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壬戌(1862)년 조선 三政救弊論의 형성 양상과 성격 고찰

강혜종 2018년
논문상세정보
' 壬戌(1862)년 조선 三政救弊論의 형성 양상과 성격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th Choson
  • 19세기 조선
  • Imsul Minlan
  • Samjongchaek
  • Sino-Korean prose
  • confucian scholars
  • narrative
  • public opinion
  • reform discourse
  • writingmethods
  • 경세론
  • 공론
  • 구언
  • 글쓰기
  • 삼정구폐
  • 삼정책
  • 응지소
  • 임술민란
  • 한문산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63 0

0.0%

' 壬戌(1862)년 조선 三政救弊論의 형성 양상과 성격 고찰' 의 참고문헌

  • 「19세기 경주부의 재정운영과 임술민란」
    문광균 『역사와 담론』65, 호서사학회, , 41-79쪽 [2013]
  • 李翼萬,『菊圃逸稿』
    한국역대인물총서 2300집
  • 李潤善 저, 오세옥 김희선 역,『국역 公私記攷 2』
    서울역사편찬원 [2017]
  • 李潤善 저, 오세옥 김희선 역,『국역 公私記攷 1』
    서울역사편찬원 [2017]
  • 李東白,『防山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단계)D2B 이225ㅂ v.1-2)
  • 李彙濬,『復齋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315집
  • 李圭日 『四留齋文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62-926-1-3)
  • 劉勰,『文心雕龍』
    서울 : 민음사 [1994]
  • 金顯玉,『山石集』
    경상대학교 고도서관본(古D2B H조 68ㄷ)
  • 金道和,『拓菴集』
    한국역대문집총서 속138집
  • 환재 박규수 연구
    김명호 서울 : 창비, , 1-790쪽 [2008]
  •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엮음,『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문화지형도』
    서울 : 한양 대학교 출판부, , 1-660쪽 [2006]
  •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전개
    김철범 서울 : 보고사, , 1-431쪽 [2012]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 한국학문헌연구소 편,『三政策』2, 서울 : 아세아문화사
    영인본 [1986]
  • 한국학문헌연구소 편,『三政策』1, 서울 : 아세아문화사
    영인본 [1986]
  •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조선정치사 : 1800-1863』하
    서울 : 청년 사, , 1-383쪽 [1990]
  •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조선정치사 : 1800-1863』상
    서울 : 청년 사, , 1-372쪽 [1990]
  • 한국국학진흥원,『(만 사람의 뜻은 천하의 뜻) 만인소 : 유교문화박물관 정 기기획전』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7, 1-206쪽 [2007]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http://www.ugyo.net)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주례
    조병한 서울 : 혜안, , 1-309쪽 [2005]
  • 편,『세도정권기 조선사회와 대전회통』
    오영교 서울 : 혜안, , 1-456쪽 [2007]
  • 박종천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 서울 : 소명출판. , 1-474쪽 [2016]
  • 책임 편집,『임술민란과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
    배항섭 손병규 서울 : 성균 관대학교 출판부, , 1-405쪽 [2013]
  • 책문 ,「 (策文)의 특징과 글쓰기 -『책문준적(策文準的)』을 중심으로」,『東方 漢文學』39
    최식 동방한문학회, , 381-405쪽 [2009]
  • 조성을 공저,『다산 정약용 연구』
    김태영 송재소 안병직 이봉규 사람의무늬, 쪽 [2012]
  • 조선시대 과거 수험서
    박현순(Park, Hyun Soon) 『韓國文化』6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 원, , 205-243쪽 [2015]
