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英祖代 史冊辨誣에 관한 硏究 : 『明史』의 朝鮮記事를 中心으로

안소라 2018년
논문상세정보
' 英祖代 史冊辨誣에 관한 硏究 : 『明史』의 朝鮮記事를 中心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8世紀
  • 使行
  • 史冊
  • 明史
  • 朝鮮記事
  • 英祖
  • 辨誣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6 0

0.0%

' 英祖代 史冊辨誣에 관한 硏究 : 『明史』의 朝鮮記事를 中心으로' 의 참고문헌

  • 李晉華, 「明史纂修考」, 『民國叢書』 제4편 74
    上海書店 [1989]
  • 沈國元, 『兩朝從信錄』(續修四庫全書史部356), 上海古籍出版社, 1995.
  • 金堉, 『皇明紀略』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
  • 조선시대 대중국 역사변무의 의미
    정병설 『역사비평』 116, 역사비평사 [2016]
  • 옮김, 『열하일기』
    김혈조 돌베개 [2011]
  • 옮김, 『銀臺條例』
    이강욱 한국고전번역원 [2012]
  • 역, 『陶谷集』
    성백효 학자원 [2015]
  • 서울대학교 규장각,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87 [1981]
  • 등 역, 『江漢集』
    박재금 학자원 [2014]
  • 동북아역사재단, 『(譯註) 中國正史外國傳』
    동북아역사재단 [2009]
  • 국사편찬위원회 편, 『中國正史朝鮮傳譯註』
    국사편찬위원회 [2004]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 黃梓, 『甲寅燕行錄』(日本東洋文庫소장
    한국고전종합DB)
  • 黃景源
    『江漢集』(한국문집총간 224~225)
  • 魏伯珪, 『存齋集』(韓國文集叢刊243)
  • 高用厚, 『晴沙集』(韓國文集叢刊84)
  • 高傅川
    『月峯集』(韓國文集叢刊속19)
  • 韓致奫,韓鎭書, 『海東繹史』(韓國學基本叢書9)
    경인문화사 [1974]
  • 陳建, 『皇明十六朝廣彙紀』(四庫禁燬書叢刊史部42), 北京出版社, 2000.
  • 閔鼎重, 『老峯集』(韓國文集叢刊129)
  • 錢實甫, 『淸代職官年表』, (北京)中華書局, 1980.
  • 金錫胄, 『息庵遺稿』(韓國文集叢刊145)
  • 金萬基, 『瑞石集』(韓國文集叢刊144~145)
  • 金景善, 『燕轅直指』(燕行錄全集70~72)
  • 金得臣, 『柏谷集』(韓國文集叢刊104)
  • 金堉, 『潛谷全集』,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75.
  • 金佐明, 『歸溪遺稿』(韓國文集叢刊122)
  • 鄭忠信, 『晚雲集』(韓國文集叢刊83)
  • 鄭元容, 『經山集』(韓國文集叢刊300)
  • 趙觀彬, 『悔軒集』(韓國文集叢刊211)
  • 趙絅, 『龍洲遺稿』(韓國文集叢刊90)
  • 趙秀三, 『秋齋集』(韓國文集叢刊271)
  • 趙文命, 『鶴巖集』(韓國文集叢刊192)
  • 趙慶男, 『續雜錄』(『大東野乘』)
  • 趙克善
    『冶谷集』(韓國文集叢刊속26)
  • 譯, 『갑인연행록』
    서한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 謝國楨, 『晩明史籍考』, (臺北)藝文印書館, 1968.
  • 許穆, 『記言』(韓國文集叢刊98~99)
  • 萬斯同, 『明史』(續修四庫全書史部324)
  • 畢自嚴, 『石隱園藏稿』, 四庫全書珍本五集375.
  • 申緯, 『警修堂全藁』(韓國文集叢刊291)
  • 王鴻緖, 『明史藁』, (東京)汲古書院, 1973.
  • 王玉蝶, 「朝鲜对『大明会典』宗系辨诬考」, 『鞍山师范学院学报』 2015-3, 2015.
