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조진수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언어
  • 구성주의 근거이론
  • 국어교육
  • 논항 구조
  • 문법 문식성
  • 문법 문식소
  • 문법교육
  • 문장 구조
  • 사회기호학적 문법관
  • 정보 구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35 0

0.0%

'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기호학의 발전
    김성도 김치수 박인철 박일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국어학 30
    최동주 국어학회, pp.201-224 [1997]
  • 박사
    현대국어 문장의 정보구조 연구
    류남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박사
  •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 『국어교육연구』36
    윤여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535-561 [2015]
  • 한국어의 장소 표시 방법들, 국어학 82
    임동훈 국어학회, pp.101-125 [2017]
  • 한국어의 의미와 문법 Ⅰ -기본적인 관점
    이용주 삼지원 [1993]
  • 박사
  • 한국어 통사론의 현상과 이론
  • 한국어 부사절과 접속문 체계 다시 보기, 언어학 34
    박소영 한국언어학회, pp.49-73 [2002]
  • 한국어 병렬문의 문법적 위상, 국어학 56
    임동훈 국어학회, pp.87-130 [2009]
  •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논항구조 비교, 언어 27(3)
    김미경 한국언어학회, pp.315-343 [2002]
  • 한국어 문법 총론Ⅰ
  •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화법연구 4
    전영옥 한국화법학회, pp.113-145 [2002]
  • 한국어 교사의 등급별 문법 용어 사용 실태, 국어교육 139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한국어교육학회, pp.589-616 [2012]
  • 한국 현직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구성요인 및 구조 연구 -일반적 인지능력과 기술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4)
    나일주 이지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pp.21-45 [2009]
  •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숙련자의 문법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26
    주세형 한국어교육학회, pp.283-320 [2008]
  • 프라그 언어학파의 유표성이론, 독일어문학 72
    김형민 한국독일어문학회, pp.27-58 [2016]
  • 박사
  •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93]
  •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어문학103
    구본관 한국어문학회, pp.1-40 [2009]
  • 통합적 문법교육에서 장르문법으로
    주세형 제34회 한국작문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pp.17-38 [2015]
  •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향, 문법교육 12(1)
    민현식 한국문법교육학회, pp.1-37 [2010]
  •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법, 문법 교육 11
    이관규 한국문법교육학회, pp.259-282 [2009]
  • 통합적 문법 교육에 관한 담론 분석, 한국어학31
    신명선 한국어학회, pp.245-278 [2006]
  • 통합적 국어교육의 가치와 ‘독서와 문법’, 국어교과교육연구 18
    이관규 국어교과교육학회, pp.91-118 [2011]
  • 통사론과 통사 단위, 어학연구 31(1)
    임동훈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pp.87-138 [1995]
  • 통사구조 형성과 명사구 및 동사구, 국어학 60
    이정훈 국어학회, pp.264-288 [2011]
  • 통사 구조 중심의 ‘서술어 자릿수’ 개념 관련 문법 교육 내용 재구조화 방안 모색, 국어교육 155
    오현아 한국어교육학회, pp.1-28 [2016]
  •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34
    제민경 한국텍스트언어학회, pp.179-206 [2013]
  • 텍스트 유형과 담화 표지의 상관관계: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텍스트언어학 24
    김정남 한국텍스트언어학회, pp.1-26 [2008]
  •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 한국초등국어교육 34
    주세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409-442 [2007]
  • 박사
  •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의 구인 탐색-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57
    강효경 박진희 이주영 조진수 한국어교육학회, pp.37-67 [2017]
  • 충분한 학습 경험을 갖지 못한 중등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개념화 양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문법교육 29
    오현아 한국문법교육학회, pp.29-63 [2017]
  •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46
    남가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99-132 [2011]
  • 철학사전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중원문화 [2009]
  • 정보구조의 분절 방법, 한국어문학연구 67
    함병호 동악어문학회, pp.311-338 [2016]
  • 박사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제민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잠재논항의 개념 정립, 남기심 편(1998), 국어 문법의 탐구 Ⅳ
    이병규 태학사, pp.123-176 [1998]
  • 작문에서 문법의 기능과 역할, 청람어문교육 47
    정희모 청람어문교육학회, pp.137-168 [2013]
  •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독서연구 21
    김혜정 한국독서학회, pp.33-79 [2009]
  • 읽기 교육과 문법, 노명완․박영목 외(2008), 문식성 교육 연구
    신명선 한국문화사 [2008]
  • 이른바 “외교수사”의 화용론, 독일어문학 22
    박성철 한국독일어문학회, pp.359-389 [2003]
  • 영어학 사전
    조성식 신아사 [1990]
  •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정체성, 새국어교육 95
    고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pp.495-520 [2013]
