과 유형」,『국어교육연구』4
    노은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1-122 [1997]
  • 「내포접속문」,『한글』261, 한글학회
    김영희 173-206[김영희(2005)에 재수록] [2003]
  • 「기억에서의 어휘 지식 표상」,『우리말연구』35
    채현식 우리말학회, 30-55 [2013]
  • 「국어의 조사화 연구」
    한용운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1) - 대등접속 어미」,『한글』189
    서정수 한글학회, 51-86 [1985]
  • 「국어의 용언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이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국어의 어미 중첩 구성 연구」
    김유권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국어의 선택관계 접속 어미에 대한 연구」,『한국언어문학』38
    윤평현 한국언어문학회, 83-105 [1997]
  • 「국어의 선택 발화 연구」
    조향숙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국어의 반복표현」,『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6
    장석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89-112 [1980]
  • 「국어 항진명제의 통사 유형과 의미」,『한국언어문학』87
    이정애 한국언어문학회, 65-93 [2013]
  •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한국어 의미학』33
    이정애 한국어의미학회, 179-202 [2010]
  • 「국어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중복 현상」 ,『국어학』 48
    노명희 국어학회, 259-288 [2006]
  • 「국어 중복 표현의 유형과 의미 구조의 특성」,『국어학』36
    최재희 국어학회, 401-426 [2000]
  • 「국어 접속어미의 분류」,『언어연구』6
    김진수 한국현대언어학회, 79-99 [1989]
  • 「국어 접속 구성의 문법사적 연구」
    서형국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국어 연결어미의 통합 관계」,『민족문화연구』45
    서형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67-385 [2006]
  • 「국어 서술어(구)의 초점화와 주제화에 관한 연구 -‘-기를, -기는’ 구성 중심 으로」,『한국어 의미학』49
    이금희 한국어의미학회, 87-108 [2015]
  • 「국어 문장 성분의 중첩 현상」,『언어과학연구』50
    최웅환 언어과학회, 225-244 [2009]
  • 「국어 동의중복 현상」,『국어학』54
    노명희 국어학회, 275-302 [2009]
  • 「국어 담화의 연결 표지-완형 표현의 반복」 ,『담화와 인지』13-2
    이기갑 담화 인지언어학회, 133-158 [2006]
  • 「구어와 담화 연구」,『한국어학』45
    전영옥 한국어학회, 45-93 [2009]
  • 「구어에 나타난 종결어미 ‘-다’의 의미 기능에 대한 기술 문제」,『語文論叢』 32
    진관초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81-124 [2018]
  •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국어학』64
    전혜영 국어학회, 273-299 [2012]
  • 「관용표현」, 심재기 외,『국어 어휘론 개설』
    문금현 지식과 교양, 287-359 [2010]
  • 「관용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국어학』41
    박진호 국어학회, 361-384 [2003]
  • 「개체 속성 비교 표현의 유형과 의미」,『한민족문화연구』52
    정희창 한민족문화학회, 29-47 [2015]
  • 「강조법과 그 실현 방법」,『인문과학논총』19
    권재일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57-73 [1987]
  • 「補助助詞 「-도」의 機能」,『論文集』6
    윤재원 慶星大學校, 7-21 [1985]
  • 「國語 接續語尾 ‘-거니, -거니와, -거늘’의 硏究」,『겨레어문학』9
    강기진 건국대국어 국문학연구회, 961-977 [1985]
  • 「“하다”: 그 대동사 설의 허실」,『배달말』9
    김영희 배달말학회, 31-63 [1984]
  • 「“-고 자시고”류 어미 반복 구성에 관한 연구」,『한국어학』76
    조미희 한국어학회, 213-241 [2017]
  • 「‘하다’의 기능에 대한 구문 기반 연구」
    정연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하다’ 불구 동사구 보문의 형성과 특징」,『말』23
    김제열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33-158 [1999]
  •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임동훈 『국어학』45, 119-144 [2005]
  •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임동훈 『국어학』64, 217-271 [2012]
  • 「‘말다’의 의미와 용법」,『한국어학』20
    장호종 한국어학회, 221-239 [2003]
  • 「‘기쁨’과 ‘슬픔’의 개념화 양상」,『국어학』37
    임지룡 국어학회, 109-143 [2001]
  • 「‘그러하-’의 지시와 대용, 그리고 그 역사」,『한국언어학회』19-2
    이기갑 한국언어학회, 455-488 [1994]
  • 「‘같은꼴 되풀이표현’에 대하여」,『우리말연구』6
    나찬연 우리말연구학회, 235-268 [1996]
  • 「‘X다가 Y다가 하-’ 구성과 ‘X다가 x다가’ 구성에 대한 연구」
