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자살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지연옥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자살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사회적지지
  • 인지적 유연성
  • 자살사고
  • 취업스트레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61 0

0.0%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자살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의 참고문헌

  • 후기 청소년의 진로미결정과 취업불안의 관계에 대한 창의 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전소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서울: 학지사 [2003]
  • 허영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 학교 대학원 [200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통계연구,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6. http://search.kihasa.re.kr/RSA/front/Search.jsp
    2017년 8월 14일 인 출 [2017]
  •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DB 연계 취업통계연 보 (SM2013-0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3]
  • 한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최해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와 인지적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은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학교상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이정윤 이지현 상담학연구, 10(2), 1113-1126 [2009]
  • 통계청 2017년 10월 고용동향[요약].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3/1/index.board. 2017년 11 월 15일(수) 공표
    2017년 11월 20일 인출 [2016]
  • 통계청 2016년 사망원인통계 보도자료.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
    2017년 11 월 20일 인출 [2016]
  •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성과 에 미치는 영향
    김정식 서문교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31-48 [2008]
  •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 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권세원 박단비 송인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52-376 [2012]
  • 취업준비자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최미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 계. 석사학위논문
    엄나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 취업준비생의 완벽주의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 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수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 취업준비생들이 느끼는 성취압력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 서 자기분화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장신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 경험이 있는 취업 준비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홍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오중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장용언 황명주 사 회과학연구, 24(1), 113-136 [2017]
  •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장용언 황용주 사 회과학연구, 24(1), 113-136 [2017]
  • 초등학생의 인지적 유연성 향상을 위한 논변활동 수업 모 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유힘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 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귀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4]
  •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 원의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영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 청소년의 아동학대피해경험과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자살사 고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 문
    김지현 서울기독교 대학원 [2017]
  •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스마트폰중독, 감성지능, 인지 적 유연성 및 반사회적 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지명근 단국 대학교 대학원 [2015]
  •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 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정행욱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청소년의 스트레스, 절망감, 사회적 지지와 자살사고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임미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 청소년의 부정적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사고 간 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우채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 청소년 후기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사고의 관계
    김지삼 복지상담교육연구, 3(1), 95-112 [2014]
  • 청소년 자살의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이경진 조성호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67-685 [2004]
  • 청소년 또래 괴롭힘, 우울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 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두현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5]
  •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체계적 상담모형과 의사결정 모형을 중 심으로
    이재창 교육연구논총, 2, 67-90 [1986]
  •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 사학위논문
    이신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 중학생의 자살사고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하연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2001]
  •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노경섭 서 울: 한빛아카데미(주) [2016]
  •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 구
    김진희 박미진 상담학연구, 10(1), 417-435 [2009]
  • 자살행동에 대한 발견적 탐구
    황순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학 술논문발표논문집, 5, 323-347 [2014]
  • 자살예방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김상우 이채정 서울: 국회예산 정책처 사업평가현안분석. 49, 1-145 [2013]
  •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인지적몰락의 매개효과
    이영 최아론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61-784 [2011]
  • 자살사고를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주희 홍예진 청소년상담연구, 23(2), 189-210 [2015]
  • 자살사고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 증
    김병석 김현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2008]
  • 자살기도자에 대한 연구
    기백석 김경식 석재호 손봉기 함웅 신경 정신의학, 19(4), 288-293 [1980]
  • 자기조절과 인지적 유연성이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에 미치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완일 ( Wan Il Kim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715-734 [2008]
  • 인터넷 플로우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유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 인지적 유연성과 노년기 자살사고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승이 충 북대학교 대학원 [2013]
  • 이뉴스투데이 이뉴스투데이 부산청년유니온, 구직스트레스 자살충동 까지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9108
    2014 년 5월 9일 인출 [2014]
