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연구의 논쟁점 분석 =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Metal Movable-type Printing Technique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권오덕 2018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연구의 논쟁점 분석 =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Metal Movable-type Printing Technique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서지학
  • 금속활자
  • 논쟁점
  • 인쇄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0 0

0.0%

'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연구의 논쟁점 분석 =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Metal Movable-type Printing Technique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의 참고문헌

  •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 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1 2
    옥영정 성남: 한국학중앙연구 원 출판부 [2017]
  • 高麗本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硏究
    조병순 서울: 韓國書誌學會 [2006]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글금속활자의 고증 및 성분분석
    이재정 ” 書誌學硏究 第37 輯 [2007]
  •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속활자의 과학적 분석
    이재정 ” 書誌學硏究 第33輯 [2006]
  • 손보기. 새판 한국의 고활자
    서울: 寶晉齋 [1982]
  •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 손보기. “임진왜란과 일본의 활자 인쇄술
    ” 애산학보 제5집 [1987]
  • 손보기. “韓國印刷技術史.” 韓國文化史大系Ⅲ ; 科學技術史
    서울: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70]
  • 문화재청. 고려금속활자 지정조사 분석결과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2016]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국립중앙박물관. 활자의 나라, 조선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6]
  • 국립중앙박물관. 한글금속활자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06]
  • 국립중앙박물관. 校書館印書體字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07]
  • 국립중앙도서관. 古典에서 만난 우리 금속활자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15]
  •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선터
  • 韓國圖書館學硏究會. 韓國古印刷史
    서울: 韓國圖書館學硏究會 [1976]
  • 金然昌. “東國厚生錄의 鑄字製造法
    ” 考古美術 第4卷第7號(通卷36號) [1963]
  • 金斗鍾. 韓國古印刷技術史
    서울: 탐구당 [1974]
  • 金斗鍾. “한글活字考.” 崔鉉培先生還甲記念論文集
    서울: 思想界社 [1954]
  • 金斗鍾. “高麗鑄字本의 重刻本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
    ” 書誌 第1卷第2號 [1960]
  • 金斗鍾. “近世朝鮮後期活字印本에 關한 綜合的考察
    ” 대동문화연구 4권 [1967]
  • 金斗鍾. “書體上으로 보는 近世朝鮮活字體의 變遷
    ” 書誌 第1卷第1號 [1960]
  • 金斗鍾. “壬辰亂後의 活字印本; 實錄字와 訓練都監字
    ” 진단학보 제29 30호 [1966]
  • 金基泰. “ 直指心經의 保存經緯에 대한 考察
    ” 奎章閣 第6輯 [1982]
  • 金元龍. 韓國古活字槪要
    서울: 乙酉文化史 [1954]
  • 金元龍. “李氏朝鮮鑄字印刷小史; 鑄字所를 中心으로
    ” 鄕土서울 第3號 [1958]
  • 金元龍. “李朝後期의 鑄字印刷
    ” 鄕土서울 第7號 [1959]
  • 趙炳舜. “高麗書籍院活字에 대한 硏究; 所謂癸未字本組版術을 中心으로
    ” 書誌學報 第18號 [1996]
  • 趙炳舜. “癸未字本組版術의 殘影과 印出能力; 계미자본 조판술의 잔영과 인출능력
    ” 季刊書誌學報 第1號 [1990]
  • 趙炳舜. “癸未字字本에 對하여
    ” 季刊書誌學報 第7號 [1992]
  • 趙炳舜. “癸未字字數와 小字起源에 대한 考察
    ” 季刊書誌學報 第11號 [1993]
  • 白麟. 韓國圖書館史硏究
    서울: 韓國圖書館協會 [1982]
  • 白麟. “韓國古活字本에 對한 硏究
    ” 圖書館報 3호 [1965]
  • 白麟. “癸酉, 庚辰, 戊午字에 對하여
    ” 도서관문화 v.8 no.1 [1967]
  • 白麟. “朝鮮後期活字本의 形態書誌學的硏究(下) ; 宣祖25~隆熙4年사이의 奎章閣 所藏圖書를 中心으로
    ” 韓國史硏究 제4호 [1969]
  • 白麟. “朝鮮後期活字本의 形態書誌學的硏究(上) ; 宣祖25~隆熙4年사이의 奎章閣 所藏圖書를 中心으로
    ” 韓國史硏究 제3호 [1969]
  • 田川孝三. “李朝印刷文化와 日本
    ” 東洋學 2권 [1972]
