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바디롤러 코어안정화운동이 여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근활성, 근피로 및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RCS(body roller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strength and activity of lumbar muscle, muscle fatigue and visual analogue of woma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박해연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바디롤러 코어안정화운동이 여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근활성, 근피로 및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RCS(body roller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strength and activity of lumbar muscle, muscle fatigue and visual analogue of woma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체육학, 스포츠
  • 근피로
  • 근활성
  • 바디롤러
  • 요부근력
  • 요부안정화
  • 요통
  • 주관적 통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1 0

0.0%

' 바디롤러 코어안정화운동이 여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근활성, 근피로 및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RCS(body roller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strength and activity of lumbar muscle, muscle fatigue and visual analogue of woma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의 참고문헌

  • 건겅보험심사평가원 척추질환 통계자료 [2014]
  •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윤진환 정일규 서울: 대경북스 [2011]
  • 허리신전운동이 만성요통 환자들의 근력과 생활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
    문홍기 용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9]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3판 서울: 군자출판사 [2011]
  • 한국통합의학연구소 역 자세와 통증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서울; 출판사 한미의학 [2006]
  • 태권도 선수의 웨이티 트레이닝과 PNF훈련이 등속성 각 근력, 무산소성 능력 및 혈중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백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2006]
  • 탄력밴드운동과 전기치료가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근기능 과 RMS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권호준 강릉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 문 [2006]
  • 척추강화 운동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이용필 명지대학교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3]
  • 척주안정화 및 신전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 환 자 및 수술 후 요통 환자의 요부 신전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기 김성수 코칭 능력개발지. 9(1), 165-174 [2007]
  • 인체해부학
    김범회 서울: 출판사 한미의학 [1999]
  • 운동해부학
    고연완 김형돈 서충근 서울: 도서출판 홍경 [2004]
  • 요부안정화와 걷기 운동이 남성 만성요통 환자의 복횡근,다열긍의 RMS와 복횡근의 근수축 시간,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영옥 김태수 이병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9(2), 887-898 [2012]
  • 요부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 육들의 RMS 비교
    권오윤 오재섭 이충휘 최희수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2(1), 1-10 [2006]
  •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을 가진 중년여서의 요통, 체력, 수면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송라윤 안숙희 성인간호학회지. 제20 권 제2호, 84-94 [2008]
  • 역 클리니컬 마사지
    성기성 서울: 도서출판 영문출판사 [2007]
  • 여성요통환자를 위한 수직견인요법이 요 부신전근력과 척추만곡 및 요통지수에 미치는 영향
    강민성 류재청 현승현 한국체육학 회지. 51(5), 679-688 [2012]
  • 슬링운동이 요통환자의 통증정도 RMS에 미치는 영향
    박혜상 함용운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2). 655-661 [2009]
  • 슬링 요부안정화 운동이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균형 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삼육대학교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 슈로스 운동치료와 슬링운동치료가 척추측만증 환자의 유연성, 균형능력, 척추 각 및 흉곽 확장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선엽 이준호 대한물리치료학회. 9(1),11-23 [2014]
  • 성인남자들의 요부근력의 특성
    소이용 용 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9]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조사
    보건복지부 [2012]
  • 바디롤러 운동 및 요가의 복합처 치가 중년여성 요통환자의 체력, 척추변인 및 통증자각도에 미치 는 영향
    강설중 김병로 김진홍 박해연 대한운동학회 운동학술지. 17(4), 39-48 [2015]
  • 도구테라피요가
    박해연 유지호 대전: 그리심어소시에이츠 [2014]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1998]
  • 대한임상통증학회 역 통증유발점의 기전과 치료
    서울: 영문출판사 [2003]
  • 단사건 등척성 운동시 RMS과 MF 변화 패턴에 관한 연 구
    이호용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미간행 공학석사학위논문 [2006]
  • 단기간 고유수용성 코어안정화운동 적용이 만성 요통 스포츠선수의 요부FMS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기덕 주성범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4(4), 1543-1551 [2015]
  •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여성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 도, 근 두께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공용수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2014]
  • 골반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엉치엉덩관절 통증을 동반한 여성요통환자의 통증과 엉덩관절에 미치는 영향
    강정일 최현 디지털 정책연구. 11(4), 331-338 [2013]
  • 고유수용성신경촉진법이 여성노인의 신체기능 및 낙상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석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2]
  •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근거에 의한 진단과 중재
  •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의 치료전략
    김상수 배성수 최인수 대 한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학회지, 2(2), 49-57 [2004]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통합패턴이 요통환자에 미치는 영향
    정영조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개정3판
    김상수 서울: 영문출판사 [2010]
  •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진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 건강을 위한 웰빙 걷기
    이강옥 서울: 가림출판사 [2005]
  • 가정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요통환자의 요 추측만과 골반정렬에 미치는 영향
    송민영 이현옥 정영대 대한물리의학회지. 4(3), 133-140 [2009]
  • kiyoshi, Y., Yasumasa, S., Yoshihito, N. et al.(2001). Histochemical changes in the multifidus muscle in paticnts with lumbar intcrvcrtcbral disk herniation. Spine. 26, 622-26.
