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the Tense-Aspect system of Korean

이수진 2018년
논문상세정보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the Tense-Aspect system of Korea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고어, 방언
  • 비완망상
  • 시상체계
  • 완망상
  • 통시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96 0

0.0%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the Tense-Aspect system of Korean' 의 참고문헌

  • 󰡔현대국어의 양태범주연구󰡕
    장경희 탑출판사 [1985]
  • 󰡔현대국어의 상 연구󰡕(증보판)
    김성화 한신문화사 [1992]
  • 󰡔향가비해󰡕
    유창균 형설출판사 [1994]
  • 󰡔한국의 어미 ‘-시-’의 문법󰡕
    임동훈 태학사 [1997]
  •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고영근 태학사 [2004]
  • 󰡔한국어의 상 이해󰡕
    박덕유 제이엔씨 [2007]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통합양상󰡕
    박진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어변천사󰡕
    김동소 형설출판사 [1998]
  • 󰡔한국어 통사구조와 시간 해석󰡕
    양정석 한국문화사 [2010]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박재연 태학사 [2006]
  • 󰡔표준중세국어문법론󰡕(제3판)
    고영근 집문당 [2010]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고영근 집문당 [1987]
  • 󰡔중세국어의 시상과 시간부사󰡕
    민현식 개문사 [1991]
  •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보정판)
    고영근 탑출판사 [1998]
  •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고영근 탑출판사 [1981]
  • 󰡔중세국어문법󰡕(개정증보판)
    이숭녕 을유문화사 [1981]
  •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장윤희 태학사 [2002]
  • 󰡔중세국어 문법형태소의 형태론과 음운론󰡕
    김유범 도서출판 월인 [2007]
  • 󰡔중세국어 구문연구󰡕
    이현희 신구문화사 [1994]
  • 󰡔우리말의 시제구조와 상 인식󰡕
    김차균 태학사 [1999]
  •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나진석 과학사 [1971]
  • 󰡔우리말본󰡕(최종판)
    최현배 정음문화사 [1971]
  • 󰡔우리말본󰡕(초판)
    최현배 연희전문학교 출판부 [1937]
  • 󰡔우리말 시제의 연구󰡕(수정증보판)
    김차균 태학사 [1993]
  • 󰡔우리 옛말본󰡕
    허 웅 샘문화사 [1975]
  • 󰡔시제와 양상󰡕
    이기용 태학사 [1998]
  • 󰡔시제 상 서법󰡕
    이남순 도서출판 월인 [1998]
  • 󰡔새김 어휘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번역 박통사와 박통사 언해의 비교 연구」, 󰡔동양학󰡕 5
    김완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5-28 [1975]
  • 󰡔문법형태의 역사적 연구󰡕
    김영욱 박이정 [1995]
  • 󰡔문법연구와 자료󰡕
    서태룡 태학사 [1998]
  • 󰡔명령문의 국어사적 연구󰡕
    박영준 국학연구원 [1994]
  • 󰡔두시와 두시언해󰡕 6, 7
    이현희 신구문화사 [1997]
  •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석주연 태학사 [2003]
  • 󰡔노걸대언해에 대한 비교연구󰡕
    김완진 한국연구원 [1976]
  •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국어의 시제연구󰡕
    한동완 태학사 [1996]
  • 󰡔국어의 때매김법 연구󰡕
    김용경 서강학술자료사 [1994]
  • 󰡔국어사개설(개정3판)󰡕
    이기문 민중서관 [1974]
  • 󰡔국어변천사󰡕
    유창돈 통문관 [1961]
  • 󰡔국어방언문법󰡕
    이기갑 태학사 [2003]
  • 󰡔국어문법체계의 사적 연구󰡕
    이승욱 일조각 [1973]
  • 󰡔국어문법의 연구󰡕 1
    서정수 한국문화사 [1990]
  • 󰡔국어문법의 연구󰡕
    고영근 탑출판사 [1983]