  • 淸州古印刷博物館. 조선후기 한국의 금속활자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10]
  • 淸州古印刷博物館. 조선전기 한국의 금속활자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09]
  • 淸州古印刷博物館. 조선시대 한글 활자와 철활자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10]
  • 淸州古印刷博物館. 고려 금속활자 조사연구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11]
  • 淸州古印刷博物館. 證道歌硏究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11]
  • 淸州古印刷博物館. 直指硏究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10]
  • 淸州古印刷博物館. 甲寅字와 한글활자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2007]
  • 沈㬂俊. “日本國會圖書館所藏纂圖互註周禮板本考; 特히 癸未字의 綜合的考察을 中心으로
    ” 人文學硏究 4 5合輯 [1977]
  • 林泰三. “韓國古活字本의 形態書誌的面에서 본 事例本의 比較硏究; 癸未字에서 改鑄 甲寅字까지
    ” 慶星大學校論文集 第13輯1卷 [1992]
  • 李謙魯. “癸未字와 春秋左傳
    ” 圖書 第10號 을유문화사 [1966]
  • 李弘稙. “十一家註孫子와 癸未活字問題; 新井白石手寫本을 中心으로.” 韓國古文化論 攷
    서울: 乙酉文化社 [1954]
  • 李亮載. “麗末鮮初傳活字本總目論抄, Ⅰ ; 癸未字以前本을 중심으로
    ” 出版學硏究 [1986]
  • 李亮載. “癸未字本考; 麗末鮮初傳活字本總目論抄Ⅱ
    ” 韓國古書同友會報 제3호 [1986]
  • 朴鶴洙. “밀랍주조로 제작된 고 금속활자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 원 [2010]
  • 曺炯鎭. “金屬活字蜜蠟鑄造法復原을 위한 文獻的硏究
    ” 書誌學硏究 第33輯 [2006]
  • 曺炯鎭. “金屬活字本說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鑑別方法硏究
    ” 書誌學硏究 第63輯 [2015]
  • 曺炯鎭. “直指活字의 鑄造組版方法硏究
    ” 書誌學硏究 第39輯 [2008]
  • 曺炯鎭. “ 直指의 字跡에 나타난 直指活字의 特徵硏究
    ” 書誌學硏究 第38輯 [2007]
  • 尹炳泰. 朝鮮朝活字考 ; 大型活字
    서울: 연세대학교도서관학과 [1976]
  • 尹炳泰. 朝鮮後期의 活字와 冊
    서울: 범우사 [1992]
  • 尹炳泰. “高麗金屬活字本과 그 起源
    ” 圖協月報 Vol.14 No.8 [1973]
  • 尹炳泰. “高麗金屬活字本淸涼苔順宗心要法門과 中奉大夫崇福使別不花
    ” 국회도서관 보 [1973]
  • 尹炳泰. “韓國의 活字印刷
    ” 月刊文化財 5월호(통권 53호) [1976]
  • 尹炳泰. “自警編과 箕城秋香堂의 活字印本들 ; 反”甲辰字“ 字本論
    ” 國會圖書館報 99 [1974]
  • 尹炳泰. “浮碧樓重修記와 같은 活字印本들
    ” 圖書館學 第3輯 [1973]
  • 尹炳泰. “洪啓禧字와 그 印本
    ” 古印刷文化 第8輯 [2001]
  • 尹炳泰. “朝鮮의 活字印刷出版文化
    ” 恒心尹炳泰博士停年紀念論文集; 韓國書誌學論 集 [1999]
  • 尹炳泰. “敦岩印書体字와 그 初印本들 ; 反全史字名攷續
    ” 國會圖書館報 105 [1975]
  • 尹炳泰. “敦岩印書体字와 그 初印本들 ; 反全史字名攷
    ” 國會圖書館報 104 [1974]
  • 尹炳泰. “忠義集傳과 校書館鐵字印本들 ; 反‘印譜木活字’論
    ” 圖協月報 Vol.14 No.10 [1973]
  • 尹炳泰. “御試策과 朝鮮前期의 小型活字印本
    ” 古印刷文化 第4輯 [1997]
  • 尹炳泰. “倣整理字體鐵字考
    ” 인문학연구 第16卷第2號 [1989]
  • 尹炳泰. “世祖朝大型活字考; 奎章閣本을 中心으로
    ” 奎章閣 第8輯 [1984]
  • 尹炳泰. “ 洛東契活字考
    ” 도서관 第31卷第3號 [1976]
  • 尹炳泰. “ 松營鑄錢監官邊首都錄成冊과 鑄字所鑄字에 대하여
    ” 國會圖書館報 [1973]
  • 安春根. 韓國書誌의 展開過程
    서울: 범우사 [1994]
  • 南權熙. 지식정보의 소통과 금속활자 발달사 ; 고려시대 조선시대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8]
  • 南權熙. 高麗時代記錄文化硏究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 千惠鳳. 한국금속활자본
    서울: 범우사 [2003]
  • 千惠鳳. 한국금속활자 인쇄사
    서울: 汎友社 [2012]
  • 千惠鳳. 韓國典籍印刷史
    서울: 汎友社 [1990]
  • 千惠鳳. “高麗鑄字版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重彫本에 대하여
    ” 圖書館學 第15輯 [1988]
  • 千惠鳳. “高麗鑄字印刷術의 硏究
    ” 成大論文集 第22輯 [1976]
  • 千惠鳳. “癸未字와 그 印本-宋朝表牋總類의 해설을 곁들여
    ” 古印刷文化 第10輯 [2003]
  • 千惠鳳. “癸未字와 그 刊本; 國寶指定및 新發見刊本을 포함한 綜合的考察
    ” 書誌學 第6號 [1974]
  • 千惠鳳. “甲寅字本鑑識의 諸問題.” 蒼史李春熙敎授定年紀念論叢
    景仁文化社 [1993]
  • 千惠鳳. “朝鮮朝의 乙亥小字體木活字本《御試策》; 元나라 銅活字本에 대한 修正論
    ” 書誌學硏究 第15輯 [1998]
  • 千惠鳳. “庚午字攷; 主로 鑄造年代와 字名을 中心으로
    ” 成大論文集 13輯 [1968]
  • 千惠鳳. “古文眞寶大全에 대하여 ; 趙炳舜氏所藏本을 中心으로
    ” 歷史學報 第61輯 [1974]
  • 千惠鳳. “世祖朝新鑄의 ‘戊寅字’와 그 刊本; 主로 그 鑄字의 考證을 中心으로
    ” 한국비 블리아학회지 2 [1974]
  • “洛東契字를 통해 본 조선시대 文人들의 지적 교류.”