    최정진 『형태론』8-2, 361-381 [2006]
  • 「‘-을’의 문법 범주」,『한국어학』44
    임동훈 한국어학회, 55-81 [2009]
  • 「‘-니’ 결합형 어미의 통시적 연구」,『어문연구』80
    이금영 어문연구학회, 5-29 [2014]
  • 「‘-기는’ 구문의 문법화」,『담화와 인지』19-3
    구현정 담화ㆍ인지언어학회, 1–28 [2012]
  • 「‘-기’ 결합형 표현항목 설정」,『이중언어학』 36
    서희정 이중언어학회, 209-232 [2008]
  • 「Semantics of Delimiters」,『어학연구』9-2
    양인석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84-122 [1973]
  • 「17세기 국어의 첩어 실현 양상」,『언어와 문화』5-1
    박동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5-129 [2009]
  • 「 ‘이’계 특수조사의 문법화」
    최동주 『형태론』1-1, 43-60 [1999]
  • 법연구』12
    생성문법학회, 139-167
  • 국립국어원,『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용법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국립국어연구원(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남윤진 태학사 [2000]
  • 『현대국어의 의존명사 연구』
    안효경 역락 [2001]
  •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윤평현 박이정 [2005]
  • 『현대국어 복합문의 통사론』
    권경희 김영선 한국문화사 [2001]
  •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양명희 태학사 [1998]
  • 『현대 우리말의 반어법 연구』
    한길 역락 [2005]
  • 『현대 우리말의 되풀이법 연구』
    한길 역락 [2009]
  • 『현대 국어 「이다」 구문 연구』
    남길임 한국문화사 [2004]
  •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송화 한국문화사 [2000]
  • 『한국의 통사론의 諸問題』
    강명윤 한신문화사 [1992]
  •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노대규 국학자료원 [1996]
  • 『한국어의 시제 범주』
    문숙영 태학사 [2009]
  • 『한국어의 문법 단위』
  • 『한국어에서 상의 두 양상에 대한 고찰』
    조민정 한국문화사 [2007]
  • 『한국어 통사론』
    권재일 민음사 [1992]
  • 『한국어 통사 현상의 의의』
    김영희 역락 [2005]
  • 『한국어 연결어미의 표현론』
    장광군 월인 [1999]
  • 『한국어 수량 표현 연구』
    채옥자 역락 [2013]
  • 『한국어 복합조사』
    이규호 한국학술정보 [2007]
  • 『한국어 복합 조사 연구』
    유경화 역락 [2015]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문법론』
    권재일 태학사 [2012]
  •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전영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 구문의 문법』
    이정훈 태학사 [2014]
  • 『한국어 관용구의 은유 환유 연구: 인지의미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최지훈 혜안 [2010]
  • 『중세국어의 어미 「-니」에 대한 연구』
    전병용 청동거울 [1999]
  • 『인지언어학과 의미』
    김동환 태학사 [2005]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한국문화사 [2008]
  • 『우리말 잉여표현 연구』
    나찬연 월인 [2004]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2008]
  • 『연세한국어사전』
  • 『언어의 의미 및 화용 이론과 실제: 형식 의미론적 관점과 인지 의미론적 관점 을 중심으로』
    윤영은 한국문화사 [2013]
  •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강소영 한국문화사 [2004]
  • 『동사 ‘하-’의 문법』
    서정수 형설출판사 [1975]
  •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 서울大學校 出版部 [1989]
  • 『국어학개설』
    이희승 민중서관 [1955]
  • 『국어의 접속문 구성 연구』
    최재희 탑출판사 [1991]
  • 『국어의 상 연구』
    김성화 한신문화사 [2003]
  •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권재일 집문당 [1985]
  • 『국어의 담화표지』
    구종남 경진출판 [2015]
  • 『국어 형용사 연구』
    유현경 한국문화사 [1998]
  • 『국어 파생형태론』
    하치근 (증보판), 남명문화사 [1993]
  •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홍사만 역락 [2002]
  • 『국어 접속조사와 어미 연구』
    김진수 탑출판사 [1987]
  • 『국어 연결어미 연구』
    이은경 (국어학총서 31), 태학사 [2000]
  • 『국어 어순의 연구』
    채완 태학사 [1986]
  • 『국어 보조동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박선옥 역락 [2005]
  • 『국어 명령문에 대한 연구』
    고성환 역락 [2003]
  • 『국어 대등구성 연구』
    이관규 서광학술자료사 [1992]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8]
  • 『中世國語構文硏究』
    이현희 신구문화사 [1994]
