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전남지역 기와가마 연구 = A Study Of the Roof-tile Kilns in Jeonnam Area

이정민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전남지역 기와가마 연구 = A Study Of the Roof-tile Kilns in Jeonnam A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학과 인류학
  • 기와 가마
  • 단면형태
  • 소성실
  • 연소실
  • 전남지역
  • 평면 형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0 0

0.0%

' 전남지역 기와가마 연구 = A Study Of the Roof-tile Kilns in Jeonnam Area' 의 참고문헌

  • 「驪州 元香寺址 出土 막새瓦의 硏究」
    金泰根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 「羅末麗初 陶器扁球甁의 연원과 자기로의 번안」, 韓國中世考古學 創刊號
    한혜선 韓國中世考古學會 [2017]
  • 「호남지역 조선시대 기와」,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
    이인숙 한국기와학회 [2015]
  • 「호남지역 삼국~고려시대 기와가마 조사현황과 검토」,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노경진 한국기와학회 [2015]
  • 「호남지역 백제시대 평기와」, 호남의 기와 제12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송미진 한국기와학회 [2015]
  • 「호남지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차인국 한국기와학회 [2015]
  •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출토 평기와 연구」, 중앙고고연구22
    차인국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 「호남지방 3~6세기 토기가마의 변화양상」, 湖南考古學報30
    이지영 湖南考古學會 [2008]
  • 「한반도 반도염요의 출현과 생산체제의 변화」, 慶州史學32
    이상준 경주사학회 [2010]
  • 「풍납토성 평기와의 제작공정에 따른 제작기법 특징과 변화」, 야외 고고학18
    소재윤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013]
  • 「토기가마(窯) 조사 연구 방법론」,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4
    이상준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박사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朴鍾鎭 韓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1]
  • 「중서부지방 고려시대 기와가마 구조의 변화양상」, 漢江考古11
    조순제 漢江文化財硏究院 [2015]
  • 「주름문병에 대한 試考」, 中央考古硏究3
    변영환 中央文化財硏究院 [2007]
  • 「조선초기 ‘邑城’ 용어 출현의 배경과 읍성의 유형」, 東方學志 138
    최종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조선전기 축성기술의 변천 연구」, 인문과학연구52
    유재춘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 「조선전기 경남지역 瓦窯 및 평기와의 전개양상」
    金成鎭 東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5]
  •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변화에 대한 일고찰 –나주객사유적을 중심 으로-」
    이수진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조선시대 재실의 형성과 입지특성」, 南道文化硏究27
    이 정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 「조선시대 영남지역 瓦窯의 전개양상과 변화요인」, 기와의 생산과 유통 한국기와학회 제8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김성진 한국기와학회 [2011]
  • 「조선시대 기와 유통 연구 –가마의 위치와 운송을 중심으로-」, 史學志42, 檀國史學會. 최문환, 2014, 「조선시대 기와 가마의 구조 연구」, 고고학13-1
    최문환 중부고고학회 [2010]
  • 「조선시대 기와 가마의 적재와 생산에 관한 시론」, 史學志48
    최문환 檀國史學會 [2014]
  •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야외고고학20
    차인국 한국매장 문화재협회 [2014]
  • 「전북지역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화양상」, 湖南考古學報48
    노경진 湖南考古學會 [2014]
  • 박사
  •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韓國上古史學報97
    이정민 韓國 上古史學會 [2017]
  • 「전남지방 고려시대 기와가마 연구」
    김경미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울산지역의 조선시대 瓦窯 및 출토유물 비교 검토」, 東亞文化2 3
    지윤미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2007]
  • 「울산 천전리 기와가마에 대한 검토」, 유적과 유물로 본 울산의 생산과 유통 울산대곡박물관 개관기념 학술대회자료집
    김진경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 「영산강유역 백제~고려시대 석실묘 연구」, 韓國上古史學報83