  • 박사
    조선 과문 연구」
    이상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 옮김,『(국역) 경산일록』 6
    전송열 정원용 허경진 서울 : 보고사 [2009]
  • 옮김,『(국역) 경산일록』 5
    전송열 정원용 허경진 서울 : 보고사 [2009]
  • 성재 허전, 조선말 근기실학의 종장
    김철범 정경주 서울 : 경인문화사, , 1-448쪽 [2013]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밀즈 지음 김부용 옮김,『담론』
    사라 고양 : 인간사랑, , 1-262쪽 [2001]
  •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 미디어한국학
    한국학종합DB(http://db.mkstudy.com)
  • 담론의 질서
    Foulcaut, Michel 서울 : 서강대학교 출판부, , 1-174쪽 [1998]
  • 담론분석의 이론과 실제
    기르하르트 플룸베 서울 : 문학과지성사, , 1-279 쪽 [2002]
  • 농촌진흥청,『응지진농서 1』
    서울 : 진한엠앤비 [2014]
  • 국회도서관 http://www
    nanet.go.kr)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 32, 조선 후기의 정치』
    서울 : 탐구당, , 1-525 쪽 [2003]
  • 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
    history.go.kr)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
    nl.go.kr)
  • 구경아,강현진,공광성,강지옥,구진성,『19세기 경상우도 학자들 上』
    김현진 최석기 서울 : 보고사 [2012]
  • 공저,『19세기 호남유학의 재구성 : 노 사학파의 형성과 발전』
    류근성 안동교 이항준 장복동 정용환 최대우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부, , 1-525쪽 [2015]
  • 경상대학교 문천각
    남명학고문헌시스템(http://nmh.gsnu.ac.kr)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서울 : 도서출판 역락, , 1-522쪽 [2006]
  • 갑오개혁 이후 공문서 ,「 체계의 변화」,『규장각』17
    권태억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77-98쪽 [1994]
  • 黃基源,『竹林集』
    국립중앙도서관본
  • 黃五 저, 이숙희 역
    『(國譯) 黃綠此集 : 綠此 黃五의 文學 硏究』대전 : 충남대학 교 출판부, , 1-403쪽 [2007]
  • 韓章錫,『眉山集』
    한국문집총간 322집
  • 韓弼敎,『霞石遺稿』
    연세대 도서관본(고서(귀) 268 0 –1)
  • 陳必祥 지음, 심경호 옮김,『한문문체론』
    서울 : 이회문화사 [2001]
  • 閔在南,『晦亭集』
    한국문집총간 속126집
  • 閔冑顯,『沙厓集』
    한국문집총간 속129집
  • 金魯善,『奇溪集』
    한국역대문집총서 집 [2027]
  • 金澤榮,『韶濩堂集』
    한국문집총간 347집
  • 金永爵,『邵亭稿』
    한국문집총간 속126집
  • 金斗鎭,『松山居士遺藁』
    한국역대문집총서 집 [2176]
  • 金敎性 『平隱遺稿』, 연세대 도서관본(고서(한상억) 811
    98 김교성 평)
  • 金宇顒,『東岡集』
    한국문집총간 50집
  • 金在羲,『東谷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640)
  • 金允植,『雲陽集』
    한국문집총간 328집
  • 鄭觀儉,『鶴坡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70-283-1-2)
  • 鄭裕昆,『晩悟文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21-1) [1908]
  • 鄭泰元,『雙洲文集』
    국립중앙도서관본(3648-121)
  • 鄭河源,『小蠹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999)
  • 鄭墧,『進菴集』
    한국문집총간 속122집
  • 鄭基雨,『雲齋遺稿』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705)
  • 鄭元容,『袖香編』, 서울 : 同文社
    영인본 [1971]
  • 鄭健朝,『蓉山私藁』
    서울대 규장각본(奎 1650-v.1-2)
  • 鄭五錫,『逸軒先生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012집