  •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국어교육연구 2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209-254 [1995]
  •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 국어교육연구 2
    이성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97-124 [1995]
  • 언어 능력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국어교육연구 2
    최영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177-208 [1995]
  • 어순에 반영된 인지적 특성, 한글 300
    김령환 임지룡 한글학회, pp.119-158 [2013]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철학사상 별책 7(9)
    전헌상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6]
  •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문장 단위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6
    황재웅 청람어문교육학회, pp.329-365 [2007]
  •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 방안, 국어교과교육연구 11
    정미숙 국어교과교육학회, pp.41-72 [2006]
  • 신문 보도문 직접 인용의 비판적 담화 분석, 인문과학연구 48
    김병건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115-139 [2016]
  • 신명선,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27
    구본관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261-297 [2011]
  • 시상성과 논항연결 –시상성 가설 비판을 통한 연결이론의 수립
    양정석 태학사 [2002]
  •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의 설계에 대한 시고, 국어교육학연구 14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pp.235-264 [2002]
  •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김은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323-355 [2005]
  • 비판적 언어인식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46
    김은성 국어교육학회, pp.139-181 [2013]
  •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국어학 73
    박진호 국어학회, pp.375-435 [2015]
  •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국어학 73
    박철우 국어학회, pp.269-307 [2015]
  • 방향성 표시의 격, 국어학 6
    홍윤표 국어학회, pp.111-132 [1978]
  • 민족어의 논항 구조와 그 유형론적 접근 –언어 유형론 노트 (3)
    고영근 형태론 15(2), pp.242-259 [2013]
  • 문장 확대 교육 내용의 다층성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50(3)
    조진수 국어교육학회, pp.268-295 [2015]
  • 문장 성분 분류 시론 –그 체계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학 16
    이정택 한국어학회, pp.375-389 [2002]
  • 문장 성분 교수를 위한 ‘문법 교과 내용 지식’ 연구, 새국어교육 104
    이지수 정희창 한국국어교육학회, pp.229-259 [2015]
  • 문장 분석에 기초한 문장 쓰기 교육의 효과 및 문장 구성의 특징 연구 –대학생 필자의 칼럼 글을 대상으로, 인문논총 28
    이재성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35-57 [2014]
  • 문장 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이지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쟁점 탐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1(1)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161-185 [2008]
  •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5
    이관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119-161 [2010]
  • 문법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8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pp.423-458 [2007]
  • 문법과 탐구학습, 선청어문 20(1)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pp.81-101 [1992]
  • 문법과 문학 영역의 통합, 국어교육 148
    구본관 한국어교육학회, pp.75-122 [2015]
  • 박사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내용 연구
    남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 향, 국어교육연구 37
    구본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197-254 [2016]
  • 문법 교재 개발의 모형, 문법교육 5
    주세형 한국문법교육학회, pp.113-136 [2006]
  •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 국어교육연구 16
    민현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125-191 [2005]
  • 박사
    문법 교육어로서의 문법 용어 사용 원리 연구
    심현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문법 교육 변천사, 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국어교육론 2 –국어 문법・기능 교육론
    왕문용 한국문화사 [2005]
  • 문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교육과학기술부 [2002]
  •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국어교육연구 32
    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69-103 [2013]
  •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남길임 형태론 8(2), pp.339-360 [2006]
  • 로만 야콥슨의 유표성 이론 연구, 러시아연구 16(2)
    유승만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pp.271-292 [2006]
  • 독자와 대화하는 글쓰기-대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작문 과정과 전략 탐구
    정혜승 사회평론 [2013]
  • 독서의 언어학, 청람어문교육 52
    조진수 주세형 청람어문교육학회, pp.197-232 [2014]
  • 독서와 문법
  • 대화적 문식성 교육을 한 상위담화 범주 구성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3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pp.459-485 [2012]
