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현대미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 연구 :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 Grotesque Images in Symbolism, Surrealism and Postmodernism

김남진 2018년
논문상세정보
' 현대미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 연구 :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 Grotesque Images in Symbolism, Surrealism and Postmodernis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rotesque
  • Symbolism
  • post modernism
  • surrealism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6 0

0.0%

' 현대미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 연구 :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 Grotesque Images in Symbolism, Surrealism and Postmodernism' 의 참고문헌

  • 현대 세계 미술 대 전집, 『샤갈, 에른스트, 미로』
    금성출판사 [1973]
  • 편, 『탈구조주의의 이해』
    김성곤 민음사 [1988]
  • 편, 『데리다와 푸코,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임헌규 인간사랑 [1992]
  • 이야기, 가장 인간적인 소통의 형식
    김민수 거름 [2002]
  • 월간미술 엮음,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 p.444 [1998]
  • 애브젝트 미술과 신디 셔먼의 신체
    강태희 『월간미술』, 9월호 [1997]
  • 미술사연구회, 『19세기의 서양미술』
    조형교육 [2001]
  • 류신, ‘그로테스크의 형식, 내용, 수용’
    전영운 『인문학연구』 제31집 [2001]
  • 공저, 『이미지의 시대 - 경제적 접근』
    이미혜 이재희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1]
  • 竹內敏雄, 『美學事典』, 弘文堂, , 안영길 외 역, 『미학 예술학 사전』
    미진사, 1989 [1961]
  • 『현대미술의 이해』
    임영방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 『현대미술의 또 다른 지형』
    강태희 시공사 [2000]
  • 『현대미술의 동향2』
    김기혜 이화현대미술연구회 엮음, 눈빛 [1994]
  • 『현대미술용어사전』
    최민 열화당 [1978]
  • 『해체미학: 니체에서 후기구조주의까지』
    파종호 뿌리와 이파리 [2006]
  • 『프랑스 상징주의』
    김경란 연세대출판부 [1995]
  • 『판타지』
    송태현 살림 [2003]
  • 『텔레비젼 영상론』
    오명한 나남 출판사 [1994]
  • 『초현실주의와 초현실주의 사진』
    정경미 「사진예술」 [2006]
  • 『초현실주의』
    신현숙 동아출판사 [1992]
  •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 남성중심주의 신화와 상징』
    연효숙 책누리 출판사 [2001]
  •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그린비 출판사 [2005]
  • 『예술철학 (하)』
    양희석 자유문고 [1988]
  • 『예술과 사상』
    김혜련 김혜숙 이화여대출판부 [2003]
  • 『영화 서사학』
    서정남 생각의 나무 [2001]
  • 『영상디자인』
    김종덕 한국미술연구소 [1997]
  • 『세계 문학비평용어사전』
    이명섭 을유 문화사 [1985]
  • 『상상인 것의 인간학2』
    진형준 문학과 지성 [1992]
  • 『백남준과 그의 예술』
    김홍희 디자인하우스 [2009]
  • 『몸의 위기: 후기구조주의의 몸과 재현의 위기』
    파종호 까치출판사 [2006]
  • 『공포영화의 쾌락』
    정성일 비디오무비 [2001]
  • 「현대패션에 표현된 환상성 연구: 환상미술의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월미 전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6]
  • 「현대미술에서 그로테스크 표현연구」
    조영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 「포스트모더니즘회화의 특성연구」
    김양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9]
  •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미술 속의 여성상에 관한 연구」
    김미정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 「팀 버튼작품에 나타난 통과제의성 연구」
    서수정 중앙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논문 [2007]
  • 「팀 버튼영화의상에 표현된 Goth스타일」
    정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 「초현실주의회화에 있어 무의식의 영향과 심리적 요인에 관한 고찰」
    배상아 한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 박사
  • 「초현실주의에 내제된 무의식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논문 [2003]
  • 「초현실주의미술에 나타난 초현실의 특성연구」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2017]
  • 「초현실주의 미술의 무의식표현에 관한 연구」
    오세화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 문 [2005]
  • 「채프먼 형제 인체작품의 조형적 특성연구」
    최예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2]
  • 「영화에서 나타난 그로테스크 분장 연구」