    이재정 민족문화연구 60호 [2013]
  • “金屬活字印刷術發明의 起源에 관한 硏究.”
    박문열 인문과학논집 제23집 [2001]
  • “淸凉答順宗心要法門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비교 고찰.”
    유부현 書誌學報 第 39號 [2012]
  •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결함과 그 원인.”
    황선주 古印刷文化 第6輯 [2000]
  • “한국 금속활자인쇄술의 始原과 관련한 鑄字本남명송증도가 의 간행년도에 관한 연구.”
    김성수 書誌學報 第39號 [2012]
  • “한국 금속활자 始原의 원천기술 및 興德寺字의 鑄造法에 관한 연구.”
    김성수 書誌學硏 究 第54輯 [2013]
  • “증도가자(證道歌字) 문제.”
    황선주 인문과학연구 第10號 [2001]
  • “조선 활자 인쇄술이 일본 古活字本인쇄에 미친 영향.”
    이재정 동북아역사논총 46호 [2014]
  • “여말선초 금속활자를 통해 본 證道歌字字形의 특징.”
    손계영 書誌學硏究 第63輯 [2015]
  • “금속활자 주조법에 관한 연구.”
    김성수 古印刷文化 第13輯 [2006]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實錄字고찰.”
    이재정 奎章閣 第40輯 [2012]
  • “高麗金屬活字證道歌字의 鑄造法과 印刷技術史的分析.”
    남권희 書誌學報 第39號 [2012]
  • “高麗時代金屬活字의 發明과 直指活字鑄造方法.”
    황정하 書誌學硏究 第32輯 [2005]
  • “韓國靑銅活字印刷術發展의 技術史的背景.”
    전상운 硏究論文集 3 [1970]
  • “韓國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壬辰倭亂以後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 (坤).”
    윤상기 書誌學報 第22號 [1998]
  • “韓國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壬辰倭亂以後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 (乾).”
    윤상기 書誌學硏究 第16輯 [1998]
  • “韓國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壬辰倭亂以前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
    윤상기 東義論 輯 第24輯 [1996]
  • “靑銅遺物의 鑄造와 復原技術硏究.”
    윤용현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 “鑄物沙鑄造法에 의한 金屬活字鑄造方法硏究.”
    남권희 書誌學硏究 第33輯 [2006]
  • “證道歌字의 진위 규명을 위한 조선시대 금속활자와의 주조 형태에 관한 비교 분석적 연구.”
    김성수 書誌學報 第36號 [2010]
  • “證道歌字의 발견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연구.”
    남권희 書誌學報 第36號 [2010]
  • “證道歌字와 東國李相國集.”
    남권희 書誌學硏究 第48輯 [2011]
  • “蜜蠟鑄造法의 復元에 관한 實驗的硏究.”
    박문열 書誌學硏究 第33輯 [2006]
  • “朝鮮朝文集刊行의 諸樣相; 朝鮮後期事例를 中心으로.”
    김영진 民族文化 第43輯 [2014]
  • “朝鮮後期校書館印書體字本文集의 刊行에 관한 硏究.”
    정진웅 書誌學硏究 第36輯 [2007]
  • “新出금속활자와 고려시대 서예사.”
    이완우 書誌學報 第39號 [2012]
  • “庚辰字의 再鑄甲寅字論; 《東園集》의 〈題鑄字都監契軸幷小識〉.”
    김윤수 國會圖 書館報 228 [1993]
  • “<남명천화상송증도가(공인본)>에 나타난 활자본의 특징.”
    손환일 년 한국서지학 회 발표 자료집) [2016]
  • “ 직지 의 인쇄상태 분석에 입각한 興德寺字의 주조형태에 관한 고찰.”
    김성수 書誌學 硏究 第56輯 [2013]
  • “ 남명송증도가 의 간행 배경에 관한 분석.”
    김성수 書誌學硏究 第47輯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