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南鶴鳴의 『晦隱集』 譯注

연석환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연석환
    • 형태사항 26 cm: 440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송혁기, 해제수록, 참고문헌: p. 435-44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8, 고전번역협동과정 고전번역전공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chi
    • 출판년 2018
    • 발행사항 고려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南鶴鳴 少論 晦隱集
    유사주제 논문( 17)
' 南鶴鳴의 『晦隱集』 譯注'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南鶴鳴
  • 少論
  • 晦隱集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 0

0.0%

' 南鶴鳴의 『晦隱集』 譯注' 의 참고문헌

  • 林泳, 滄溪先生集,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94.
  •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 진단학보 제98집
    안대회 진단학 회, 267~289면 [2004]
  • 類書번역본의 출현과 그 어문학적 의의-국문본 彙言의 자료적 가치 , 정신문화 연구 제28집(4)
    양승민 한국학중앙연구원, 237~269면 [2005]
  • 金慶洙, 朝鮮後期金鑢의 野史叢書編纂과 그 意味, 한국사연구 제119집
    한국사연구 회, 119~148면 [2002]
  • 沈大允의 『福利全書』校註飜譯
    김성애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주영편(晝永編)의 성격과 기록양상에 대하여 , 漢文學報 제31집
    이승용 우리한문학회, 77~103면 [2014]
  • 조야집요의 편찬과 편사정신 , 역사교육논집 제37집
    박인호 역사교육학회, 297~326면 [2006]
  • 조선후기시화사
    안대회 소명출판 [2000]
  •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송혁기 月印 [2006]
  • 송천필담(松泉筆譚)의 기록 양상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한문학논집 제26권 0호
    양영옥 근역한문학회, 33~70면 [2008]
  • 농재 홍백창의 동유기실 연구
    강혜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藥泉南九萬文學의 硏究
    성당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筆記의 관점에서 본 耳目口心書 硏究
    최두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稗林의 構成과 그 價値, 열상고전연구 제22집
    윤호진 洌上古典硏究會, 211~232면 [2005]
  • 稗林과 조선후기 野史叢書의 발달 , 남명학연구 제20권 0호
    안대회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 299~328면 [2005]
  • 滄江趙涑의 繪畫: 傳稱作을 통한 연구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湖洲蔡裕後漢詩譯注
    공근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橘山李裕元의 林下筆記 硏究: 지식 정보의 편집과 저술 방식을 중심으로
    김인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朝鮮時代의 陽明學硏究
    윤남한 집문당 [1982]
  • 朝鮮後期陽明學의 受容과 政治論
    정두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左溪裒談의 구성과 서술방식 , 동양고전연구 제63집
    조정윤 동양고전학회, 83~113면 [2016]
  • 夢囈南克寬의 謝施子 譯注
    이승철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芝峯類說〉의 書誌學的硏究
    최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회은(晦隱) 남학명(南鶴鳴)의 삶과 시세계 , 한국한시작가연구 제13집
    강석중 한국한시 학회, 127~143면 [2009]
  • 회은(晦隱) 남학명(南鶴鳴) 시세계 연구-역(易)의 시학적 접근으로 , 한국한시연구  제13집
    김주수 한국한시학회, 247~285면 [2005]
  • 호서의 내포에 배를 띄우고 , 문헌과 해석 제61호(겨울)
    이종묵 문헌과 해석사, 13~35면 [2012]
  • 한문고전번역에서 학술 번역의 개념과 그 역할 , 한자한문연구 제4호
    심경호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8]
  • 한문고전 정리 번역 시스템 연구 , 민족문화 제33집
    윤재민 한국고전번역원, 237~276 면 [2009]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http://jsg
    aks.ac.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
    aks]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http://www