    박선지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 「영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인체이미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영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 「에니메이션의 언캐니에 관한 연구: 어릿광대의 꽃을 중심으로」
    김경우 홍익대학교 대 학원 석사논문 [2014]
  • 박사
  • 「신디 셔먼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몸의 해체적 방법론연구」
    정미경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논문 [2010]
  • 「신디 셔먼(Cindy Sherman)의 사진 작품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연구」
    이윤주 이화여 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 「신디 셔먼 작품에 나타난 파편화된 신체이미지 연구」
    허지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논문 [2002]
  • 「시대적 환경이 화가의 조형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적환 단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6]
  • 「상징주의 회화에 나타난 신화, 성서테마 연구」
    이명해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9]
  • 「살바도르 달리의 편집증 및 이중영상기법연구」
    이은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8]
  •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이광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 박사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작품연구」
    한진화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 논문 [2015]
  • 「비어즐리작품을 통해 본 조형적 방법론으로서의 그로테스크」
    조은영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 「비디오아트에서 몽타주에 의한 그로테스크연구- 매튜 바니의‘크리매스터 사이 클’을 중심으로」
    조성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8]
  • 「매튜 바니(Matthew Barney)의 <크리매스터 사이클 Cremaster cycle>(1994-2002) 연구」
    김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
  • 박사
  • 「르네 마그리트의 회화에 나타난 일상성의 파괴에 관한 연구: 정신적 관습의 파괴로 본질을 추구하는 회화」
    정우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르네 마그리트의 신비적 표현에 관한 연구」
    박상남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 문 [2004]
  • 「르네 마그리트에 있어서 데페이즈망의 가상성」
    최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 「르네 마그리트(R ne Magritte)회화의 데페이즈망(Depaysment) 기법 연구」
    강옥민 홍 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7]
  • 박사
  • 「로웬펠드의 자아 동일화 개념과 미술사조와의 관계 및 상호작용연구」
    이주희 고려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3]
  • 「동화적환상성을 표현한 도자조형연구」
    유희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10]
  • 「대중문화가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
    전혜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 박사
  • 「그림형제의‘Kind und Hausm rchen에 나오는 동화의 환상과 현실성」
    최미연 서울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 박사
  • 「20세기 초 서양회화에 나타난 상징주의에 관한 연구」
    탁신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논문 [1996]
  • 「19세기 상징주의회화를 응용한 Body painting 연구」
    황지호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 학원 석사논문 [2008]
  • ‘새로운 신체미술: 성의 정치학에서 몸의 정치학으로’
    김홍희 『미술평단』, 1995, 겨울 [1995]
  • ‘미술사와 미술비평사’
    오진경 서양미술사학회 [1995]
  • ‘또 하나의 팀 버튼 세계가 완성되다’
    송경원 『씨네21』, 1073호 [2016]
  • ‘그로테스크의 시각성과 존재론적 함의’
    김혜련 한국 가톨릭 철학회, 『가톨릭 철학』제12호 [2009]
  • ‘구속의 대화, 매튜 바니를 만나다’
    김주환 『월간미술』, 11월호 [2005]
  • ‘가면무도회’, 『사진예술』
    석현혜 11월호(Vol.319) [2015]
  • Yuri, Dialgs Ekranom, Aleksandra Tallinn, , 이현숙 역, 『스크린과의 대 화』
    Lotman, M. 우물이 있는 집, 2005 [1994]
  • Yablonsky, Linda,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Gun Man, Time Cat New York, no.212, October, 1999.
  • Warr, Tracey, 엮음, The Artist's Body, phaidon press, , 심철웅 역, 『예술가의 몸』
    미메시스, 2007 [2000]
  • Vilz, c. Paul & Glimcher, B. Arnold, Modern Art and Modern Science, New York: Praeger, 1984.
  • Verdens, Hans, The IDEA of the Postmodern, Routledge, , 장성희 외 역,『포스트 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2000 [1995]
  • Valley, Paul, The Brothers Grim: Jake and Dinos Chapman, The Independent, London, 2000.
