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지하 미학 연구 = Kim Ji-ha aesthetics research

정훈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정훈
    • 형태사항 30 cm: ii, 126 p.: 삽화, 표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경연, 참고문헌: p. 111-124
    • 학위논문사항 2018. 2,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학위논문(박사)-
    • DDC 23, 895.7
    • 발행지 부산
    • 언어 kor
    • 출판년 2018
    • 발행사항 부산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김지학 미학
' 김지하 미학 연구 = Kim Ji-ha aesthetics research'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김지학
  • 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2 0

0.0%

' 김지하 미학 연구 = Kim Ji-ha aesthetics research' 의 참고문헌

  • 󰡕
  •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김지하 실천문학사 [2005]
  • 󰡔한국문화와 풍류신학󰡕
    한국문화신학회 편 한들출판사 [2012]
  • 󰡔프랙탈󰡕
    심광현 현실문화연구 [2005]
  •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신은경 보고사 [1999]
  • 󰡔틈󰡕
    김지하 [1995]
  • 󰡔탈춤의 민족미학󰡕
    김지하 실천문학사 [2004]
  • 󰡔율려란 무엇인가󰡕
    김지하 한문화멀티미디어 [1999]
  • 󰡔아! 김지하󰡕
    일본가톨릭정의와평화협의회 편, 도서출판 타임기획 [1991]
  • 󰡔실천문학󰡕 제5권
    󰡔실천문학󰡕 제5권 [1984]
  • 󰡔수운 최제우󰡕
  • 󰡔새 시대의 율려, 품바품바 들어간다-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3󰡕
    김지하 이룸 [2009]
  • 󰡔민중신학의 여정󰡕
    한국민중신학회 엮음, 도서출판 동연 [2017]
  •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백낙청 창작과 비평사 [1978]
  • 󰡔디지털 생태학-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4󰡕
    김지하 이룸 [2009]
  • 󰡔동학이야기󰡕
    김지하 [1994]
  • 󰡔김지하 전집3󰡕
    김지하 실천문학사 [2002]
  •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이진경 푸른숲 [2002]
  • 풍류도의 미학사상 , 󰡔미학󰡕 제11권 1호
    민주식 한국미학회 [1986]
  • 카를 만하임, 임석진 옮김,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김영사 [2012]
  • 증산도의 해원(解寃)사상 , 󰡔증산도사상󰡕 제5집
    유철 증산도사상연구소 [2001]
  • 주해, 󰡔동학경전󰡕
    윤석산 동학사 [2009]
  • 이병도 역주, 󰡔삼국사기(상)󰡕 권 제4(신라본기)
    김부식 을유문화사 [1996]
  • 옮김, 󰡔예술과 사회이론-사회학적 미학의 길잡이󰡕
  • 역주, 󰡔불함문화론󰡕
    이주현 정재승 최남선 우리역사연구재단 [2008]
  • 역사적 지식론체계의 계층적 구조와 민중적 인식론 , 󰡔신학연구󰡕 제 28집
    이준모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1987]
  • 엘리아데, 이은봉 옮김, 󰡔신화와 현실󰡕
    미르치아 한길사 [2011]
  • 엘리아데, 김종서 옮김, 󰡔미로의 시련-엘리아데 입문󰡕
    미르체아 북코리아 [2011]
  • 에드워드 사이드, 최유준 옮김, 󰡔지식인의 표상 : 지식인이란 누구인가?󰡕
    마 티 [2012]
  • 비자이 프라샤드 지음, 박소현 옮김, 󰡔갈색의 세계사󰡕
    뿌리와이파리 [2015]
  • 미학의 의미와 그 실제-한국에서의 미학의 수용과정과 그 발전논리 의 문제를 중심으로 , 󰡔미학󰡕 제12권 1호
    정순복 한국미학회 [1987]
  • 미학에 나타난 소수자 인식 양상 연구 - ‘남조선사상’을 중심으 로 , 󰡔어문논집󰡕 제55집
    김지하 정훈 중앙어문학회 [2013]
  • 문예이론󰡕
    김지하 김지하의 국학자료원 [2013]
  • 년대 비판적 지식인 사회의 민중인식 , 󰡔기억과 전망󰡕 21호
    황병주 민 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1960]
  • 년대 민중 개념의 재등장 - 사회과학계와 민중문학, 민중신학에 서의 논의
    장상철 󰡔경제와 사회󰡕 2007년 여름호(통권 제74호) [1970]
  • 그의 시대󰡕
    김지하와 허문명 블루엘리펀트 [2013]
  • ‘흰 그늘의 시학’의 형성과정 연구
    김지하 박성필 시에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08]
  • M. 엘리아데, 이은봉 옮김, 󰡔성(星)과 속(俗)󰡕
    한길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