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전문대학 NCS 수리능력 교과에서 PBL 수업 가능성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BL in NCS Mathematics of Junior College

반희영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전문대학 NCS 수리능력 교과에서 PBL 수업 가능성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BL in NCS Mathematics of Junior Colleg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문제중심학습(pbl)
  • 수리능력
  • 수학 학습태도
  • 자기효능감
  • 전문대학
  • 직업기초능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983 0

0.0%

' 전문대학 NCS 수리능력 교과에서 PBL 수업 가능성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BL in NCS Mathematics of Junior College' 의 참고문헌

  • 자격기본법 제2조 제2항
  • 현장수요 중심의 국가기술자격 등급 체계 설계 방안
    구자길 안재환 울 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6]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인증제 운영방안
    김덕기 김현수 이동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교육 혁신 2020
    이길순 이병욱 전종호 정태화 홍관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부의 전문대학지 원 정책 진단 및 보완대책
    김민규 전재식 정태화 황성수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 [2013]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과 국가직무능력표 준
    김덕기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NCS의 도입 및 당면과제, 제1차 NCS 포럼자료집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 한국연구재단 전문대학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요약서. 세종: 교육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16]
  • 한국연구재단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 인. 세종: 교육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15]
  • 한국산업인력공단 수리능력(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 교수자용)
    울산: 한 국산업인력공단 [2016]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www.ncs.go.kr.)
    울산: 한국산업인 력공단 [2018]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안)
    서울: 한국산업인 력공단 [2013]
  • 한국교육개발원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Ⅰ)
    서울: 한 국교육개발원 [1987]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2017]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 체제 연구 (III)-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2]
  • 학벌 아닌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NCS 구축과 활용
    나승일 진천: 한국교 육개발원 [2013]
  • 특성화 전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실태 조사
    홍장용 국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청년실업에 대비한 진로교육 방향 및 토의
    임언 정채기 정철영 한국 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04(1), 50-76 [2004]
  •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동 기본교육과정 분석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정철영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 기준 개발
    김재겸 김진모 이종범 임경범 정철영 주인중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 조선업 위기, 원인을 알면 처방이 보인다
    조하현 데일리한국 전문가 칼럼 [2016]
  •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 발
    박동열 이용순 최동선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 자유학기 수업을 위한 PBL기반 P3C 수업 모형 개발
    김경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박사
  • 인터넷활용 문제중심 학습모형
    최욱 교육학연구, 39(3), 259-284 [2001]
  • 이정표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 미국, 호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5(2), 171-195 [2005]
  • 이성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 및 표준개발
    김진모 나승일 서우석 장석민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강인애 서울: 문음사 [2003]
  •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허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성인학습환경으로서 PBL의 가능성
    강인애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간호학탐구, 11(1), 26-54 [2002]
  • 생활 체험 수학 프로그램을 통한 수학 학습태도 변화연구
    이주희 진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사례 분석을 통한 PBL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최정임 교육공학연 구, 20(1), 37-61 [2004]
  •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조연순 서울; 학지사 [2006]
  •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허남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박사
  •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 행동 사례 연구 -Schoenfeld의 수학적 행동 분석 틀을 중심으로
    장윤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8]
  •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윤회정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문제중심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창의적 비판적 사고유형과 교사의 역할 분석 :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백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8]
  • 도시철도 무임승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우 한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대학교육의 새로운 도전(강현석, 전명남, 조용개, 심미자, 이은 화, 이희원 역)
    Biggs, J.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7]
  •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훈 련체제 개편 방안 연구
    김기홍 박동열 전승환 허영준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
    naver.com/ [2016]
  • 기초직업능력 표준개발(2차년 도)
    김진모 나승일 서우석 장석민 정철영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4]
  •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 사례 연구-작업분석 및 역량분 석을 중심으로
    김성국 신수영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논총, 22(1), 1-19. [2004]
  • 박사
  •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활성화 방안
    김주섭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2014]
  • 교통체증 설 명절 고속도로, 통행요금 왜 받나요
    서상범 헤럴드경제 [2016]
  • 박사
  • 공학교육에서 PBL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
    신민희 한국공학교육학회 공 학교육, 16(3), 61-65 [2009]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서울: 고 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2013]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2017 NCS 개발 매뉴얼. 서울: 고용노동 부
    한국산업인력공단 [2017]
  •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15]
  •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전문대학 육성 사업 시행계획(안)
    교육부 교육부 국정과제 시행계획 [2014]
  •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통합한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구성 탐구』
    윤수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인재』
    교육부 교육부 업무보고 [2014]
  • 『SNS를 활용한 PBL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우경애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PBL에 의한 기업 내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활성화 교육프로 그램 개발 사례연구”
    방노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Walton, H. J. & Mathews, M. B. (1989). Essentials of Problem-bas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23, 542-558.
  • Torp, L. & Sage, S. M. (2002). Problem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Schmidt, H. G. (1993).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me explanatory notes. Medical Education, 27, 422-432.
  • Scheiman, M., Wittaker, S. & Dell, W. (1989). Problem based learning as a potential teaching approach: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ptometric Education, 15(1), 8-15.
  • Savin-Baden, M. & Major, C. H. (2004).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 STAD협동학습을 적용한 수학학습이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경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 Poliquin, L. & Mauffette, Y. (1997). PBL vs integrity of discipline content: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PBL in a B. Sc. in bi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4, 519-526.
  • PBL의 실천적 이해
    강인애 정득년 정준환 서울: 문음사(원저는 2007 년 출판) [2013]
  • PBL에 나타난 재미에 관한 질적 탐구
    정준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 징
    김현우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Norman, G. R. & Schmidt, H. G. (1992). The psychological basis of problem-based learning: A review of the evidence. Academic medicine, 67(9), 557-565.
  • Martin, K. J. & Chrispeels, J. H. (1998). Becoming problem solvers: The case of three future administrator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8(3), 303-331.
  • Levin, B. B. (2001).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Lambros, A. (2004). Problem-based learn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A teacher’s guide to implementation. California; Corwin press, 2, 3, 6.
  • IMSA(1996). PBL network, Collaborative inquiry in action. Retrieved from http://pbln.imsa.edu/
  • Hofmann, D. L. & Novak. A. (1996).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3(1), 3–16.
  • Gallagher, S. A., Stepien, W. J., Sher, B. T. & Workman, D. (1995).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3), 136-146.
  • Forgarty, R. (1997). Problem-based learning & other curriculum mode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lassroom. Arlington heights. IL: IRI SkyLight.
  • Finkle, S. L. & Torp, L. L. (1995). Center for problem-based learning, Illinois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y at http://www.imsa.edu/team/epbl/whatis/whatis/slide6.html
  • Duffy, T. & Savery, J. (1994).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NJ: Educational Technology.
  • Duch, B. J. (2001). Models for problem-based instruction in undergraduate courses. In B. J. Duch., S. E. Groh. & D. E. Allen(Eds.), The Power of problem-based learning. VA: Stylus Publishing, LLC.
  •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a classroom. M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8-13.
  • Corderio, P. A. & Campbell, B. (1996). Increasing the transfer of learning though Problem-based learning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City, April, 18-22.
  • Boud, D. (1985). Problem-based Learning in Education for the professions. Sydney: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 Barrows, H. S.(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 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 Barrows,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andura, A. (1977). Cognitive processes mediating behavioral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125-139.
  • Albanese, M. A. & Mitchell, S. (1993). Problem-based Learning: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emic Medicine, 68, 52.
  • 2017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세미나: 열다섯 살 NCS, 성숙 을 위하여
    강순희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NCS센터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