  • 대화에서의 귀추적 사고와 대화 성찰의 필요성
    박성석 한국화법학회 제35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7]
  • 대조 화제와 대초 초점의 표지 ‘는’, 한글 274
    전영철 한글학회, pp.171-200 [2006]
  • 논항구조와 영어 통사론
    정태구 한국문화사 [2001]
  • 논항과 부가어, 우리말글연구 1
    유현경 우리말학회, pp.175-196 [1994]
  • 논항 교체 구문의 의미론 -[처소]-[대상] 구문을 중심으로, 국어학 68
    안명철 국어학회, pp.75-98 [2013]
  •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1)
    권향원 최도림 한국행정학회, pp.275-302 [2011]
  •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권향원 한국정책과학학회, pp.181-216 [2016]
  • 귀추적 관점에 기반한 학습 목적 글쓰기 예측모형 재타당화
    장성민 한국어교육학회 제284회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2017]
  • 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의 영역 지도의 내용, 국어교육연구 2
    권재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159-175 [1995]
  • 국어학의 성과와 미래 국어교육에의 적용, 국어교육 126
    민현식 한국어교육학회, pp.185-220 [2008]
  • 국어지식교육론
    김광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국어의 상적 의미 구문에 대한 의미 해석 –유형 강제와 인지적 추론, 한국어 의미학 39
    김윤신 한국어의미학회, pp.77-99 [2012]
  •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 한국어학 16
    이관규 한국어학회, pp.105-147 [2012]
  • 국어와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을 위한 구어 단위 설정에 대한 논의, 배진영・손혜옥・김민국(2013),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김민국 손혜옥 박이정 [2013]
  • 국어문법론 Ⅰ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1995]
  • 국어교육학 정립의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1
    최영환 국어교육학회, pp.1-27 [1999]
  •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
    김봉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 국어과 교육내용으로서 맥락의 교육적 실행 연구, 한말연구 28
    김혜정 한말연구학회, pp.61-87 [2011]
  •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2015]
  • 국어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 국어과 교사 전문성 신장 노트 1–국어과 교과서론
    남가영 주세형 사회평론 [2014]
  • 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지시-기능주의적 연구 –교육문법의 체계 구성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 34
    이상태 국어교육학회, pp.141-160 [2002]
  • 국어 문법 교육의 방향 탐색, 우리말연구 15
    고영근 우리말연구회, pp.23-51 [2004]
  • 국어 능력 실태와 문법 교육의 문제점, 국어교육연구 44
    민현식 국어교육학회, pp.1-56 [2009]
  • 교육활동으로서의 언어적 소통 –그 한계와 새로운 가능성, 교육원리연구 3(1)
    장상호 한국교육원리학회, pp.77-128 [1998]
  • 교육적 인식론 연구 –키에르케고르와 폴라니의 교화적 방법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엄태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교육원리연구 2(1)
    장상호 한국교육원리학회, pp.111-212 [1997]
  •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국어교육연구 39
    소지영 주세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119-158 [2017]
  • 고도 전문화 시대의 언어 인식과 교육적 대응, 국어교육학연구 46
    민병곤 국어교육학회, pp.77-109 [2013]
  • 개정판 학교 문법론
    이관규 월인 [2002]
  • 개정 문법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교과서 개발의 방향에 관한 연구, 문법교육
    신명선 한국문법교육학회, pp.49-80 [2006]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31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pp.357-392 [2008]
  • ㄷ), 학교 문법 다시 쓰기(3):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새국어교육 85
    주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pp.269-289 [2010]
  • ㄷ), 쓰기 교육을 위한 대안적 문장 개념, 어문연구 33(4)
    주세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475-501 [2005]
  • ㄴ),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국어학 68
    전영철 국어학회, pp.99-133 [2013]
  • ㄴ),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것 같다’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새국어교육 105
    노유경 조진수 주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pp.217-245 [2015]
  • ㄴ),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 34
    주세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57-86 [2014]
  • ㄴ), 작문의 언어학 (1)-‘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작문연구 10
    주세형 한국작문학회, pp.109-135 [2010]
  • ㄴ),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 –문형 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8
    김명순 이춘근 국어교육학회, pp.348-378 [2003]
  • ㄴ),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2): 신문 텍스트에 쓰인 ‘-기로 하-’ 구문을 중심으로, 문법 교육 16
    이관희 한국문법교육학회, pp.203–239 [2012]
  • ㄴ),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연구 19
    남가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469-506 [2007]