  • 우울증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정신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김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우울증과 자존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치유 연 구: 총신대학교 대학 및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병주 총신 대학교 대학원 [2008]
  • 우울증
    윤희영 서울: 학지사 [2000]
  •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 할. 석사학위논문
    허심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 여대생의 자기결정성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 로결정효능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한주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김명숙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 심지은, 안하얀, 김지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 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32(1), 103-119 [2011]
  •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 노인과 청소년간의 차이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현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 수용-전념 집단프로그램이 우울한 대학생의 심리적 수용, 심리적 안녕감, 우울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
    신현균 양수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4), 761-782 [2013]
  •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Suicide prevention. http://www.who.int/mental_health/suicide-prevention/en/
    2017년 11월 7일 인출 [2017]
  •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과 자살 사고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 교육심리연구, 25(2), 277-293 [2011]
  • 상위인지 자각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주의조절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노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적 행동과 친사회적 행동,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서원의 인지적 유연성과 직무특성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주세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 상담심리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서영석 한국심리학회 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010]
  •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인지적 유 연성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조은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신선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 산업일보 [Working] 더 높아진 취업문턱, 스펙 경쟁은 치열. http://www.kidd.co.kr/news/192976
    2017년 5월 31일 인출 [2017]
  • 사회적 지지와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살사고과의 관계에 서 특성 메타기분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홍현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오성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박지원 연세 대학교 대학원 [1985]
  • 사범대학 학생의 인지적 유연성, 진로정체감, 진로스트레스 의 구조관계분석: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석 사학위논문
    김민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전공만족도, 부모의 지지가 대학 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연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부모의 문제음주 여부와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 는 영향: 개인재적 보호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유정순 계명 대학교 대학원 [2015]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제9차(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충북 청원: 질병관리본부 [2013]
  •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강유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박윤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진로결정수준. 석사학위논문
    김완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 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박윤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 대학원 [2015]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정희 동아대학교대학원 [2012]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 대한 우 울의 매개효과 검증: 남, 녀 대학생 비교연구
    서인균 이연실 청소년복지연구, 16(3), 25-53 [2014]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임병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신체적 증상과의 관 련성. 석사학위논문
    김혜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슬아 명지대학교 대학 원 [2015]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황성원 동아대 학교 대학원 [1998]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감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 향: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논의에 기초하여
    윤우석 한국치안행정논집, 13(1), 95-118 [2016]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척도개발. 석사학위논문
    이미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및 문제음주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 향-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
    김민경 청소년 시설 환경, 11(2), 29-38 [2013]
  •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연구
    노안영 정의석 전남대학교학교학생생활연구, 33, 85-101 [2001]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김혜수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4]
  •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강경훈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9]
  •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석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2]
  •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라채린 서주연 유명순 이창진 최지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1), 1-11 [2013]
  • 대학생의 자살사고 영향요인. 박사학위논문
    이정숙 원광대학교 대학 원 [2014]
  • 대학생의 자살사고 관련 요인 연구
    김정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8), 413-437 [2009]
  • 대학생의 자살관련행동 및 예방대책
    김정연 디지털정책연구, 10(11), 525-533 [2012]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박현미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 울 및 자살사고의 차이
    고미숙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 69-86 [2016]
  • 대학생의 우울정도에 따른 Draw-a-Story 검사의 반응 차 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임윤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1]
  •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윤명숙 이효선 청소년학연구, 19(3), 109-137 [2012]
  • 대학생의 우울, 자존감,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 향
    박영희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1), 111-116 [2017]
  •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박사학위논문
    이경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1]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재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 의 조절효과
    최윤정 한국청소년연구, 23(3). 77-104 [2012]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과의 관계: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정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 는 영향: 재확인 추구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박은 명지대 학교 대학원 [2017]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자아분화가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혜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에 미치 는 영향
