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해외 아이디어 상품들의 내재된 발명적 사고원리에 관한 연구

연주한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연주한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nherent inventive thinking principles of overseas idea products
    • 형태사항 ix, 180 p.: 30 cm: 삽화, 표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영택, 참고문헌 : p. 84-8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술경영학과, 2018. 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8
    • 발행사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주제어 BCC OPA SIT 해외아이디어 상품
' 해외 아이디어 상품들의 내재된 발명적 사고원리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cc
  • opa
  • sit
  • 해외아이디어 상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3 0

0.0%

' 해외 아이디어 상품들의 내재된 발명적 사고원리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형태(Morphology)코드-생각의 그물을 짜라
    박영택 품질경영 2012년, 11월 호: 36-40 [2012]
  • 한국무역협회(KITA). 해외아이디어상품. Accessed Aug. 21, 2017. http://www
    KITA.net/newtri2/new_center/market_list.jsp?sClassification=70010 [2016]
  • 품질경영과 창의혁신
    박영택 품질경영학회지 43(1): 1-10 [2015]
  • 트리즈의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디자인 아이디어 발상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제희 중앙대학교 [2016]
  • 체계적 발명사고와 브레인스토밍의 효과성에 관한 비교 연구. 박사학 위논문
    강익선 성균관대학교 [2016]
  •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의 적용과 매출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전자 부 품(수동소자)의 신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석사학위논문
    신동만 성균관대학교 [2016]
  • 창의성에의 초대
    임선하 서울: 교보문고 [1993]
  • 재정의(Redefinition)코드-고객과 그들의 핵심적 요구사항을 재정의 하라. 품질경영 2012년
    박영택 4월호: 24-29 [2012]
  • 유추(Analogy)코드-유추는 Smart Thinking의 핵심. 품질경영 2013 년
    박영택 1월호: 18-21 [2013]
  • 역전(Reversal)코드-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위한 역발상. 품질경영 2012년
    박영택 7월호: 42-46 [2012]
  • 신제품 창의성과 시장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Quirky 제품을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나영식 성균관대학교 [2015]
  • 식품산업에서 SIT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H사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허건 성균관대학교 [2017]
  • 설계에 내재된 발명적 사고원리에 관한 연구 – IDEA Design Award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주한 창의적 성균관대학교
  • 설계 VE의 효율적인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Business Creative Code 활용방안: SMPS 설계 VE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윤섭 성균관대학교 [2014]
  • 산업디자인과 블루오션의 연관성
    김동하 디자인학연구 24(4): 91-104 [2011]
  • 사고의 적용이 매출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부품의 제품 및 공정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이재영 창의적 성균관대학교
  • 사고도구의 효과성에 대한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김은성 창의적 석사학위 논문
  • 발상기법의 디자인 다양성 교육을 위한 연구
    이상연 창의적 커뮤니케이션디 자인학연구 53(0): 301-312
  • 대체(Replacement)코드-흥행의 성공을 위한 핵심기술-대체. 품질경 영 2012년
    박영택 12월호: 44-48 [2012]
  •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디자인진흥법. Accessed Aug. 10
    2017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82%B0%EC%97%85%EB%94%94%EC%9E%90%EC%9D%B8%EC%A7%84%ED%9D%A5%EB%B2%95#undefined [2015]
  • 관계(Relationship)코드-필요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신하라. 품질경 영 2012년
    박영택 10월호: 41-47 [2012]
  • 결합(Combination)코드-결합본능으로 상상의 나래를 펼쳐라. 품질경 영 2012년
    박영택 5월호: 38-42 [2012]
  • 건설 설계VE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비즈니스 창의성 코드(BCC) 활 용방안 –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김휘규 성균관대 학교 [2017]
  •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연구」
    김승인 홍누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4): 275-284 [2012]
  • 「박영택 창의발상론」
    박영택 한국표준협회미디어 [2016]
  • “지식<상상력, 지식보다 가치 있는 상상력!”
    박영택 품질경영 2013년, 2월 호: 46-49 [2013]
  • iF World Design Guide. 2017. Accessed Aug. 21, 2017. http://ifworlddesignguide.com/iF-design-talent-award-2017-02/
  • Stanford d.school. 2017. The Bootcamp Bootleg. Accessed Aug. 10, 2017. https://dschool.stanford.edu/resources/the-bootcamp-bootleg
  • Runco, M. A and Jaeger, G. J. 2012. The Standard Definition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92-96.
  • Rickards, T.(1990), Creative Problem Solving at Work, Gower Publishing, Ltd.
  • Lumsdaine, E. and Lumsdaine, M. 1995.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for a Changing World. New York: McGraw-Hill
  • Lamm, H. and Trommsdroff, G. 1973. Group versus Individual Performance on Tasks Requiring Ideational Proficiency.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4): 361-388.
  • Koestler, A. 2014. The Act of Creation. Reprint Edition. Last Century Media
  • Kaufman J. C., Baer J. and Cole, J. C. 2009. Expertise, Domains, and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3(4): 223-233
  • Industrial Designers Society of America. 2016. Industrial Design Defined. Accessed Aug. 10, 2017. http://www.idsa.org/news/dblog/what-id
  • Horowitz, R. 2001. Form TRIZ to ASIT in 4 Steps. TRIZ Journal August.
  • Goldenberg, J., Mazursky D. and Solomon, S. 1999. Creative Sparks. Science 285(5433): 1495-1496
  • Goldenberg, J. and Boyd, D. 2013. Inside the Box: A Proven System of Creativity for Breakthrough Results. New York: Simon & Schuster.
  • Goldenberg J., Horowitz, R., Levav A. and Mazursky D. 2003. Finding Your Innovation Spot. Harvard Business Review 81(3): 120-129.
  • Furnham, A. 2000. The brainstorming myth. Business Strategy Review 11(4): 21-28.
  • Finke, R. A. 1990. Creative Imagery: Discoveries and Inventions in Visualiz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Berkowitz, W. R. and Avril, G. J. 1969. Short-term Sensory Enrichment and Artistic Creativity. Perceptual & Motor Skills 28(1): 275-279.
  • Amabile, T. M.(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 997-1013.
  • Altshuller, G. 1999. The Innovation Algorithm: TRIZ, Systematic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reativity. Worcester, MA: Technical Innovation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