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테러정보환경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가정보기관 발전방안

정맹석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대테러정보환경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가정보기관 발전방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가안보
  • 국가정보
  • 정보기관
  • 테러리즘
  • 테러정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06 0

0.0%

' 대테러정보환경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가정보기관 발전방안' 의 참고문헌

  • 현 시점에서의 효과적인 대테러체계 모색
    윤해성 『한국안보형사법학회ㆍ 한국형사정책연구원ㆍ대검찰청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6]
  • 한국국가정보학회
    『국가정보학』서울: 박영사 [2013]
  • 오바마, 애국법 대체한 ‘미국자유법’ 서명, NSA 무차별 수집 금 지
    정이나 News1, 2015. 6. 3. [2015]
  • 영국의 대테러리즘 위기관리 체계와 전략
    윤태영 『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제1호 [2010]
  • 연합뉴스, ‘IS
    미국 주도 십자군 동맹국가에 한국 포함’ [2015]
  • 법무부 출입국정책본부 홈페이지(www
    immigration.go.kr)
  • 미국 국무부(https://www
    state.gov/j/ct/rls/other/des/123085.htm [2017]
  • 독일의 협력적 테러대응시스템의 구축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14]
  • 델파이 방법
    이종성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국가정보원 테러정보통합센터, “테러방지에 관한 외국의 법률 및 국제협 약”
    대테러정보자료집 [2006]
  • 국가정보원 보도자료, ‘ISIL
    주한미군시설과 우리 국민 테러대상 지목’ [2016]
  • 국가정보원 대테러용어(www
    nis.go.kr/AF/1_6_4/list.do [2017]
  • 警察廳, 『警察白書』, 東京: 警察廳, (2002.)
  • 『테러방지법 해설』
    한국법제연구원 [2017]
  • 『미국의 국토안보법의 체계에 관한 연구』
    정지운 용인: 치안정책연구소 [2010]
  • 『군사용어사전』
    이태규 서울: 일월서각 [2012]
  • 『국가정보-법의지배와 국가정보』
    한희원 서울: 법률출판사 [2013]
  • 『국가 정보기구 구조개혁에 관한 연구: 미국 정보공동체를 중심으로』
    신성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국정보기구의 통합운영 방안,”
    김철우 『국가정보연구』제1권 제1호 [2008]
  • “테러에 대한 주요국의 대비 현황 및 시사점,”
    박재적 안종웅 『안보연구 시리즈』제1권 제2호 [2016]
  • “테러에 대한 주요국의 대비 현황 및 시사점,”
    유상범 『안보연구시리즈』 제1권 제2호 [2016]
  • “테러에 대한 영국의 대비 현황 및 시사점,”
    홍성표 『안보연구시리즈』제1 권 제2호 [2016]
  • “테러방지법, 평화와 안전 보장할 수 있나,”
    경향신문 [2016]
  • “테러방지법, 인권침해 최소화가 과제”
    이만종 매일경제 [2016]
  • “테러방지법 제정으로 인한 변화와 향후 테러정책 발전방향,”
    이만종 『한 국테러학회ㆍ대검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6]
  • “최근 전산망 마비사태와 사이버 테러 대응체계 개선방안,”
    심우민 『이슈 와 논점』제640호 [2013]
  • “초국가적 안보위협과 정보활동의 방향: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웅 『국가정보연구』제3권 제2호 [2010]
  • “지구촌 잇단 테러와 테러방지법,”
    이만종 Safe Korea News [2016]
  • “정보환경의 변화와 방첩제도의 개선방안,”
    김왕식 『국가정보연구』제5권 제1호 [2012]
  • “정보ㆍ수사기관의 방첩활동 수행근거 법령 및 직무집행 권한에 관한 연구,”
    김호정 『국가정보연구』제8권 제1호 [2015]
  • “이슬람 국가(IS)의 파리시내 테러: 의미와 대응,”
    정은숙 『세종논평』 310 [2015]
  • “영국 보안부와 비밀정보부의 조직과 활동양상,”
    김왕식 『국가정보연구』 제4권 제1호 [2011]
  • “열린 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
    PBS 평화방송 라디오 [2016]
  •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가정보 공유체계 개선방향: 미국 정보공 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상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아시아에 번지는 ‘IS 공포’ 각국 테러 비상,”
    뉴스 줌 [2016]
  • “신종 테러범죄, 이른바 뉴테러리즘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주승희 『비 교형사법연구』제17권 제4호 [2015]
  • “선진정보기관을 지향한 국가정보원의 발전비전,”
    남궁영 『한국국가정보학 회 학술대회자료집』 [2011]
  • “선진 국가방첩이론과 방첩효율성의 제고,”
    허태회 『국가정보연구』제7권 제1호 [2014]
  • “사이버보안법제 선진화 방안연구,”
    권현준 『한국방송통신위원회』 [2011]
  • “북한발 가짜뉴스 퍼트리는 162개 친북(親北) 사이 트”
    월간조선 MAGAZINE [2017]
  • “믹타(MIKTA) 외교장관, 유엔 사무총장「폭력적 극단주 의 예방을 위한 행동계획」지지 표명”
    교부 보도자료 [2016]
  • “미국 수사기관과 저오기관의 법집행 및 정보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윤민우 윤해성 『가천법학』제8권 제4호 [2015]
  • “독일의 테러대응책과 우리의 방향,”
    권정훈 『한국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 료집』 [2011]
  • “대테러 관련 법제와 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테 러정보수집권을 중심으로,”
