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老·朴》 언해 문헌 간 飜譯 樣相에 대한 비교 연구

김문영 2018년
논문상세정보
' 《老·朴》 언해 문헌 간 飜譯 樣相에 대한 비교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변환
  • 삽입
  • 생략
  • 의역
  • 직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2 0

0.0%

' 《老·朴》 언해 문헌 간 飜譯 樣相에 대한 비교 연구' 의 참고문헌

  • 도서출판 이상사 편집부『標準活用玉篇』圖書出版理想社 [2005]
  • 한글학회/1995)『우리말 큰사전』어문각 [1992]
  • 국립국어연구원『표준 국어대사전』두산동아 [2009]
  • 남성우 /2016)『통번역의 이해와 수행』한국문화사 [2006]
  • 맹주억 a) “老乞大諺解類諸版本번역의 문제에 관한 연구 (Ⅰ) -‘是’의 대역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36집 중국학연구회 [2006]
  • 왕병흠 (김혜림 외 옮김)『중국 번역사상사』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 이희승 /1981)『국어대사전』민중서림 [1961]
  • 李思軍(2009) “『老乞大』 『朴通事』中的‘好’” 「宜賓學院學報」7 宜賓學院
  • 李得春(2005) “韓國歷代漢韓飜譯簡述”「解放軍外國語學院學報」28 中國人民解放軍 外國語學院
  • 李得春(1998)『韓文與中國音韻』黑龍江朝鮮人民出版社
  • 劉昌惇(1974) 國語國文學業書(第一輯)『語彙史硏究』宣明文化社
  • 沈在箕(2000)『國語語彙論』集文堂
  • 金永壽(2002) “朝鮮15、16世紀漢文飜譯初探”「東彊學刊」19 延邊大學中朝韓日文化 比較硏究中心
  • 金基石(2005) “韓國李朝時期的漢語敎育及特點”「漢語學習」5 延邊大學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도서출판 [2014]
  • 한국 번역사 정리를 위한 시론
    유명우 「번역학연구」3-1 한국번역학회 [2002]
  • 조선어어휘사
    리득춘 李得春『조선어어휘사』연변대학 출판사 [1987]
  • 정광 “사역원 한학서의 판본 연구(1) <노걸대>
    홍윤표 <박통사>의 성립 과정과 그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어학」14권 한국어학회 [2001]
  • 번역학
    믿음사 [1998]
  • 로걸대 언해문 비교 연구
    황영철 국학자료원 새미 [2016]
  •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편집국 사서편집국/2004)『동아 새 국어사전』제5판 두산동아 [1989]
  •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구본관 이광호교수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태학사 [2001]
  • 국어 토씨 연구
    김승곤 서광학술자료사 [1992]
  • 국어 문법 연구
    민현식 도서출판 역락 [1999]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
    korean.go.kr/main.jsp
  • 과거시제 어미의 형성과 변화
    최명옥 「진단학보」94 진단학회 [2002]
  • 高文達(1992)『近代漢語辭典』知識出版社
  • 馮春田(2000)『近代漢語語法硏究』濟南: 山東敎育出版社
  • 馮春田(1991)『近代漢語語法問題硏究』山東敎育出版社
  • 陳言(2009) “論20世紀中國文學飜譯中的‘直譯’、‘意譯’之爭” 「首都師範大學學報」(社 會科學版) 187
  • 陳群(2006)『近代漢語程度副詞硏究』成都: 巴蜀書社
  • 許少峰(2008)『近代漢語大辭典』北京: 中華書局
  • 胡竹安楊耐思將紹愚(1992)『近代漢語硏究』北京: 商務印書館
  • 胡明揚(2003)『胡明揚言語學論文集』北京: 商務印書管
  • 胡明揚(1984) “『老乞大』復句句式”「語文硏究」3 山西省社會科學院