  •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남기심 탑출판사 [1978]
  •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
    허 웅 샘문화사 [1987]
  • 󰡔구결연구󰡕
    남풍현 태학사 [1999]
  • 󰡔Time in language󰡕, Routledge(신수송 역(2001), 󰡔언어와 시간󰡕
    Klein, H. G. 역락.) [1994]
  • 󰡔Semantics 2󰡕, Cambridge University Press(강범모 역(2013), 󰡔의미론 2󰡕
    Lyons, J. 한국문화사.) [1977]
  • 󰡔Morphology-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Johm Benjamins Publishing Company(이성하, 구현정 역(2000), 󰡔형태론 : 의미-형태의 관계에 대한 연구󰡕
    Bybee, J. 한국문화사.) [1985]
  •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이철수, 박덕유 역(1998), 󰡔동사 상의 이해󰡕
    Comrie, B. 한신문화사.) [1976]
  •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허 웅 샘문화사 [1995]
  •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허 웅 샘문화사 [1999]
  • 󰡔16세기 우리 옛말본󰡕
    허 웅 샘문화사 [1989]
  • 「후기 근대국어의 시제 체계 변화에 따른 종결어미의 재편」, 󰡔국어국문학󰡕 150
    이승희 국어국문학회, 29-51 [2008]
  • 「형태론 8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형태론󰡕 9-2
    김영욱 도서출판 박이정, 353-356 [2007]
  • 「현실법표지 ‘’의 변천」, 󰡔역사언어학󰡕
    이기갑 전예원, 241-262 [1985]
  • 「현대국어의 시제와 상에 대한 연구」
    이남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 박사
    「현대국어의 시제어미 연구」
    임칠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현대국어의 시상형태에 관한 연구」
    이지양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현대국어의 시간어 연구」
    김선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현대국어와 상 연구」
    김성화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향가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고-’의 문법적 기능과 역사적 변화, 󰡔주시경학보󰡕 12
    김영욱 탑출판사, 70-90 [1993]
  • 「한국어발달사 중 : 문법사」, 󰡔한국문화사대계󰡕 Ⅴ(언어 문학사)
    안병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5-261 [1967]
  • 「한국어 시제 형태 ‘-었-’, ‘-었었-’ 다시 보기」, 󰡔형태론󰡕 4-1
    박소영 도서출판 박이정, 11-35 [2002]
  • 「한국말 때매김법의 걸어온 발자취」, 󰡔한글󰡕 178
    허 웅 한글학회, 3-51 [1982]
  •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국어학󰡕 26
    이필영 국어학회, 1-32 [1995]
  •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 󰡔국어학󰡕 19
    이승재 국어학회, 203-239 [1989]
  • 「중세국어의 시상연구」
    김승곤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5]
  • 「중세국어에서 형용사와 통합하는 ‘-어 잇-’의 상적 의미」, 󰡔구결연구󰡕 17
    박진호 구결학회, 223-238 [2006]
  • 「중세국어에서 상의 해석에 대하여 : ‘-어/어 잇-’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9
    우창현 한국어학회, 137-157 [2005]
  • 「중세국어 활용에 나타난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하여」,󰡔관악어문연구󰡕 11
    김종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251-270 [1986]
  • 「중세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용법에 관하여」, 󰡔형태론󰡕 5-2
    이영경 도서출판 박이정, 277-292 [2003]