    신흥남 韓國 上古史學會 [2014]
  • 「영산강유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이수경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사
    「영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연구」
    노범준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영남지방 고려~조선시대 瓦窯의 구조 분류」, 嶺南文化財硏究21
    朴憲敏 嶺南文化財硏究院 [2008]
  •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嶺南考古學59
    최병현 嶺南考古學會 [2011]
  •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新羅文化34
    곽승훈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9]
  • 「신라 하대 서남해지역 禪僧과 후백제」, 韓國古代史硏究74
    張日圭 韓國 古代史學會 [2014]
  • 「신라 하대 경장(京匠)의 동향 –특히 와장(瓦匠)을 중심으로-」, 정신 문화연구38권 4호
    이동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신라 왕경 내 생산유적의 변화와 그 의미」, 역사문화연구52
    차순철 한국 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 –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한국중세사연구29
    하일식 한국중세사학회 [2010]
  • 「순천 검단산성 및 광양 와요지 출토 토기와 기와편의 자연과학적 분석」,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姜景仁 順天大學校博物館 [1997]
  • 「수선사 연구」
    전행욱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서울 경기지역 조선시대 와요지 연구」, 겨레문화연구창간호
    이동준 겨레 문화유산연구원 [2012]
  • 「서울 경기지역 기와가마의 분포와 특징 연구」, 漢江考古3
    정세영 한강문 화재연구원 [2009]
  • 「생산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삼국시대 가마(窯)를 중심으로-」,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이상준 부산복천박물관 [2000]
  •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축조기술 검토」, 古文化86
    이지영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5]
  •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 지리학회지44권 4호
    윤순옥 황상일 대한지리학회 [2009]
  • 「삼국~통일신라 와요지 조사 현황과 연구 방향」, 선사 고대 수공업 생산유적 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자료집
    김유식 韓國考古學會 [2007]
  • 「사비기 백제 瓦窯의 구조변화 연구 -소성실과 연도부를 중심으로-」, 百濟文化43
    엄기일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0]
  • 「백제 전기 기와에 대한 신지견 -화성 화산고분군 채집 기와를 중심 으로-」, 百濟硏究33
    권오영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01]
  • 「백제 도성의 수공업 생산체계 –사비기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52
    이병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 「문중별 유교건축의 건립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최명순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사
    「마한 백제권 철촉의 변천과정」
    조규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마로산성 출토 평기와 –백제기와를 중심으로-」, 전남의 기와 –광양 마로산성 출토 기와를 중심으로- 제3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송미진 한국기와학회 [2006]
  •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文物硏究13
    이일갑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 「기와가마에 關한 硏究」
    朴鎭淑 淑明女子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9]
  •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호남문화연구46
    남호현 우승환 전남 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 「고려전기 “사장(寺匠)의 존재 양태 –백사(伯士)의 사용과 소멸-」, 韓國思想史學54
    강호선 한국사상사학회 [2016]
  • 「고려시대 중부지방 기와가마에 대한 일고찰」
    조순제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 「고려시대 사원수공업의 발전기반과 그 운영」, 國史館論叢95
    崔永好 국사 편찬위원회 [2001]
  • 「고려시대 기와생산체제와 그 변화」, 韓國史學報29
    이정신 고려사학회 [2007]
  • 박사
  • 「고려시대 기와가마 구조 연구」
    김진영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고려말 조선시대 암막새의 변천과정」, 고고학9-1