  • 都殷浩,『龍樵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2800집
  • 郭鍾錫,『俛宇集』
    한국문집총간 344집
  • 趙顯翼,『竹軒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765집
  • 趙秉悳, 『肅齋集』
    한국문집총간 311집
  • 趙斗淳,『心庵遺稿』
    한국문집총간 307집
  • 許傳,『性齋集』
    한국문집총간 308-309집
  • 羅燾圭
    『德巖漫錄』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12-7)
  • 經國大典
  • 盧德奎,『古今堂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692집
  • 申錫祜,『可軒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40-10)
  • 申錫愚,『海藏集』
    한국문집총간 속127집
  • 申弼欽,『泉齋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879)
  • 申佐模,『澹人集』
    한국문집총간 309집
  • 洪錫圭,『碧松集』
    서울대 규장각본(奎 12236-v.1-2)
  • 洪錫圭
    『碧松先生集』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115)
  • 沈相直,『竹西遺稿』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924)
  • 正祖,『弘齋全書』
    한국문집총간 262-267집
  • 權錫璋,『畏庵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474집
    경인문화사
  • 權錫璋,『畏庵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474집
  • 權遇準,『晩開軒集』
    한국국학진흥원본
  • 權秉天
    『幽窩居士遺稿』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946)
  • 權琡,『錦厓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10집
  • 權憲貞,『遯窩遺稿』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단계)D3B 권813ㄷ v.1-2)
  • 權周郁,『逋庵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07-140-1-4)
  • 權(金+翼),『三窩聯稿』
    한국국학진흥원본
  • 權 ,『龍耳窩集』
    한국문집총간 속123집
  • 柳重敎, 『省齋集』
    한국문집총간 323-324집
  • 柳致明,『定齋集』
    한국문집총간 297-298집
  • 柳秉喆,『香下稿』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59-5)
  • 李震相,『寒洲集』
    한국문집총간 317-318집
  • 李鍾祥,『定軒集』
    한국문집총간 속122집
  • 李鍾和,『絅晦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640집
  • 李象秀, 『峿堂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646집
  • 李裕元,『嘉梧藁略』
    한국문집총간 315집
  • 李翊九,『恒齋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단계)D3B 이69ㅎ v.1-4)
  • 李用基,『石林弊箒』
    고려대 도서관본(만송D1-A-1-9) [2024]
  • 李瑀祥,『希庵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62-977-236)
  • 李珥 『栗谷全書』
    한국문집총간 44집
  • 李熙奭,『瑞樵遺稿』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62-723-173)
  • 李瀷,『星湖全集』
    한국문집총간 198-200집
  • 李源祚,『凝窩集』
    한국문집총간 속121집
  • 李正斗,『蘭樵遺稿』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62-221-182)
  • 李最善 저, 김경국 이중효 박완호 이은진 역,『(이최선) 석전집 역주』
    광주 : 호남 고문헌역구원 [2016]
  • 李晩燾,『響山集』
    한국문집총간 속144집
  • 李承敬,『餘事亂藁』
    장서각본
  • 李恒老,『華西集』
    한국문집총간 304집
  • 李性和,『水山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979집
  • 李志容,『小松遺稿』
    한국문집총간 속137집
  • 李彙載,『雲山文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684)