    김종운 김지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248-259 [2013]
  •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강석화 나동석 청소년학연구, 20(4), 49-71 [2013]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 대학생의 관계상실을 통한 성장에 관한 연구
    권석만 임선영 한국심 리학회지: 일반, 31(2), 261-281 [2012]
  • 대학생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자살사고과의 관계
    김민경 청 소년문화포럼, 29(1), 34-57 [2012]
  • 대학생의 ‘빗속의 사람그림’ 반응특성과 취업스트레스에 관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나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 대학생의 SNS 사용시간이 취업준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김민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제어이론적 접 근
    김교헌 전겸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137-158 [1991]
  • 대학생들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 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안성희 하정희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49-1171 [2008]
  •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소설네트워크의 사회적 지지의 완화효과와 성별차이
    전신현 한국청소년연구, 23(4), 5-25 [2012]
  • 대학생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 개효과와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허보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 대학생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심리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지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7]
  • 대학생 우울 모형 구축. 박사학위논문
    박광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석사학위논문
    박경란 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 대중매체의 자살보도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수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5(1), 132-141 [2012]
  • 노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인과모형. 박사학위논문
    배지연 대전대학 교 대학원 [2005]
  • 노인 자살사고에 대한 무망감과 우울증 관련 요인 연구
    엄태완 한국 사회복지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지, 2, 623-629 [2007]
  •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대학생들의 우울장애 에 관한 연구: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신경정신의 학, 45, 432-437 [2006]
  • 노경란, 박용호, 허선주 대졸 청년층의 대학 재학 중 경험한 교육서비 스와 직장이동과의 관계 분석-첫 직장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로
    직업교육연구, 30(1), 29-49 [2011]
  • 기독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 미치는 진로소명의 조절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노종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2008]
  •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김계수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0]
  •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2011 청년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011]
  •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
    박광배 신민섭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10(1), 298-314 [1991]
  •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차미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실업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김인경 박윤창 이훈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87-101 [2000]
  • 개인 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숙지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2005]
  •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서울: 학지사 [2009]
  •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 별 연령 차이”
    강상경 사회복지연구, 41(2), 67-99 [2010]
  • Wolin, S., & Wolin, S. J. (1996). The challenge model: Working with strengths in children of substance-abusing parents. Child and 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5, 243-256.
  • Williams, J. M. G., & Williams, M. (1997). Cry of pain: Understanding suicide and self-harm. New York, Penguin Group USA.
  • Wethington, E., & Kessler, R. C. (1986).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 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 78-89.
  • Westefeld, J. S., & Furr, S. R. (1987). Suicide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Research and Practice, 18(2), 119-123.
  • West, R. F., Toplak, M. E., & Stanovich, K. E. (2008). Heuristics and biases as measures of critical thinking: Associations with cognitive ability and thinking dispositions.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930-941.
  • Weiss, R. S. (1974).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ss: MIT Press.
  • Warden, S., Spiwak, R., Sareen, J., & Bolton, J. M. (2014). The SAD PERSONS scale for suicide risk assessment: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8(4), 313-326.
  • Turner, R. J., Frankel, B. G., & Levin, D. M, (1983). Social support: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In J. R. Greenke(ed), Research community and mental heath, 3, 67-111.
  • Thurston, B. J., & Runco, M. A. (1999). Flexibility. Encyclopedia of Creativity, 1, 729-732.
  • Thoits, P. A. (2011). Mechanisms linking social ties and support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J 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2(2), 145-161.
  • Thoits, P. A. (1986).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4), 416-423.
  • Thoits, P. A. (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2), 145-159.
  • Taylor, S. E. (1983).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61-1173.
  • Stravynski, A., & Boyer, R. (2001).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and parasuicide: A population-wide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1(1), 32-40.
  •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 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 Spiro, R. J., Feltovich, P. J., Jacobson, M. J., & Coulson, R. L. (1991). Cognitive flexibility, constructivism, and hypertext: Random access instruction for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n ill-structured domains. Educational Technology, 31(5), 24-33.
  • Souetre, E., Salvati, E., Belugou, J. L., Douillet, P., Braccini, T., & Darcourt, G. (1987). Seasonality of suicides: Environmental, sociological and biological covariations. J 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3), 215-225.