  • 祝敏徹(1996)『近代漢語句法史稿』鄭州: 中州古籍出版社
  • 王霞 柳在元 崔宰榮(2012)『譯註朴通事諺解』學古房
  • 王森(1995) “『老乞大』 『朴通事』里的動態助詞”「古漢語硏究」2 湖南師範大學
  • 王力(1996)『漢語史稿』北京: 中華書局
  •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編纂(1992/2002)『韓國漢字語辭典』檀國大學校出版部
  • 李田心(2014) “‘直譯’和‘意譯’新解” 「皖西學院學報」第30卷6期
  • 朱德凞(1993) “『老乞大諺解』 『朴通事諺解』漢文本序” 「語文硏究」1 山西省社 會科學院
  • 徐炳國(1973)『新講國語學史』螢雪出版社
  • 張文國張能甫(2003)『古漢語語法學』成都: 巴蜀書社
  • 孫錫信(1999)『近代漢語語氣詞』北京: 語文出版社
  • 姜信沆(2001)『國語學史』普成文化社
  • 劉月華外(1996)『現代中國語文法』大韓敎科書株式會社
  • 兪光中植田均(2000)『近代漢語語法硏究』學林出版社
  • 全在昊(1987)『國語語彙史硏究』慶北大學出版部
  • 『老乞大의 諺解의 比較硏究』
    김완진 韓國硏究叢書31 韓國硏究院 [1976]
  • 『老乞大諺解』
    上 下서울 亞細亞文化社 [1973]
  • 『한학서 연구』
    梁伍鎭 梁伍鎭『한학서 연구』박문사 [2011]
  •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 /2015)『표준 국어 문법론』도서출판 박이정 [1985]
  • 『중세조선어문체연구』
    강용택 도서출판 보고사 [2008]
  • 『중세국어 문법론』
    安秉禧李珖鎬 安秉禧李珖鎬『중세국어 문법론』학연사 [1990]
  • 『주석 번역박통사(상)』
    장숙영 한국문화사 [2008]
  • 『조선 왜학서 연구』
    서형국 태학사 [2003]
  •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김미형 제이앤씨 [2012]
  • 『우리말본』
    최현배 서울 탑출판사 [1979]
  • 『우리말 연구사』
    김형주 세종출판사 [1997]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2009]
  • 『우리말 語源辭典』
  • 『우리 옛말본』
    권재일 허웅 지만지 고전천줄 [2008]
  • 『우리 옛말본-16세기 국어 형태론』
    허웅 샘문화사 [1989]
  • 『우리 옛말본 -15세기 국어 형태론』
    허웅 샘문화사 [1988]
  • 『연세 한국어사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연세 한국어사전』두산동아 [2008]
  •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이숭녕 아세아문화사 [1981]
  • 『번역학개론』
    엄재호 인간사랑 [1993]
  • 『번역학-역사와 이론』
    박용남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0]
  • 『번역의 이해』
    이은숙 도서출판 동인 [2009]
  • 『번역의 이론과 실제』
    이근희 한국문화사 [2015]
  • 『번역의 길잡이』
    이기문 백산출판사 [2001]
  • 『번역과 번역하기』
    박경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 『논박집람역주』
    양오진 태학사 [2011]
  • 『국어학사 연구』
    박태권 세종출판사 [2002]
  • 『국어학개설』
    李翊燮 李翊燮 『국어학개설』學硏社 [2009]
  •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2 - 근대국어 편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2 - 근대국어 편 [1997]
  •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1 - 중세국어 편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1 - 중세국어 편 [1996]