  • ㄴ),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선청어문 33
    주세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pp.561-589 [2005]
  • ㄴ), 기능적 논항 구조 분석의 문법교육적 함의
    조진수 한국중원언어학회 2017년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7]
  • ㄴ),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5
    정혜승 한국어학회, pp.229-258 [2002]
  • ㄴ), 국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처리의 문제, 국어교육학연구 33
    김은성 국어교육학회, pp.333-365 [2008]
  • ㄴ), 구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어떤 통사구성에 대하여 –준분열문, 국어학 79
    최윤지 국어학회, pp.187-237 [2016]
  • ㄴ), 교육어의 개념에 비추어 본 비고츠키의 ‘고등정신기능의 점유를 위한 언어’, 교육원리연구 5(1)
    김지현 한국교육원리학회, pp.1-48 [2000]
  • ㄴ), 교사용 지도서 문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교육과학기술부 [2002]
  • ㄱ),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최윤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ㄱ),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전영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ㄱ),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52(1)
    조진수 국어교육학회, pp.463-493 [2017]
  • ㄱ),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주세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ㄱ),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20(4)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학회, pp.107-140 [2002]
  • ㄱ),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 –문장 성분 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5
    김명순 이춘근 국어교과교육학회, pp.175-199 [2003]
  • ㄱ), 비고츠키의 지식점유과정과 언어매개기능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김지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ㄱ), 문법교육의 ‘지식의 구조’ 체계화 방향, 국어교육 123
    남가영 한국어교육학회, pp.341-374 [2007]
  • ㄱ),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국어교육 137
    이관희 한국어교육학회, pp.173-211 [2012]
  • ㄱ), 국어 변이어의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 126
    김은성 한국어교육학회, pp.221-255 [2008]
  • ㄱ), 국어 교과서 연구의 이론적 특성과 발전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49(1)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pp.657-701 [2014]
  • ㄱ), ‘텍스트 표지’ 교육 내용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국어교육 150
    노유경 조진수 주세형 한국어교육학회, pp.1-31 [2015]
  • ㄱ),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37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pp.469-497 [2010]
  • 『학교 문법 교육론』
    이관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 『표준 국어문법론(제3판)』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2011]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71]
  • 『개념과 범주화』
    신현정 아카넷 [2000]
  • 박사
  •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박진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국어 형용사 연구」
    유현경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엄훈․주세형․신명선․김은성․박재현․강보선․이기연․오현아․이관희․남가영․제민경․이지수, 문법 교육의 이론과 응용 1 –국어 문법 교육론
    민현식 태학사 [2016]
  • ․신효은․최혜민․김정은․송소라, 독서와 문법
  • “언어적 주체”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의 방향, 국어교육 143
    신명선 한국어교육학회, pp.83-120 [2013]
  • “교실붕괴”
    서덕희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2), 한국교육인류학회, pp.55-89 [2003]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34
    제민경 한국어교육학회, pp.155-181 [2011]
  • ‘타동성’의 문법 교육적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국어국문학 174
    조진수 국어국문학회, pp.71-97 [2016]
  • ‘장르’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49(3)
    제민경 국어교육학회, pp.393-426 [2014]
  •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국어학 45
    임동훈 국어학회, pp.119-144 [2005]
  • ‘상품 정보 기사’의 언어학적 분석-장르분석과 비평적 담화분석의 관점을 중심으로, 언어 37(4)
    이원표 한국언어학회, pp.949-993 [2012]
  • ‘부사성’의 문법적 의미, 한국어의미학 10
    민현식 한국어의미학회, pp.227-250 [2002]
  •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2)
    남가영 박이정, pp.313-334 [2009]
  • ‘문법’ 영역의 교육어 사용 양상 분석 –교과서와 교사의 수업 중 화법을 중심으로
    박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독서 문법’의 가능성 탐색, 국어교육 145
    김시정 이삼형 한국어교육학회, pp.95-124 [2014]
  • van Leeuwen, T.(2008), Discourse and Practice –New Tools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 van Leeuwen, T.(1996),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Actors, in Caldas-Coulthard, C. R.&Coulthard, M.(eds.), Texts and Practices: Readings i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Routledge, pp.32-70.
