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의 계획방법 및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양성민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의 계획방법 및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마스터플랜
  • 스마트 시티
  • 첨단 ICT 기술
  • 현대도시이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0 0

0.0%

'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의 계획방법 및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해외 도시계획 및 설계사업의 현지화 과정 연구
    길민지 서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7]
  • 지속가능한 콤팩트 시티 계획요소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엄준호 서울.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0]
  • 지속가능한 새만금 구현을 위한 U-서비 스 구축방안 연구
    김도년 유윤진 진성규 하남수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10-118 [2013]
  • 박사
    지속가능한 도시이론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이장호 서울.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2011]
  • 지속가능한 도시론
    하성규 서울: 보성각 [2007]
  • 지속가능한 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 모델의 개발방향 연구
    곽인영 구지희 김복환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145-156 [2009]
  •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경쟁력에 관한 연구 : 스마트시티 서비스 정 책확산을 중심으로
    김홍광 서울. 박사학위논문. 건축대학교 [2017]
  • 정보사회의 이해
    정보사회학회 서울: 나남출판 [1998]
  • 장소와 장소상실(김덕현 역)
    Edward, R. 서울: 논형 (원서출판 1976) [2005]
  • 장소로서의 도시 결절점 활용 사례 연구
    오지운 경기.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 학교 [2013]
  • 인구저성장형 대도시의 계획적 도시재생정책 연구
    임영택 대전.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009]
  • 이왕건. 도시성장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스마트성장
    월간 국토 [2003]
  • 유비쿼터스도시 : 좋은 도시 만들기를 위한 첨단 유비쿼터스 기 술의 적용
    김도년 도시문제, 제41권 제450호, 11-25 [2006]
  • 압축형 신도시 개발관점의 수도권1기 신도시 계획특성
    권성실 충남. 박사학 위 논문. 충남대학교 [2005]
  • 압축도시의 공간구조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리영 서울.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2010]
  • 신도시 중심상업지역의 도시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김도년 서울.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994]
  • 신도시 생활밀착형 유비쿼터스 서비스 적용방안 에 관한 연구
    손세관 이하나 하지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0권 제3호 통권 제36호, 165-180 [2009]
  • 박사
  • 시민참여형 스마트 녹색도시 모델
    최 윤 서울.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4]
  • 스프로코스토프 역사로 본 도시의 형태(양윤재 역)
    서울: 공간사(원서출판 1993) [2011]
  • 스마트시티 함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박준 공간과 사회, vol.59. 128-155 [2017]
  • 스마트시티 동향분석 및 추천사례
    유성민(SungMin Rue)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12. no.1. 19-28 [2014]
  • 스마트 시티의기준, 스마트시티인덱스
    조유정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28권 6호 [2016]
  • 스마트 도시 환경에서의 공간경험 변화에 따른 디자인 구현체계
    정도균 서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4]
  • 박사
  • 세계의 타운매니지먼트 전개 양상
    김영기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9]
  • 성장관리형 도심활성화 방안의 이론과 적용 연구
    박 훈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8호(통권271호). 252 [2011]
  • 서울특별시
    Digital Media Street 기본계획 [2003]
  • 서울특별시
    DMS 첨단문화 장소만들기 [2010]
  • 서구의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이념과 실천사례
    김경배 대한건축학회지, 제47권 12호. pp34-39 [2003]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산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한 도시개발사례 연구 [2011]
  • 삶이 있는 도시 디자인(김진 외 3인 역)
    Jan, G. 서울: 푸른솔 (원서출판 1987) [2003]
  • 산업연구원
    첨단업종 운영을 위한 합리적 개선방안 [2006]
  • 미국의 스마트성장과 도시개발정책의 시사점
    윤혜정(Yun Hyeh-Jeong) 국토계획, 제37권 7호.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2002]
  • 미국 스마트성장 평가지표의 국내 적용에 관한 연구
    여주영 서울. 석사학위논 문. 서울시립대학교 [2016]
  •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유강은 역)
    Jane, J. 서울: 그린비 (원서출판 1961) [2010]
  • 도심재생을 위한 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신남수 전남.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09]
  • 도시환경디자인(한영호 외 1인 역)
    Kevin, L. 경기: 광문각 (원서출판 1960) [2003]