  • 『국어문법연구 Ⅱ』
    이광정 도서출판 亦樂 [2003]
  •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金光海 金光海『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國語學會 [1992]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 구원 [2009]
  • 『고대한어통론』
    주송식 연변인민출판사 [1989]
  • 『고대한어총론』
    최태길 신성출판사 [2004]
  • 『飜譯老乞大』下原本國語國文學叢林23 大提閣1988
  • 『飜譯老乞大』上原本國語國文學叢林12 大提閣1985
  • 『飜譯朴通事』上原本國語國文學叢林12 大提閣1985
  • 『韓國의 譯學』
    姜信沆 姜信沆『韓國의 譯學』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韓國漢字音의 理解』螢雪出版社
    李潤東 李潤東『韓國漢字音의 理解』螢雪出版社 [1997]
  • 『譯註原本老乞大』
    정광 정광『譯註原本老乞大』박문사 [2010]
  • 『漢學書老乞大朴通事硏究』제이앤씨
    梁伍鎭 梁伍鎭『漢學書老乞大朴通事硏究』제이앤씨 [2008]
  • 『朴通事諺解』
    上서울대학교 奎章閣 [2004]
  • 『朴通事新釋辭典』
    박성훈 태학사 [2015]
  • 『朝鮮館譯語의 音韻論的硏究』國語學會
    權仁瀚 權仁瀚『朝鮮館譯語의 音韻論的硏究』國語學會 [1998]
  • 『崔世珍硏究』
    안병희 國語學會 [2007]
  • 『國語語彙史硏究』
    李基文 李基文『國語語彙史硏究』동아출판사 [1991]
  • 『國語親族語彙의 通時的硏究』
    趙恒範 趙恒範『國語親族語彙의 通時的硏究』태학사 [1996]
  • 『國語表記法硏究』
    李翊燮 李翊燮『國語表記法硏究』서울大學校出版部 [1993]
  • 『國語學史』
    유창균 螢雪出版社 [1988]
  • 『國語史資料硏究』
    안병희 文學과 知性社 [1992]
  • 『國語史槪說』
    李基文 李基文/1998)『國語史槪說』태학사 [1972]
  • 『國語史文獻硏究』
    안병희 신구문화사 [2009]
  • 『十五世紀諺解書의 口訣硏究』
    김문웅 형설출판사 [1986]
  • 『中世韓國漢字音의 分析的硏究』
    權仁瀚 權仁瀚b)『中世韓國漢字音의 分析的硏究』박문사 [2009]
  • 『中世國語文獻의 飜譯硏究』
    南星祐 南星祐『中世國語文獻의 飜譯硏究』제이앤씨 [2007]
  • 『16, 17世紀諺簡의 相對敬語法』國語學會
    黃文煥 17世紀諺簡의 相對敬語法』國語學會 [2002]
  • 「한조언어문자관계사」
    이득춘 李得春『한조언어문자관계사』서광학술자료사 [1993]
  • 「문헌 성격에 따른 한자어 수용 양상」
    김무식 「인문학논총」제25집, 경성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 ≪역주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정광 정광『역주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신구문화사 [2006]
  • “論元代漢語『老乞大』言語特點”「중국언어연구」10 한국중국언어학회
    梁伍鎭 梁伍鎭 “論元代漢語『老乞大』言語特點”「중국언어연구」10 한국중국언어학회 [2000]
  • “老乞大의 언해본의 연구(3)-어휘변천을 중심으로”
    신한승 「한성어문학」11 권 한성어문학회 [1992]
  • “老乞大의 언해본 연구”
    신한승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0]
  • “老乞大의 諺解와 飜譯에 대한 比較硏究”「國語硏究」82 서울대학원 국어연구회
    朴喜龍 朴喜龍 “老乞大의 諺解와 飜譯에 대한 比較硏究”「國語硏究」82 서울대학원 국어연구회 [1988]
  • “老乞大와 그 諺解本의 異本”
    안병희 「人文論叢」35집 서울대학교 [1996]
  • “老乞大諺解서문”『문헌과 해석』
    정승혜 ㄴ) “老乞大諺解서문”『문헌과 해석』 [1998]
  • “老乞大諺解類諸版本중 ‘着’의 번역에 관한 연구”