  • van Leeuwen, T.(1995), Representing social action, Discourse & Society 6(1), pp.81-106.
  • What is Morphology?; 김경란 역(2005), 형태론
    Aronoff,M. Fudeman,K. 한국문화사 [2005]
  • Weaver, C.(1996), Teaching Grammar in Context. Portsmouth, NH: Boynton/Cook.
  • Vallduv , E.(1993), The Informational Compon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D. Dissertation.
  • Thornberg, R.&Charmaz, K.(2011), Grounded Theory, in Lapan, S., Quartaroli, M.&Riemer, F.(eds.), Qualitative Research: An Introduction to Methods and Designs, San Francisco: Jossey-Bass.
  • Theories des Kommunikativen Handelns; 장춘익 역(2006), 의사소통행위이론 –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1
    Habermas, J. 나남 [1987]
  •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하홍규 역(2013), 실재의 사회적 구성: 지식사회학 논고
    Berger, P. L. Luckmann, T. 문학과지성사 [1966]
  • The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강현석・권대훈・박영무・이원희・조영남・주동범・최호성・이지은 역(2012), 새로운 교육목표 분류학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이병식․박상욱․김사훈 역(2011), 근거 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 Taverniers, M.(2011), The Syntax-semantics Interface in Systemic Functional Grammar: Halliday’s Interpretation of the Hjelmslevian Model of stratification, Journal of Pragmatics 43, pp.1100-1126.
  • Taverniers, M. & Ravelli, L.(eds.)(2003), Grammatical Metaphor: View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Amsterdam/Philadelphia.
  •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 Star, S. L.(1989), Regions of the mind: Brain research and the quest for scientific certaint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Star, S. L.&Griesemer, J.(1989), Institutional ecology, “translations“ and boundary objects: Amateurs and professionals in Berkely’s Museum of Vertebrate Zoology, Social Studies of Science 19(3), pp.387-420.
  • Spiro, R. J., Vispoel, W. P., Schmitz, J. G., Samarapungavan, A. & Boerger, A. E.(1987), Knowledge Acquisition for Applica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ransfer in Complex Content Domains, Technical Report No.409, Illinois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김효동・김광재 역(2012), 소셜 네트워크 분석
    Scott, J.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pp.4-14
  • Shifting the Ground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Morse, J. M., Stern, P. N., Corbin, J., Bowers, B., Charmaz, K.&Clarke, A. E.,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신경림・김미영・신수진・강지숙 역(2011), 근거이론의 발전: 제2세대
    Charmaz, K. 하누리 [2009]
  • Semantics Ⅰ; 강범모 역(2011), 의미론 1 –의미 연구의 기초
    Lyons, J. 한국문화사 [1977]
  • Rose, D.(2015), Genre,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Sydney School, In Artemeva, A.&Freedman, A.(eds.)(2015), Genre Studies around th Globe: Beyond the Three Traditions, Inkshed Publications, pp.299-338.
  • Robert de Beaugrande, New foundations for a science of text and discourse, 고영근 외(2001), 『한국 텍스트과학의 제과제』
    민병곤 역락 [2001]
  • Ravid, D. & Tolchinsky, L.(2002), Developing linguistic literacy: a comprehensive model, Journal of Child Language 29, pp.417-447.
  •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2nd ed.); 이명선・김춘미・고문희 역(2009), 질적 연구 설계: 상호 작용적 접근
    Maxwell, J. A. 군자출판사 [2005]
  • Qualitative Inquiry&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2010),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학지사 [2007]
  • QCA(1999), Not Whether but How: Teaching Grammar in English at Key Stages 3 and 4, QCA Publications.
  • Purpura, J. E.(2004), Assessing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ragmatics; 이해윤 역(2008), 화용론
    Huang, Y.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London:Sage.
  • Paraskevas, C.(2006). Grammar Apprenticeship, English Journal 95(5), pp.65-69.
  • Paltridge, B.(1995), Working with Genre: A pragmatic perspective, Journal of Pragmatics 24, pp.393-406.
  • Palmer, F. R.(1986),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Opsahl, T., Agneessens, F. & Skvoretz, J.(2010), Node centrality in weighted networks: Generalizing degree and shortest paths, Social Networks 32, pp.245-251.
