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문화접변으로 본 무도스포츠 : 태권도와 우슈를 중심으로 = Martial Sports through the analysis of Acculturation : Focused on Teakwondo and Wushu

변승진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문화접변으로 본 무도스포츠 : 태권도와 우슈를 중심으로 = Martial Sports through the analysis of Acculturation : Focused on Teakwondo and Wushu'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도스포츠
  • 문화접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3 0

0.0%

' 문화접변으로 본 무도스포츠 : 태권도와 우슈를 중심으로 = Martial Sports through the analysis of Acculturation : Focused on Teakwondo and Wushu' 의 참고문헌

  • 히라노 켄이치로 국제문화론. (김동명 역). 서울: 풀빛
    (원전은 2000 에 출판) [2004]
  • 현대스포츠의 병리
    이래화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93]
  • 해외한인의 문화접변
    이장섭 민족문화, 1. 11-25 [1993]
  • 해방이후 한국 태권도의 발전 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양진방 서울 [1986]
  • 해동죽지. (황순구 역). 서울: 범우사
    최영년 (원전은 1925에 출판) [2002]
  • 한국선, 김동규 태권도의 역사철학적 탐구
    김기홍 경북: 영남대학 교출판부 [2007]
  • 한국무술에 내제된 신화의 의미
    강유원 차명환 한국체육학회지, 45(6), 73-80 [2006]
  • 한국 태권도 정신의 시대별 변천과정.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안영찬 경기 [2011]
  • 한국 전통무예의 체육철학적 의미와 현대적 의의 탐색. 미 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김부찬 광주 [2005]
  • 학원출판공사 편집부 컬러版세계백과대사전
    서울: 학원출판공사 [1982]
  • 풍우란 중국철학소사. (정인재 역). 서울: 형설
    (원전은 1948에 출판) [2002]
  • 토마스 헉슬리 진화와 윤리. (이종민 역). 서울: 지만지
    (원전은 1894에 출판) [2009]
  • 태극권의 발생과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 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남기영 경기 [2005]
  • 태극권 강좌
    이찬 서울: 하남출판사 [1992]
  • 태권도의 철학적 탐구
    나채만 송형석 경기: 한국학술정보 [2012]
  • 태권도복의 변천과정과 의미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 부대학교 대학원
    김인성 충남 [2008]
  • 태권도교본
    최홍희 서울: 성화문화사 [1959]
  • 태권도교본
    최홍희 서울: 성화문화사 [1966]
  • 태권도 현대사와 길동무하다
    서성원 서울: 상아기획 [2007]
  • 태권도 품새와 태극권 투로의 비교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임관인 서울 [2005]
  • 태권도 품새란 무엇인가
    이규형 서울: 오성출판사 [2010]
  • 태권도 지도자의 창작품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전민우 경기 [2011]
  • 태권도 전자호구 도입 전 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규칙 및 득점 기술변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김세진 전북 [2014]
  • 태권도 역사 정신 철학
    안용규 서울: 21세기사 [2000]
  • 태권도 시범의 상설 공연문화 정착을 위한 방향 모색.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동영 서울 [2007]
  • 태권도 시범론
    최영렬 서울: 보경문화사 [2008]
  • 태권도 시범단의 시범 구성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신승희 서울 [2004]
  • 태권도 사관 정립과 태권도 정립과 태권도 정신에 관한 연구
    대한태권도협회 연구개발 특별위원회 서울: 대한태권도협회 [1998]
  • 태권도 도복과 띠의 철학적 무도성
    이경명 한국태권도 위생학 연구 소지, 2(1), 9-11 [1995]
  • 태권도 교본 수정증보판
    국기원 국기원 품새 제정 위원회 [2005]
  • 태권도 겨루기 경기화 과정으로 살펴본 경기장 시설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김진경 전 북 [2014]
  • 태권도
    이경명 서울: 대원사 [1997]
  • 카타(形), 타오루(套路), 품새의 비교분석을 통한 태권도 품새경기의 방향성 모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 원
    송남정 경기 [2011]
  • 중국무협사. (강봉구 역). 서울: 동문선
    진산 (원전은 1992에 출판) [2000]
  • 중국무술 발전과정과 전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공개 경기 [2011]
