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re-based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김종민 2018년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re-based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맥락을 고려한 장르 쓰기의 실제
  • 상황맥락 및 사회·문화적 맥락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도구로써의 쓰기
  • 장르 쓰기의 실제
  •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
  • 장르 중심 접근법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이론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61 0

0.0%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re-based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의 참고문헌

  •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김은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협력쓰기를 강화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공영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말글학 32, 77-98
    오주희 한국말글학회 [2015]
  • 한국어교육학 :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 의견 차이, 새국어교육 105, 247-280
    구영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쓰기 교육’ 영역 기출 문제 분석 연구, 우리말연구 47, 283-306
    김문기 우리말학회 [2016]
  •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한국어 교육 19(1), 1-25
    조항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8]
  •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 개념 설정 원리와 실제, 언어와 문화 13(3), 97-115
    박석준 심혜령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7]
  • 박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작문연구11, 353-398
    김영란 한국작문학회 [2010]
  • 한국어 표현교육론
    김선정 형설출판사 [2010]
  •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교수요목의 유형과 과제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5, 1-22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검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4(-), 307-311
    진대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 한국어 쓰기 교육의 원리와 교육 방안 탐색, 國語敎育學硏究 30, 233-260
    김호정 국어교육학회 [2007]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8(3), 391-412
    이미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1]
  •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국제언어문학 26, 1-25
    곽재용 국제언어문학회 [2012]
  •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선 방향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79-91
    양명희 조은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1]
  •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설계 연구, 語文論集 59, 381-405
    김민애 안경화 중앙어문학회 [2014]
  •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교육 대상과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104, 327-361
    손희연 조태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 탐색, 교육연구 64, 127-152
    김지연 조재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國語敎育學硏究 50(2), 100-138
    구영산 국어교육학회 [2015]
  • 한 일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교육 내용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539-563
    이경화 이향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 11(1), 67-83
    김정화 안경화 최은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0]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 교양교육연구 7(1), 365-398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17, 67-92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 학령기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주의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분석 및 개발 방안 연구, 다문화와 인간 5(2), 3-34
    이윤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 학교 차원의 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 구안, 교육과정연구 14(3), 18-40
    김대현 한국교육과정학회 [1996]
  •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기술 원리 및 적용 방안에 대한 고찰 -세 가지 "표준"의 비교를 중심으로-, 國語敎育學硏究41, 251-277
    김선정 민경모 국어교육학회 [2011]
  • 특집 :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國語敎育學硏究 45(-), 79-110
    전은주 국어교육학회 [2012]
  •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4(3), 119-143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 텍스트, 장르 기반의 한국어 쓰기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6(-), 33-47
    이미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 텍스트 종류에 따른 한국어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 연구, 漢城語文學 30(-), 218-252
    최혜민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 텍스트 구조 분석을 통한 한국어 장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의미학 49, 189-219
    임태운 한국어 의미학회 [2015]
  • 타일러 논리의 재음미: "교사배제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교육과정연구 31(3), 1-26
    김학준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 타일러 교육과정개발이론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논고, 敎員敎育 32(1), 61-80
    김종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 박사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송경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1), 75-110
    김가람 김호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김종숙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 연구, 인문학논총 38, 95-122
    김영주 조인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 장르의 글쓰기 설명력에 대한 일고찰 ―장르와 맥락의 관계 맺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42, 273-296
    서영경 이삼형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 장르 중심의 한국어 논설문 쓰기 수업 연구, 대학작문 14, 77-102
    구효정 대학작문학회 [2015]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7(3), 463-485
    이미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0]
  •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을 위한 제안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작문 문항의 "주장하기" 글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36권, 287-321
    Yan Li 김정남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4]
  • 장르 중심 국어 교육의 전망과 과제, 청람어문교육 48(-), 191-224
    이상구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3]
  •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 중심의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이중언어학 56, 291-311
    이준호 이중언어학회 [2014]
  •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학술논문 서론의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23, 55-94
    박나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국제어문 64(-), 273-295
    홍종명 국제어문학회 [2015]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과정의 항목에 대한 일고, 현대사회와 다문화 7(1), 134-160
    김명광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설득적 텍스트 분석-장르 기반 문법 모델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25(3), 143-183
    박나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 외국인 유학생의 설득적 텍스트에 대한 장르 기반적 분석 - 건의문을 중심으로 -, 작문연구 32, 157-183