    서창호 중부고고학회 [2010]
  • 「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 역사와 현실22
    윤경진 한국역사연구회 [1996]
  • 「고려 초 지방제도의 개편과 ‘主縣屬縣制度’의 성립」, 한국문화 72
    박종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확산과정과 그 배경」, 湖西考古學34
    李鍾玟 湖西考古學會 [2016]
  • 「고려 무인집권기 지방사회 저항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 인문과학 논총45
    신안식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7]
  •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연구24
    朴宗基 한국중세사학회 [2008]
  • 「고대 동북아 요로기술의 대외교섭-백제 정암리유적을 중심으로」, 白山學報71
    조원창 白山學會 [2005]
  • 박사
    「경남지역 삼국~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李栽明 慶尙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6]
  •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기와가마 연구」
    유용수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보존과 학회지32-1
    성형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 박사
    「강원지역 조선시대 와요 연구」
    吳俊廷 高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9]
  • 「高麗時代 평기와의 編年硏究 –文樣形態를 中心으로-」
    崔晶惠 慶星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6]
  • 「高麗前期手工業硏究」
    徐聖鎬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
  • 「高麗~朝鮮 前期 기와의 조달 양상」, 고고학5-2
    鄭治泳 중부고고학회 [2006]
  • 「高麗 수공업 所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검토」, 韓國史論41 42
    서성호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9]
  • 「高麗 瓦當文樣의 編年 硏究」, 考古歷史學志4
    朴銀卿 東亞大學校博物館 [1988]
  • 「高麗 中期 壓出陽刻 靑瓷의 性格」, 美術史學硏究242 243
    장남원 韓國 美術史學會 [2004]
  • 「韓國平瓦紋樣의 時代的 變遷에 對한 硏究」
    徐五善 忠南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1985]
  • 「蟾津江 西岸地域의 百濟山城」, 섬진강 주변의 백제산성 제23회 학술대회 자료집
    崔仁善 한국상고사학회 [2000]
  • 「統一新羅時代 災異와 政治社會 變動」
    李基峰 忠南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6]
  • 「統一新羅式기와의 成立과 造瓦體制의 變化」, 嶺南考古學70
    崔英姬 嶺南考古學會 [2014]
  • 「統一新羅~朝鮮前期 평기와 製作技法의 變遷」
    李仁淑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 「統一新羅 줄무늬 및 덧띠무늬 토기병에 관한 小考」, 문화재24
    崔孟植 문화재관리국 [1991]
  • 「統一新羅 武珍都督城의 位置와 規模」, 지방사와 지방문화11권 2호
    林永珍 역사문화학회 [2008]
  • 「益山 蓮洞里 遺蹟 泗沘期 기와가마 硏究」
    金亨瑞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2016]
  • 「皇龍寺址 出土 日暉文막새기와 硏究」
    金鍾勳 慶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0]
  • 「百濟 및 統一新羅時代 기와文樣과 製作技法에 관한 硏究 -彌勒寺址 出土 기와를 中心으로-」, 湖南考古學報13
    崔孟植 湖南考古學會 [2001]
  • 「百濟 泗沘期 기와 生産施設과 生産體制」, 文化史學38
    文玉賢 韓國文化史學會 [2012]
  • 「瓦窯의 構造形式 變遷」
    李 勳 公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7]
  • 「漢城期 百濟 기와의 製作傳統과 發展의 劃期」, 百濟硏究38
    권오영 忠南大 學校百濟硏究所 [2003]
  • 「湖南地域 덤벙粉靑沙器 硏究」, 湖南文化財硏究7
    權赫周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 「泗沘期 百濟 瓦窯의 構造變化 硏究」
    嚴基日 公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9]
  • 「江原地方 高麗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崔英嬉 檀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 「榮山江流域 三國時代 土器 硏究」
    徐賢珠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6]
  • 「朝鮮時代의 氣候와 農業變動에 關한 硏究」
    金連熙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1997]
  • 「朝鮮時代의 氣候環境」, 地理學論叢14
    金蓮玉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1987]
  • 「朝鮮時代 磁器가마 構造硏究」
    金貞善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 「朝鮮後期 全南書院의 門中性向」, 全南文化財6