  • On the Thetic Expression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8(3)
    장영준 한국생성문법학회, pp.549-558 [2008]
  • Olson, S.&Loucks-Horsley, S.(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ies Press.
  • Myhill, D. A., Jones, S. M., Lines, H. & Watson, A.(2012), Re-thinking grammar: the impact of embedded grammar teaching on students’ writing and students’ metalinguistic understanding,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7(2), pp.139-166
  • Mruck, K.&Mey, G.(2007), Grounded Theory and Reflexivity, in Bryant, A. & Charmaz, K.(eds.), Handbook of Grounded Theory, London: Sage.
  • Micciche, L.(2004), Making a Case for Rhetorical Grammar,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55(4), pp.716-737.
  • Melia, K. M.(1996), Rediscovering Glase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pp.368-378.
  • Media Discourse, 이원표 역 (2004), <대중매체 담화분 석>
    Fairclough, N. 한국문화사 [1995]
  • Martin, J. R.(2015), One of Three Traditions: Genre, Functional Linguistics, and the “Sydney School”, In Artemeva, A.&Freedman, A.(eds.)(2015), Genre Studies around th Globe: Beyond the Three Traditions, Inkshed Publications, pp.31-79.
  • Martin, J. R.(2014b), Evolving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Beyond the clause, Functional Linguistics 1(3), pp.1-24.
  • Martin, J. R.(2014a), Looking out: Functional Linguistics and genre, Linguistics and the Human Science 9(3), pp.303-317.
  • Martin, J. R.(2013), Embedded literacy: Knowledge as meaning, Linguistics and Education 24, pp.23-37.
  • Martin, J. R.(1993). Genre and Literacy – Modeling context in educational linguistics,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13, pp.141-172.
  • Martin, J. R.(1992), English Text: System and Structure, Amsterdam: John Benjamins.
  • Martin, J. R.&Matthiessen, C. M. I. M.(1991), Systemic typology and topology, in Christie, F.(ed.), Literacy in Social Process: Papers from the Inaugural Australian Systemic Linguistics Conference, held at Deakin University, pp.345-383.
  • Martin J. R. & Rose, D.(2007), Working with Discourse: Meaning Beyond the Clause( 2nd ed.), London: Continuum.
  • Martin J. R. & Rose D.(2008), Genre Relations: Mapping Culture. London: Equinox.
  • Locke, T.(2005), Grammar Wars –Beyond a Truce, English Teaching: Practice and Critique 4(3), pp.1-10.
  •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이홍배 역(1987), 지배・결속이론
    Chomsky, N. 한신문화사 [1981]
  • Lambert, S. D.&Loiselle, C. G.(2008), Combining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s to Enhance Data Richn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2), pp.228-237.
  • Kress, G.(1993), Genre as Social Process, in Cope, B.& Kalantzis, M.(eds.)(1993), The Power of Literacy: A Genre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Pittsburgh, P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p.22-37.
  • Kress, G.(1989), Linguistic Process in Sociocultural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 Kress, G.&Knapp, P.(1992), Genre in a Social Theory of Language, English in Education 26(2), pp.4-15.
  • Kolln, M.(2002), Rhetorical Grammar: Grammatical Choices, Rhetorical Effects. New York: Longman.
  • Knapp, P.(1992), Resource Book for Genre and Grammar, Metropolitan West literacy and Learning Program, Parramatta: NSW Dept of School Education.
  • Kelle, U.(2007), The Development of Categories: Different Approaches in Grounded Theory. in Bryant, A. & Charmaz, K.(eds.), Handbook of Grounded Theory, London: Sage.
  • Keith, G.(2001), Learning about Language: teacher’s resource, London: Hodder and Stoughton.
  • Jones, S., Myhill, D.&Bailey, T.(2013), Grammar for writing?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ntextualised grammar teaching on students’ writing, Reading and Writing 26(8), pp.1241-1263.
  •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Topic, Focus,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course Referents; 고석주․김현강․박용한․서승현․손희연․이병규․황선영 역(2000), 정보 구조와 문장 형식: 주제, 초점, 담화 지시물의 심적 표상
    Lambrecht, K. 월인 [1994]
  • Ideologie und Utopie; 임석진 역(2012),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Mannheim, K. 김영사 [1929]
  • Hyon, S.(1996), Genre in three traditions: Implications for ESL, TESOL Quarterly 30(4), pp.693-722.