  • Sobel, M. E. (1982).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6(1), 155-176.
  • Snyder, C. R., Ilardi, S. S., Cheavens, J., Michael, S. T., Yamhure, L., & Sympson, S. (2000). The role of hope in cognitive-behavior therapi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4(6), 747-762.
  • Smith, R., E., Smoll, F. L., & Ptacek, J. T. (1990). Conjunctive moderator variables in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research: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skills, and adolescent sport injuries. J 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2), 360-370.
  • Simon, L. (2010). Working to change the world: An examination of one child’s social activism. The Urban Review, 42(4), 296-315.
  •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 Shneidman, E. (1987). A psychological approach to suicid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3), 147-183.
  • Shepherd, M., cooper, B., Brown, A. C., & Kalton, G. W. (1966). Psychiatric illness in general practi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Selye, H. (1984). The stress of life. New York: McGraw-Hill, Inc.
  • Selye, H. (1956). Stress and psychiatry. American J ournal of Psychiatry, 113(5), 423-427.
  • Seligman, M.E.P. (1974). Depression and learned helplessness. In R.J. Friedman and M.M. Katz (Eds.),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Washington D.C.: Winston-Wiley.
  • Sarason, I. G., Levine, H. M., Basham, R. B., & Sarason, B. R. (1983). Assessing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 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27-139.
  • SNS이용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통제유연성에 의해 조절 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정소라 중 앙대학교 대학원 [2014]
  • Reynolds, W. M. (1991).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in college students. J 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6(2), 289-307.
  • Pearlin, L. I. (1985). Social Structure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San Diego, CA: Academic Press.
  • Overmier, J. B., & Seligman, M. E. (1975). Effects of inescapable shock upon subsequent escape and avoidance responding. J 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63(1), 28-33.
  • 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 Morano, C., Cisler, R. A., & Lemerond, J. (1993).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Loss, insufficient family support, and hopelessness. Adolescence, 28(112), 831-851
  •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4), 370-396.
  • Marušič, A., Roškar, S., & Hughes, R. H. (2004). Familial study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Slovenia. Crisis, 25(2), 74-77.
  • Martin, R. C., & Dahlen, E. R. (2005).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7), 1249-1260.
  • Martin, M. M., & Rubin, R. B. (1995). A new measure of cognitive flexibility. Psychological Reports, 76(2), 623-626.
  • Maddi, S. R. (1970). The search for meaning.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7, 134-183.
  • Lincoln, K. D., Chatters, L. M., & Taylor, R. J. (2009).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Black and White Americans: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support, negative interaction and personal control. J 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4(3), 390-407.
  • Lewinsohn, P. M., Clarke, G. N., Seeley, J. R., & Rohde, P. (1994). Major depression in community adolescents: Age at onset, episode duration, and time to recurrence. J 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3(6), 809-818.
  • Lewinsohn, P. M., & Shaffer, M. (1971). Use of home observations as an integral part o the treatment of depression: Preliminary report and case studies. J 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7(1), 87-94.
  • Leary, T. F. (1957).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New York: Ronald Press.
  • Lazarus, R. S. (1990). Theory-based stress measurement. Psychological Inquiry, 1(1), 3-13.
  • Lazarus R.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Kumar, G., & Steer, R. A. (1995). Psychosocial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3), 339-346.
  • Krems, J. F. (1995). Cognitive flexibility and complex problem solving. Complex problem solving: The European Perspective, 17, 201-218.
  • Kraepelin, E. (1921). Manic depressive insanity and paranoia. The J 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53(4), 350-351.
  • Kovacs, M. (1985).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Psychopharmacology Bulletin, 21, 995-998.
  • Kline, T.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New Delhi: Vistaar(Sage) publications.
  • Kessler, R. C., & McLeod, J. D. (1985).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community samples. London: Academic Press.
  • Kandel, A. (1991). Fuzzy expert systems. South Florida: CRC press.
  • Kahn, R. L. (1981). Work and health. New York: Wiley.