  • 李建昌,『明美堂集』
    한국문집총간 349집
  • 朴致馥,『晩醒集』
    한국문집총간 속136집
  • 朴珪壽,『瓛齋集』
    한국문집총간 312집
  • 朴熙典,『酉澗集』
    서울대 규장각본(奎 1-v.1-4) [2055]
  • 朴海奎,『果齋集』
    국립중앙도서관본
  • 朴永魯,『巖居文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561집
  • 朴永柱,『無邪齋集』
    국회도서관본
  • 朴應漢,『新菴集』
    서울대 규장각본(奎 12429)
  • 朴宰鉉,『蘭石文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묵재)D3B 박72ㄴ 全)
  • 朴宗永,『松塢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632집
  • 朴奎昊,『弦窩文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우천)D3B 박17ㅎ)
  • 朴周鍾,『山泉集』
    한국역대문집총서 344-345집
  • 曺逵承,『省齋遺稿』
    한국역대문집총서 1343집
  • 曺垣淳,『復菴集』
    한국역대문집총서 2701집
  • 張心學,『江海集』
    국립중앙도서관본(한古朝46-가862)
  • 張心學 지음, 박미경 옮김,『(國譯)강해문집』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실 [2012]
  • 崔祥純,『絅齋文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계남)D3B 최51ㄱ v.1-3)
  • 崔益鉉 『勉菴集』
    한국문집총간 326집
  • 崔台鎭,『吾山文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단계)D3B 최832ㅇ v.1-3)
  • 崔勳,『菊農集』
    한국국학진흥원본
  • 尹致邦,『謾翁遺稿』
    국립중앙도서관(古3648-61-48)
  • 尹愭,『無名子集』
    한국문집총간 256집
  • 尹廷琦,『舫山遺稿』, 연세대 도서관본(고서(I) 811
    98 윤정기 방-석 –1)
  • 尹大淳,『活水翁遺稿』
    한국문집총간 속115집
  • 宋近洙,『立齋集』
    한국문집총간 속133집
  • 宋寅濩,『遽觀聯芳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7-108-118)
  • 宋來熙,『錦谷集』
    한국문집총간 303집
  • 安麒龍,『芝山世稿』
    한국역대문집총서 1185집
  • 安重燮,『蓮上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45-79-159)
  • 孫永老,『木西集』
    한국역대문집총서 1619집
  • 姜瑋,『古歡堂收艸』, 한국문집총간 318집
    한국고전번역원
  • 姜晉奎,『櫟庵遺稿』
    한국문집총간 속132집
  • 姜寅會,『(국역) 춘파유고』
    서울 : 강성창 발행 [2003]
  • 姚鼐,『古文辭類纂』, 長春 : 吉林人文出版社, 2007.
  • 奇陽衍,『柏石軒遺集』
    경상대 고문헌도서관본(古(미지) D3B 기62ㅂ v.1)
  • 奇正鎭,『蘆沙集』
    한국문집총간 310집
  • 奇昇圭,『葛坡逸稿』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08-9)
  • 哲宗,『中齋稿』
    장서각본
  • 南秉哲,『圭齋遺稿』
    한국문집총간 316집
  • 兪萬柱,『白蕖先生詩抄』
    서울대학교 규장각본(奎 1-v.1-4) [1980]
  • 兪莘煥,『鳳棲集』
    한국문집총간 312집
  • 任百經,『紫閣謾稿』
    서울대 규장각본(奎 5428)
  • 任憲晦, 『鼓山集』
    한국문집총간 314집
  • 丘鳳燮,『醉默軒遺稿』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11-12-1)
  • 丁若鏞 저, 다산학술문화재단 편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丁若鏞 撰, 丁海廉 역주,『역주 경세유표』 1-3권
    現代實學社 [2004]
  • 丁昌夾,『柱峰集』
    국립중앙도서관본(古3648-69-35-1-2)
  • 『列聖御製 : 哲宗』
    국립중앙도서관본(일산古3647-37)
  • 『한문학과 근대문학』
    주승택 서울 : 태학사, , 1-648쪽 [2009]
  • 『한문산문 미학』
    심경호 서울 : 고려대학교출판부, , 1-684쪽 [2013]
  • 『한국한문학의이론 산문』
    황의열 서울 : 보고사, , 1-653쪽 [2007]
  • 『퇴계학파와 리철학의 전개』
    금장태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1-298쪽 [2000]
