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統一新羅 石塔의 造形과 特性 硏究

이순영 2018년
논문상세정보
' 統一新羅 石塔의 造形과 特性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모전석탑
  • 목조건축
  • 석탑
  • 전축모방형 석탑
  • 전축형 석탑
  • 전형석탑
  • 통일신라
  • 특수양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0 0

0.0%

' 統一新羅 石塔의 造形과 特性 硏究' 의 참고문헌

  • 탑파
    박경식 예경 [2001]
  • 韓國塔婆의 硏究
    高裕燮 乙酉文化社 [1948]
  • 考古美術資料14卷(韓國塔婆의 硏究各論草稿)
    高裕燮遺著 考古美術同人會 [1967]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輯』地理類1 [1993]
  • 한국의석조미술
    정영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한국의 석탑
    朴慶植 학연문화사 [2008]
  • 탑파연구 , 미술사학연구248
    고유섭과 박경식 한국미술사학회 [2005]
  • 중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본 5세기 고구려 사지의 역사적 의미
    김성우(Kim, Sung-Woo) 『大韓建築學會論文集』計劃系제30권 제6호(통권308호), 大韓建築學會 [2014]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에 대한 고찰
    김지현 『불교미술사학』22, 불교미술사학회 [2016]
  • 의성 금성산 고분군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
    박광열 『新羅史學報』32, 新羅史學會 [2014]
  • 신라와 백제의 교섭과 교류
    노중국 『新羅史學報』33, 新羅史學會 [2015]
  • 신라 중대 불사리장엄의 다양성과 문화사적 의의
    주경미 『한국고대 사탐구』2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 송영아, 「한국불탑에 나타난 龕室과 門扉의 의장적 특성」
    강철홍 천득염 『大韓建築學會論文集計劃系』第22卷第12號 [2006]
  • 분황사 모전석탑의 양식 기원에 대한 고찰
    박경식(Park, Kyoung-shik) 『新羅文化』4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3]
  • 미적 체험에서 본 아름다움의 본질에 관한 고찰
    박유정(Park, Yu-jeong) 『문화와 융합』제38권 6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 문화재청 경주시,『文化財大觀』
    경주시 [2004]
  • 동아대학교박물관
    『陜川靈巖寺址Ⅰ』-古蹟調査報告書11冊- [1985]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Ⅱ [2008]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Ⅸ [2015]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年報』제9호 [1998]
  • 黃壽永, 『韓國金石遺文』, 一志社, 1976.
  • 高裕燮, 『高裕燮全集1』, 通文館, 1993.
  • 高翊晉, 『韓國古代佛敎思想史』, 東國大學校出版部, 1989.
  • 韓國古代佛殿建築의 莊嚴法式에 관한 연구 美術史學12
    李康根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98]
  •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書』, 1904.
  • 鄭永鎬, 「善山竹杖寺址五層石塔」, 『文化財』4, 1969.
  • 藤島亥治郞, 『建築雜誌』47, 1933. 12.
  • 藤島亥治郞, 「朝鮮建築史論-其二」, 『建築雜誌』44, 1930.
  • 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의 건립시기에 關한 考察文化史學34
    李順英 한국문화사학회 [2010]
  • 罗哲文, 『中國古塔』, 中國靑年出版社, 1985.
  • 米田美代治, 『朝鮮上代建築の研究』, 2007, 慧文社.
  • 米田美代治, 「佛國寺多寶塔の比例構成に就いて」, 『考古學』11-3, 東京 考古學會, 1940.
  • 秦弘燮, 「安東吉安面模塼塔」, 『考古美術』第6卷第3 4號, 韓國美術史學會, 1965. 4.
  • 水原白氏大同譜編纂委員會編
    『水原白氏大同譜』1권 [1997]
  • 楊超杰, 严辉, 『龍門石窟雕刻粹編佛塔』, 大百科全書出版社, 2002.
  • 杉山信三, 『朝鮮の石塔』, 彰國社, 1944.
  • 朱耀廷外, 『古代名塔』, 辽宁师范大学出版社, 1996.
  • 朝鮮總督府,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書, 1917.
  •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3, 1915.
  • 张驭寰, 『中國塔』, 山西人民出版社, 2000.
  • 常靑, 『中國古塔的藝術歷程』, 陝西人民美術出版社, 1998.
  • 小場恒吉,『慶州南山の佛蹟』, 朝鮮總督府, 1940.