  • Jung, C. G. (1923). On the relation of analytical psychology to poetic ar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3), 213-231.
  • Judith, M., Keller, M. B., & Shapiro, R. W. (1982). Double depression. American J ournal of Psychiatry, 139, 438-442.
  • Joiner Jr, T. E., Van Orden, K. A., Witte, T. K., & Rudd, M. D. (2009).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Guidance for working with suicidal clien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J reskog, K. G., & S rbom, D.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Spss.
  • Ionescu, T. (2012). Exploring the nature of cognitive flexibility. New Idea in Psychology, 30(2), 190-200.
  • Ingram, R. E., Miranda, J., & Segal, Z. V. (1998).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 House, J.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 House, J. S., Kahn, R. L., McLeod, J. D., & Williams, D. (1985). Measures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NY: Academic Press.
  • Higgins, E. T. (1989). Self-discrepancy theory: What patterns of self-beliefs cause people to suffe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93-136.
  • Harwood, D., & Jacoby, R. (2000).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K, Howton & K, van Heeringe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275-291. Chichester: Wiley.
  • Hartkamp, M., & Thornton, I. M. (2017). Medita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well-being. J 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20(3), 1-15.
  • Harter, S. (1985). Competence as a dimension of self-evaluation: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self-worth. The Development of the Self, 2, 55-121.
  • Hammarstr m, A., & Janlert, U. (1997). Nerv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unemployment—selection or exposure?. J ournal of Adolescence, 20(3), 293-305.
  • Gray, D. L., Chang, Y., & Anderman, E. M. (2015). Conditional effects of mastery goal structure on changes in students' motivational beliefs: Need for cognition matter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9-21.
  • Gough, H. G. (1995). Career assessment and the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J ournal of Career Assessment, 3(2), 101-122.
  • Gore, S. (1978).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moderat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unemployment. J 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2), 157-165.
  • Gooding, P. A., Sheehy, K., & Tarrier, N. (2013). Perceived stops to suicidal thoughts, plans, and actions in persons experiencing psychosis. The J 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 Suicide Prevention, 34(4), 273-281.
  • Goldfried, M. R. (1984). Training the clinician as scientist-professional.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5(4), 477-503.
  • Georgsdottir, A., & Getz, I. (2004). How flexibility facilitates innovation and ways to manage it in organization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3, 166-175.
  • Freud, S. (1957). Thoughts for the times on war and death. In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XIV (1914-1916): On the history of the psycho-analytic movement, papers on metapsychology and other works, 273-300. London: Hogarth Press.
  • Freud, S. (1917). General theory of the neuroses. Standard Edition, 16, 243-463.
  • Fremouw, W. J., De Perczel, M., & Ellis, T. E. (1990). Suicide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guidelines. New York: Pergamon Press.
  •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 Fornell, C.& Larcker, D.F.(1981).Evaluatingstructuralequatio nmodelswithunobservablevariables and measurementerro r.Journalof MarketingResearch, 18(1), 39-50.
  • Fergusson, D. M., Woodward, L. J., & Horwood, L. J. (2000). Risk factors and lif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u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30(1), 23-39.
  • Fergusson, C. J., San Miguel, C., & Hartley, R. D. (2009). A multivariate analysis of youth violence and aggression: The influence of family, peers, depression and media violence. J ournal of Pediatrics, 155(6), 904-908.
  •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Selected papers. Psychological Issues, 1, 1-117.
  • Endler, N. S., & Parker, J. D. A. (1994). Assessment of multidimensional coping: Task, emotion, and avoidance strategies. Psychological Assessment, 6(1), 50-60.
  • Edwards, M. S., Edwards, E. J., & Lyvers, M. (2017). Cognitive trait anxiety, stress and effort interact to predict inhibitory control. Cognition and Emotion, 31(4), 671-686.