  • 『(한국어 학습용) 어미 조사 사전』
    이종희 이희자 한국문화사 [2003]
  •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 조사 사전』
    이종희 이희자 한국문화사 [2010]
  •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소유 표현 연구』
    이수련 박이정 [200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백봉자 하우 [2006]
  •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허웅 샘 문화사 [1995]
  • Wierzbicka, A.(2003), Cross-cultural pragmatics: the semantics of human interaction(2nd ed.), Berlin: Mouton de Gruyter.
  • Warren, B.(1992), What euphemisms tell u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words, Studia Linguistica 46(2), 128–172.
  • Ward, G. L. & J. Hirschberg(1991), A pragmatic analysis of tautological utterances. Journal of Pragmatics 15, 507–520.
  • Vosshagen, C.(1999), Opposition as a metonymic principle, in K.-U. Panther & G. Radden (eds.), 289-308.
  • Vendler, Z.(1967), Linguistics in Philosoph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Utsumi, A.(2000), Verbal irony as implicit display of ironic environment: Distinguishing ironic utterances from nonirony, Journal of Pragmatics 32(12), 1777–1806.
  • Ungerer, F. & H. Schmid(2006),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2nd ed.), Harlow: Pearson Education limited.
  • Tyler, A.(1994), The role of repetition in perceptions of discourse coherence, Journal of Pragmatics 21, 671-688.
  • Tokar, A.(2015), Metonymic Euphemism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in T. Gamerschlag, D. Gerland, R. Osswald & W. Petersen(eds.), Meaning, Frames,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Studies in Language and Cognition 2). d sseldorf university press, D sseldorf, 237-264.
  • Tognini-Bonelli, E.(2001), Corpus Linguistics at Work,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Taylor, J. R.(2002), Cognitive Gramma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Taylor, J. R.(1995), Linguistic Categorization: Prototypes in Linguistic Theory(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 Taylor, J. R. & J, Littlemore(2014), Introduction, in J. Littlemore & J. R. Taylor(eds.), The Bloomsbury Companion to Cognitive Linguistics.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PLC, 1-26.
  • Tannen, D.(1989), Talking voices: Repetition, Dialogue and Imagery in Conversational Dis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almy, L.(2007), Forword, in M. Gonzalez-Marquez, I. Mittelberg, S. Coulson & M. J. Spivey(eds.), Methods in cognitive linguistics,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 xi–xxi.
  • Talmy, L.(2000), Toward a Cognitive Semantics (2 vols), Cambridge, MA: MIT Press.
  • Sperber, D. & D. Wilson(1986/1995),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2nd ed.), Blackwell, London and New York.
  • Seto, K.-I.(1999), Distinguishing Metonymy from Synecdoche, in K.-U. Panther & G. Radden(eds.), 91-120.
  • Schmid H. J.(2007), Entrenchment, salience, and basic levels, in D. Geeraerts & H. Cuyckens(eds.), 117–138.
  • Saeed, J. I.(2009), Semantics(3rd ed.). Oxford: Blackwell Publishers.
  • Ruiz de Mendoza Ib ez, F. J. & O. I. D ez Velasco(2002), Patterns of conceptual interaction, in R. Dirven & R. P rings(eds.), 489–532.