  • Simons, D. G., J. G. Travell, and L. S. Simons.(1999). Upper half of body. Vol. 1 of Travell and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tion: The trigger paint manual.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Wilkind.
  • Schleip, R., Jager, H., Klingler, W.(2012). What is 'fascia' A review of different nomenclatures. J Bodyw Mov Ther 16(4):496-502.
  • Rubinstein, S. M., van Middelkoop, M, Assendelft, W. J. de Boer, M. R, & van Tulder, M. W.(2011). Spinal manipulative theraoy for chronic low-back pain. Journal of Spine 36(13): E825-E846.
  • Risch, S. V., Norvell, N. K., Pollock, M, L., Risch, E. D.(1993). Lumba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Spine, 18, 232-238.
  • Rhim, Y. T., Kim, S. S., Yoon, S, J. et al(2003).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m chamge im curve in girls with mild scoliosi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9:1341-7.
  • Renstrom, P, Johnson, R. J.(1985). Overuse injuries in sports. A review. Sports Msd, 2(5):316-333.
  • RMS, MF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 한 여성요통환자의 요부근육과 복부근육의 피로도 분석
    남기석 이영희 이충휘 조상현 한국물 리치료학회지. 6(2), 16-31 [1999]
  • Portero, P,. Bigard, A. X., Gamet, D., Flageat, J. R., & Guezennec. C. Y.(2001).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in humans on neck muscle performance, and electromyogram power spectrum change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4(6), 540-546.
  • PNF운동과 안정화운동이 요부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변숙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9]
  • PNF 수축-이완기법과 MFR기법이 요통화자의 엉덩 허리 근의 길이 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문희 대 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3]
  • PCGgy, A. Houglum(2003). Therapeutic Exercise for Athletic Injuries. Daehanmedia.
  • O'sullivan, P. B., Burnett, A., Floyd, A. N., Gadadon, K., et al.(2003). Lumbar repositioning deficit in a specific low back pain population. Spine, 28(10):1074-1079.
  • Nachemson, A., & Lindth, M.(1969). Measurement of abdominal and back muscle strength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2), 60-3.
  • Moffroid, M. T.(1997). Endurance of trunk muscles in person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ssessment, performance, training. J Rehabil Res Dev. 34(4), 440-447.
  • Medx exercise가 요통환자의 요추부 근력강화에 미치는 효과
    황룡 연세대학교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7]
  • Mayer, T. G., Gatchel, R, & Mayer, H.(1987). A prospective study of Waddell sign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en they may not be predictive.
  • Mayer, T .G., Smith, S. S., Keeley, N. J. & Mooney, V.(1985). Quantification of lumbar function. Part 2: Sagittal plane trunk strength in chronic low-back pain patients. Spine, 5, 529-538.