  • Tzyetan, Todorov, Howard, Richard 역, The Fantastic
    Cornell University press [1975]
  • Turner, Victor, From ritud To theatre, PAJPublications, , 이기우 역, 『제의에서 연 극으로』
    현대미학사, 1996 [1982]
  • Tuffell, Nicde, L'art ⅹⅸ me Siecl , LAROUSSE/ VUEF, , 김동윤, 손주영 역, 『19 세기 미술』
    생각의 나무, 2005 [2002]
  • Togel, Christfried, Freud Verstehen, Anaconda verlag, (개정판), 최미연 역, 『프로 이트』
    생각의 나무, 2009 [2012]
  • Thomson, Philip, The Grotesque, Methuen Critical Idiom Series, , Taylor & Francis, 2017(개정판), 김영무 역, 『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1972]
  • Thomson, Jan, The role of Woman in the lconography of Art Nouveau, 「Art Journa l」, Vol. 31 No 2, 1971.
  • The Solomon, R, Guggenheim (pub),'「M. Ernst: a retrospective」, New York, 1975.
  • Stefano, de Eva, Gustav Klimt, Sterling, , 김현주 역, 『구스타브 클림트』
    (주)워즈 덤 하우스, 2006 [2008]
  • Spector, Nancy, Cremaster Cyele, Guggenheim Museum, 2002.
  • Smirgel, Chasseguet, Janine Creativity and Perversion, w.w. Norton & Company, 1984
  • Smilh, Robert, PACE CAR for the HUBRIS PILL, (exh, cat) (Rotterdam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1995)
  • Silversyone, Roger, Television and Every body Life, LonDon: Routtedge, 1994.
  • Shilling, Chris, The body and Socialtheory, SagePublications (CA), (개정판), 임인숙 역, 『몸의 사회학』
    나남, 1993 [2012]
  • Serenellini, Mario, Interview: Tim Burton, Mondouomo International Maggio/ Giugno, 1994.
  • Schreler, Christopher, Ren Magritte, Georg olms Verlag, 1985.
  • Russo, Mary, The Fernale Grotesque: Risk Excess and Modernity, London, New York: Routledg, 1994.
  • Roh, Frans, Max Ernst und die stuckungraphik, 1927, W. Spies 1984.
  • Redford, Robert, Dali, Phaidon press, Limited, , 김남주 역, 『달리』
    한길아트, 1998 [1998]
  • Read, Herbert, 김윤매 역, Philosophy of Modern Art, Faber & Faber, ,『현대미술 의 원리』
    열화당, 1985 [1979]
  • Read, Herbert, Philosophy of Modern Art, Faber &Faber, , 김윤수 역, 『현대미술 의 원리』
    열화당, 1981 [1979]
  • Ponty, Merleau, Le visible et Linvisible, Gallimard Education, (개정판), 남수인 외 역,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2004 [2015]
  • Plazy, Gilles, Histore del Art en Image, NereaEditorial, , 이봉순 역, 『이미지로 보 는 서양미술사』
    마로니에 북스, 2007 [2002]
  • Panzer, G. W. Franz: M rchen in: Wege der M rchenforschung. Hrsg.V. Felix Kaufinger, Wissenschaftliche Gesellschaft, 1973.
  • Obrist, Hans-Ulrich, Intervew with Barney, Museum in Progress, Vienna, 2000.
  • Obenauer, Justus. Karl, Das M rchen, Dichtung und Deutung, Vittorio Klesteman. 1959.
  • Nichols, Goodeve. Thyrza, Travels in Hypertophia: The Nichols Goodeve Talk with Matthew Barney, 『Artforum』, no9, 1995.
  • Neret, Gilles, Catherrine Plant, Salvador Dali, Taschen, , 정진아 역, 『살바도르 달 리』
    마로니에 북스, 2005 [1999]
  • Nagel, Yachim, Surrealism, chr Belser, , 황종민 역, 『초현실주의』
    미술문화, 2008 [2008]
  • Morris, Catherine, The Essential Cindy Sherman, Harry N, Abrams, Inc, 1999.
  • Maffesoli, Michel, Le Temps des Tribus: le D clin de lindividualisme dans les Soci t s de Mass, Meridiens Klincksieck, 1988, trans, Dons Smith, 'The Time of the Tribes: The Decline of Individualism in Mass' Society SAGE Publications, 1996.