  • 國慶華 윤재신 譯, 『중국목조건축의 구조』
    동녘 [2006]
  • 商山誌
  • 井內古文化硏究室編, 『朝鮮瓦塼図譜』Ⅴ 新羅3, 1976.
  • 『洛陽伽藍記』
  • 『洛上洞廢塔試掘調査報告書』
    상주시 [1988]
  • 『한국의사지현황조사보고서(대구광역시,경상북도)』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5]
  • 『한국의 전탑 연구』
    박홍국 학연문화사 [1999]
  • 『한국석탑의양식기원-미륵사지석탑과분황사모전석탑-』
    박경식 학연문화사 [2016]
  • 『탑』한국의 미술2
    金禧庚 열화당 [1982]
  • 『탑』
    강우방 솔출판사 [2003]
  • 『의성 대리리 고분군-본문-』
    성림문화재연구원 [2016]
  • 『상주지역 석탑 조사연구 보고서』
    상주박물관 [2008]
  •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
    류춘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 『부여 정림사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1]
  • 『백제계 석탑 연구』
    천득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3]
  • 『문명교류사의 연구』
    정수일 사계절 [2002]
  • 『목조건축의 의장』
    장헌덕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8]
  • 『경주지역 폐사지 석조문화재 조사 연구』
    경주대학교 [2010]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정비공사부지내 유적』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3]
  • 『경주 남산의 불교유적Ⅱ-서남산 사지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
  • 『경상북도의 석탑Ⅵ』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 『경상북도의 석탑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魏書』
  • 『韓國塔婆의 硏究』
    高裕燮 동화출판공사 [1981]
  • 『雁鴨池發掘調査報告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
  • 『阿毘達磨集異門足論』
  • 『金光明經』
  • 『輿地圖』
  •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 『芬皇寺石塔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992]
  • 『般泥洹經』
  • 『聖住寺』
    보령시 충남대학교박물관 [1998]
  • 『考往錄』
  • 『無垢淨光大陀羅尼經』
  • 『灌頂伏魔封印大神呪經』
  • 『法華經科註』
  • 『河西集』
  • 『梵宇攷』
  • 『松都의 古蹟』
    高裕燮 悅話堂 [1979]
  • 『東京雜記』
  • 『東京通誌』
  • 『朝鮮金石總覽』
  • 『望月佛敎大辭典』
  • 『日本東京大學所藏韓國建築,考古資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新羅狼山遺蹟調査』
    장충식 동국대경주캠퍼스박물관 [1985]
  • 『新羅石塔硏究』
    張忠植 일지사 [1987]
  • 『新羅政治史硏究』
    이기백 일조각 [1974]
  • 『新羅思想史硏究』
    이기백 일조각 [1996]
  • 『新增東國輿地勝覽』
  • 『敦煌本六祖壇經』
  • 『慶州天官寺址發掘調査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4]
  • 『慶州南山石塔發掘,復元整備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4]
  • 『慶州南山南里寺址東西三層石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0]
  • 『慶州南山』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2]
  • 『彌勒寺址解體調査報告書Ⅵ』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廣輿圖』
  • 『大正新修大藏經』
  • 『多武峯緣起』
  • 『四天王寺Ⅰ金堂址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 『古代沙伐國關聯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
    상주시상주산업대학교부설상주문화연구소 [1996]
  • 『南原實相寺百丈庵試掘및金堂 址周邊發掘調査報告書』
    南原市, 圓光大學校馬韓 百濟文化硏究所 [2001]
  • 『傳仁容寺址發掘調査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 『備邊司印方眼地圖』
  • 『佛般泥洹經』
  • 『伽藍考』
  • 『三陟興田里寺址地表調査및三層石塔材實測報告書』
    江原文化財硏究所三陟市 [2003]
  • 『三國遺事』
  • 『三國史記』
  • 「綠釉塑造神將像과 四天王寺의 佛敎彫刻-硏究成果와 向後의 課題-」
    최성은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서지적 연구」
    박부자 정경재 『서지학연구』65, 한국서지학회 [2016]