  • 「중세국어 시제체계에 대한 관견」, 󰡔언어󰡕 11-2
    한재영 한국언어학회, 258-284 [1986]
  • 「중세국어 시상법의 형태범주」, 󰡔동아연구󰡕 10
    이승욱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40 [1986]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에 대한 연구」
    구재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중세국어 과거시제 어미의 ‘-드’에 대하여」, 󰡔국어학󰡕 16
    남풍현 국어학회, 56-64 [1987]
  • 「중세국어 ‘-어 이셔>-에셔>-어셔’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31-4
    정언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58 [2003]
  • 「제주방언의 동사 종결어미변화에 나타난 시상체계에 대하여」,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40
    이남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7-54 [1982]
  • 「이중감동법 선어말어미 구성체 ‘-옷도-’에 대하여」, 󰡔국어학의 이론과 실제󰡕
    신중진 태학사, 617-635 [2001]
  • 「우리말의 시상」, 󰡔애산학보󰡕 1
    김석득 애산학회, 24-70 [1974]
  • 「영 형태소의 현재시제표시 설정에 대하여」, 󰡔한글󰡕 245
    김종도 한글학회, 79-113 [1996]
  • 「연결어미 ‘-거든’의 통시적 연구」
    남미정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시제와 상」, 󰡔문법연구와 자료󰡕
    최동주 태학사, 227-260 [1998]
  • 「시제, 상, 양태」, 󰡔국어학󰡕 60
    박진호 국어학회, 289-322 [2011]
  • 「시상의 양상」, 󰡔어학연구󰡕 9-2
    장석진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58-72 [1973]
  • 「시간성 의존명사 ‘다’를 찾아서」, 󰡔형태론󰡕 3-1
    김유범 도서출판 박이정, 209-229 [2001]
  • 「선어말어미의 배열순서와 분포의 광협」, 󰡔형태론󰡕 8-2
    최동주 도서출판 박이정, 383-391 [2006]
  • 「선어말어미 ‘-더-’의 통시적 연구」
    이지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선어말어미 ‘-겠-’에 대한 연구」
    박근호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90]
  • 「선어말어미 {느}에 대하여」, 󰡔언어󰡕 13-1
    김동식 한국언어학회, 171-202 [1988]
  • 「서평: 한동완, 󰡔국어의 시제연구󰡕(1996)」, 󰡔형태론󰡕 4-1
    박재연 도서출판 박이정, 163-180 [2002]
  • 「서법과 양태」, 󰡔문법연구와 자료󰡕
    장경희 태학사, 261-303 [1998]
  • 「상적 보조동사의 문법상 기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결과지속의 ‘-어 있다’와 ‘-고 있다’를 중심으로」, 󰡔국어의 시제, 상, 서법󰡕
    박주원 박문사 [2008]
  • 「상의 본질적 의미와 동사의 자질에 대한 재고찰」, 󰡔국어학󰡕 33
    박덕유 국어학회, 177-212 [1999]
  • 「상대시제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3
    이익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67-376 [1979]
  • 「보조용언 구성의 문법화와 역사적 변화」, 󰡔한국어학󰡕 35
    정언학 한국어학회, 134-165 [2007]
  • 「미정의 씨끝 ‘-리-’와 ‘-겠-’의 역사적 교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12
    이기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61-197 [1987]
  • 「문법화의 유형과 기제」, 󰡔민족문화논총 37󰡕
    최동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21-550 [2007]
  • 「동적관점에서의 시제 연구」, 󰡔진단학보󰡕 94
    최동주 진단학회, 51-68 [2009]
  • 「도움줄기 ‘었/았’은 지난적만 나타내나」, 󰡔애산학보󰡕 15
    이상국 애산학회, 107-117 [1994]
  • 「다각적 시각을 통한 국어의 시상체계 분석」, 󰡔언어󰡕 3
    이효상 한국언어학회, 207-250 [1995]
  • 「근대국어 형태론의 논의 몇 문제」, 󰡔21세기 형태론 어디로 가는가?