  • Lyndon, Robert, The Story of modern art, Phaidon press, , 윤난지 역, 『20세기의 미술』
    예경, 2000 [1994]
  • Luther, James, Adams and Wilson Yates', Refl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 L thi, Max, Das europ ische Volksmarchen, Francke. 1985.
  • L thi, Max, Das Volks M rchen als Dichtung, Asthetik und Antropologie Vanden hoeck und Ruprecht, Gottingen. 1990.
  • Kroeber, a. Louis & Clyde Kluclchohn, Culture patterns & Processes, Harcourt, Brace & world, New York, 1963.
  • Kristeva, Julia, The Sense and non-Sense of revolt, Jeanine Herman Tran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 Klingss hr, Cathrin, Surrealism, Taschen, America Lic, , 김영선 역, 『초현실주의』
    마로니에 북스, 2008 [2004]
  • Kayser, Wolfgang, The Grotesque in Art and 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66.
  • Kayser, Wolfgang, Das Groteske: Seine Gestaltung in Malerei and Dichtung,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 이지혜 역, 『미술과 문학에서 나타난 그로테스 크』
    아모리 문디, 2011 [1957]
  • Jerome, Sans, Mathew Barney: Modern Heroes, Art press, 1995.
  • Jameson, Fredirc, Postmodernism, VERSO, , 윤난지 역, 『모더니즘이후 미술의 화 두』
    눈빛, 2004 [1992]
  • Jameson, Fredirc, Le Postmodernism ou La Logique Culturelle Du Capitalisme Tardit, Ensba-Ecole Nationde, (개정판), 강내희 역
    『포스트모더니즘-후기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 터, 1989 [2011]
  • James, Lingwood, Keeping Track of Matthew Barney, TATE: The Art Magazine, no 6, summer, 1995.
  • James, L. Adams, Wilson Yates, The Grotesque in Art and Literature Theological Refle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 Jaffe, Aniela, Symbolism in an Individual Analysis, DELL, (개정판), 이희숙 역, 『미 술과 상징』
    열화당, 1979 [2005]
  • Jacoby, de Jean, Die Psychologie von C. G. Jung, Patmos-verlag, (개정판), 이태동 역, 『칼 융의 심리학』
    성문각, 1996 [2012]
  • Jackson, Rosemary,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Lightning Source inc, , 서강 여성문학회 역, 『환상성』
    문학 동네, 2001 [1981]
  • Jack, The Aesthetics of Freud, McGraw-Hill, , 신문수 역, 『프로이트 예 술미학』
    Spector, J. 풀빛, 1998 [1972]
  • Heidsieck, Arnold, Das Groteske und das Absurde im modernen Drama. Stuttgart, , 전영운, 류신, '그로테스크의 형식 내용 수용', 중앙대학교 『인문학연구』
    제31 집 연구논문, 2001 [1960]
  • Heartney, Eleanor, Postmodernism, Tate Modern, , 이태호 역, 『포스트모더니즘』
    열화당, 2003 [2003]
  • Hassan, Ihab, The Literature of Silence, Henry Miller & Samuel Becken, , 정정호 역, 『포스트모더니즘』
    종로서적, 1985 [1984]
  • Hammacher, A. Maria, Magritte, Harry & Abrams, 1974.
  • Gombrich, H. Ernst, Art and illus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 Goldwater, Robert, Symbolism, penguin Book, 1979.
  • Gittlin, Todd, HipDeepin postmodernism, The New York Times Book Revew, November, 1988.
  • Geodwin, james, Modern American Grotesque, New York, Literature and Photography, 2003.
  • Genty, Gilles외, Symbolism et l'art Nouveau, L'ABC daire du Flammarion, , 신성림 역, 『상징주의와 아르누보』
    창해, 2002 [1997]
  • Gaillenin, Jean Louis, Dali, Thames & Hundson, , 강주헌 역, 『달리』
    시공사, 2006 [2004]
  • Gablik, Suzi, Magritte, Thames & Hudson, , 천수원 역, 『르네 마그리트』
    시공사, 2000 [1985]
  • Freud, Sigmund, The Uncanny, Penguin Classics, , 김윤수 역, 『언캐니 예술, 문화, 정신분석』
    아트북스, 2004 [2003]
  • Fraga, Kristian, Tim Buton: Interviews, Mississippi University press, , 김현우 역, 『고딕의 영상시인 팀 버튼』
    마음산책, 2007 [2005]
  • Foster, Hal, RECORDINGS: Art, Spectacle, Culturd, Politics, Bay press Seattle, Waschington, 1987.