  • Ruiz de Mendoza Ib ez, F. J. & O. I. D ez Velasco(2001), High-level metonymy and linguistic structure, Atlantis 19(1), 279-314.
  • Ruiz de Mendoza Ib ez, F. J. & L. Perez Hernandez(2003), Cognitive operations and pragmatic implication, in K.-U, Panther & L. Thornburg(eds.), Metonymy and Pragmatic Inferencing. Benjamins, Amsterdam, pp. 23–49.
  • Ruiz de Mendoza Ib ez, F. J. & J. L. Otal Campo(2002), Metonymy, grammar, and communication, Granada, Spain: Editorial Comares.
  • Rhodes, R.(2009), A Cross-linguistic Comparison of Tautological Constructions with Speci al Focus on English, [www.linguistics.berkeley.edu/~russellrhodes/pdfs/taut_qp.pdf]
  • Renouf, A.(2003), WebCorp: Providing a renewable data source for corpus linguists, in S. Granger & S. Petch-Tyson(eds.), Extending the scope of corpus-based research: New applications, new challenges, Amsterdam: Rodopi, 39–58.
  • Radden, G.(2005), The ubiquity of metonymy, in J. L. Otal, I. Navarro & B. Bell s(eds), Cognitive and Discourse Approaches to Metaphor and Metonymy, Castell : Universitat Jaume I, 11–28.
  • Radden, G.(2000), How metonymie are metaphors?, in A. Barcelona(ed.), 93-108.
  • Radden, G. & Z. K vecses(1999), Toward a theory of metonymy, in K.-U. Panther & G. Radden(eds.), 17–59.
  • Pfaff, K., Gibbs, R. & Johnson, M.(1997), Metaphor in using and understanding euphemism and dysphemism, Applied Psycholinguistics 18(1), 59–83.
  • Pe a, M. S.(2003), Topology and cognition: what image-schemas reveal about the metaphorical language of emotions, München: Lincom Europa.
  • Pe a, M. S. & F. J. Ruiz de Mendoza(2017), Construing and constructing hyperbole, in A. Athanasiadou(eds.), Studies in Figurative Thought and Language,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2–73.
  • Papafragou, A.(1996), On metonymy, Lingua 99, 169–195.
  • Panther, K.-U. & L. Thornburg(1999). The potentiality for actuality metonymy in English and Hungarian, in K.-U. Panther and G. Radden(eds.), 333–357.
  • Panther, K.-U. & L. Thornburg(1998), A cognitive approach to inferencing in conversation. Journal of Pragmatics 30: 755–769.
  • Panther, K.-U. & G. Radden(eds.)(1999), Metonymy in Language and Thought, Amsterdam: John Benjamins.
  • Ogden, C. K. & I. A. Richards(1923), The meaning of meaning.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No, Y.-K.(1998), Negative morphemes in Korean: Evidence for a derivational treatment, in E.-J. Baek(ed.),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Linguistics, Seoul: Hanshin, 556-567.
  • N nny, M. & O. Fischer(2006), Iconicity: Literary texts, in K. Brown(ed.),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2nd ed.) Vol. 5, Oxford: Elsevier, 462-472.
  • Mili , G.(2009), Of chickens and eels: A cognitive-contrastive look at English and Croatian dysphemisms, in Brdar, M., M. Omazić & V. P. Takač(eds.), Cognitive Approaches to English: Fundamental, Methodological,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Aspects,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99-320.
  • Metonymy in Language, Thought and Brain, Sheffield: Equinox[김 동환⋅이미영 역(2016),『환유와 언어 사고 뇌: 인지언어학적 탐색』
    Bierwiaczonek, B. 로고스라임] [2013]
  • Littlemore, J.(2015), Metonymy: hidden shortcuts in language, thought and communic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ittlemore, J. & J. R. Taylor(2014), The Bloomsbury Companion to Cognitive Linguistics, Bloomsbury Publishing.
  • Levinson, S.(2000), Presumptive meanings: The theory of 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Cambridge, MA: MIT Press.
  • Levinson, S.(1983), Pragma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ech, G.(1981), Semantics: the study of meaning. London: Penguin Books.
  • Langacker, R. W.(1993), Reference-point constructions, Cognitive Linguistics 4, 1-38.