    李海濬 全羅南道 [1993]
  • 「朝鮮初期의 部曲」, 國史館論叢92
    朴宗基 국사편찬위원회 [1997]
  • 「朝鮮初期 湖南地域 窯址出土 陶瓷에 대한 考察」
    權赫周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6]
  • 「月城郡 川北面의 新羅窯址」, 慶州史學3
    金有植 東國大學校 慶州大學 國史學科 [1984]
  • 「昌寧 仁陽寺碑文의 硏究」, 韓國史硏究95
    하일식 韓國史硏究會 [1996]
  • 「新羅王京과 流通」,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27
    朴方龍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6]
  • 「新羅 統一期 專制王權의 강화와 村落支配」, 新羅文化22
    金在弘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2003]
  • 「新羅 統一期 地方社會의 再編와 村主의 身分」, 新羅文化8
    金義滿 東國 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1991]
  • 「新羅 中代末~下代初의 地方社會와 佛敎信仰結社」, 新羅文化26
    尹善泰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5]
  •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韓國古代史硏究51
    朱甫暾 韓國古代史學會 [2008]
  • 「新羅 9州5小京의 都市構造 硏究」, 中央考古硏究15
    황인호 中央文化財硏究院 [2014]
  • 「慶州地域 古新羅~統一新羅時代 瓦연구 –瓦窯의 構造와 出土瓦의 流通을 中心으로-」, 기와의 생산과 유통 한국기와학회 제8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박헌민 한국기와학회 [2011]
  •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대한 硏究」
    崔兌先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3]
  • 「嶺南地方 瓦窯의 構造 變遷 硏究」
    朴憲敏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4]
  • 「嶺南地域 瓦窯에 관한 硏究」, 慶州史學31
    孫豪晟 柳智賢 慶州史學會 [2010]
  • 「小氷期(1500-1750)의 천체 현상적 원인 - 朝鮮王朝實錄의 관련 기록 분석-」, 國史館論叢72
    李泰鎭 國史編纂委員會 [1996]
  • 「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朝鮮王朝實錄》」, 歷史學報 149
    李泰鎭 歷史學會 [1996]
  • 「寶城邑城에 대한 硏究」, 文化史學24
    崔仁善 韓國文化史學會 [2005]
  • 「安城 奉業寺址 出土 高麗前期 銘文기와 硏究」
    金炳熙 檀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1]
  • 「壬辰倭亂 직후 築城役 動員體系의 한 형태」, 古文書硏究25
    張弼基 韓國 古文書學會 [2004]
  • 「公州 松山里 6號墳 名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 湖西考古學19
    趙胤宰 湖西考古學會 [2008]
  • 「全南地域의 百濟 기와에 대한 硏究 -順天 劍丹山城 出土 기와를 中心으로-」
    宋美珍 順天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 「全南地域 羽狀紋 평기와의 變遷樣相」
    李廷珉 全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 「亞寒帶 針葉樹類 年輪年代記를 利用한 中部山間地域의 古氣候復元」, 第四紀學會誌6
    崔鐘南 朴元圭 柳根培 한국제4기학회 [1992]
  • 「中原地域의 瓦窯址」, 중원문화와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9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이규근 한국기와학회 [2012]
  • 「三國末~統一初期 新羅瓦傳에 대한 一考察」
    朴洪國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6]
  • 「三國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崔孟植 檀國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3]
  • 「三國時代 新羅기와의 硏究 -皇龍寺址出土 新羅기와를 中心으로-」, 文化財20
    申昌秀 文化財管理局 [1987]
  • 「三國時代 土器가마 調査方法論」, 발굴사례연구논문집
    김재철 김창억 한국 문화재조사연구전문기관협회 [2004]
  • 「9세기 신라사 이해의 기본과제 – 왜 신라는 농민반란의 일격으로 쓰러졌는가? -」, 新羅文化26
    李基東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5]
  • 「17세기(인조~현종) 연대기 자료의 재이(災異) 기록 재검토」, 朝鮮時代 史學報68
    경석현 조선시대사학회 [2014]
  • 「17세기 小氷期 氣候 연구의 현황과 과제」, 大丘史學80
    박근필 대구사학회 [2005]
  • 「17세기 中國과 朝鮮의 小氷期 氣候變動」, 역사와 경계77
    김문기 부산경 남사학회 [2010]
  • 「17世紀 危機論과 韓國史」, 歷史學報94 95
    羅鍾一 歷史學會 [1982]
  • 林永珍 趙鎭先 李廷珉 姜銀珠, 2010, 光州 龍頭洞 遺蹟, 全南大學校博物館.
  • 李美蘭, , 순천 연향동 와요지
    馬韓文化硏究院 [2008]
  • 李景林, 2012, 「羅州地域 瓦窯 檢討」, 全南考古6, 全南文化財硏究院.
  • 李康承 李熙濬, 1993, 慶州 隍城洞 石室墳, 國立慶州博物館.
  • 劉春, 2011, 「廣德縣南二環路六朝窯址的發掘及硏究」, 安徽大學 碩士學位論文.
