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PDIE모형을 적용한 화장품학 STEAM 수업설계와 효과검증 = PDIE Model-Applied Cosmetological STEAM Course Design and Effect Verification

황진아 2018년
논문상세정보
' PDIE모형을 적용한 화장품학 STEAM 수업설계와 효과검증 = PDIE Model-Applied Cosmetological STEAM Course Design and Effect Verifi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steam 교육
  • 교수 학습방법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미용 수업설계
  • 미용교육
  • 수행평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6 0

0.0%

' PDIE모형을 적용한 화장품학 STEAM 수업설계와 효과검증 = PDIE Model-Applied Cosmetological STEAM Course Design and Effect Verification' 의 참고문헌

  • 학습부진아의 도형 영역 학습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차국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피부미용 국가직무 능력표준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류동희 성결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박사
  •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를 위한 미술치료기반 STEAM 진로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미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래밍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 램
    김태훈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오미옥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박사
  • 직소모형 Ⅲ, Ⅳ을 적용한 조선시대 회화 작품 감상 교수-학습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천현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박사
  • 박사
    인지적 도제학습을 이용한 미용 수업 지도안 개발
    전이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융합인재교육 STEAM프로그램 창의적 과학탐구ㆍ실험을 통한 ‘ZERO ENERGY HOUSE’모형 제작하기(교사용)
    충북대학교. p.8 [2015]
  • 융합인재교육 STEAM프로그램 OLED DIY 감성소품 만들기(교사용)
    경상대학교. p.10 [2015]
  •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에 관한 연구: 오브제 제작을 중심으로
    홍승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스캐폴딩을 적용한 브레인라이팅 토의 토론 수업이 학습부진학생 의 발표력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양성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1]
  • 생물과 환경 단원학습을 위한 생태놀이 자료와 STEAM프로그램 의 개발 및 적용효과
    우용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법률 제11722, 자격기본법 규정 제2조 제2호
    국가법령정보센터 [2013]
  • 박물관ㆍ미술관 디지털 오브제를 화용한 STEAM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성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미술수업을 통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란 경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미술, 과학 교과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등 3학년을 중심으로
    이정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메타분석을 통한 STEAM 교육의 효과검증
    김지원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
    유재근 한국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눈에 보이는 STEAM교육
    p.42∼43
  • 김홍도의 진경산수화를 활용한 풍화 침식에 대한 STEAM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박용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박사
  • 과학, 미술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 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김자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http://www.ncs.go.kr
  • http://steam.kofac.re.kr
  • Tarnoff, J. (2010). STEM to STEAM; Recognizing the Value of Creative Skills in the Competitiveness Debate. HuffPost Education Group.
  •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pp. 20-26.
  • STEAM을 활용한 NCS훈련이수 수준별 메이크업 수업설계 및 적용
    김의형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STEAM 프로그램을 적용ㅎ란 수업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창의 적사고, 과학적 태도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5]
  • 박사
  • Platz, J. (2007). How do you turn STEM into STEAM? Add the Arts! Columbus: Ohio Aliance for Arts Education. Retrieved July 27, 2011, from
  • NIE의 학업 효과에 관한 연구
    김재선 황유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2016]
  •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A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Retrieved July 27, 2011, from http://bermaes.wordpress.com/2010/10/21/teams.
  • Huffingtonpost. (2010). “STEM to STEAM-Recognizing the Value of Creative Skills in the Competitiveness Debate.” (2010. 10. 14)
  •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6).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STEM) education issue and legislative options.(CRS Publication No. RL33434). Washington, DC: Author.
  • Clelland, A. G. (2009). STEAM -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 Chinn, C. A. & Hmelo-Silver, C. E. (2002). Authentic inquiry: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Science Education, 86(2), 171-174.
  • Chard, Sylvia C. 프로젝트 접근법; 교사를 위한 실행 지침서(지옥정. 역.)
    서울: 창지사 [1997]
  • Bybee, R. W.(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pp. 30-35.
  • 2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국가직무능력표 준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분석연구
    박남순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