  •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체육교과서에서 놀이ㆍ게임ㆍ스포 츠의 개념 정의와 규칙의 문제
    김홍식 한국체육학회지, 40(5), 77-85 [2001]
  • 정자태극권
    정만청 경기: 하남출판사 [1998]
  • 전통무예로서 택견의 특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 교 대학원
    정재성 서울 [2006]
  • 전통무도수련과 스포츠 트레이닝을 통한 태권도 수련법의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류병관 서울 [2000]
  • 일본무예의 현대화 : 쇼토깡(松濤館) 가라테의 예를 통해
    김민호 한 국사회체육학회지, 14, 275-288 [2000]
  • 일본 鎌倉(카마쿠라)時代의 武士道에 관한 연구
    니시와키 미쯔루 서 울대학교 체육연구논집, 18(1), 73-90 [1997]
  • 이조말기에 있어서의 한국과 미국
    이보형 서울: 현암사 [1984]
  • 이재학 武道지침서
    김정행 김창우 서울: 대한미디어 [2007]
  • 원화도의 기원과 철학적 특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이현희 충남 [2008]
  • 우슈(武術)의 국내도입과 스포츠화 과정.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성철 서울 [2006]
  • 우슈 장권(長拳)의 경기화 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박찬대 경기 [2008]
  • 우리 태권도의 역사
    강원식 서울: 상아기획 [2002]
  • 영화와 현대중국
    장동천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 언론이 담아낸 스포츠맨십의 양상
    권오륜 황미숙 한국체육철학회 지, 14(4), 80-92 [2006]
  • 스포츠 속으로
    이학준 서울: 도서출판 북스힐 [2004]
  • 스포츠 및 그 유사개념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고찰
    임번장 서울대 학교 사대논총, 19 [1979]
  • 수박도 대감
    황기 서울: 삼광출판사 [1971]
  • 세계화와 한국인의 소비문화
    이정덕 한국의 사회와 문화, 23, 248-253 [1995]
  • 세계체육사
    김동규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1999]
  • 선으로 가는 길
    석지현 서울: 일지사 [2001]
  • 새우리말 큰 사전
    신기철 서울: 삼성이데아 [1990]
  • 상해조계와 근대 중국 사회와 문화
    이철원 외대사학, 9, 45-50 [1999]
  • 삶과 온생명
    장회익 서울: 현암사 [2014]
  • 사진으로 보는 태권도
    강신철 수원: 자연과 사람 [2002]
  • 사사지마 쓰네스케 중국체육사. (임영무 역). 서울: 태근문화사
    (원 전은 1960에 출판) [1991]
  • 복식문화의 교류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 학교 대학원
    유주리 서울 [2005]
  • 문화철학
    한국철학회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5]
  • 문화란 무엇인가. (강주현 역). 서울: 시공사
    이브미쇼 (원전은 2001 에 출판) [2003]
  • 무술을 활용한 중국무술공연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장교교 서울 [2016]
  • 무술, 중국을 보는 또 하나의 창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국립민속박 물관 [2005]
  • 무술, 무예, 무도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
    양진방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9(1), 19-29 [1998]
  • 무도 경기 규정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병지대학교 대학원
    차명환 용인 [1997]
  • 마루야마 도시아키. 박희준(편) 氣란 무엇인가
    서울: 정신세계사 [1993]
  • 루스 베네딕트 문화의 패턴. (이종인 역). 서울: 연암서가
    (원전은 1934에 출판) [2008]
  • 디지털 태권도 백과사전 품새에 대한 철학적 고찰
    국기원 2017년 8월 8일 인용, http://www.taekwon.net [2017]
  • 등소평 사상에 비춰진 중국 스포츠정책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이용수 경북 [2003]
  • 동양무도의 문화적 해석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 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허건식 경기 [2002]
  • 동양 무도 정신성의 실재에 대한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 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장질환 경기 [2011]
  • 데이비드 와인버거 지식을 혁명으로 체계화하라. (이현주 역). 서울: 살림출판사
    (원전은 2007에 출판) [2008]
  • 대한우슈협회 제29회 하계유니버시아드 사진
    2017년 9월 10일 인 용 http://wushu.sports.or.kr/events/gallery/?mode=photoview&sCate=20170904141337724&tourcd=&field=&keyword= [2017]