  • Hudson, R.(2004), Why Education Needs Linguistics, Journal of Linguistics 40(1), pp.105-130.
  • Hudson, R.(2001), Grammar Teaching and Writing Skills: the Research Evidence, Syntax in the School, 17, pp.1-6.
  • Hjelmslev, L.(1961),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Halmari, H.&Virtanen,T.(2005), Towards Understanding Modern Persuasion, in Halmari,H.&Virtanen,T.(eds.), Persuasion across Genres, Amsterdam: John Benjamins, pp.229-244.
  • Halliday, M.A.K.&Matthiessen, C.(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3rd ed.). Hodder Arnold.
  • Halliday, M. A. K.(2004), The Language of Science, Continuum Intl Pub Group.
  • Halliday, M. A. K.(199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2nd ed.), Edward Arnold, London.
  • Halliday, M. A. K.(1978), Language as Social Semiotic, Edward Arnold, London.
  • H nault, A., Histoire de la s miotique; 박인철 역(2000), 기호학사
    한길크세주 [1992]
  • Gundel, J., Hedberg, N.&Zacharski, R.(1993), Cognitive Status and the Form of Referring Expressions in Discourse, Language 69, pp.273-307.
  • Gundel, J.(1988), Universals of Topic-comment Structure, in Hammond, M., Moravcsik, E.&Wirth, J.(eds.), Studies in Syntactic Typology, Amsterdam: John Benjamins, pp.209-239.
  • Gundel, J.&Fretheim, T.(2004), Topic and Focus, in Horn, L.&Ward, G.(eds.), The Handbook of Pragmatics, Oxford: Blackwell, pp.175-196.
  •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공은숙․이정덕 역(2015), 근거이론의 실천
    Birks, M. Mills, J. 정담미디어 [2011]
  • Goulding, C.(2002),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for Management, Business and Market Researchers, Thousand Oaks, CA: SAGE.
  • Goddley, A.(2004), Commentary: Applying “Dialogic Origin and Dialogic Pedagogy of Grammar” to Current Research on Literacy and Grammar Instruction, Journal of Russian&East European Psychology, 42(6), pp.53-58.
  • Giv n, T., English Grammar Function-Based Introduction; 김은일・박기성・채영희 역(2002), 기능 영문법 Ⅰ
    박이정 [1993]
  • Genre, Text, Grammar; 주세형・김은성・남가영 역(2007),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장르, 텍스트, 문법
    Knapp, P. Watkins, M. 박이정 [2005]
  • Generative Lexicon, 김종복・이예식 역(2002), 생성어휘론
    Pustejovsky, J. 박이정 [1995]
  • Funktionale Grammatik Konzepte Und Theorien; 최지영 역(2015), 기능문법의 개념과 이론
    Mortelmans, T. Smirnova, E. 한국문화사 [2010]
  •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심영택․위호정․김봉순 역(1995), 언어 교수의 기본 개념
    Stern, H. H. 하우기획출판 [1983]
  • Frankel, K. K.(2013). Revisiting the Role of Explicit Genre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 193(1), pp.19-30.
  • Fowler, R.(1991), Language in the News, Routledge.
  • Fillmore, C. J.(1968), The Case for Case, in Bach, E.&Harms, R. T.(ed.),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London: Holt.
  • Fearn, L. & Farnan, N.(1998), Writing Effectively: Helping Children Master the Conventions of Writing.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 Erteschik-Shir, N.(2007), Information Structure: The Syntax-Discourse Interface, Oxford University Press.
  • Ede, L. & Lunsford, A. (1984), Audience Addressed/Audience Invoked: The Role of Audience in Composition Theory and Pedagogy,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5(2), pp.155-171.
  • Du Bois, J.(2003), Argument Structure: Grammar in Use, Du Bois, J., Kumpf, L. & Ashby, W.(eds.),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Grammar as Architecture for Function, Amsterdam: John Benjamins.
  • Dixon, R. M. W.(2010), Basic Linguistic Theory –Vol 2. Grammatical Topics, Oxford University Press.
  • Discourse, Consciousness, and Time; 김병원・성기철 역(2006), 담화와 의식과 시간
    Chafe, W. 한국문화사 [1994]
  • DfES(2003), Grammar for Reading: Course Handbook, London: DfES.