    문경환 이기덕 『국가정보연구』제4권 제1호 [2011]
  • “국정원, 국내 외국인 근로자 7명 IS 가담,”
    YTN [2016]
  • “국내 IS 공개 지지자 10여명, 테러단체 가입자 50여명 출국조치,”
    KBS [2015]
  • “국가정보업무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미국 정보공동체에서의 법적 논의와 법규법의 교훈을 중심으로,”
    한희원 『국가정보연구』제4권 제2 호 [2011]
  • “국가안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정보ㆍ수사 융합에 대한 법규범적 연구: 전쟁에서 국가안보사범과의 전투로,”
    한희원 『법학연구』제17권 제2 호 [2017]
  • “국가별 변화대응능력지수(CRI) 순위,”
    연합뉴스 [2015]
  • “국가 사이버안전 관리조직의 통일적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권문택 『정 보보안 논문지』제9권 제3호 [2009]
  • “Present Status & Future Prospect of International Terrorism”
    Robin Simcox 『국가안보전략연구소ㆍ이스라엘 국제대테러연구소 공 동 국제학술회의자료집』 [2016]
  • “ISIL의 파리연쇄테러가 한국의 대테러정책에 주는 함의,”
    이대우 『정세와 정책』ㆍ1) [2016]
  • “IS 아시아 상륙에도 잠자는 테러방지법안,”
    연합뉴스 [2016]
  • “IS 등 급진세력에 의한 테러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백봉원 보안뉴스 [2016]
  • “Anti-Terrorism. Crime and Security Act 2001: Part 2-Part 8, 2001.”
    이대성 [2007]
  • “9/11 이후 미국의 방첩전략과 조직에 관한 연구: ODNI와 국방부 를 중심으로,”
    장노순 『국가정보연구』제2권 제2호 [2009]
  • “9.11 뉴욕테러와 21세기 국제분쟁의 새로운 유형 : 제4세대 전쟁, 네트전, 비대칭전쟁,”
    이수형 『사회과학논문집』제19집 [2003]
  • “21C 정보환경 변화 및 국가정보기관의 역할,”
    박균헌 『중앙공무원교육원 정책연구보고서』 [2013]
  •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Combating Terrorism: Foreign Terrorist Organization Designation Process and U.S. Agency Enforcement Actions”, GAO-15-629, (2015)
  • UN(https://www.un.org/sc/suborg/en/sanctions/1267/aq_sanctions_list, 2017.10.1.)
  • U.S. Intelligence Community &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 Department of Justice, Review of Domestic Sharing of Counterterrorism Information (2017. 3.)
  •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Intelligence Community Personal: Strategic Approach and Training Requirements Needed to Guide Joint Duty Program,” GAO-12-679 (2012. 6.)
  • Thomas H. Kean, The 9/11 Commission Repor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
  • Sudha Setty, “National Security Interest Convergence,” Harvard National Security J ournal, 4(2012).
  • ODNI,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Management for the Intelligence Community,” Leading Intelligence Integration, 2017. 02.
  • Michael J. Glennon, “National Security and Double Government,” Harvard National Security Journal. 5(2014).
  • Maxfield, G. Michael and Earl R. Bobbie, Research Methods for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Stamford, CT: Cengage Learning, 2009.
  • MBC뉴스데스크, ‘자폭테러 하겠다
    인도네시아인 3명 강제추방’ [2015]
  • Jeremy Shapiro & Beedicte Suzan, "The French Experience of counter-terrorism,"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45(2013).
  • International Centre for Counter-Terrorism, Making CVE Work: A Focused Approach Based on Process Disruption, Hague, 2016.
  •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 Global Terrorism Index, 2016.
  • FOX NEWS, May 17. 2011.
  • Eric Creegan, “National Security Crime,” Harvard National Security Journal, 3(2012).
  •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The Global War on Terrorism, The First 100 Days, 2001.
  • Daniel Byman, Comparing Al Qaeda and ISIS: Different Goals, Different Targets,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2015.
  • Berkowitz, D. B., & Goodman, E. A. Best Truth: Intelligence in the Information A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10.
  • Ashley Deeks, “Communities, Peer Constraints, and the Law,” Harvard National Security J ournal, 7(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