  • 洪敬謨
    『冠巖全書』(韓國文集叢刊속113~114)
  • 洪大容, 『湛軒書』(韓國文集叢刊248)
  • 沈錥, 『樗村遺稿』(韓國文集叢刊207~208)
  • 楊應秀
    『白水集』(韓國文集叢刊속77~78)
  • 桑野栄治, 「朝鮮中宗代における宗系弁誣問題の再燃」, 『久留米大学文学部紀要』25(國際文化學科 編』, 2008.
  • 杨艳秋, 「『大明会典』『明史』与朝鲜辨诬-以朝鲜王朝宗系辨诬和仁祖反正辨诬为中心」, 『南开学报 』 2010-2, 2010.
  • 李頤命, 『疎齋集』(韓國文集叢刊172)
  • 李裕元, 『林下筆記』
  • 李肯翊, 『燃藜室記述』
  • 李瑞雨
    『松坡集』(韓國文集叢刊속41)
  • 李玄逸, 『葛庵集』(韓國文集叢刊127~128)
  • 李瀷, 『星湖全集』(韓國文集叢刊198~200)
  • 李正臣
    『櫟翁遺稿』(韓國文集叢刊속53)
  • 李景奭, 『白軒集』(韓國文集叢刊95~96)
  • 李敏求, 『東州集』(韓國文集叢刊94)
  • 李宜顯, 『陶谷集』(韓國文集叢刊180~181)
  • 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
  • 朴鼎賢, 『凝川日錄』(『大東野乘』)
  • 朴趾源, 『燕巖集』(韓國文集叢刊252)
  • 成海應, 『硏經齋全集』(韓國文集叢刊273~279)
  • 成大中, 『靑城雜記』
  • 徐浩修, 『燕行紀』(燕行錄全集50~51)
  • 徐慶淳, 『夢經堂日史』(燕行錄全集94)
  • 張廷玉, 『明史』(四庫全書史部297)
  • 庄兴亮, 「明代史家陈建的学术生平及其『皇明通纪』 研究述评」, 『史学史研究』, 2013.
  • 尹鑴, 『白湖集』(韓國文集叢刊123)
  • 宋時烈, 『宋子大全』(韓國文集叢刊108~116)
  • 宋徵殷, 『約軒集』(韓國文集叢刊163~164)
  • 安鼎福, 『順菴集』(韓國文集叢刊229~230)
  • 孫衛國, 「淸修『明史』與朝鮮之反應」, 『學術月刊』 40, 2008.
  • 孫衛國, 「『明紀輯略』之東傳及其引發之事件-中韓書籍交流史研究之一例」, 『書目季刊』 31卷1 期, 1997.
  • 姜紹書, 『韻石齋筆談』, (北京)中華書局, 1985
  • 國朝寶鑑
  • 劉節著(辛太甲譯), 『中國史學史講義』
    신서원 [2000]
  • 全海宗, 『韓中關係史硏究』, 一潮閣, 1974.