  • DfES(2002), Grammar for Writing: Supporting Pupils Learning EAL, London: DfES Publications.
  • DfEE(2000), Grammar for Writing, London: DfEE Publications.
  • Dey, I.(1999), Grounding Grounded Theory, San Diego: Academic Press.
  • Devrim, D. Y.(2015). A Grammatical metaphor: What do we mean? What exactly are we researching?, Functional Linguistics 2, pp.39-51.
  • Dean, G.(2003), Grammar for Improving Writing and Reading in the Secondary School, Routledge, London: David Fulton.
  • Dalrymple, M. & Nikolaeva, I.(2011), Objects and Information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anny-Francis, A.(1996), Technology and/or weapon: the disciplines of reading in the secondary English classroom, in Hasan, R.&Williams, G.(eds.)(1996), Literacy in Society, London: Longman, pp.172-190.
  • Cope, B. & Kalantzis, M. (1993). The power of literacy and the literacy of power. in Cope, B.& Kalantzis, M.(eds.)(1993), The Power of Literacy: A Genre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Pittsburgh, P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p.1-21.
  •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박현선・이상균・이채원 역(2013), 근거이론의 구성
    Charmaz, K. 학지사 [2006]
  • Clarke, A. E.(1998), Disciplining reproduction: Modernity, American life sciences and the “problem of sex.”,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Chomsky, N.(1965), Aspects of th theory of syntax, MIT Press.
  • Charmaz, K.(2012), The Power and Potential of Grounded Theory, A Journal of the BSA MedSoc Group 6(3), pp.2-15.
  • Charmaz, K.(1983), Loss of Self: A fundamental form of seffering in the chronically ill, Sociology of Health&Illness 5, pp.168-195.
  • Cajkler, W.&Dymoke, S.(2005), Grammar for reading: why now and what for?, Changing English 12(1), pp.125-136.
  • Bryant, A.&Charmaz, K.(2007), Grounded Theory in Historical Perspective: An Epistemological Account, in Bryant, A. & Charmaz, K.(eds.), Handbook of Grounded Theory, London: Sage.
  • Bowker, G.&Star, S. L.(1999), Sorting things out: Classification and its consequences, Cambridge, MA: MIT Press.
  • Blumer, M.(1969), Symbolic Inter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ernstein, B.(1999), Vertical and horizontal discourse: an essa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0(2), pp.157–73.
  • Bernstein, B. (1996).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London: Taylor & Francis.
  • Banchi, H. & Bell, R.(2008), The many levels of inquiry, Science and Children 46(2), pp.26-29.
  • Bache, C.(2010), Hjelmslev’s Glossematics: A source of inspira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Journal of Pragmatics 42, pp.2562-2578.
  • Assessing Reading; 김지홍 역(2015), 읽기 평가 1
    Alderson, C. 글로벌콘텐츠 [2001]
  • Andrews, R., Torgerson, C., Beverton, S., Freeman, A., Locke, T., Low, G., Robinson, A.&Zhu, D.(2006), The Effect of Grammar Teaching on Writing Development, British Education Research Journal 32(1), pp.39-55.
  • Analysing Discourse –Textual analysis for social research; 김지홍 역(2012), 담화 분석 방법—사회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
    Fairclough, N. 경진 [2003]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임은미・최금진・최인호・허문경・홍경화 역(2009), 질적 연구방법
    Flick, U. 한울 [2002]
  • A Theory of Semiotics; 서우석 역(1985), 기호학 이론
    Eco, U. 문학과지성사 [1976]
  •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분과 연구보고서
    홍재성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 [2002]
  • 2009 개정 교육과정 경제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화 관련 내용의 비판적 담화 분석, 시민교육연구 49(1)
    윤노아 최윤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pp.41-67 [2017]
  • (비)한정성/(불)특정성 대 화제(Topic)/초점- 개체 층위/단계 층위 술어와도 관련하여, 국어학 22
    이정민 국어학회, pp.397-424 [1992]
  • (eds.).,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강현석․강이철․권대훈․박영무․이원희․조영남․주동범․최호성 역(2005),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 (ed.), Constructivism in Education; 이명근 역(2005),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공학의 인식론적 기반
    Gale, J. Steffe, L. P. 학지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