    ugyo.net/]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
    itkc.or.kr/]
  • 한국 문집 번역의 목적과 대상 선정 , 고전번역연구 제6집
    장유승 한국고전번역학회, 267 ~298면 [2015]
  • 창계(滄溪) 임영(林泳)의 학문과 성리설 , 동양철학연구 제22집
    오종일 동양철학연구회, 115~135면 [2000]
  • 주영아, 朴世堂의 사유체계와 작품세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주영아, 朴泰輔文學에 나타난 現實對應樣相-忠淸道遊覽時期와 平安道流配時期의 作品을 中心으로- , 동방학 제23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69~101면 [2012]
  • 종합정보[http://kyujanggak
    지리지 snu.ac.kr/geo/main/main.jsp]
  • 조선후기 사상사에서 명재 윤증의 위상 , 民族文化 제37집
    김용흠 한국고전번역원, 7~37 면 [2011]
  • 조선후기 문인들의 서신을 통한 성운 인식 고찰-최석정과 정제두의 서신을 중심으로- , 중국언어연구 제38집
    심소희 한국중국언어학회, 81~45면 [2012]
  • 조선후기 野史叢書편찬의 의미와 과정 , 민족문화 제15집
    안대회 민족문화추진회, 129~ 156면 [1992]
  • 조선후기 “와유록(臥遊錄)” 이본 연구 , 고전문학연구 48
    김영진 한국고전문학회, 221~ 257면 [2015]
  • 조선조 野史의 전개와 寒皐觀外史의 위상 , 大東漢文學 제22집
    신상필 대동한문학회, 203~231면 [2005]
  • 조선전기 筆記의 전통과 稗說, 大東漢文學 제24집
    임완혁 대동한문학회, 69~108면 [2006]
  • 조선시대 해내기관(海內奇觀)의 수용과 화단에의 영향 , 강좌미술사 제31집
    이순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5~229면 [2008]
  • 조선시대 사대부의 유람 양상 , 정신문화연구 제34(4)집
    이상균 한국학중앙연구원, 37~62 면 [2011]
  •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교통수단 , 문화역사지리 제25권
    정치영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74 ~87면 [2013]
  • 저, 내면기행-선인들, 스스로 묘비명을 쓰다
    심경호 이가서 [2009]
  • 장서각 야사류의 소장 경위와 특징 , 조선사연구 제13집
    박인호 조선사연구회, 153~173 면 [2004]
  • 우리나라 산수와 누정에 대한 남학명의 평 , 문헌과 해석 제40집
    신익철 문헌과 해석사, 108~119면 [2007]
  • 역, 당의통략
    이건창 이근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숙종대 소론 변통론의 계통과 탕평론-明谷崔錫鼎을 중심으로- , 韓國思想史學 제32집
    김용흠 思想社會硏究所, 223~264면 [2009]
  • 소론학파(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 한국철학논집 제32집
    김종수 한국 철학사연구회, 113~159면 [2011]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編, (국역)莊陵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9]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
    snu.ac.kr/]
  • 박은영, 회은(晦隱) 남학명(南鶴鳴)의 산문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명재 윤증과 서계 박세당의 학문과 교유(交遊) 관계 , 한국동서철학회논문집 제42 호
    김세정 동서철학연구, 115~142면 [2006]
  • 남학명(南鶴鳴) 산문문학 연구 , 한국문화연구 제26집
    강혜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 연구원, 7~49면 [2014]
  • 남은경, 東溟鄭斗卿文學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남구만의 집안과 용인 비파담 , 문헌과 해석 제23집
    이종묵 문헌과 해석사, 194~204면 [2003]
  • 남구만 저, 성백효 역, 국역 약천집 전7권
    민족문화추진회 [2007]
  •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
    history.go.kr/main.do]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
    nl.go.kr/]
  •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
    korea.ac.kr/]
  • 黃雲龍, 韓國史硏究에 있어 正史․野史의 位置, 石堂論叢 제15집
    석당전통문화연구 원, 119~131면 [1989]
  • 韓國古典籍標點의 現況과 課題, 민족문화 제35집
    김언종 한국고전번역원, 7~30면 [2010]
  • 鄭求福, 《연려실기술》別集에 대한 檢討, 진단학보 제61집
    진단학회, 199~210면 [1986]
  • 鄭亨愚, 《稗林》과 《大東稗林》의 異同-所收書目相互比較- , 圖書館學 제2집(1)
    韓國圖書館學會, 79~102면 [1971]
  • 趙涑, 滄江先生集, 豊壤趙氏文集叢書, 豊壤趙氏花樹會, 1991.