  • 丁若鏞, 『與猶堂全書』(韓國文集叢刊281~286)
  •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계승범 푸른역사 [2017]
  • 『조선시대 외교문서』
    구범진 한국고전번역원 [2014]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정은주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 『조선시대 당쟁사』
    이성무 동방미디어 [2002]
  • 『銀臺條例』
  • 『銀臺便攷』
  • 『通文館志』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 『譯科榜目』
  • 『蔭案』
  • 『皇明祖訓』
    (사고전서존목총서 史部264)
  • 『淸과 朝鮮』
    최소자 혜안 [2005]
  • 『淸實錄』
  • 『朝鮮王朝實錄』
  • 『書院謄錄』
  • 『明實錄』
  • 『日省錄』
  • 『接勅攷』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 『承政院日記』
  • 『大明會典』
  • 『國朝彙鑑』
  • 『同文彙考』
  • 『勅使日記』
    承政院編/ 李王職實錄編纂會寫, 한국학중앙연구원
  • 『冶谷集』
    장유승 해제, 한국고전번역원 [2010]
  • 『八旗滿洲氏族通譜』
  • 『使朝鮮錄연구』
    김한규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 『事變日記』
    承政院編, 장서각 소장
  • 「조선후기 중국 사행의 규모와 구성」
    김일환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 「조선후기 중국 사행과 서책 문화」
    김영진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 「조선후기 대중국 변무 연구」
    김경록 『공사논문집』 58 제1권, 공군사관학교 [2007]
  • 「조선후기 귀화 漢人과 皇朝遺民의식」
    우경섭 『한국학연구』 27,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조선후기 『承政院日記』 改修연구」
    오항녕 『태동고전연구』 22,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 소 [2006]
  • 「조선후기 『同文彙考』의 편찬과정과 성격」
    김경록 『조선시대사학보』 32, 조선시대사학회 [2005]
  • 「조선의 宗系와 倭事를 曲筆한 중국 文獻-명,청시대에 간행된 문헌을 중심으로」
    서인범 『동국사학』 62,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안대회 『한국실 학연구』 19, 한국실학학회 [2010]
  • 「조선 후기 事變假注書日記의 사료적 가치」
    명경일 『규장각』 4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 학연구원 [2016]
  • 「영조대 대청사행의 운영과 대청관계에 대한 인식」
    연갑수 『조선정치의 마지막 얼굴』, 사 회평론 [2012]
  • 「서울에 온 청의 칙사 馬夫大와 삼전도비」
    배우성 『서울학연구』 38,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학연구소 [2010]
  • 「새 자료 李元默의 『行臺漫錄』과 순조21년(1821) 辛巳燕行」
    구사회 『열상고전연구』 37, 열 상고전연구회 [2013]
  • 「동아시아에서의 서적의 유통과 지식의 생성-壬辰倭亂이후의 인적 교류와 서적의 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진재교 『한국한문학연구』 41, 한국한문학회 [2008]
  •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청 관계」
    구범진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 「黃梓의 甲寅, 庚午연행록에 관한 고찰-雍正, 乾隆연간의 정세 인식을 중심으로」
    신로사 『한국한문학연구』 52, 한국한문학회 [2013]
  • 「韓中知識人交流와 記錄-洪大容과 嚴誠을 중심으로」
    최 식 반교어 문학회, 『泮矯語文硏究』 40 [2015]
  • 「陶谷李宜顯의 생애와 저술에 관한 考察」
    신영주 『한문고전연구』 25, 한국한문고전학회 [2012]
  • 「阿克敦『奉使圖』硏究」
    정은주 『美術史學硏究』 246,247, 한국미술사학회 [2005]
  • 「英祖代『承政院日記』의 改修에 관한 一考察」
    강성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英祖代『承政院日記』 개수과정의 검토」
    이근호 『朝鮮時代史學報」 31, 조선시대사학회 [2004]
  • 「淸의 朝鮮使行人選과 “大淸帝國體制”」
    구범진 『人文論叢』 59,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8]
  • 「淸代七種書소재 조선기사의 辨正」
    황원구 『동방학지』 30, 연세대학원 국학연구원 [1982]
  • 「武愍公黃進에 對한 考察」
    정래수 전북대학교 역사교육 석사학위논문 [1985]
  • 「朝鮮英祖代‘明紀輯略事件’의 政治的性格」