    채윤미 한국작문학회 [2017]
  •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방안, Journal of Korean Culture 38, 2017, 73-99
    김지영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7]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쓰기 활동 분석과 구성 방안 제언, 언어학연구 19, 71-96
    박선옥 한국중원언어학회 [2011]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1(3), 247-269
    송경옥 최권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실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조유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56, 31-58
    김세훈 조현용 이중언어학회 [2014]
  •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 - 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정의 재평가, 한국교육사학 39(2), 129-151
    최정희 한국교육사학회 [2017]
  •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쓰기 지식 활용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 2016(1), 281-302
    권영선 이미향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 사회,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5
    홍혜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5]
  •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99-219
    양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 미국의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평가, 작문연구 6, 99-125
    김성숙 한국작문학회 [2008]
  •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쓰기 교재 개발 원리에 의한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58, 1-31
    김정숙 김지영 이중언어학회 [2015]
  • 다문화 사회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방향, 國語敎育學硏究 33, 629-656
    전은주 국어교육학회 [2008]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다문화시대 문식성 교육을 중심으로
    김윤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한국언어문학 93, 359-386
    김윤주 한국언어문학회 [2015]
  • 논문 :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론의 재고찰 - 제2 언어 교수 이론에 바탕을 둔 교수 모형의 보완 -, 한국어 교육 18(2), 285-310
    이미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 논문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한국어 교육 21(1), 87-123
    김영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 내용 중심 교육과 장르 중심 교육을 통합한 한국어 쓰기 수업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8(1), 131-158
    정다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한글학교 적용 연구, 국어국문학 180, 79-111
    이정희 국어국문학회 [2017]
  • 국제 도시 부산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4(2), 361-397
    전은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과 교육과정의 비교와 대조, 한국초등국어교육 34, 129-164
    김명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 국어 교과서 단원 설계의 방향 -장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5, 51-81
    이상구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7]
  • 구성주의와 작문, 한국초등국어교육 18, 81-106
    원진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1]
  •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4), 25-46
    박민정 성열관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 교육과정 설계상의 주요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17(1), 137-165
    강현석 이경섭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 박사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과정 중심 접근 탐색
    한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안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을 통한 중학생의 영어쓰기 지도 방안,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6(2), 167-197
    송지연 임병빈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1]
  •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orean Education as a Heritage Language)에 대한 소고: 방향과 향후 과제, 언어사실과 관점 31, 79-105
    강승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3]
  •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박영순 한국문화사 [2008]
  • 『한국어 교육과정』 어휘 목록 분석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김윤주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54, 459-490, 우리어문학회 [2016]
  • 『장르 인식과 글쓰기 관련 양상 연구: 설명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서영경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
    박지애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쉽게 읽는 한구어학의 이해』
    홍종선 한국문화사 [2015]
  •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교육의 이해와 원리』
    김윤주 한국문화사 [2014]
  • 「한국어(KSL) 교육과정」
    교육부 [2012]
  • 박사
  • 「학문목적 한국어교육과정 개발연구」
    정서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대한 장르 분석 연구」
    채윤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장르 중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의 실행연구」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장르 중심 작문 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 학습 원리 연구」
    박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2]
  •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1단계」
    국립국어원 [2011]
  • 박사
  • ‘다문화교육’ 관점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실행 검토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2), 333-367
    강수정 임정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 Tyler, Ralph W.(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wales, J.(1990), Genre analysis: En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Egland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igrid Vogel, 정은이 옮김, 『학습 심리학과 외국어습득』
    Klaus Vogel 삼영사 [2007]
  • Rothery, J.(1989), Learning about language. In R. Hasan and J. Martin (eds) Language development: Learning language, learning culture. Norwood, NJ: Ablex. pp. 199-256.
  • Oliva,강현석 외 공역, 『최신 교육과정 개발론』
    Peter F 학지사 [2009]
  • Miller, C., R,.(1994b), "Rhetorical community: the cultural basis of genre",in Freedman & Medway(1994) Genre and the new Rhetoric, , London: Taylor & Francis Press.
  • Miller, C., R,.(1994a), "Genre as social action",in Freedman & Medway(1994) Genre and the new Rhetoric, , London: Taylor & Francis Press.
  • Michael McCarthy, 김지홍 역,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경진 [1998]
  • Megan Watkins, 주세형외 공역,『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장르, 텍스트, 문법』
    Peter Knapp 박이정 [2005]
  • Martin, J. R., & J. Rothery.(1993), "Grammar: Making Meaning in Writing", The Powers of Literacy: A Genre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p 137-153.
  • Martin, J. R.(1993), Genre and Literacy - Modeling context in educational linguistics, In W. Grabe et al. (eds)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 13. Issu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ambrige , England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41-72.