    홍종선 󰡕 박이정, 239-263 [2005]
  • 「근대국어 선어말어미에 대한 연구 : 18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주경미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국어의 양태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언어󰡕 20-3
    장경희 한국언어학회, 191-205 [1995]
  • 「국어의 시제범주와 상범주의 교차현상」, 󰡔서강인문논총󰡕 10
    한동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65-192 [1999]
  • 「국어의 시제 형태소 체계와 그 기능 변이」, 󰡔한글󰡕 282
    홍종선 한글학회, 97-123 [2008]
  • 「국어의 시제 연구방향」, 󰡔남천박갑수선생 화갑기념논문집󰡕
    왕문용 태학사, 111-133 [1994]
  • 「국어의 시간 관계 접속 어미에 대한 연구」, 󰡔언어󰡕 17-1
    윤평현 한국언어학회, 163-202 [1991]
  • 「국어의 동사와 상에 관한 연구」
    김천학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국어 시상형태의 의미분석에 대한 관견」, 󰡔인문과학연구󰡕 4
    윤평현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3-125 [1982]
  • 「국어 문법사 기술의 몇 문제」, 󰡔한국어문󰡕 2
    이현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7-77 [1993]
  • 「국어 문법 변천사 연구」, 󰡔허웅 선생의 우리말 연구󰡕
    최동주 태학사, 343-379 [2005]
  • 「과거시제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49․50
    이승욱 국어국문학회, 211-222 [1970]
  • 「과거시제어미 ‘-었-’의 형성에 대하여」, 󰡔형태론󰡕 6-2
    고광모 도서출판 박이정, 367-375 [2004]
  •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었더-’에 대하여」, 󰡔어문연구󰡕 31-4
    박재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85-109 [2003]
  • 「과거 시제 ‘었’의 통시론적 고찰」, 󰡔국어학󰡕 15
    한동완 국어학회, 217-248 [1986]
  • 「고려 시대 석독구결에 나타난 선어말어미의 계열관계와 통합관계」, 󰡔구결연구󰡕 2
    백두현 구결학회, 27-95 [1997]
  • 박사
  • 「“때”의 조동사에 대한 한 관견」, 󰡔신흥󰡕 4-5(일석이희승전집 간행위원회 편(2000), 󰡔일석 이희승 전집󰡕 1,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희승 519-550에 재수록) [1931]
  • 「‘있다’와 ‘없다’의 활용 양상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26
    이안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41-359 [2001]
  • 「‘이시-/잇->있-,-어시-/-엇->-었-,-게시-/-겟->-겠-’의 변화」, 󰡔언어학󰡕 53
    고광모 한국언어학회, 115-139 [2009]
  • 「‘완료’와 ‘상태지속’에 대한 역사적 정보」, 󰡔한글󰡕 196
    김석득 한글학회, 109-126 [1987]
  • 「‘더’의 의미에 대한 관견」, 󰡔관악어문연구󰡕 6
    유동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6-226 [1981]
  • 「‘-지(디)-’의 통시적 변천에 관한 연구」, 󰡔국어학󰡕 38
    이정택 국어학회, 117-134 [2001]
  • 「‘-엇’의 통시적 연구」, 󰡔형태론󰡕 15-2
    안예리 도서출판 박이정, 170-185 [2013]
  • 「‘-어 잇-’ 구성의 통합제약에 대하여」, 󰡔형태론󰡕 2-2
    한동완 도서출판 박이정, 257-285 [2000]
  • 「‘-고 있-’과 ‘-어 있-’의 상보성 여부 검토와 구문 규칙 기술」, 󰡔한글󰡕 266
    양정석 한글학회, 105-137 [2004]
  • 「‘-겠-’의 용법과 그 역사적 해석」, 󰡔국어학󰡕 37
    임동훈 국어학회, 115-147 [2001]
  • 「{-더-}와 자각」, 󰡔어문연구󰡕, 29-1
    이윤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36 [2001]
  • 「<노걸대> <박통사>류 이본들의 ‘거/어/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23
    석주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65-193 [1998]
  •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 주로 문법사적 기술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41
    이현희 우리말글학회, 1-40 [2007]
  • 「18세기 국어 시제체계에 관한 쟁점 연구 : 「청어노걸대신석」에 나타난 한국어와 만주어의 대역관계를 중심으로」
    오민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7세기 초기 국어의 때매김법과 강조 영탄법을 나타내는 안맺음 씨끝에 대한 연구」, 󰡔언어학󰡕 4
    김정수 한국언어학회, 3-27 [1979]