    맹주억 「중국연구」39 한 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07]
  • “老乞大諺解類諸版本‘將’의 번역에 관한 연구”
    맹주억 b) “老乞大諺解類諸版本‘將’의 번역에 관한 연구” 「중국학연구」38집 중국학연구회 [2006]
  • “老乞大 朴通事의 諺解本-國語史資料와 國語學의 연구”
    장경희 『安秉禧先 生回甲紀念論叢』문학과 지성사 [1993]
  • “행실도류 ‘堤上忠烈’이본류의 번역언어학적 연구” 「한글말학」22 집
    여찬영 a) “행실도류 ‘堤上忠烈’이본류의 번역언어학적 연구” 「한글말학」22 집 한글말학회 [2005]
  • “행실도류 ‘吉再抗節’의 번역언어학적 분석” 「언어과학연구」32집
    여찬영 b) “행실도류 ‘吉再抗節’의 번역언어학적 분석” 「언어과학연구」32집 언어과학회 [2005]
  • “한자어의 고유어 대체에 관한 연구”
    성환갑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 “한글 자료의 성격과 해제”
    홍윤표 『국어사연구』태학사 [1997]
  • “한국의 번역학 연구와 국어학의 몇 과제”
    김정우 「우리말글」56 우리말글 학회 [2012]
  • “한국에서의 번역 개념과 역사”
    이영훈 「통번역학연구」15 통번역학연구소 [2011]
  • “한국어 한자어의 기준에 대한 관견”「새국어생활」16집
    李得春 李得春 “한국어 한자어의 기준에 대한 관견”「새국어생활」16집 국립국어연구원 [2006]
  • “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徐俊 徐俊 “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 번역사의 시대 구분”
    김정우 「번역학연구」9 한국번역학회 [1998]
  • “한국 번역사에서 본 조선조 언해번역”
    유창균 「번역학연구」5 한국번역학회 [2004]
  • “한국 번역사에서 본 조선조 언해(諺解)번역”
    유명우 「번역학연구」제5권 제 2호 한국번역학회 [2004]
  • “한국 번역사 논의의 전제”
    김정우 「우리말연구」16 우리말학회 [2005]
  • “조선조 언해류와 번역학”
    여찬영 「한국말글학」26집 한국말글학회 [2009]
  • “조선시대 번역의 사회문화적 기능”
    김정우 「번역학연구」9(1) 한국번역학회 [2009]
  • “조선 초기 대명률의 이두 번역에 대하여”
    장경준 「우리어문연구」52 우리어 문학회 [2015]
  • “유경언해의 언어와 번역관련 연구”
    김영수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논문 14호 [2011]
  • “언해의 사적 고찰”
    안병희 「민족문화」11 한국고전번역원 [2005]
  • “언해와 언해서의 사적고찰”
    이호권 「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42 [2006]
  • “언해서의 구결 문법”
    김문웅 「국어국문학」제89집 국어국문학회 [1983]
  • “언어접촉에서 본 원본『老乞大』의 언어양상 연구”
    조서형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 “어조사의 정의와 문법적 의미범주에 대한 소고-2009개정 한문과 교 유과정을 중심으로”
    정순영 「漢文古典硏究」13 한국한문고전학회 [2015]
  • “석독구결의 번역사적 의의에 대하 시론”
    장경준 「번역학연구」12(4) 한국번 역학회 [2011]
  • “산개본『朴通事』의 수정 내용 고찰”
    장향실 「우리어문연구」45 우리어문 학회 [2013]
  • “병렬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영어 번역 단어수 연구”
    최정아 『번역학연구』제4권 2호, 한국번역학회 [2003]
  • “번역을 위한 한국번역사 재조명”
    김지원 「동서비교문학저널」17 한국동서 비교문학학회 [2007]
  • “번역문에 나타난 국어의 모습”