  • 沈秀貞, 2012, 「二聖山城 出土 新羅土器 硏究」, 漢陽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羅州 新道里 道民洞(Ⅰ) 新平(Ⅱ)遺蹟
    조근우 馬韓文化硏究院 [2014]
  • 청양 왕진리 가마터
    김성구 김종만 윤용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2008]
  •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박종기 푸른역사 [2002]
  • 조선후기 백자 연구
    방병선 일지사 [2000]
  • 조선후기 건축경제사
    김왕직 한국학술정보 [2005]
  • 조선수공업사 1
    손영종 조희승 백산자료원 [1990]
  • 조선 기와
    황의수 대원사 [1989]
  • 옛기와
    김성구 대원사 [1992]
  • 역주 삼국사기下
    李丙燾 乙酉文化社 [1996]
  • 안동 정하동 유적
    권두규 임세권 조규복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 신안 압해도 학동유적
    김영훈 정영희 정혜림 목포대학교박물관 [2014]
  • 삼국시대 평기와 연구
    최맹식 주류성출판사 [2006]
  • 고려시대사
    박용운 일지사 [2008]
  • 龍仁 東栢里 中里遺蹟(Ⅰ)
    송대남 임영호 정여선 정훈진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5]
  •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蔡雄錫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高麗時代 部曲制 硏究
    朴宗基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韓國의 陶磁器
    鄭良謨 文藝出版社 [1991]
  • 靈光 佛甲寺 觀光地區 精密地表調査 報告書
    이순엽 조근우 최인선 표인주 順天大學校博物館 [2001]
  • 萬機要覽
  • 經國大典,
  • 百濟 평기와 新硏究
    崔孟植 學硏文化社 [1999]
  • 東國輿地勝覽
  • 朝鮮王朝實錄
  • 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 昌德宮修理所儀軌
  • 和順 內坪里遺蹟 Ⅱ Ⅲ, 和順 廣思里遺蹟
    이영문 東北亞支石墓硏究所 [2013]
  • 務安 頭谷 屯田遺蹟
    김민정 송미진 전명훈 全南文化財硏究院 [2012]
  • 典錄通考
  • 世宗實錄地理志
  • 三國史記
  • 황동유적(Ⅱ)
    나주 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 한백문화재연구원
    남양주 부평1지구단위 계획부지 내 부평리 기와 가마 발굴조사 보고서 [2008]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2 [1992]
  • 한국전통문화학교 고고학연구소
    夫餘 陵山里寺址 제11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1]
  •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진관동 유적(Ⅳ) [2010]
  •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군포 산본동 청화백자 요지 [1993]
  • 조선대학교박물관
    광주 산월 뚝뫼 포산유적 [1995]
  • 조선관요박물관
    광주 송정동 5 6호 백자가마터 [2008]
  • 조선 백자요지
  • 정일 한미진 이경림 김문국, , 光州 杏岩洞遺蹟-조선시대-
    全南文化財硏究院 [2011]
  • 정일 전명훈, , 康津 楊柳洞 遺蹟
    全南文化財硏究院 [2010]
  • 정일 김영필 김문국, , 靈巖邑城
    全南文化財硏究院 [2011]
  • 정일 김문국, , 羅州 松月洞遺蹟
    全南文化財硏究院 [2010]
  • 전남대학교박물관
    「목포~광양간 고속화도로 보성~벌교 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 [1997]
  • 전남대학교박물관
    「능주-화순간 도로 확 포장공사 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 [2000]
  • 왕인박사현창협회
    고대 전남지역 토기제작기술의 일본 파급 연구 [2016]
  • 와우리 신기유적
    김양옥 김진영 담양 백명선 전남문화재연구원
  • 신월리유적
    장흥 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 송월동유적(Ⅱ)
    나주 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 세종대학교박물관
    평택 칠원동 [2004]
  • 부여문화재연구소
    사자암 [1994]
  • 문화재청
    숭례문 복구용 전통기와가마 복원연구 보고서 [2010]
  • 나주다시면향토지편찬위원회
    羅州 多侍 [1997]
  • 국사편찬위원회, ~1975
    한국사 –고려 4 5 6 7 8- [1973]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199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2003]
  • 국립문화재연구소
    羅州 伏岩里 3號墳 [2001]
  •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慶州 金丈里遺蹟.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4
    慶州 蓀谷洞 勿川里 遺蹟 [2007]
  • 경남발전연구소 역사문화센터
    함안 소포리 유적 [2006]
  •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양주 삼숭동 유적 [2012]
  • 겨레문화유산연구원
    파주 파주리 유적 [2013]
  • 가마유적
    박철원 오량동 이수진 이정호 최성락 목포대학교박물관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 黃尙周 외, , 萬歸亭址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2002]
  • 馬韓文化硏究院, 2015, 羅州 長山里 長沙 良山洞 良池村遺蹟.
  • 馬韓文化硏究院, 2014, 羅州 月良里遺蹟.
  • 順天大學校博物館, 2005, 靈巖 天皇寺 Ⅰ.