  • 도시재생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준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도시재생네트워크, ,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서울: 픽셀하우스 [2009]
  • 도시의 균형발전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심활성화 방안 연구
    양성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권 10호. 2-11 [2011]
  • 도시설계의 분야발전과 제도정착을 위한 연구
    양윤재 환경논총, vol.31. 217-244 [1993]
  • 도시설계 : 장소만들기의 여섯 차원(강홍빈, 김광중, 김기호, 김도년, 양승우, 이석정, 정재용)
    Matthew, C. Steve, T. Taner, O. Tim, H. 서울: 대가 (원서출판 2003) [2009]
  • 도시발전 패러다임 변화와 성장편익 공유 도시
    김용창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1]
  • 박사
  • 녹색으로 읽는 도시계획
    원제무 경기: 조경 [2010]
  • 녹색성장도시 모델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최수영 서울. 박사학위논문. 동 국대학교 [2011]
  • 박사
    기술의 변화에 따른 도시설계제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유인재 서울.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6]
  • 박사
    글로벌 Smart-City를 지향하는 통합플랫폼 모델 제안
    이관권 경기. 박사학위 논문. 한세대학교 [2017]
  • 국토연구원. 스마트성장을 위한 도시개발방향
    국토연구원 [2006]
  • 국토연구원. U-City 시대의 도시 공간 변화 및 도시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 공간추론엔진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규칙엔진을 이용한 공간의 추론과 가시화-
    김성아 염정호 대한건축학회 논문지 제24권 제5호(통권 235호). 109-116 [2008]
  • 공간정치이론을 통한 역사도시의 현대적 가치에 관한 연구
    박 훈 서울. 박 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9]
  • 건축환경학
    임만택 서울: 보문당 [2010]
  • 『도시의 이해』
    권영우 서울: 박영사 [2009]
  • “영국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평가”
    이영아 한국사진지리 학회지, vol.19. no.3. pp99-114 [2009]
  • www.smartgrowth.org.. https://courses.washington.edu/gehlstud/gehl-studio/wp-content/themes/gehl-studio/downloads/Winter2010/zaragoza.pdf
  • www.placemakingChicago.com
  • https://amsterdamsmartcity.com/
  • http://www.pps.org
  • http://technbeyond.co.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1380
  • http://futurecity.glasgow.gov.uk/
  • Witold, R. (1995). City Life : Urban Expectations in the New World. New York : Scribner's.
  • William, H. W. (1980).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 project for public spaces. Washington, D.C.: The Conservation Foundation.
  • U-Eco City의 개념과 추진전략
    이상호 임윤택 토지와 기술, 21(2). 133-167 [2007]
  • Theodore, K. (1990). Class Formation and Urban-Industrial Society, Bradfor 1750-1850. Cambridge. E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M. Chen, “Smart Grids, Smart Cities Need Better Networks [Editor’s Note],” IEEE Network 24: 2 (2010) 2–3.
  • T. Nam, and T.A. Pardo, “Conceptualizing Smart City with Dimensions of Technology, People, and Institutions,” Proc. 12th Conference on Digital Government Research, College Park, MD, June 12–15, 2011.
  • T. Bakıcı, E. Almirall, and J. Wareham, “A Smart City Initiative: The Case of Barcelona,”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2: 1 (2012) 1–14.
  • S. Zygiaris, “Smart City Reference Model: Assisting Planners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of Smart City Innovation Ecosystems,”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4: 2 (2013) 217–231.
  • Ruth, S. C. (1997). A Social History of American Tech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 Romano, F. (2008). The Digital Urban Plan:A New Avenue for Town and Country Planning and ICT, Augmented Urban Places. Ashgate.
  • Ray, O. (1989). The Great Good Place. Marlowe & Company.
  • Ran, Y., Koray, V. and Cristina, M. F. (2008). Rising knowledge cities: the role of urban knowledge precincts,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 12 NO. 5, 8-20.
  • R.E. Hall, “The Vision of a Smart City.” Proc. of the 2nd International Life Extension TechnologyWorkshop, Paris, France, 2000.
  • Pirenne, H. (1952). Medieval Cities : Their Origins and the Revival of Trad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 Peter. H. (1988). City of Tomorrow. Oxford : Basil Blackwell.