  • Magnusson, S. P., Langberg, H, & Kjaer, M.(2010). The pathogenesis of tendinopathy: Balancing the response to loading. Nat Rev Rheumatol. 6: 262-268.
  • Lim, N. Y, & Yi, Y, J.(2003). The effects of Koryo hand -acupuncture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79-86.
  • Leskinen, T. P. J.(1985). Comparison of Biomechanical Stress on Low Back(L5/S1) for One-hand and Two-hands Lowering Activity. Journal of the Ergonomics, 28,289-291.
  • Larsson, S-E, Bengtsson, A, BodCGard, L., et al.: Muscle changes in work-related chronic myalgin. Acta Orthop Scand 59: 552-556, 1998
  • Kumka, M, Bonar, B.(2012). Fascia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Can chiropr Assoc 56(3):1-13.
  •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0). Korean Health Statistics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r(KNHANESIV-3). Osong: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Klein, D. A., William, J. S., & Wayne, T. P.(2002).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41, 476-488.
  • Kirkesola, B. S.(2001). A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retal disorders. S-E-T article.
  • John, G., Juliette, H.(2005). Exercise therapy. 169. assessment of spine function following industrial injury. A prospective study with comparison group and one-year follow-up. Spine, 10, 482-493. Journal of the Aerican Medical Association, 258, 1762-1767.
  • John, A., Richard, A.(2001). Philadelphia Panel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Selected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Volume 81, Issue 10, 1 October 2001, Pages 1641–1674.
  • James, M. B, & Gary, A. T(1994). Athletic injury assessment. 4th ed. Boston, Mc Graw-Hill, c2000. 512 p. RD97.B65 2000 .
  • Human aging, muscle mass, and fiber 변인 composition. Journals ofGerontolgy
    Lexell, J. Nov;50 Spec, 11-6 [1995]
  • Hong, C. Z.(1999). Current research on myofascial trigger points-pathophysiologic studies. Journal of Musculoskeletal Pain 7(2/1):121-9.
  • Hoheisel, U, Taguchi Taguchi T, & Mense, S.(2012) Nociception: the thoracolumbar fascia as asensory organ. In: Schleop R, Findley T, Chaitow L, et al., editors. Fascia, the tensional network of the body.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 Hodges, P. W., & Richardson, C. A.(1997). contrac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with movement of the lower limb. physical therapy, 77(2), 132-144.
  • Hibbs, A,F., Thompso, K, G., French, D., Wrigley, A., & D Spear, I.(2008). Optimizing performance by improving core stability and core strength.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12), 995-1008.
  • Heeboll-Niclsen, K.(1982) Muscle strength of boys and girls, 1981 compared to 1956. Scand. J. Sports Sci. 4:37– 43.Google Scholar
  • Gauvin, M, G, Riddle, D. L, & Rothstein, J. M.(1990). Reliabilit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forward bending using the modified fingertipto-floor method. Physical therapy, 70: 443-447.
  • Gandevia, S. C., Mccloskey, D. I. & Burke, D.(1992). Kinaesthetic signals and muscle contraction. Trends Neurosci. Feb;15(2): 62-5.
  • Freiwald, J., & Engelhardt, M.(1997). Neuromuskulaere Dysbalancen in Medzinund Sport. Physikkalische therapie, 18(3),146-148.
  • Frank, H.. & Netter, M. D.(2000).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NOVARTIS
  • Fox, Edward, C., Mathews, D. K.(1981). The physiolog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Philadelphia: Saunders CollCGe Pub.
  • Fatouros, I. G., Kambas, A., Katrahasas, I., Leintsini, D., Chatzinikolaou, A., Jamurtas, A. Z., Douroudos, I., Aggelousis, N. & Taxildaris, K.(2006).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ffects on flexibility performance in the elderly are intensity-dependent.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August.
  • Erdil, M, & Dickerson, O, B.(1997). Cumulative teauma disorders: Prevention, and treatment. New York: VanNostrand Teinhold.