    김정우 「국어생활」제21집 국어연구소 [1990]
  • “번역노걸대 좌측음 성격에 대하여”
    신용권 「中國文學」42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 “번역과 대조 분석”
    문용 피천득선생 회갑기념 논총 [1971]
  • “번역과 국어국문학 연구”
    조진기 「배달말」33 배달말학회 [2003]
  • “능엄경언해에 관한 몇 가지 문제”
    김완진 「한글」127호 한글학회 [1960]
  • “노걸대가 반영하는 한어의 성격에 대하여” 「中國語文學」48 영남 중국어문학회
    신용권 ㄱ) “노걸대가 반영하는 한어의 성격에 대하여” 「中國語文學」48 영남 중국어문학회 [2006]
  • “노걸대 어휘고”
    이육화 「中國學論叢」25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9]
  • “근대국어 문법형태의 변천-노걸대언해와 중간노걸대언해의 비교를 통해서”
    김문웅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曉星女子大學校出版部 [1987]
  • “구결과 한문훈독에 대하여”
    안병희 「진단학보」41 진단학회 [1996]
  • “飜譯老乞大朴通事中國語音表記硏究-四聲通解歌韻內諸字의 中聲 標記를 中心으로” 「국어국문학」64
    정광 정광 “飜譯老乞大朴通事中國語音表記硏究-四聲通解歌韻內諸字의 中聲 標記를 中心으로” 「국어국문학」64 국어국문학회 [1974]
  • “飜譯老乞大·朴通事의 音系” 「震檀學報」第三十八輯乙酉文化社
    姜信沆 姜信沆 “飜譯老乞大 朴通事의 音系” 「震檀學報」第三十八輯乙酉文化社 [1974]
  • “飜譯朴通事와 朴通事諺解의 比較硏究”
    김완진 「東洋學」(檀國大) 5 [1975]
  • “諺解자료의 역사와 언어 양상에 대한 검토”
    윤용선 「우리말글」56권 우리 말글학회 [2012]
  • “現代國漢混用文體의 定着과 어휘 변화”
    한영균 「국어학」51 국어학회 [2008]
  • “漢字語에 대한 어휘사적 조명” 「국어학」66 국어학회
    송민 송민 “漢字語에 대한 어휘사적 조명” 「국어학」66 국어학회 [2013]
  • “朴通事諺解의 中國音에 대한 對한 考察”
    유창균 『論文集』1집(2) 영남대학교 [1967]
  • “朴通事諺解서문”
    정승혜 ㄱ) “朴通事諺解서문”『문헌과 해석』 [1998]
  • “司譯院譯書의 外國語表記法硏究-飜譯朴通事를 中心으로” 「國語硏 究」25
    정광 정광 “司譯院譯書의 外國語表記法硏究-飜譯朴通事를 中心으로” 「國語硏 究」25 국어연구회 [1970]
  • “中國語借用에 있어 直接借用과 間接借用의 問題에 對하여 -初刊 『朴通事』를 中心으로 하여”
    남풍현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심악 이숭녕 박사송수기념사업위원회 [1968]
  • “『老朴集覽』에 보이는 ‘語助’, ‘語助辭’, ‘助語詞’”
    정윤철 「中國學硏究」35 중국학연구회 [2006]
  • “『老乞大』와『朴通事』에 나타나는 ‘파’(罷)의 언해 양상 고찰”
    김해금 「인문논총」72권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 [2015]
  • “『老乞大』에 나타난 중국어의 어순변화와 문법화”
    신용권 한국언어학회 학 술대회지 [2005]
  • “『老乞大』에 나타난 後置詞에 대하여”
    신용권 「중국어문학」영남중국어문 학회 [2003]
  • “『老乞大』언해류에 나타난 문장구조 연구”
    장숙영 「한말연구」28권 한말연구학회 [2011]
  • “『老乞大』·『朴通事』의 명사에 대하여” 「중국어논문집」12
    유성은 유성은 “『老乞大』 『朴通事』의 명사에 대하여” 「중국어논문집」12 중국 어문학연구회 [1999]
  • “『老乞大』·『朴通事』의 複文에 대하여” 「人文科學硏究」5호
    유성은 유성은 “『老乞大』 『朴通事』의 複文에 대하여” 「人文科學硏究」5호 가톨 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 “『老乞大』·『朴通事』에 보이는 熟語의 표현에 대하여” 「中國 學論叢」30