  • 「화엄사 4사자석탑 건립배경」
    김주성 『한국상고사학보』18 [1995]
  • 「한 중 일 다보탑의 특징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김버들 조정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26권 6호, 대한건축학회 [2010]
  •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 결구방식에 대하여-7~8세기 석탑을 중심으로-」
    이근우 『역사와 경계』63, 부산경남사학회 [2007]
  • 「통일신라시대 사자상의 수용과 전개」, 『新羅의 獅子』
    權江美 국립 경주박물관 [2006]
  • 「통일신라시기의 간선 교통로-王京과 州治小京간 연결을 중 심으로」
    정요근 『한국고대사연구』63, 한국고대사학회 [2011]
  • 「통일신라 출범기의 봉성사와 망덕사 창건목적」
    장활식 『新羅文化』5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1]
  • 「통일신라 典型樣式석탑의 기단부 유형과 8세기 석탑의 편년 검토」
    김지현 『新羅文化』4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 「통일신라 3층석탑의 출현과 『造塔功德經』의 관계 고찰」
    최민희 『佛敎 考古學』3호,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3]
  • 「전라도 석탑의 세부 기법 고찰-옥개석 물끊 기홈과 풍탁공을 중심으로-」
    남창근 조은경 한주성 『文化財』40,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일본 다층석탑의 성립과 발전-나라현 히노쿠마데라(檜隈寺) 석탑을 중심으로-」
    申龍澈 『미술사와 시각문화』8 [2009]
  • 「원대 라마탑 양식이 한국 불교미술에 미친 영향」
    주경미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2권, 사회평론 [2006]
  • 「신라하대 無垢淨塔의 건립과 《無垢淨光大陀羅尼經》신앙」
    元善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신라와 고려시대 조탑(造塔) 경전의 역할과 기능」, 『史學志』42
    洪大韓 단국사학회 [2011]
  • 「신라석탑의 시원 고찰」
    남시진 『문화재』42권 2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신라석탑 문비조각에 대한 고찰」, 『정신문화연구』37
    申龍澈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4]
  •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강화」
    최선자 『한국고대사연구』72, 한국고대사학회 [2013]
  •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김동하 『한국고대사탐구』2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 「신라 불탑에 있어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영향」, 『불교학 연구』23호
    申龍澈 불교학연구회 [2009]
  • 「신라 분황사탑의 ‘模塼石塔 說’에 대한 문제제기와 고찰」
    이희봉 『건축 역사연구』20, 한국건축역사학회 [2011]
  • 「신라 단층기단 석탑의 편년과 특징」, 『한국민족문화』47
    申龍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 「신라 香城寺址3층석탑의 양식 특징과 건립시기」, 『新羅史學報』35
    李順英 신라사학회 [2015]
  • 「신라 中古期叛亂의 원인과 성격」
    김덕원 『민족문화논총』38, 영남 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
  • 「석탑 탑구(塔區)의 역할 및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 연구』19권 1호 통권 68호
    장석하 정해두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 「새롭게 보는 한국 계단식 적석탑」
    임세권 『미술사학』16, 한국미술사교 육학회 [2002]
  • 「삼척지역 신라석탑의 양식과 특징」, 『이사부와 동해』10호
    李順英 한국이사부학회 [2015]
  • 「삼국시대 석탑의 선후관계와 의성 탑리 석탑의 창건시기」
    김창호 『과기고고연구』제9호, 아주대학교박물관 [2003]
  • 「사천왕사의창건과의의」
    金相鉉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第17輯 [1996]
  • 「사찰구조와 출토유물로 본 芬皇寺성격 고찰」
    박대남 『한국고대사 탐구』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 「불국사 다보탑 조성의 불교사상적 의의」
    김수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분황사 창건의 정치 경제적 배경」
    이인철 『芬皇寺의 諸照明-신라문 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20, 신라문화선양회 [1999]