    장민영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朝鮮王朝仁祖反正辨誣與明史編纂」
    杨艳秋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사총』 69 [2009]
  • 「朝鮮使行의 海路燕行錄: 17세기 동북아의 역사전환과 실학」
    임형택 『한국실학연구』 9, 한국실학학회 [2005]
  • 「明淸时期朝鲜的“书籍辨诬”与“书籍外交”」
    黄修志 復旦大学박사학위논문 [2013]
  • 「明史紀事本末「援朝鮮」辨證-明史稿명사 관계기사의 저본문제」
    황원구 『동방학지』 46~ 4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5]
  • 「明,淸史書의 朝鮮‘曲筆’과 朝鮮의 ‘辨誣’」
    이성규 『李公範敎授停年紀念東洋史論叢』, 五 松李公範敎授停年紀念東洋史論叢刊行委員會 [1993]
  • 「寧齋의 ‘北游詩草’에 대하여」
    이희목 『韓國漢詩硏究』 13, 한국한시학회 [2005]
  • 「姜浩溥의 『桑蓬錄』을 통해 본 교유의 일단」
    김영죽 『동방한문학』 60, 동방한문학회 [2014]
  • 「壺亭鄭斗源의 『朝天記地圖』 연구」
    임영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千秋사행 시기 허균의 문헌 관련 활동」
    박현규 『동방학지』 13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 「典據를 통해 본 英祖代『承政院日記』改修의 性格」
    강성득 『사학연구』 88, 한국사학회 [2007]
  • 「『명사』 외국전이 그리는 세계」
    송미령 『중국 정사 외국전이 그리는 ‘세계’들』, 역사공간 [2016]
  • 「“再造之恩”과 조선후기 정치사-임진왜란~정조대 시기를 중심으로」
    한명기 『대동문화연구 』 5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燕行錄’과 知識,情報-지식,정보의 수집과 기록방식」
    진재교 『大東文化硏究』 97,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 「19世紀中國人의 朝鮮認識」
    박정현 『15~19세기 중국인의 조선인식』, 고구려연구재단 연 구총서 9 [2005]
  • 「18세기 청조에서의 청관의 위상」
    차혜원 『中國史硏究』 18, 중국사학회 [2002]
  • 「18세기 조선 문단의 명말청초 문학 인지 양상」
    박재경 『동방한문학』 54, 동방한문학회 [2013]
  • 「18世紀中國의 朝鮮認識-阿克敦의 朝鮮出使와 「東游集」,『奉使圖』를 통해 본 朝淸 關係, 그리고 그 時代的特徵」
    홍성구 『15~19세기 중국인의 조선인식』,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총서 9 [2005]
  • 「1863년 辨誣解決過程으로 본 李尙迪의 눈물-「孔君顧廬(憲庚) 紀余去年奉使進表辨 誣事一冊王子梅爲之付梓見寄數十部志謝有作」를 중심으로」
    정후수 『동양고전연구』 52, 동양고전학회 [2013]
  • 「17~19세기 연행사의 북경 내 활동공간 연구」
    원재연 『東北亞歷史論叢』 26, 동북아역사재 단 [2009]
  • 「17~19세기 동아시아 상황과 燕行, 燕行錄」
    임형택 『한국실학연구』 20, 한국실학학회 [2010]
  • 「17~19세기 使行과 지식, 정보의 유통 방식-複數의 한문학, 하나인 동아시아」
    진재교 『한 문교육연구』 40,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 「17세기 전반 滿洲로 歸附한 조선인들-『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우경섭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 사학보』 48 [2009]
  • 「17,8세기 韓中關係와 仁祖反正-조선후기의 ‘仁祖反正辨誣’ 문제」
    한명기 『한국사학보』 13, 고려사학회 [2002]
  • 「16세기 중국사신의 조선인식-龔用卿의 『使朝鮮錄』을 중심으로」
    권인용 『15~19세기 중국 인의 조선 인식』,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총서 9 [2005]
  • 「16세기 말 17세기 초 명대 서적 수입의 배경」
    장유승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16~18세기 한,중,일 서적의 전파와 수용』, 소명출판 [2014]
  • 「15世紀中國人의 朝鮮認識-崔溥『漂海錄』을 길잡이로 삼아」
    박원호 『15~19세기 중국인 의 조선인식』,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총서 9 [2005]
  • ≪중국사학사≫
    신승하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 S. 로스키(구범진 옮김), 『최후의 황제들』
    이블린 까치 [2010]
  • Goodrich, L. Carrington. “Korean Interference with Chinese Historical Records”. Journal of the 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68,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