  • 藥泉南九萬의 儒學思想, 한국인물사연구 제3집
    유권종 한국인물사연구회, 31~63면 [2005]
  • 肅宗代前半懷尼是非와 蕩平論-윤선거․윤증의 논리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 제148집
    김용흠 한국사연구회, 75~110면 [2010]
  • 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 서강인문논총 제34집
    이연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05~134면 [2012]
  • 申正模著; 申基勳編, 鵝洲雜錄, 農經出版社, 1983.
  • 申寅洙, 燃藜室記述의 編纂資料에 관한 書誌的硏究, 서지학보 제23호
    한국서지학회, 113~161면 [1999]
  • 牛溪學의 傳承과 그 學風, 범한철학 제28집
    황의동 범한철학회, 31~56면 [2003]
  • 李克誠의 螢雪記聞 硏究, 성호학보 제4집
    장유승 성호학회, 233~286면 [2007]
  • 李來宗, 靑坡劇談의 文獻的檢討, 대동한문학 제34집
    대동한문학회, 213~234면 [2011]
  • 朴仁鎬, 南九萬과 李世龜의 歷史地理硏究-南九萬의 〈東史辨證〉․李世龜의 〈東國 三韓四郡古今疆域說〉을 중심으로- , 역사학보 제138집
    역사학회, 33~72면 [1993]
  • 朝鮮時代士大夫의 遊覽의 慣行硏究, 역사민속학 제38집
    이상균 한국역사민속학회, 81~114면 [2012]
  • 朝鮮後期國朝編年을 통해 본 當代史意識, 역사와 담론 제25집
    김경수 호서사학회, 103~126면 [1998]
  • 朝鮮後期筆記의 特徵과 樣相-豊山洪氏筆記類를 중심으로- , 漢文學報 제22 집
    최식 우리한문학회, 411~442면 [2010]
  • 朝鮮後期少論系文學理論의 特徵硏究(Ⅰ) , 퇴계학과 유교문화 제35집
    김영주 경북대 학교 퇴계연구소, 29~58면 [2004]
  • 朝鮮後期少論系文學理論의 形成背景(Ⅰ) - 陽明學受容의 傳統을 통해 본 學問思想의 特徵- , 동방한문학 제26집
    김영주 동방한문학회, 411~439면 [2004]
  • 朝鮮中期唐詩風과 詩論의 展開樣相, 한국문학연구 제1집
    안병학 고려대학교 민족문 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119~145면 [2000]
  • 晦隱南鶴鳴의 雜說연구 , 고전번역연구 제8집
    연석환 한국고전번역학회, 69~105면 [2017]
  • 明齋尹拯에 대한 後代評價와 追崇, 儒學硏究 제20집
    이형성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논문집, 127~158면 [2009]
  • 明齋尹拯과 定齋朴泰輔, 유학연구 제17집
    최정묵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논문집, 119~138면 [2008]
  • 探求社編(1969~1970), 稗林 第8輯, 探求社.
  • 張志淵編, 大東詩選, 아세아문화사 편, 韓國韓詩選集 4-5
    아세아문화사 [2007]
  • 崔錫鼎의 산학연구와 《養窩集》의 저자 李世龜, 한국수학사학회지 제 28집(2)
    이상구 이재화 한국수학사학회, 73~83면 [2015]
  • 尹宣擧父子文集의 刊行과 毁板에 대한 고찰 , 서지학보 제35집
    김향숙 한국서지학회, 33~59면 [2010]
  • 宜寧南氏大宗會편, 宜寧南氏族譜 전5권
    宜寧南氏大宗會 [2006]
  • 宋欽著, 李一影譯, (국역)知止堂遺稿
    曉星社 [1992]
  • 嚴慶遂, 孚齋日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서고(古書) (奎7578)
  • 南鶴鳴, 晦隱集, 韓國文集叢刊續 51.
  • 南九萬의 國防思想, 민족문화 제14집
    강신엽 민족문화추진회, 161~198면 [1991]
  • 17세기 조선후기 최석정의 훈민정음의 역학적 원리 연구 , 大同哲學 제66집
    이희재 대동 철학회, 51~66면 [2014]
  • 17세기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기용사(氣用事)” 논변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제57집
    이선열 동양철학연구회, 163~192면 [2009]
  • 17세기 노소 분기의 고민과 선택-西溪朴世堂의 高弟子西堂李德壽- , 문헌과 해석 창간호
    이승수 태학사, 135~149면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