  • Langacker, R. W.(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vol. I. & II,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Lakoff, G.(1987),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akoff, G. & M. Turner(1989), More than Cool Reason: A Field Guide to Poetic Metapho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akoff, G. & M. Johnson(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Kwon, I.-S.(2009), A tautology is a tautology: specificity and categorization innominal tautological constructions.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35, 1-36.
  • Kumon-Nakamura, S., S. Glucksberg & M. Brown(1995), How about another piece of pie: The allusional pretense theory of discourse iron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4(1), 3-21.
  • Kreuz, R. J. & S. Glucksberg(1989), How to be sarcastic: The echoic reminder theory of verbal iron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8(4), 374-386.
  • Kotthoff, H.(2003), Responding to irony in different contexts: on cognition in conversation, Journal of Pragmatics 35, 1387-1411.
  • Kiss, K.(1998), Identificational Focus versus Informational Focus, Language 74, 245-273.
  • Kilgarriff, A. & G. Grefenstette(2003),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the Web as corpus. Computational Linguistics 29(3), 333–347.
  • Kandybowicz, J.(2008), The Grammar of Repetition: Nupe grammar at the syntax-phonology interface,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 K roly, K.(2002), Lexical repetition in text: A study of the text-organizing function of lexical repetition in foreign language argumentative discourse.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 K ovecses, Z.(2002/2010), Metaphor: A practical introdu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Johnson, M.(1987),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Jary, M. & M. Kissine(2014), Imperativ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orn, L. R.(1985), Metalinguistic Negation and Pragmatic Ambiguity, Language 61, 121-174.
  • Holder, R. W.(2008), How Not To Say What You Mean: A Dictionary of Euphemisms (4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Herrero, J.(2011), The role of metonymy in complex tropes: cognitive operations and pragmatic implications, in R. Benczes, A. Barcelona & F. J. Ruiz de Mendoza Ib ez(eds.), 167–193.
  • Herrero, J.(2009), Understanding Tropes: At the Crossroads between Pragmatics and Cognition, Frankfurt: Peter Lang.
  • Grice, H. P.(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P. Cole & J. L. Morgan(eds.), Syntax and semantics 3 Speech acts, New York: Academic Press, 41-58.
  • Gradečak-Erdeljić, T. & G. Milić(2011), Metonymy at the crossroads: A case of euphemisms and dysphemisms, in R. Benczes, A. Barcelona & F. J. Ruiz de Mendoza Ib ez(eds.), 147–166.
  • Gonzalez-Marquez, M., I. Mittelberg, S. Coulson & M. J. Spivey(eds.)(2007), Methods in cognitive linguistics,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
  • Goldberg, A.(2006), Constructions at Work: The Nature of Generalization in 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Goldberg, A.(1995), Constructions: A Construction Grammar Approach to Argument Struc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iora, R(2003), On Our Mind: Salience, Context, and Figurative Language, Oxford: OUP. Giv n, T.(2001), Syntax: an introduction I, II, John Benjamins Publishing.
  • Gibbs, R.(1994), The Poetics of mind: Figurative thought, language, and understand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eeraerts, D. & H. Cuyckens(eds.)(2007), T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Fillmore, C.(1982), Frame semantics, in Linguistic Society of Korea(ed.),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Seoul: Hanshin, 111–138.
  • Fillmore, C. J., P. Kay & M. O’Connor(1988), Regularity and idiomaticity in grammatical constructions: The case of let alone, Language 64, 501–538.
  • Fillmore, C. J.(1988), The mechanisms of ‘Construction Grammar’, Berkeley Linguistic Society 14, 35−55.
  • Fauconnier, G.(1997), Mappings 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vans, V. & M. Green (2006),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 Evans, N.(2007), Insubordination and its uses, in I. Nikolaeva(ed.), Finite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 366-431.
  • Dirven, R. & R. P rings(eds.)(2002), Metaphor and metonymy in comparison and contrast, Berlin: Mouton de Gruyter.
  • DeLancey, S.(2012), Still mirativity after all these years, Linguistic Typology 16(3), 529-264.
  • DeLancey, S.(1997), Mirativity: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Linguistic Typology 1, 33-52.