  • 順天大學校博物館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1997]
  • 韓鈗善, , 고흥 성기리 기와가마
    南道文化財硏究院 [2007]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9, 慶州 競馬場 豫定敷地 C-1地區 發掘調査 報告書.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8, 尙州 靑里遺蹟(Ⅳ).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8, 尙州 靑里遺蹟(Ⅰ).
  • 金貞愛, , 나주 신광리 기와가마
    馬韓文化硏究院 [2006]
  • 金貞愛 金京美, , 나주 송학리유적
    馬韓文化硏究院 [2010]
  • 金貞愛 李志映, , 나주 운곡동유적(Ⅰ)
    馬韓文化硏究院 [2008]
  • 金誠龜 申光燮 金鍾萬 姜熙天, , 扶餘 亭岩里 가마터(Ⅰ)
    國立扶餘博物館 [1988]
  • 金誠龜, 1983, 「多慶瓦窯址出土 新羅瓦塼小考」, 美術資料33, 國立中央博物館.
  • 金誠龜 申相孝 宣在明, , 潭陽 龍湫寺 기와가마터
    國立光州博物館 [2001]
  • 金珍英 외, , 羅州 三榮洞 澤村遺蹟
    馬韓文化硏究院 [2013]
  • 金珍英 朴永勳 宋美珍, 2010, 光州 老大洞 新基遺蹟(Ⅱ), 全南文化財硏究院.
  • 金有植, 2010, 「新羅 瓦當 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金暘玉 金珍英 白明鮮, 2010, 潭陽 臥牛里 新基遺蹟, 全南文化財硏究院.
  • 金建洙 權赫周 李貞娥, 2004, 海南 白也里 窯址, 湖南文化財硏究院.
  • 金建洙 李暎澈 朴美羅, 2004, 長興 下芳村 古墳群 瓦窯址, 湖南文化財硏究院.
  • 金建洙 李昇龍, 2004, 潭陽 大峙里 遺蹟 -羅山里 月本里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 金周成, 1990, 百濟 泗沘時代 政治史 硏究, 全南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鄭求福 外, 1997, 譯註 三國史記4, 韓國情神文化硏究院.
  • 車勇杰, 1988, 「高麗末 朝鮮前期 對倭 關防史 硏究」, 忠南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趙現鍾 申相孝 張齊根, 1996, 光州 雲南洞遺蹟, 國立光州博物館.
  • 西北大學考古隊 萬州博物館, 2006, 「重慶雲陽縣喬家院子遺址六朝及明代窯址的發掘」, 考古5期.
  • 藤原學 外, 1994, 「韓國慶州地域寺院所用瓦の硏究-岬山寺所用瓦の硏究」, 靑丘學術 論集4.
  • 蔚山文化財硏究院, 2007, 蔚山 德峴里遺蹟(Ⅰ).
  • 石上英一, 1974, 「古代における日本の稅制と新羅の稅制」, 古代朝鮮と日本, 朝鮮史硏究會.
  • 盛林文化財硏究院, 2013, 永川 五樹洞 高麗時代 生産遺蹟.
  • 畿甸文化財硏究院, 2002, 南陽州 好坪 坪內 宅地開發地區內 文化遺蹟 試 發掘調査 報告書(Ⅱ)-朝鮮時代 瓦窯址-.
  • 申光燮 金鍾萬, , 부여 정암리 가마터(Ⅱ)
    국립부여박물관 [1992]
  • 漢陽大學校 京畿道, 1991, 二聖山城.
  • 湖南文化財硏究院, 2010, 麗水 月平遺蹟.
  • 湖南文化財硏究院, 2009, 長城 西陽里 冠東里遺蹟.
  • 湖南文化財硏究院, 2009, 康津 月下里遺蹟.
  • 湖南文化財硏究院, 2008, 羅州 德林遺蹟.
  •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益山 射德遺蹟.
  • 湖南文化財硏究院
    「영암 왕인박사 정비사업 부지 내 발굴(시굴)조사 약보고서」 [2017]
  • 淸州大學校博物館, 1986, 淸州 興德寺址 發掘調査報告書.
  • 沈正輔, , 韓國 邑城의 硏究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學硏文化社 [1995]
  • 林永珍 徐賢珠, 1999, 光州 楓岩洞 金湖洞 遺蹟, 全南大學校博物館.