  • 당수도교본
    황기 서울: 계량문화사 [1958]
  • 달마대사 건강비법
    김동주 서울: 전통문화 연구회 [1997]
  • 논술 지도 방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 학원
    이경선 서울 [2003]
  • 근대 한국 태권도의 기원과 정체성 및 스포츠화 과정에 관 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김기홍 경북 [2006]
  • 근대 이후 한국과 중국의 문화접변에 따른 전통복식 변화 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성희진 서울 [2001]
  • 근대 국민국가 건설의 사회사적 연구
    김한초 한국사회와 문화, 15, 270 [1991]
  • 국기 태권도교본
    국기원 서울: 삼훈출판사 [1987]
  • 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태권도 형성사
    허인욱 경기: 한국학술정보. 57 [2008]
  • 고대문명교류사
    정수일 경기: 사계절 [2001]
  • 결연택견협회 마지막 택견꾼 송덕기(宋德基翁)
    2017년 5월 5일 인 용, http://www.taekyun.org/yui/sub_template.html?cat=2&fn=songdk [2017]
  • 陳鑫(2003). 陳氏太極拳圖說, 一太原. 山西: 山西科學技術出版社.
  • 諸橋轍次(1968). 大漢和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 熊明安(1990). 中國敎育發展. 北京: 北京理工大學出版社.
  • 漢書
  • 武道"의 槪念에 關한 硏究
    송형석 서울: 한국연구재단 [2001]
  • 朝鮮武士英雄傳
    안확 京城: 明星出版社 [1940]
  • 書經
  • 明月記
  • 康戈武(1990). 中国武术实用大全. 北京: 中华书局.
  • 人在江湖
    문현선 서울: 산림출판사 [2005]
  • 中國武術協會(1998). 中華武術圖典. 北京: 人民体育出版社.
  • 三代格
  • 『論語』
  • 『문화란 무엇인가』
    유태용 서울: 학연문화사 [1999]
  • 『高麗圖經』
  • 『朝鮮王朝實錄』
  • 『後漢書』
  • 『太宗實錄』
  • Wingate, C. (1993). Exploring Our Roots: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the Ideaology of Karate-do. Journal of Asian Martial Arts, 2(3), 33.
  • Weiss, P. (1969). Sports Philosophy.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Sam, D. L. (2006). Acculturation: conceptual background and corecomponents. In D. L. Sam & J. W. Berry, The Cambridge Handbook of Acculturation Psychology (p. 1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dfield, R., Linton, R., & Herskovits, M. J. (1936). Memorandum for the Study of. American Anthropologist, 38(1), 149-152.
  • Nisbett, R. E., Peng, K., Choi, I., & Norenzayan, A. (2001).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 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Psychological Review, 108, 291-310.
  • Munro, D. J. (1985). Introduction. In D. Munro (Ed.), Individualism and holism: Studies in confucian and taoist values, 1–34. Ann Arbor: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 Homer, B. H. (1969). The Passing of Korea. Seoul, Younsei Univ Press.
  • Herskovits, M. J. (1965). Acculturation-the Study of Culture Contact. PeterSimth, Cloucester, Mass, 10, 485.
  • Henderson, G. (1968). Korea: Politics of the Vortex. Cambridge, Harvard Press.
  • Hansen, C. (1983). Language and logic in ancient China.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Chun, K. M., Organista, P. B., & Marin, G. (2003). Acculturation, American.
  • Broom, L., & Kitsuse, J. I. (1955). The Validation of Acculturation: A Condition to Ethnic Assimil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57, 44-48.
  • Bompa, T, O. (1985). Theory and Methodology of Training.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Second Pr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