  • De Swart, H.(1998), Aspect shift and coercion, Natural Language and Linguistic Theory 16, 347–385.
  • Cutting, J.(2007), Introduction, in J. Cutting(ed.), Vague Language Explored,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3–19.
  • Cruse, D. A.(2000), Meaning in Language: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Croft, W.(2007), Construction grammar, in D. Geeraerts & H. Cuyckens(eds), 463-508.
  • Croft, W.(2002), The role of domains in the interpretation of metaphors and metonymies, in R. Dirven & R. P rings(eds.), 161–205.
  • Croft, W.(2001), Radical Construction Grammar: Syntactic Theory in Typological Perspectiv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roft, W.(1993), The role of domains in the interpretation of metaphors and metonymies, Cognitive Linguistics 4, 335–370.
  • Clark, H. H. & R. J. Gerrig(1984), On the pretense theory of iron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3(1), 121-126.
  • Cienki, A.(1997), Some properties and groupings of image schemas, in M. Verspoor, K. D. Lee & E. Sweetser(eds.), Lexical and Syntactical Construc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Amsterdam: John Benjamins, 3-15.
  • Cho, S.-Y., J.-B. Kim & P. Sells(2004), Contrastive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in S. Kuno, I.-H. Lee, J. Whitman, J. Maling, Y.-S. Kang & Y.-J. Kim(eds.),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X, Department of Linguistics, Harvard University, 360–371.
  • Cho, S.-Y. & J.-B. Kim(2003), Echoed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A Construction-Based HPSG Analysis. Ene 27, 661–681.
  • Channell, J.(1994), Vagu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 Chae, H.-R.(2014), A representational system of idiomatic constructions: For the building of computational resources, Linguistic Research 31-3, 491-518.
  • Carston, R.(2002), Thoughts and Utterances: the Pragmatics of Explicit Communication, Oxford: Blackwell.
  • Carston, R.(1997), Enrichment and loosening: complementary processes in deriving the proposition expressed?, Linguitische Berichte 8, 103–127.
  • Carston, R. & C. Wearing(2015), Hyperbolic language and its relation to metaphor and irony, Journal of Pragmatics 79, 79-92.
  • Carston, R. & C. Wearing(2011), Metaphor, hyperbole and simile: A pragmatic approach, Language and Cognition 3(2), 283–312.
  • Caffi, C.(2007), Mitigation, Elsevier.
  • Brown, P. & S. Levinson(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lank, A.(1999), Co-presence and succession: a cognitive typology of metonymy, in Panther, K.-U. & G. Radden(eds.), 169–191.
  • Biber et. al.(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don: Longman.
  • Bergh, G. & E. Zanchetta(2008), Web linguistics, in A. L deling, & M. Kyt (eds.), Corpus 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Berlin & New York: Mouton de Gruyter, 309–327.
  • Benczes, R., A. Barcelona & F. J. Ruiz de Mendoza Ib ez(eds.)(2011), Defining Metonymy in Cognitive Linguistics: Towards a Consensus View, Amsterdam: John Benjamins.
  • Barcelona, A.(ed.)(2000), Metaphor and metonymy at the crossroads: A Cognitive perspective, Mouton de Gruyter.
  • Barcelona, A.(2015), Metonymy, in E. Dabrowska & D. Divjak(eds.),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Berlin & New York: Mouton de Gruyter, 143–167.
  • Attardo, S.(2000), Irony as relevant inappropriateness, Journal of Pragmatics 32(6), 793–826. Barcelona, A.(2011), Metonymy is not just a lexical phenomenon, in C. Alm-Arvius, N.-L. Johannesson & D. C. Minugh(eds), Selected Papers from the 2008 Stockholm Metaphor Festival, 3–42.
  • Allan, K. & K. Burridge(2006), Forbidden Words: Taboo and the Censoring of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llan, K. & K. Burridge(1991), Euphemism and dysphemism: language used as shield and weapon,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Aikhenvald, A. Y.(2012), The essence of mirativity, Linguistic Typology 16(3), 435-486.
  • Aikhenvald, A. Y.(2010), Imperatives and Comman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Aikhenvald, A. Y.(2004), Evidential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1987),『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