  •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錫杖寺址 [1994]
  • 東亞大學校博物館, 1986, 靈巖寺址(Ⅰ).
  • 李浩炯 李漢祥 文銀順, 1993, 南穴寺址, 國立公州博物館.
  • 李殷昌, , 靑陽 冠峴里 瓦窯址
    대전보건대학박물관 [2002]
  • 李暎澈 金永熙 劉香美, 2005, 潭陽 中玉里遺蹟 長城 上林里遺蹟 長城 高山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 李康承, 1993, 開泰寺(Ⅰ), 忠南大學校博物館.
  • 李修炅, 2014, 靈巖 水山里 瓦窯址, 民族文化遺産硏究院.
  • 李仁淑 白種伍, 1999, 平澤 關防遺蹟Ⅰ 精密地表調査報告書, 京畿道博物館.
  • 朴美羅, , 강진 현산리 가마
    南道文化財硏究院 [2006]
  • 朴南守, 1994, 「新羅手工業史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曺根佑 金貞愛 崔錫勳 許宰源, 2011, 羅州 雲谷洞遺蹟Ⅳ, 馬韓文化硏究院.
  • 曺根佑 金貞愛 崔錫勳 許宰源, , 나주 운곡동유적(Ⅵ)
    馬韓文化硏究院 [2011]
  • 新羅文化遺産調査團
    慶州의 文化遺蹟(Ⅱ)-慶州 錫杖洞 852番地遺蹟 [2008]
  •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78,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 慶尙文化財硏究院, 2011, 居昌 正壯里 遺蹟.
  • 忠南大學校博物館, 1998, 聖住寺.
  • 嶺南文化財硏究院, 2012, 慶州 花川里 山 251-1遺蹟.
  • 嶺南文化財硏究院, 2011, 淸道 陽院里遺蹟.
  • 嶺南文化財硏究院, 2010, 釜山 古村遺蹟(Ⅰ地區).
  • 嶺南文化財硏究院, 2003, 大邱 旭水洞 慶山 玉山洞遺蹟(Ⅰ).
  •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방내리 生活遺蹟 [2007]
  • 崔盛洛, 1990, 珍島龍藏城, 木浦大學校博物館.
  • 崔盛洛 외, , 羅州 郞洞遺蹟
    全南文化財硏究院 [2006]
  • 崔盛洛 외, , 務安 皮西里 朝鮮 白瓷窯址
    목포대학교박물관 [2003]
  • 崔仁善, , 「順天 海龍面의 文化遺蹟」,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順天大學校博物館 [1997]
  • 崔仁善 李東熙, ,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順天大學校博物館 [1997]
  • 崔仁善 李東熙 李順葉, , 광양 용강리 유적 Ⅰ-용강리 택지개발지구-
    순천 대학교박물관 [2002]
  • 崔仁善 李東熙 宋美珍, 2001, 麗水 禾長洞遺蹟(Ⅰ), 順天大學校博物館.
  • 尹武炳, 1981, 定林寺, 忠南大學校博物館.
  • 姜萬吉, , 朝鮮時代 商工業史 硏究
    한길사 [1994]
  • 大學校博物館
    한신 京畿 南部의 朝鮮時代 遺蹟 [2001]
  • 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將島 淸海鎭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2007, 王興寺址Ⅱ.
  •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1999, 扶蘇山城 發掘中間報告書(Ⅲ).
  •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1996,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
  • 國立中央博物館, 1989, 高麗靑磁名品特別展.
  • 全暎俊, 2005, 「高麗時代 供役僧 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全南文化財硏究院, 2016, 高興 楞伽寺.
  • 全南文化財硏究院, 2014, 羅州 新道里遺蹟.
  • 全南文化財硏究院, 2010, 光州 老大洞 新基遺蹟Ⅱ.
  • 全南文化財硏究院
    羅州 伏岩里 遺蹟 會津里 栢下遺蹟(A구간) [2013]
  • 全南文化財硏究院
    나주 회진리 백하유적(Ⅱ) 삼영동 택촌유적 [2015]
  • 全南文化財硏究院
    「광주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압촌동) 학술자문 위원회 자료집」 [2017]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8, 平澤 葛串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8, 平澤 南山里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04, 尙州 池山里 新鳳里 巨洞洞遺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