  • Martin, J. R.(1989), Factual writing : exploring and challenging social reality,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Martin, J. R.(1985), Process and text: Two aspects of semiosis. In J. Benson and W. Greaves (eds) Systemic perspectives in discourse. Vol. 1. Norwood, NJ: Ablex. pp. 248-74.
  • Macken-Horarik, M.(2002), ‘Something to shoot for.’ In Johns, A. M. (2002). Ed. Genre in the classroom.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Macken-Horarik, M.(1998), “Exploring the requirements of critical school literacy.” In Christie, F., and Misson, R. (1998). Literacy and schooling. London: Routledge.
  • Macken-Horarik, M.(1997). ‘Relativism in the politics of Discourse. Response to James Paul Gee.’ In Muspratt, S., Luke, A., and Freebody, P. (1997). (Eds). Constructing critical literacies. Teaching and learning textual practice. Sydney: Allen and Unwin.
  • KSL 교육과정 한국어 진단평가 도구 분석 연구 -내용타당도 분석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53권, 301-326
    홍종명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 KSL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國語敎育學硏究 49(3), 60-92
    김영란 국어교육학회 [2014]
  • Hymes, D.H.(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J.B. Pride & J. Holmes (Eds.), Sociolinguistics (pp. 269-293). London: Penguin.
  • Hyland, K.(2016) Teaching and Researching Writing. 3rd edition. London: Routledge.
  • Hyland, K.(2015). Academic Written English. Shanghai: Shanghai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ess.
  • Hyland, K.(2015) Academic publishing: issues and challenges i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Hyland, K.(2012). Disciplinary Identities: Individuality and Community in Academic Writing. Cambridge: Cambridge Applied Linguistics.
  • Hyland, K.(2009). Teaching and Researching Writing. 2nd edition. London: Longman.
  • Hyland, K.(2006).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n Advanced Resource Book. London: Routledge.
  • Hyland, K.(2005), Metadiscourse: Exploring Interaction in Writing, London: Continuum.
  • Hyland, K.(2004). Disciplinary Discourses: Social Interactions in Academic Writing.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Hyland, K.(2003). Second Language Writ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Awarded Honorable Mention for the Kenneth W. Mildenberger Prize, Modern Languages Association].
  • Hyland, K.(2002). Teaching and Researching Writing. London: Longman.
  • Hyland, K.(2000). Disciplinary Discourses: Social Interactions in Academic Writing. London: Longman.
  • Hyland, K.(1998). Hedging in Scientific Research Articles. Amsterdam: John Benjamins.[5].
  • Hyland, K. (2009), Academic Discourse: English in a Global Context, London: Continuum.
  • Hyland, K. (2004). Genre and second language writing.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Halliday, M.A.K.(1989),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Halliday, M.A.K.(1978), Language as a social semiotic: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London and Boston: Edward Arnold.
  • Halliday, M, A, K., & Hasan., R.(1989), Language, context, text: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 semiotic perspective,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Flower, L.(1994), The construction of negotiated meaning,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Flower, L. & Hayes J. R.(1981c),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2.
  • Flower, L. & Hayes J. R.(1981b), Plans that guide the composing process, In C. H. Fredericksen & J. F. Dominic (Eds.), Writing: The nature, development and teaching of written communication, NJ : LEA.
  • Flower, L. & Hayes J. R.(1981a), The pregnant pause: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planning,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15.
  • Flower, L. & Hayes J. R.(1980), The cognition of discovery: Defining a rhetorical problem,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0.
  • Florence Myles, 박윤주 최선희 공역 『제2언어 학습론』
    Rosamond Methcell 에피스테메 [2013]
  • Fitzgerald, J.(1992), Towards knowledge in writing: illustration from revision studies, NY: Springer Verlag.
  • Feez, S.(1998), Text-based syllabus design, Sydney: Macquarie University/AMES.
  • Emig, J. (1971), The composing processes of twelfth graders,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 Chomsky, Noam.(1981), Lectures in Government and Binding.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9.) Dordrecht: Foris.
  • Chomsky, Noam,(1993), A min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In Kenneth Hale and Samuel Keyser, eds., The view from Building 20, 1-52. Cambridge, MA: MIT Press.
  • Chomsky, Noam,(1984), Knowledge of language. New York: Praeger.
  • Cherry Campbell(2005), 『Teaching Second Language Writing』, Thomson Learning.
  • 2012 한국어 교육과정의 성격과 KSL 프로그램 운영 방안, 국어교육 149, 207-240
    원진숙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작문연구 13, 33-59
    이재승 한국작문학회 [2011]
  • (trans) Cole, M. et al, 조희숙․황해익․허정선․김선옥 역(1994),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사회속의 정신: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Vygotsky, L. S. 성원사 [1978]
  •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정다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