  • 「16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와 변화 양상 연구」, 󰡔진단학보󰡕 93
    한재영 진단학회, 199-219 [2002]
  • 「16세기 국어의 ‘거/어’ 연구」, 󰡔국어연구󰡕 142
    김소희 국어연구회 [1996]
  • 「15세기 서법의 선어말어미에 대한 연구」
    권용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15세기 국어의 쌍형어 ‘잇다, 시다’의 발달에 대하여」, 󰡔국어학󰡕 4
    이숭녕 국어학회, 1-23 [1976]
  • 「15세기 국어 때매김의 체계수립을 위한 형태론적 접근」, 󰡔배달말󰡕 2
    고영진 배달말학회, 157-183 [1996]
  • 「14세기 문법형태 ‘-거/어-’의 교체에 대하여」, 󰡔한글󰡕 233
    김영욱 한글학회, 69-115 [1996]
  • 박사
    현대 국어 시제의 체계적 연구
    한동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박사
  • 박사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이병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존재사 ‘있다’에 대하여
    이희승 󰡔논문집󰡕 3,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일석이희승전집 간행위원회 편(2000), 󰡔일석 이희승 전집󰡕 1, 서울대학교 출판부, 519-550에 재수록) [1956]
  • 정 광, 󰡔역주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신구문화사 [2006]
  • 일석이희승전집 간행위원회 편, 󰡔일석 이희승 전집󰡕 1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이 용, 「연결어미 ‘-거든’의 문법사적 고찰」, 󰡔구결연구󰡕 4
    구결학회 [1998]
  • 이 용, 「‘-었었-’에 대한 단상」, 󰡔형태론󰡕 5-1
    박이정, 53-65 [2003]
  • 이 용, 「18세기 국어의 시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992]
  • 과거시제 어미의 형성과 변화
    최명옥 󰡔진단학보󰡕 94, 135-165 [2002]
  • 河野六郞/1979), 「中期朝鮮語の完了時稱に就いて」, 󰡔河野六郞著作集󰡕 1, 平凡社, 467-480(이카라시 고이치 역(2006), 「고노 로쿠로(河野 六郞)의 「中期朝鮮語の完了時稱に就いて」 (1946)의 번역」, 󰡔형태론󰡕 8-2
    도서출판 박이정, 451-462.) [1946]
  • 河野六郞(1952/1979),「中期朝鮮語の時稱體系に就いて」,󰡔河野六郎著作集󰡕 1, 平
  • 凡社, 508-534(이카라시 고이치 역, 「중기조선어의 시칭체계에 대하여」, 󰡔형태론󰡕 9-1
    도서출판 박이정, 219-240 [2007]
  • ㄴ), 「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최동주 󰡔언어󰡕27-3, 507-534 [2002]
  • ㄴ), 「현대국어 ‘-느-’의 범주와 형용사와의 통합제약」, 󰡔한국어학󰡕 45
    문숙영 한국어학회, 199-226 [2009]
  • ㄴ), 「무시제 가설 하에서의 시간 해석 방법」, 󰡔배달말󰡕 43
    양정석 배달말학회, 121-178 [2008]
  • ㄴ), 「15세기 국어의 상태 지속상과 그 변천」, 󰡔한글󰡕 173․174
    이기갑 한글학회, 401-421 [1981]
  • ㄱ), 󰡔한국어의 시제 범주󰡕
    문숙영 태학사 [2009]
  • ㄱ), 「한국어 시간요소들의 형태통사론」, 󰡔언어󰡕 33-4
    양정석 한국언어학회, 693-722 [2008]
  • ㄱ), 「종결어미 ‘-立’에 대하여」, 󰡔진단학보󰡕 81
    정재영 진단학회, 195-214 [1996]
  • ㄱ), 「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최동주 󰡔어문학󰡕 76, 119-152 [2002]
  • ㄱ), 「씨끝 ‘-어’와 ‘-고’의 역사적 교체」, 󰡔어학연구󰡕, 17-2
    이기갑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27-236 [1981]
  • 박사
  •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조민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변화에 관한 연구
    최동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W, Pagliuca, 󰡔The Evolution of Grammar-Tense, Aspect, and Modalir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박선자, 김문기 역(2010), 󰡔문법의 진화 : 시제, 상, 양태󰡕
    Bybee, J. R. Perkins 소통.) [1994]
  • Ramstedt, G. J.(1939), 󰡔A Korean Grammar󰡕, helsinki.
  • Comrie, B.(1985),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nninck, R. I.(2012), 󰡔The Oxford handbook of TENSE and ASPECT󰡕, Oxford University Press.
  • 17세기 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
    이영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