  • 『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권오영 서울 : 돌베개, , 1-510쪽 [2003]
  • 『율곡의 사회개혁 사상』
    이동인 서울 : 백산서당, , 1-138쪽 [2004]
  • 『실학의 철학적 특성』
    윤사순 파주 : 나남, , 1-575쪽 [2008]
  •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책 연구』
    연갑수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1- 311쪽 [2001]
  • 『근대이행기의 유림』
    권오영 파주 : 돌베개, , 1-671쪽 [2012]
  • 『韓國近代農業史硏究. 3 : 轉換期의 農民運動(Ⅱ)』
    김용섭 서울 : 지식산업사, , 1-258쪽 [2001]
  • 『韓國近代農業史硏究. 1 : 農業改革論 農業政策(Ⅰ)』
    김용섭 1, 서울 : 지식산업 사, (新訂 增補版), 1-594쪽 [2004]
  • 『韓國漢文學史』
    이가원 서울 : 普成文化社, , 1-377쪽 [2005]
  • 『近世의 法과 法思想』
    박병호 서울 : 진원, , 1-678쪽 [1996]
  • 『朝鮮王朝實錄』
  • 『朝鮮時代 儒生上疏와 公論政治』
    설석규 서울 : 선인, , 1-477쪽 [2002]
  • 『朝鮮後期 還穀制改革硏究』
    송찬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1-397쪽 [2002]
  • 『承政院日記』
    국립중앙도서관본(일산古3647-37)
  • 『大院君의 統治政策』
    김병우 서울 : 혜안, , 1-481쪽 [2006]
  • 『壬戌錄』
    국사편찬위원회 [1958]
  • 『備邊司謄錄』
  •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 연구 : 지배와 저항의 구조』
    고석규 서울 : 서울대학 교 출판부, , 1-411쪽 [1998]
  • 『1862년 농민항쟁』
    망원한국사연구실 서울 : 동녘, , 1-434쪽 [1988]
  • 『17 18세기 전정 운영론과 전세 제도 연구』
    이철성 서울 : 도서출판 선인, , 1-377쪽 [2003]
  • 「李栗谷의 策文 硏究」
    곽신환 『유교사상연구』7, 한국유교학회, , 281-307쪽 [1994]
  • 「주의류(奏議類) 산문의 특징과 전개양상」
    최식 『東方漢文學』31,동방한문학회, , 203-227쪽 [2004]
  • 「조선후기 文科에 나타난 京鄕 간의 불균형 문제 검토」
    박현순 『韓國文化』58,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3-37쪽 [2012]
  • 「조선전기(朝鮮前期) 책문(策文)과 사(士)의 세계(世界) 인식(認識) :『전책 정수(殿策精粹)』를 중심으로」
    임완혁 『漢文學報』20, 우리한문학회, , 355-382쪽 [2009]
  • 「조선시대(朝鮮時代)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에 의한 공론(公論) 형성(形 成) 과정(過程)」
    장재천 『한국사상과 문화』 53, 한국사상문화학회, , 135-152쪽 [2010]
  • 박사
    「조선시대 책문 연구」
    박재경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조선시대 嶺南儒生의 公論形成과 柳道洙의 萬人疏」
    설석규 『퇴계학과 한국문 화』44,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 110-156쪽 [2008]
  • 「조선 주자학(朱子學)의 이학적(理學的) 담론과 특성」
    권오영 『조선시대사학보』 69, 조선시대사학회, , 5-36쪽 [2014]
  • 「정조의 인재관 연구 : 책문을 중심으로」
    김현옥 『한문학논집』28, 근역한문학 회, , 91-124쪽 [2009]
  • 「임술민란기 秋琴 姜瑋의 현실인식과 三政改革論」
    임성수 『조선시대사학보』79, 조선시대사학회, , 291-343쪽 [2016]
  • 「다산(茶山)의 글쓰기와 공공성(公共性):『경세유표』의 구성과 서술방 식」
    강혜종 『다산과 현대』6,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 57-84쪽 [2013]
  • 「노사학파(蘆沙學派)의 환곡개혁책 : 장성, 고창 지역을 중심으로」
    김봉곤 『역사 와실학』40, 역사실학회, , 39-68쪽 [2009]
  • 「근대개혁기의 역사서술과 변법론」
    김도형 『한국문화연구』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79-111쪽 [2002]
  • 「개항 직전 강위(姜瑋)의 현실 인식」
    이헌주 『한국사상사학』35, 한국사상사학 회, , 31-63쪽 [2010]
  • 「개항 전후 실학의 변용과 근대개혁론」