    梁伍鎭 梁伍鎭 “『老乞大』 『朴通事』에 보이는 熟語의 표현에 대하여” 「中國 學論叢」30 한국중국문화학회 [2010]
  • “『老乞大』,『朴通事』의 漢語補語構造硏究”
    범노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老乞大』 『朴通事』原文 諺解比較資料”
    박재연 鮮文大學校中韓飜譯 文獻硏究所 [2003]
  • “『번역노걸대』의 언어와 번역에 대한 고찰”
    김영수 「한국조선어교육연 구」4권 중국한국 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 박사
  • “『로걸대』류 언해본에 반영된 한어계 차용어”
    황영철 「아시아문화연구」11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 [2006]
  • “『노걸대』와『박통사』”
    양오진 「인문언어」15 국제언어인문학회 [2013]
  • “『노걸대(老乞大)』언해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서지학연 구」52집
    韓美鏡 韓美鏡 “『노걸대(老乞大)』언해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서지학연 구」52집 한국서지학회 [2012]
  • “『노-박언해』의 중국어 차용어와 그 연혁” 「한글」125
    李得春 李得春 “『노-박언해』의 중국어 차용어와 그 연혁” 「한글」125 한글학회 [1992]
  • “『飜譯朴通事』편찬자에 대한 再考”
    장향실 「어문논집」57 민족어문학회 [2008]
  • “『飜譯朴通事』와『朴通事諺解』의 번역 양상 차이 연구”
    장향실 『역학서 와 국어사연구』태학사 [2006]
  • “『朴通事』의 지명 연구2”
    장향실 「譯學과 譯學書」創刊號역학서 학회 [2010]
  • “『朴通事』內難解漢語의 어휘사적 연구 ”
    여채려 「중국언어연구」 52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 “『孟子粟谷先生諺解』의 번역학적 연구”
    여찬영 「우리말글」56 우리말글학회 [2012]
  • “『大學粟谷先生諺解』의 번역언어학적 연구”
    여찬영 「어문론총」45 한국문 학언어학회 [2006]
  • “「飜譯老乞大」의 漢語注音에 對한 硏究”
    장향실 고려대 대학원 [1994]
  • “「飜譯老乞大·朴通事」의 漢音調値에 대하여” 「國語學」18
    李敦柱 李敦柱 “「飜譯老乞大 朴通事」의 漢音調値에 대하여” 「國語學」18 국어학회 [1989]
  • “「飜譯朴通事」의 漢語表音에 대한 초보적 감별” 「二重言語學會 誌」7
    李敦柱 李敦柱 “「飜譯朴通事」의 漢語表音에 대한 초보적 감별” 「二重言語學會 誌」7 이중언어학회 [1990]
  • “《박통사(朴通事)》에 반영한 물가와 경제-산개본(刪改本)의 화폐단위를 중심으로”
    서형국 「어문노집」민족어문학회 [2009]
  • “《노걸대》에 나타난 漢語통사변화의 유형과 원인에 대하여” 「중 국문학」48 한국중국어문학회
    신용권 ㄴ) “《노걸대》에 나타난 漢語통사변화의 유형과 원인에 대하여” 「중 국문학」48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 “15 16 세기 언해문에서 ‘所以’의 번역 양상”
    박진호 「동아시아 연구」45 한양 대 한국학연구소 [2009]
  • “(번역)『朴通事』(상)의 명사류 난해어에 대하여”
    김양진 「국어사연구」13 집 국어사학회 [2011]
  • “(번역)『朴通事』(상)의 난해어-용언류 유일 예를 중심으로”
    장향실 「국어국문학」166집 국어국문학회 [2014]
  • “ 老乞大諺解의 漢字語에 대한 고찰”
    민현식 「人文學報」(江陵大) 5 [1988]
  • )『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
    權仁瀚 權仁瀚a)『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제이앤씨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