  • 「백제양식석탑의 양식과 건립연대에 대한 검토」
    전지혜 『불교미술사 학』12집, 불교미술사학회 [2011]
  • 「백제계석탑의 양식분류와 특성 고찰」
    천득염 『백제 양식 석탑』, 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05]
  •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남동신 최연식 『미술사학연구』268, 한국미술사학회 [2010]
  • 「미륵사지석탑과수당대정각형불탑과의비교」
    박경식 『백산학보』92, 백산학회 [2012]
  • 「동아시아 모전석탑의 기원에 대한 小考」
    김준영 『文物硏究』26, 동 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 「다보탑의 평면도와 영조척」
    박흥수 『한국과학사학회지』1권 1호, 한국과학사학회 [1979]
  • 「다보탑을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의 營造尺」
    김지윤 『미술사논단』44, 한국미술연구소 [2017]
  • 「금강산의 異形石塔에 대하여」
    김희경 『문화사학』창간호, 한국문화사학회 [1994]
  • 박사
    「고려시대 모전석탑 연구」
    김지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고대 한국 佛殿의 기능과 형식」
    임남수 『美術史學』25, 한국미술사 교육학회 [2011]
  • 「고대 의성지역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고찰」
    전덕재 『新羅文化』3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 「고대 동아시아 불탑 구조체계로 본 미륵사지석탑」
    박언곤 조은경 『건축역사연구』78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11]
  • 「경주지역의 옥개석 귀마루(隅棟) 彫飾석탑 연구」, 『경주사 학』19
    朴洪國 경주사학회 [2000]
  • 「경주 불국사 다보탑 연구」
    임재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경주 남산리 3층석탑의 특이점에 대한 고찰」, 新羅文化36
    朴洪國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0]
  •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조명」
    한정호 『미술사논단』22, 한국미술연구소 [2006]
  • 「경주 구황동 塔址의 石塔材고찰 : 異型石塔說에 대한 再論을 중심으로」
    김지현 『불교미술사학』20, 불교미술사학회 [2015]
  • 「경주 鍪藏寺址史蹟과 삼층석탑에 대한 再考」
    김지현 『新羅文化』4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 「경주 普門洞寺址에 관한고찰」
    오세덕 『古文化』81,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3]
  • 「경북 안동지역 佛塔의 편년과 특징」, 『한국민족문화』34호
    申龍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 「감은사지 삼층석탑 창건 과정과 意匠計劃에 대한 연구」
    한정호 『美術史 學硏究』253, 한국미술사학회 [2007]
  • 「高麗石塔硏究」
    洪大韓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高麗時代塔婆建立에 反影된 裨補風水」, 『역사와 경계』82
    洪大韓 부산경남사학회 [2012]
  • 「高麗建國期石造美術硏究」
    정성권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高麗前期佛敎石造美術硏究」
    진정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高麗初石塔의 塔身받침 造形特性에 관한 硏究-塔身받침의 起源과 變化를 중심으로-」, 『文化史學』27
    洪大韓 한국문화사학회 [2007]
  • 「駕洛佛敎의 전래와 그 전개」
    김영태 『불교학보』27, 동국대학교 불교 문화연구원 [1990]
  • 「韓國의 華嚴美術論」
    강우방 『伽山學報』4 [1995]
  • 「韓國의 眼象文樣」
    秦弘燮 『東洋學』4 [1974]
  • 「韓國의 塼塔形石塔硏究-義城塔里五層石塔을 中心으로-」
    李善喆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韓國記錄文化에 나타난 眞言의 流通」
    남권희 『密敎學報』7, 위덕 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05]
  • 「韓國石塔의 特殊樣式考察」(下)
    鄭永鎬 『단국대논문집』4 [1970]
  • 「韓國石塔의 特殊樣式考察」(上)
    鄭永鎬 『단국대논문집』3 [1969]
  • 「韓國模塼石塔의 類型」
    秦弘燮, 『文化財』3 [1967]
  • 「韓國塔婆의 造形史的考察-宗敎的崇高性과 美的造形性으로서-」, 『西原大學論文集』20
    河善容 서원대학교 [1987]
  • 「韓國古代의 石造美術에 반영된 木塔要素에 대한 考察」
    엄기표 『역사와 담론』54집, 호서사학회 [2009]
  • 「韓國佛舍利莊嚴에 있어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意義」