    김도형 『동방학지』124, 연세대학교 국 학연구원, , 389-437쪽 [2004]
  • 「鐘山 李參鉉(1807∼1872)의 삶과 글쓰기의 지향점」
    김용태 『한문교육연구』 48, 한국한문교육학회, , 361-392쪽 [2017]
  • 「芝窩 鄭奎元의 現實認識과 對應」
    설석규 『남명학연구』17,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 , 91-122쪽 [2004]
  • 「興宣大院君과 南人 :「南村解嫌日記」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종태 『한국 근현 대사 연구』16, , 7-38쪽 [2001]
  • 「羅世纘의 策文과 論述의 傳統」
    정병헌 『어문논집』6, 숙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 117-154쪽 [1996]
  • 「端磎 金麟燮의 學問性向과 詩世界」
    구경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박사학 위논문 [2007]
  • 「漢文 文體 分類의 재검토」
    황의열 『태동고전연구』17, 태동고전연구소, , 147-179쪽 [2000]
  • 「江海 張心學의 生涯와 文學世界」
    오현진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朝鮮後期의 賦稅制度 釐正策」
    김용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2]
  • 「惺齋許傳『三政策』譯註」
    노영목 경성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 「性齋 許傳의 경세론」
    정욱재 『한국인물사연구』19, 한국인물사연구회, , 405-437쪽 [2013]
  • 「姜瑋의 思想과 文學觀에 對한 考察」
    주승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1]
  • 「壬戌民亂期 省齋 柳重敎의 三政論」
    송기중 『역사와 담론』65, 호서사학회, , 81-110쪽 [2013]
  • 「『목민심서(牧民心書)』의 글쓰기 방식과 공공성(公共性)」
    강혜종 『다산과 현 대』7,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 143-174쪽 [2014]
  • 「「책문(策問)」
    김현옥 에 나타난 정조(正祖)의 학문관(學問觀),『한문고전연구』 21, 한국한문고전학회, , 155-176쪽 [2010]
  • 「19세기 후반 嶺南儒林의 정치적 동향-만인소를 중심으로-」
    정진영 『지역과 역 사』4, 부경역사연구소, , 173-243쪽 [1997]
  • 「19세기 중엽 兪莘煥 學派의 學風과 現實 改革論」
    노대환 『韓國學報』19, , 일지사, 191-228쪽 [1993]
  • 「19세기 중반 남병철(1817-1863)의 학문과 현실 인식」
    노대환 『한국학보』72, 일지사, , 191-228쪽 [1993]
  • 「19세기 농민 저항의 정치」
    김선경 『역사연구』16,역사학연구소, , 87-131쪽 [2006]
  • 「19세기 鄕村支配勢力의 변동과 農民抗爭의 양상」
    고석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1]
  • 「19세기 文科에 대한 고찰」
    박현순 『韓國文化』5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 연구원, , 33-70쪽 [2011]
  • 「19세기 ‘세도정치기’의 求言敎와 應旨疏 : ‘탕평정치기’와의 비교를 중심 으로」
    김인걸 『韓國文化』 5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71-97쪽 [2011]
  • 「1862년 삼정책문(三政策問)에 따른 경외대책(京外對策)의 검토」
    송찬섭 『史 林』48, 수선사학회, , 157-193쪽 [2014]
  • 「1862년 농민항쟁과 소통의 정책」
    송찬섭 『한국사연구』161, 한국사연구회, , 283-312쪽 [2013]
  • 「17 18세기 田政運營 改革案의 理想的 原型」
    이철성 『민족문화연구』26, 고려 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329-369쪽 [1993]
  • Anders Karlsson. "Central Power, Local Society, and Rural Unrest in Nineteenth-Century Korea : An Attempt at Comparative Local History".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 6, No. 2 2006 : pp.207-238.
  • 1862년 진주농민항쟁
    서울 : 지식산업사, , 1-155쪽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