  • Durkheim, E. (1987). Suicide. New York: The Free Press. Souetre, E., Salvati, E., Belugou, J. L., Douillet, P., Braccini, T., & Darcourt, G. (1987). Seasonality of suicides: environmental, sociological and biological covariations. J 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3), 215-225.
  • Dubow, E. F., & Ul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 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 Dreher, E., & Dreher, M. (1985). Wahrnehmung und Bew ltigung von Entwicklungsaufgaben im Jugendalter: Fragen, Ergebnisse und Hypothesen zum Konzept einer Entwicklungs-und P dagogischen Psychologie des Jugendalters. Lebensbew ltigung im Jugendalter, VCH Verlagsgesellschaft: 30-61.
  • Dixon, W. A., Rumford, K. G., Heppner, P. P., & Lips, B. J. (1992). Use of different sources of stress to predict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 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3), 342-349.
  • Diener, E., Diener, M., & Diener, C. (1995).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ations. J ourn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5), 851-864.
  • Diekstra, R. F. W., Kienhorst, C. W. M., & De Wilde, E. J. (1995). Adolescents' image of their suicide attempt. J 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4(5), 623-628.
  • Dennis, J. P., & Vander Wal, J. S. (2010).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3), 241-253.
  • DeLeo, D., Bille-Brahe, U., Kerkhof, A., & Schmidtke, A. (Eds.). (2004). Suicidal behaviour: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Germany: Hogrefe Publishing.
  • Coyne, J. C. (1976). Toward an interactional description of depression. Psychiatry, 39(1), 28-40.
  • Cohen,S.,& Syme,S.L.1985.“Issuesinthestudyandapplicationof socialsupport”.Socialsupportandhealth.3:3-22.
  • Cohen, S., Underwood, L. G., & Gottlieb, B. H. (Eds.). (2000).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t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 Canas, J. J., Antoli, I., Fajardo, I., & Salmeron, L. (2005). Cognitive inflexibi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se of strategies for solving complex dynamic problems: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raining.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6(1), 95-108.
  • C a, A. H. (2013). Las adicciones no relacionad as a sustancias (DSM-5, APA, 2013): Un primer paso hacia la inclusi n de las Adicciones Conductuales en las clasificaciones categoriales vigentes. Rev. Neuropsiquiatr, 76(4), 210-217.
  • Brown, S. L., & Vinokur, A. D. (2003). The interplay among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e role of depression, poor health, and loved ones' messages of support and criticism. American J 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1-2), 131-141.
  • Brent, D. A., & Kolko, D. J. (1990).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e. In S. J. Blumenthal & D. J. Kupfer (Eds.), Suicide over the life-cycl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 Bollen, K. A., & Long, J. S. (1993). Test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troduction.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123-131.
  •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 P.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normal young adults. J 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4), 383-389.
  • Blatt, S. J., Shahar, G., & Zuroff, D. C. (2001). Anaclitic (sociotropic) and introjective (autonomous) dimensions. Psychotherapy, 38(4), 449-454.
  • Beck,A.T.,Kovacs,M.,& Weissman,A.(1979).Assessmentofsuicidal intention:The Scale forSuicide Ideation.JournalofConsulting andClinicalPsychology,47(2),343-352.
  • Beck, A. T., & Alford, B. A. (2014).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2th ed).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Beck, A. T. (1979).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Penguin Books.
  • Beck, A. T. (1974).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John Wiely & Sons.
  •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 B ckman, L., & Dixon, R. A. (1992). Psychological compens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12(2), 259-283.
  • Angst, J., Angst, F., & Stassen, H. H. (1999). Suicide risk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J 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Supplement, 60(2), 57-62.
  •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th ed.) .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
  •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2).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II :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anover, MD: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 Allworth, E., & Hesketh, B. (1999). Construct-oriented biodata: Capturing change-related and contextually relevant future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7 (2), 97-111.
  • Adler, A. (1964). Social interest: A challenge to mankind. New York: Capricorn Books.
  • Abramson, L. Y., Seligman, M. E., & Teasdale, J. D.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1), 4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