    주경미 『佛敎 美術史學』2, 불교미술사학회 [2004]
  • 「隨ㆍ唐代의 佛塔硏究(Ⅰ) : 亭閣形石造塔婆」
    박경식 『文化史學』29, 한국문화사학회 [2008]
  • 「阿含部經典의 佛塔信仰思想」, 『文化史學』33호
    禹仁寶 한국문화사학회 [2010]
  • 「釋迦塔과 多寶塔의 명칭적인 타당성 검토」
    염중섭 『건축역사연구』 19권 4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 「軍威持寶寺三層石塔에 대한 考察」, 『東岳美術史學』16
    申龍澈 동악미술사학회 [2014]
  • 「襄陽禪林院址에對하여」, 『考古美術』第7卷第6號
    鄭永鎬 한국미술사학회 [1966]
  • 「蔚州靑松寺址三層石塔의 建立時期와 意義」, 『新羅文化』39
    李順英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 「蔚山望海寺雙塔의 造塔性格에 관한 考察」, 『東岳美術史 學』6
    申龍澈 동악미술사학회 [2005]
  • 「葛項寺址東 西三層石塔에 대한 考察」
    임재완 『동악미술사학』17, 동악미술사학회 [2015]
  • 「華嚴寺의 石造遺物」, 『화엄사,화엄석경』
    鄭永鎬 화엄사 [2002]
  • 「華嚴寺의 石造文化財」, 『佛敎文化硏究』9집
    鄭善棕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2]
  • 「華嚴寺四獅子石塔의 造營과 象徵: 塔으로 구현된 光明의 法 身」, 『美術史學硏究』250,251
    申龍澈 한국미술사학회 [2006]
  • 「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에 關한 硏究」
    李順英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建立背景考察」, 『佛敎美術』22
    李順英 동 국대학교박물관 [2011]
  • 「華嚴寺三層石塔의 奏樂像」, 『韓國學報』108
    宋芳松 일지사 [2002]
  • 「英陽三池洞模塼三層石塔舍利莊嚴小攷」, 『文化史學』11 12 13號
    申大鉉 한국문화사학회 [1999]
  • 「芬皇寺石塔硏究」
    김준영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芬皇寺模塼石塔에대한考察」
    박경식 『芬皇寺의諸照明』, 신라문화선양회 [1999]
  • 「興輪寺의發掘成果檢討」, 『新羅文化』20
    申昌秀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2]
  • 「義湘과 皇福寺」
    金福順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第17輯 [1996]
  • 「統一新羅石塔硏究」
    申龍澈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統一新羅時代阿彌陀信仰의 歷史的性格」, 『韓國史硏究』50,51호
    金英美 한국사연구회 [1985]
  • 「統一新羅時代特殊樣式의 石塔」, 『考古美術』158,159
    秦弘燮 한국 미술사학회 [1983]
  • 「統一新羅時代天人像硏究」
    최선일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94]
  • 「統一新羅二重基壇石塔의 形式과 編年」, 『東岳美術史學』9
    申龍澈 동악미술사학회 [2008]
  • 「石彫建造物의 獅子의 用例」, 『예술원논문』7집
    秦弘燮 대한민국예술원 [1968]
  • 「石塔에 있는 塔身받침의 起源과 變化에 관한 硏究」
    曺永洙 성균관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石塔(Ⅰ)-典型期의石塔」,『考古美術』158,159합집
    黃壽永 한국미술사학회 [1983]
  • 「皇龍寺九層塔考」,『중재장충식박사화갑기념논총』(역사학편)
    金相鉉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2]
  • 「百濟系石塔의 構成要素分析에 관한 硏究」
    주남철 천득염 『大韓建 築學會論文集』6卷1號通卷27號, 大韓建築學會 [1990]
  • 「百濟系石塔에 관한 一考察-建立背景과 時期를 중심으로-」, 『史學志』20
    鄭善棕 단국사학회 [1986]
  • 「百濟石塔의 先後에 대한 考察-木造建築요소를 중심으로-」
    엄기표 『文化史學』16, 한국문화사학회 [2001]
  • 「異型石塔의 一基壇形式의 考察」, 『考古美術』138,139
    秦弘燮 한국 미술사학회 [1978]
  • 「獅子石塔의 起源과 建立背景」,『靑藍史學』3
    李垠澈 청람사학회 [2000]
  • 「泰封國都城(弓裔都城) 내 풍천원 석등 연구」
    정성권 『한국고대사탐 구』7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 「江原地域의 新羅石造美術擴散과 傳播經路-인제 한계사지 석조 미술을 중심으로-」
    李順英 『豪佛鄭永鎬博士八旬頌祝紀念論叢』 [2015]
  • 「模塼石塔의 類型: 統一新羅의 代表作을 中心으로」,『월간중앙』29
    鄭永鎬 중앙일보사 [1970]
  • 「榮州宿水寺址석조유물에 대한 考察」, 『史林』40권
    李順英 수선사학회 [2011]
  • 「朝鮮塔婆의 硏究」(其一)
    高裕燮 『震檀學報』6 [1936]
  • 「朝鮮塔婆의 硏究(三)」, 『震檀學報』14
    高裕燮 震檀學會 [1941]
  • 「朝鮮塔婆의 樣式變遷」, 『佛敎學報』3,4合輯
    高裕燮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66]