  • Ellen, K., & Katharine, M. B.(1996). BIOMECHANICS: A Qualitative Approach for Studying Human Moverment(4th). Boston: Allyn & Bacon A Simon & Schuster Company.
  • Elia, D. S., Bohannon R. W., Cameron, D, Albro, R. C.(1996). Dynamic pelvic stabilization during hip flexion : a comparison study. J Orthop Sports Phys Ther. Jul;24(1):30-6
  • Dwyer, A. P.(1996). Clinically relevant anatomy. in Wiesel SW, Weinstein, J. N., Herkowitz, H., Dvorak, J. Bell G eds. The Lumbar Spine, 2nd Ed. W.B. Saunders Philadelphia, 57-73.
  • Donald, A. Neumann.(2011).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2e. Publication Date in Korea.
  • Dolce, J. J., Raczynski J.M.(1985). Neuromuscular activity and electromyography in painful backs: Psychological and biomechanical models in assessment and treatment.
  • Danneels, L. A. Vanderstraeten, G. G., Cambier, D. C., Witvrouw, E. E., & De Cuyper, H. J. (2000). CT imaging of trunk muscles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Spine j, 9(4), 266-272.
  • Daniel. D. A, & William. E. P(2000). Principle of Athletic Training. Mc Graw Hill.
  • Craig, L.(2000). Rehabilitation of the spin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Comerfor, M. J., Mottram, S. L.(2001). Movement and stability dysfunction contemporary developments. Man Ther. 6(1), 15-26.
  • Cobb, C. R., Maj, M. C., Herbert, A.(1975). Electrical activity in muscle pain. Am J Phys Med, 54(2), 80-87.
  • Cailliet, R.(1994). Low back pain syndrome. 4th edition. Philadelphia: F. A. Davis.
  • Cailliet, R.(1983). Exercise for Scoliosis. Philadelphia, Williams and Wilkins Co.
  • Beimborn, D. S. & Morrissey, M. C.(1988).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runk muscle performance. Spine Jun;13(6): 655-660.
  • Beevor, C. E.(1978). The Croonian Lectures on Muscular Movement and Their Representation in the an Arthology. Paton OD, Hirt S, Neton RA Philadelphia; Davis
  • Barry, H. C., Eathome, S. W.(1994). Exercise and aging Issues for the practitioner. Med Clin North Am; Mar, 78(2):357-376.
  • Barker, D.(1974). The morphology of muscle receptors. In: Barker, D., Humt, C., Mclntyre, A., editors. Handbook of sensory physiology, Vol Ⅱ: Muscle receptors. New York: Springer Verlag.
  • America CollCGe of Sports Medicine(2010).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Adler, S. S., Beckers, D., Buck, M.(1993). PNF in Practice. Spring-verlag.
  • AdamsⅢ, W. B., & Whetstone, M. R. Torque/각속도 properties of human knee muscle: Peak and angle-specific estimates. Canadian. Journal
    Caldwell, G. E. Application, physidogy. 18(3), 274-290 [1993]
  • 8주간의 등장성 요부신전 운동프로그램이 여성요통환자 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유재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9]
  • 8주간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이 만성 요통 환자의 요부근력, RMS, MF, 보행에 미치는 영향
    안근옥 이운용 조지훈 운동학술 지. 12(3). 65-74 [2010]
  • 8주간 PNF와 탄성밴드 복합훈련이 테니스 선수의 등속 성 근기능과 서브 속도에 미치는 영향
    이호성 창 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 6주간의 Sling운동과 Medx운동이 여성요통환자의 요부 근력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이원재 한국체육학회지. 44(5), 485-492 [2005]
  • 12주간의 코어안정화운동프로그램이 여성요통환자의 요 부신전근력 및 안정화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상용 한국체육과학회. 21(3), 1221-1230 [2012]
  • 12주간의 수기요번 복합처치와 소도구 운동 복합 처치가 만성요통 중년 여성의 RMS과 척추측만도에 미치는 영향
    길재호 김성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1), 145-156 [2012]
  • 박사
    12주간 등속성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순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