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실러의 교육이론 연구 : 이성-감성의 단일성에 비추어 본 인간의 역동성

장주희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실러의 교육이론 연구 : 이성-감성의 단일성에 비추어 본 인간의 역동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감성교육론
  • 상호 의존
  • 실러
  • 아이스테티카
  • 유희충동
  • 이성과 감성
  • 인격과 상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433 0

0.0%

' 실러의 교육이론 연구 : 이성-감성의 단일성에 비추어 본 인간의 역동성' 의 참고문헌

  •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
    이환기 서울:교육과학사 [1998]
  • 헤겔의 실러 수용과 비판
    서정혁 헤겔연구,31,181-201 [2012]
  • 플라톤 무시케 교육의 재고찰
    심장후 도덕교육연구,29(2),53-78 [2017]
  • 플라톤 교육론의 대안으로서의 실러의 미적교육
    유재봉 홍지희 교육과정연구,32(1), 256-275 [2017]
  • 프리드리히 실러 「미학편지」의 논리 구조에 관하여
    조경식 유럽사회문화, 11, 165-199 [2013]
  • 칸트와 교육인식론
    노철현 서울:교육과학사 [2010]
  • 칸트-쉴러 논쟁에 관한 한 해석:교육이론과 윤리학의 관련
    신춘호 도덕교육연구, 19(1),227-247 [2007]
  • 칸트 미학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철학사상,19
    조상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65-195 [2004]
  • 인간본성론.이홍우,유한구(編)(1996).「교육의 동양적 전통Ⅰ」(pp.35-68).성경 재 연구총서 2
    이홍우 서울:성경재 [1996]
  • 예술과 도덕:오우크쇼트 ‘시적 상상’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차미란 도덕교육연구,23(2), 93-116 [2011]
  • 예술과 교육
    이홍우 도덕교육연구,12(2),1-22 [2000]
  • 열린교육의 두 차원:종교와 예술.이홍우 이환기 김광민(編)(1997).「마음과 교 과」(pp.117-153).성경재 연구총서 4
    장성모 서울:성경재 [1997]
  • 쉴러의 정치교육론: 도덕교육적 함의
    이경화 도덕교육연구,18(1),95-111 [2006]
  •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미적 인간’의 교육론으 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김상섭 도덕교육연구,28(3),197-224 [2016]
  • 쉴러의 ‘심성교육론’에 나타난 교육의 이상으로서의 자유
    박채형 도덕교육연구,13(1), 69-86 [2001]
  • 쉴러의 ‘미적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의 한계와 새로운 접근
    곽진숙 교육원리연구,16, 35-59 [2011]
  • 쉴러의 ‘미적 교육’의 이념과 ‘실천적 문화’
    정원석 독일언어문학,57,137-158 [2012]
  • 선험철학에 비추어 본 마음의 발달의 자유와 필연성
    고영준 도덕교육연구,25(3), 133-168 [2013]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 연구소(編)「데카르트에서 들뢰즈까지-이성과 감성의 철학사」
    서울:세창출판사 [2015]
  • 미학대계간행회「미학의 역사(미학대계 제1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7]
  • 마음의 신비와 교육의 신비. 이홍우 이환기 김광민(編). 「마음과 교과」 (pp.1-40).성경재 연구총서 4
    이홍우 서울:성경재 [2000]
  • 루소의 교육이론
    장성모 도덕교육연구,28(1),85-111 [2016]
  • 루소의 교육론 연구:자유교육으로서의 자연교육
    박주병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 듀이 미학의 교육학적 해석
    이은미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8]
  • 도덕성의 원천으로서의 심미적 자유
    이미종 도덕교육연구,13(2),193-213 [2001]
  • 나는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면 나는 누구인가?:정신과 육체의 관계를 통해서 살 펴본 실러의 주체개념
    신동도 독일문학,110,299-319 [2009]
  • 교육이론으로서의 칸트철학: 판단력 비판 해석
    신춘호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5]
  • 교육의 형이상학적 차원과 예술적 차원
    장주희 춘천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7]
  • 교육의 개념
    이홍우 서울:문음사 [2009]
  • 교육과 예술
    장성모 초등교육연구,26(2),153-172 [2013]
  • 교과교육과 심성함양
    장성모 수학교육학논총,25,1-13 [2004]
  • 감성-이성의 단일성에 비추어 본 전인교육:실러 「미학교육론」의 교육 학적 함의
    박주병 장주희 교육사상연구,32(1),183-204 [2018]
  • 敎科의 內面化
    이홍우 아시아교육연구,1(1),249-271 [2000]
  • 『대승기신론 통석』
    이홍우 파주:김영사 [2006]
  • 『교육과정 이론』
    이홍우 서울:교육과학사 [2003]
  • 「인간의 미적 교육론」
    김상섭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7]
  • 「여가란 무엇인가」
    김승호 서울:교육과학사 [2015]
  • 「아름다움의 미학과 숭고함의 예술론」
    김수용 서울:아카넷 [2009]
  • 「쉴러의 문학과 미학」
    고창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 “Traditional vs. Progressive Education”. “The Need of a Theory of Experience”. “Criteria of Experience”
    Dewey, J. in Experience and Education. 이돈희(編 譯)(1994).「존듀이:교육론」(47-76).대학고전총서10.서울대학교 출판부 [1938]
  • “Having an Experience”