  • Patrick Allen. (2008). Framing, Locality and the body in Augmented Public Space, Augmented Urban Places, Ashgate.
  • N. Komninos, “Intelligent Cities: Variable Geometries of Spatial Intelligence,” Intelligent Buildings International 3: 3 (2011) 172–188.
  • Mitchell, W. J. (1994). City of Bit : Space. Place and the Inforbahn. MIT Press.
  • McCullough. (2004). Digital Ground:Architecture, Pervasive Computing, and Environmental Knowing. Cambridge MA:MIT Press.
  • Max, P. (1999). The Creative Destruction of Manhattan : 1900-1940,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arichela, S. and Giovanni, D. T. (2010). Cultural tourism and creative regeneration:two cas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4 NO. 3. 214-227,
  • MIT. (2006). ZARAGOZA*MILLA DIGITAL. MIT.
  • M. Thuzar, “Urbanization in SouthEast Asia: Developing Smart Cities for the Future?,” Regional Outlook (2011) 96–100.
  • M. Thite, “Smart Cities: Implications of Urban Planning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14: 5 (2011) 623–631.
  • L. Guan, “Smart Steps To A Battery City,” Government News 32: 2 (2012) 24–27.
  • Kellchi, M. (2010). Domesty/City : The Dislocated home in Augmented Space. Ashgate.
  • K. Kourtit, and P. Nijkamp, “Smart Cities in the Innovation Age,” Innov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5: 2 (2012) 93–95.
  • K. Kourtit, P. Nijkamp, and D. Arribas, “Smart Cities in Perspective–A Comparative European Study by Means of Self-organizing Maps,” Innov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5: 2 (2012) 229–246.
  • Joel, K. (2005). The City. The Wylie Agency.
  • Jill, S. G. (2005).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 in New York City's Low-Income and High-Income Neighborhood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May. 180.
  • James, C. S. 도시설계 원론(윤정섭 외 1인 역)
    Anthony, J. C. 서울: 문운당 (원서출판 1976) [1984]
  • J.M. Eger, “Smart Growth, Smart Cities, and the Crisis at the Pump AWorldwide Phenomenon,” I-Ways 32: 1 (2009) 47–53.
  • ICT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녹색성장 도시건설과 Green u-City 서비스망 구현방안 연구
    김근호 부산.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 ICMA. (2002). Getting to Smart Growth : 100 Polices for Implementation. ICMA.
  • G.L. Cretu, “Smart Cities Design Using Event-driven Paradigm and Semantic Web,” Informatica Economica 16: 4 (2012) 57–67.
  • 박사
  • Elizabeth, F. (2012). Towards a Theory of Augmented Place, Bulletin of IEEE Techical Committee on Learning Technology. Volume 14, Number 4. 43-45.
  • Castells, M. (1989). The Information City : Information Technology, Economic Restructuring and the Urban-Regional, Oxford, UK&Cambridge : The MIT Press.
  • C. Harrison, B. Eckman, R. Hamilton, P. Hartswick, J. Kalagnanam, J. Paraszczak, and P. Williams, “Foundations for Smarter Cities,” IBM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54: 4 (2010) 1–16.
  • Buder, S. (1969). Eberezer Howard : The Genesis of a town Planning Movement.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 Borchert, J. (1991). Our Changing Cities. John Hopkins Press.
  • Bell, Daniel. 제3의 기술혁명(한국전기통신공사 역). 서울: 종로서적
    (원 서출판 1975) [1991]
  • Bahar, D., Stephen, P. and Tan, Y. (2010). Creativity, culture tourism and place-making: Istanbul and London film indus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4 NO. 3, 198-213.
  • Allen, G. C. (1983). Appointment in J apan : Memories of Sixty Years. London : Athlone Press.
  • Alessandro, A. (2008). Epilogue:Towards Designing Augmented Places. Augmented Urban Places. Ashgate.
  • Adrian D. S. Architecture as Firmness, Commodity & Delight. 57-63
  • A. Caragliu, C. Del Bo, and P. Nijkamp, “Smart Cities in Europe,” J ournal of Urban Technology 18: 2 (2011) 65–82.
  • 2000년 이후 국내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에 대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이혜원 경기.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