  • Foster, Hal, Compulsive Beauty, SACK, , 전영백 역,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 움』
    아트 북스, 2005 [1995]
  • Foster, Hal 외, art since , ScienceBooks, 2007, 배수희, 신정훈 외 역, 『1900년 이 후의 미술사』
    세미클론, 2007 [1900]
  • Flynn, Tom, Perspectives Body in Three Di Mensions, Harry N. Abrams, , 김애현 역, 『조각에 나타난 몸』
    예경, 2000 [1998]
  • Escritt, Stephen, Art Nouveau, Phaidon press, , 정무정 역, 『아르누보』
    한길아트, 2002 [2000]
  • Edward, Symbolism Art, 이대일 역, 『상징주의 미술』
    Smith L. 열화당 [1987]
  • Edward, Justin, & Rune Graulund, The Grotesque, Routledge, London, 2013.
  • Eco, Umberto, ed, On Ugliness, Trans, Alastair McEwen, New York: Rizzoli, , 오숙 은 역, 『추의 역사』
    열린 책들, 2008 [2007]
  • Duplessis, Vvonne, Surrealism, Greenwood press, , 조한경 역, 『초현실주의』
    탐 구당, 1983 [1978]
  • Didi-Huberman, Georges, Phasme: essais Surlapparition, Les Editions de Minuit, 1998.
  • Deutscher, Penelope, How To READ Derrida, ww Norton & co. inc, , 『How To READ 데리다』
    웅진지식하우스, 2007 [2006]
  • Derrida, Jacqus, Writing and Differens, Chicago University press, 1978.
  • Darley, Andrew, Visual Digital Culture: Surface play and spectacle in new media genres, Routledge, 2000.
  • Chrsteva, Julia, POUVOIRS De L'HRREUR, Editions du Paris, , 서민원 역, 『공포의 권력』
    동문선, 1980 [1980]
  • Chatman, Seymour,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 한용환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 사상, 2003 [1978]
  • Chambers, Iain, PopularCulture: Themetropolitan experience, London, Routtedge, 1994.
  • Carroll, No l, Philosophy of Mass Art,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98.
  • Breton, Andr , Manifestoes of Surrealism, Michigan University press, , 송채영 역, 『쉬르레알리즘 선언』
    성문각, 1978 [1969]
  • Bradey, Flona, Surrealism, Tate Publishing, , 김금미 역, 『초현실주의』
    현대미술 운동총서, 2003 [1997]
  • Bloom, Harold, ed, The Grotesque, Chelsea House, New York, 2009.
  • Bischoff, Virch, Max Ernst, Taschen, 1993.
  • Bataille, Georges, LES LARMES D'EROS, Librairie Arth me Fayard, , 유기환 역, 『에로스의 눈물』
    문학과 의식, 2002 [2000]
  • Bakhtin, Mikhail, Rabelais and his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 이덕형, 최근형 역, 『프랑스와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1988]
  • Arnheim, Rudolf, Visual Thinking, California University press, 2004.
  • Arnheim, Rudolf, Art and Visualperception, California University press, ,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3 [2004]
  • Apollono, Umbro, Expressionism, in: Mcgraw Encyclopedia of western Art (1961). vol. v. Mcgraw-Hill Book, New York, Toronto, London.
  • Amy, Jean Porter, Fluid Talk: A Conversation with Matthew Barey, Circa, no 22, summer, 2000.
  • Alexandria, Sarane, Surrealist Art, Thames & Hundson, , 이대일 역, 『초현실주 의』
    열화당, 1984 [1984]
  • Ades, Dawn, Dali , Thames & Hudson, , 엄미정 역, 『살바도르 달리』
    시공사, 2014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