    in ArtasExperience.이돈희(編譯)(1994).「존듀이: 교육론」(77-104).대학고전총서10.서울대학교 출판부▒Dewey, J.▒ [1934]
  • The Principle ofArt
    Collingwood R.G. Oxford University Press.김혜련(譯)(1996). 「상상과 표현-예술의 철학적 원리」.서울:고려원 [1983]
  • RousseauJ.J.(1762).Emile.정봉구(譯)「에밀」
    파주:범우 [2006]
  • RobertE.Norton(1995).Kantand Schillerin The BeautifulSoul(pp.210-245).New York: CornellUniversityPress.
  • Reiner,Hans(1951).PflichtundNeigung.M.Santos(trans.)(1983).DutyandInclination;the fundamentalsofmoralitydiscussed and redefined withspecialregard toKantand Schiller.TheHague:Nijhoff.
  • PieperJ.(1948).Muβeund Kult.Hegner-B chereiim K sel-Verlag zu M nchen.Alexander Dru(trans)(1952).Leisure:TheBasisofCulture.New York:PantheonBooks.
  • PeterAndr AltSchiller:Leben-Werk-ZeinⅠ Ⅱ.M nchen:Verlag C.H.Beck oHG. 김홍진 최두환(譯)(2015).「실러 생애 작품 시대」1,2.한국연구재단총서
    서울:아카넷 [2009]
  • Oakeshott,M..Fuller,T.(ed.)(1989).TheVoiceofLiberalLearning:MichaelOakeshotton Education.TheYaleUniversityPress.
  • MarthaC.NussbaumPoeticJustice:TheLiteraryImagainationand PublicLife.박 용준(譯)(2013).「시적 정의:문학적 상상력과 공적인 삶」
    파주:궁리 [1995]
  • LecturesontheRepublicofPlato.김안중,홍윤경(譯)(2010).「플라 톤의 국가론 강의」
    Nettleship,R.L. 파주:교육과학사 [1925]
  • Kant(1803).Kanton Education.조관성(譯)「칸트의 교육학 강의」
    서울:철학과 현 실사 [2007]
  • Kant(1790).CritiqueofJudgement.백종현(譯)「판단력비판」
    서울:아카넷 [2009]
  • Kant(1788).CritiqueofPracticalReason.백종현(譯)「실천이성비판」
    서울:아카넷 [2012]
  • Kant(1785).Foundations ofMetaphysics ofMorals.백종현(譯)「윤리형이상학 정 초」
    서울:아카넷 [2014]
  • Kant(1781).CritiqueofPureReason.백종현(譯)「순수이성비판」
    서울:아카넷 [2006]
  • FrederickBeiser(2005).SchillerasPhilosopherA Re-Examination.OxfordUniversityPress.
  • Experience and the Growth ofUnderstand.London:Routledge & KeganPaul.이홍우 외(共譯)(1990).「경험과 이해의 성장」
    Hamlyn,D.W. 서울:교육과학사 [1978]
  • Ethic and Education.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이홍우 (譯)(2003).「윤리학과 교육」
    Peters,R.S. 서울:교육과학사 [1966]
  •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New York:Macmillan.이홍우(譯)(1987)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서울:교육과 학사 [1916]
  • CassirerH.W.A Commentaryon Kant'sCritique ofJudgment.김안중(譯).칸트의 판단력비판 해설
    미출간 번역본 [1983]
  • BoydW.TheHistoryofWesternEducation.London:Adam &CharlesBlack.이홍우 박재문 유한구(譯)(2008).「서양교육사」
    서울:교육과학사 [1952]
  • BoydW.The EducationalTheory ofJean Jacques Rousseau.New York:Longmans GreanandCo..김안중 박주병(譯)(2013).「루소의 교육이론」
    서울:교육과학사 [1911]
  • Beiser F.C.(2004).A Romantic Imperative-The concept ofBildung in early German romanticism.Massachusetts:HarvardUniversityPress.
  • Bantock,G.H.(1984).StudiesintheHistoryofEducationalTheory,Allen& Unwin.
  •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이홍우 서울:교육과학사 [2014]
  • (譯註)「論語集註」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1999]
  • (譯註)「孟子集註」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2010]
  • (編) 「수업의 藝術」
    장성모 서울:교육과학사 [2006]
  • (1795).Kallias oder berdie Sch nheit. berAnmutund W rde. berdas Pathetische. ber das Erhabene. ber die notwendigen Grenzen beim Gebrauch sch ner Formen.Gedanken berdenGebrauchdesGemeinenundNiedrigeninderKunst. 장상용(譯)「쉴러의 미학 예술론」
    Schiller F. 인하대학교 출판부 [1999]
  • (1795). ber die 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Wilkinson E. M.& Willoughby L. A.(trans),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 Oxford University. Reginald Snell(trans)(1954).On theAestheticEducation ofMan in aSeriesofLetter
    Schiller F. New Haven Connecticut:YaleUniversity Press.안인희(譯)(2012).「미학편지」.서울:휴 머니스트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