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시대 사발의 조형 특성 연구 : 형태와 비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 of Bowls from the Joseon Dynasty

김영희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시대 사발의 조형 특성 연구 : 형태와 비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 of Bowls from the Joseon Dynas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U형 사발
  • V형 사발
  • 각도비
  • 곡면각
  • 비례미
  • 사발
  • 형태미
  • 황금분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 0

0.0%

' 조선시대 사발의 조형 특성 연구 : 형태와 비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 of Bowls from the Joseon Dynasty' 의 참고문헌

  • 󰡔조선사발」
    동산도기박물관 [2004]
  • 󰡔조선 분청사기와 백자󰡕, 동산도기박물관
    심지 [2006]
  • 󰡔정호다완 Ido Tea Bowls, Treasure Possessions of Muromachi Daimyo)󰡕
    根津美術館
  • 󰡔사발공모전 도록󰡕1회
    해강도자미술관 [2000]
  • 󰡔분청사기󰡕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4]
  • 󰡔韓國의 美 시리즈 분청사기󰡕
    중앙일보사 [1981]
  • 󰡔韓國의 美 시리즈 靑磁󰡕
    중앙일보사 [1981]
  • 󰡔韓國의 美 시리즈 白磁󰡕
    중앙일보사 [1981]
  • 「황금비율에 의한 조형연구」
    송명수 󰡔계명연구논총󰡕제14집
  • 「현대 일본 다완에 관한 연구」
    이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한국전통사발의 현재」, 󰡔학술세미나 자료집󰡕
    박종훈 단국대학교 도예연구소 [2009]
  • 「한국의 장인제도와 조형의식에 관한 연구」
    엄광섭 󰡔디자인학연구󰡕제2호 [1989]
  • 「한국 전통 밥그릇의 조형적 해석-조선 및 근대를 중심으로」
    윤형건 󰡔디자인학 연구󰡕제55호 [2004]
  • 박사
    「한국 전통 도자기 형태의 황금비에 의한 분석」
    이일형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9]
  • 「한국 고분미술의 곡선미의 만곡자질비 구성연구」
    이현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조선조 사발의 小考」
    박종훈 󰡔사발ㆍ예술과 기술󰡕 [2010]
  • 「조선 중기 지방백자 편년 연구」
    김태홍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조선 17~18세기 전반 지방백자 연구」
    최윤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정호다완의 기하학적 조형미 감상에 대한 연구-대정호 다완을 중심으로」
    허춘화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임진왜란 이후 일본 주문 다완에 대한 고찰-오기다완을 중심으로」
    Honda Mabi 󰡔미술사연구󰡕제24호 [2010]
  •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에 관한 연구」
    변사성 󰡔고고민속론문집󰡕11 [1969]
  •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 갖춤새 변천에 보이는 문화발전의 고유성」
    김용간 󰡔고고민속론문집󰡕7 [1969]
  • 「분청사발제작에 관한 연구」
    김영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백자발 제작에 관한 연구」
    이한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고려말⸱조선초 백자연구」
    박기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박사
    「고려다완의 일본 전래연구」
    박형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계룡산의 도자문화 : 조선 도자의 일본전파와 이삼평」, 󰡔백제문화󰡕제23집
    방병선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3]
  • 「경남지역 조선전기 백자 연구-하동 백련리 출토 백자를 중심으로」
    김윤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高麗茶碗의 起源的 窯址와 樣式考察」,
    金英媛, 국립중앙박물관 󰡔미술자료󰡕제75호 [2006]
  • 「高麗茶碗-論考と資料」, 高麗茶碗硏究會, 󰡔高麗茶碗 槪說󰡕
    金巴望 河原書店 [2003]
  • 「韓國陶磁史硏究」
    강경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4]
  • 「韓國 陶磁器 鉢의 硏究-청자, 분청자, 백자를 중심으로」
    洪日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 「陶器所⸱磁器所 文題와 分院時期의 對日貿易-高興 雲岱理 窯址를 中心으로-」
    김영원 󰡔美術史論壇󰡕제20호 [2005]
  • 「朝鮮時代 後期 白磁의 硏究」
    방병선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朝鮮時代 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관한 硏究 二 -廣州一帶 陶窯地를 中心으로-」
    윤용이 󰡔미술사학연구󰡕제151호 [1981]
  • 「幾何文土器編年表作成을 위한 小考-특히 甕과 鉢을 중심으로」
    崔鍾圭 부산대학교 [1988]
  • 「壬辰倭亂 前後의 朝日 陶瓷 比較硏究-日本 九州 肥前陶磁와의 關係를 중심으로-」
    Honda Mabi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15세기 조선백자 기형과 문양에 대한 고찰」
    김인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15~17世紀 朝鮮時代 京畿道 廣州 官窯硏究」
    전승창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히로시, 김수석 역, 『조형심리학 입문』
    모도아끼 지구문화사 [1990]
  • 호림박물관, 󰡔조선백자 명품전󰡕
    성보문화재단 [2003]
  • 호림박물관, 󰡔분청사기 명품전󰡕
    성보문화재단 [2004]
  • 해강도자미술관, 󰡔고려시대 후기 干支名 象嵌靑磁󰡕
    홍익기획 [1991]
  • 한국의 도자기
    정양모 문예출판사 [1991]
  • 한국도자사전
    김윤정 경인문화사 [2015]
  • 편, 󰡔계룡산 도자기󰡕
    강경남 김영원 이애영 GNA커뮤니케이션 [2007]
  • 편, 『현대도예 – 미래를 향한 움직임』
    신상호 홍익대학교 도예연구소 [1993]
  • 클라인트 B., 오근재 역, 『인간의 시각, 조형의 발견』
    미진사 [1994]
  • 칸딘스키 W., 안정언 dur, 『점,선,면』
    미진사 [1982]
  • 조선백자
    김영원 대원사 [1991]
  • 조선미술사
    김순영 학민사 [1993]
  • 역,『조선미의 탐구자들』
    박경희 한영대 도서출판 학고재 [1997]
  • 역, 『디자인과 형태론』
  • 에카르트, 權寧弼 역,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
    열화당, 2003 [1929]
  • 스스미 나나오, 김학성 오천학 역, 『형의 발상』
    창미 [1994]
  • 볼프하르트 헹크만 콘라드 로터, 김진수 역, 『미학사전』
    예경 [1998]
  • 무네요시, 민병산 역, 『공예문화』
    야나기 신구문화사 [1999]
  • 무네요시, 이길진 역, 『조선과 그 예술』
    야나기 신구문화사 [1994]
  • 료우, 진경돈 박미나, 『황금분할』
    야나기 시공문화사 [2012]
  • 로이스 피흐너 라투스, 최기득역, 『새로운 미술의 이해』
    예경 [2005]
  • 다쿠미, 심우성 역, 『조선의 소반⸱조선도자명고』
    아사카와 학고재 [1996]
  • 네이든 노블러, 정점식 역, 『미술의 이해』
    예경 [1993]
  • 나오키, 정희균 역, 『야나기무네요시‘민예’를 넘어서 인간부흥의 공예』
    이데카와 학고재 [2002]
  • 감수, 󰡔분청사기 한국의 미󰡕
    정양모 중앙일보사 [1978]
  • 藤田幸之, 󰡔燒もの趣味󰡕
  • 彬山明博, 김인태 역, 『조형형태론』
    미진사 [1986]
  • 小山富士夫 解說 監修, 󰡔茶碗 第二券 朝鮮 二󰡕, 平凡社, 1965
  • 小山富士夫 解說 監修, 󰡔茶碗 第二券 朝鮮 一󰡕, 平凡社, 1965
  • 小山富士夫 解說 監修, 󰡔茶碗 第三券 朝鮮 一󰡕, 平凡社, 1961
  • 姜敬叔, 『한국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 姜敬叔, 『한국도자사』
    도서출판 예경 [2012]
  • 姜敬叔, 『한국 도자사』
    일지사 [1989]
  • 姜敬叔,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 姜敬叔, 『분청사기』
    대원사 [1991]
  • 『한국미술의 이해』
    안휘준 이광표 효형출판 [2008]
  • 『한국미술사 강의1』
    유흥준 눌와 [2010]
  • 『한국미술 특강』
    김남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3]
  • 『한국과 한국인』
    문일평 뿌리출판사 [1982]
  • 『찻잔 이야기』
    박홍관 이레디자인 [2003]
  • 『조형의 기초와 분석』
    김춘일 박남희 편역 미진사 [1991]
  • 『조선전기 도자의 연구』
    金英媛, 학연문화사 [1995]
  • 『조선시대 도자기』
    金英媛,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 『우리 사발이야기』
    신한균 가야넷 [2005]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조선다완론에 대한 고찰』
    김인규 미술사와 시각문화 [2009]
  • 『아름다운 우리찻그릇』
    윤용이 한국차인연합회 [2011]
  • 『미의 탐색』
    김해룡 우상렬 한국학술정보 [2004]
  • 『미술의 이해』
    최병식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89]
  • 『다기茶器 ⸱ 작은 공간의 미학』
    김동현 차와 사람 [2008]
  • 『韓國陶磁史硏究』
    윤용이 문예출판사 [1993]
  • 『美學과 美術評論』
    고유섭 又玄 高裕燮全集8, 열화당 [2013]
  • 『美⸱예술이란 무엇인가』
    장인영 세종출판사 [1997]
  • 『現代디자인연구』
    정시화 미진사 [1980]
  • 『朝鮮美術史 下 總論編』
    고유섭 又玄 高裕燮全集2, 열화당 [2007]
  • 『朝鮮美術史 上 總論編』
    고유섭 又玄 高裕燮全集1, 열화당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