  • 「望德寺十三層木塔의 形態推定에 관한 硏究」, 『大韓建築學會誌』 28卷119號
    金正守 大韓建築學會 [1984]
  • 「月城郡吾也里三層石塔」, 『考古美術』5권 5호
    朴日薰 한국미술사학 회 [1964]
  • 「新羅琉璃製舍利容器硏究」
    주영희 『東岳美術史學』4호, 동악미술사학회 [2003]
  • 「新羅의建塔과『造塔功德經』」, 『文化史學』6 7호
    金相鉉 한국문화사학회 [1997]
  • 「新羅竹杖寺址五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韓國古代史探究』14
    李順英 韓國古代史探究學會 [2013]
  • 「新羅石塔의 발생과 成立過程에 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19권 4호 통권 71호
    申龍澈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 「新羅石塔의 構造와 造營硏究」
    김지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新羅石塔의 展開過程에 있어 建立地域과의 關係」, 『文化史學』 43호
    李順英 한국문화사학회 [2015]
  • 「新羅石塔의 二重基壇發生原因에 대한 고찰」
    한정호 『新羅文化祭學 術發表會論文集』第24輯,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 「新羅石塔에서 別石塔身받침의 形式과 特徵」, 『新羅史學報』32
    李順英 신라사학회 [2014]
  • 「新羅皇龍寺經營과 文化的意味」
    홍윤식 『馬韓,百濟文化』7,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1984]
  • 「新羅無垢淨小塔硏究」
    한정호 『東岳美術史學』8, 동악미술사학회 [2007]
  • 「新羅模塼石塔考」, 『新羅文化』1
    張忠植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4]
  • 「新羅時代의 密敎傳來考」, 『曉成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學 論文叢』
    朴泰華 불교사학논총 간행위원회 [1965]
  • 「新羅時代密敎經典의流通과그影響」
    옥나영 숙명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7]
  • 「新羅敏哀大王石塔記-桐華寺毘盧庵三層石塔의 調査」, 『史學志』3
    黃壽永 단국대학교사학회 [1969]
  • 「新羅定形期石塔에 대한 小考」
    박경식 『文化史學』21, 한국문화사학회 [2004]
  • 「新羅始原期石塔에 대한 考察」
    박경식 『文化史學』19, 한국문화사학회 [2003]
  • 「新羅塼築模倣型石塔의 특징과 전개과정」,『美術史學硏究』285
    李順英 한국미술사학회 [2015]
  • 「新羅典型期石塔에 대한 考察」
    박경식 『文化史學』20, 한국문화사학회 [2003]
  • 「新羅佛國土思想의展開樣相과歷史的意義」
    신동하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0]
  • 「新羅中祀의 ‘四海’와 海洋信仰」, 『한국고대사연구』47
    金昌謙 한국 고대사학회 [2007]
  • 「新羅下代의 迦智山門」
    이계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新羅下代願塔建立에 관한 硏究」
    丁元卿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
    남동신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 論文集』22 [2001]
  • 「文豆婁法과 경주 四天王寺址출토 유물」
    김태식 『新羅史學報』21, 신라사학회 [2011]
  • 「文聖王代의 政局과 「昌林寺無垢淨塔願記」造成의 정치적 배경」, 『韓國古代史探究』7권
    姜在光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 「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實測에서 나타난 事實-」, 『考古美術』 통권 47,48
    洪思俊 한국미술사학회 [1964]
  • 「所謂方壇式特殊形式의 石塔數例補」, 『考古美術』121호
    秦弘燮 한 국미술사학회 [1974]
  • 「所謂方壇式特殊形式의 石塔數例」, 『考古美術』110호
    秦弘燮 한국 미술사학회 [1971]
  • 「慶州高仙寺址伽藍配置와三層石塔硏究」,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朴相國, 「舍利信仰과 陁羅尼經의 寫經片」
    박보경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사 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2004]
  • 「慶州淨惠寺址十三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東岳美術史學』13
    李順英 동악미술사학회 [2012]
  • 「慶州安康邑淨惠寺址石塔의 持異點에 대하여」, 『佛敎考古 學』4
    朴洪國 위덕대학교박물관 [2004]
  • 「慶州南山昌林寺址三層石塔의 考察- 石塔의 編年을 中心으 로 -」, 『東岳美術史學』3
    申龍澈 동악미술사학회 [2002]
  • 「慶州九黃洞廢塔址의 復元的考察」
    김은화 『고구려발해연구』33, 고 구려발해연구학회 [2009]
  • 「慶北英陽郡의 塔像(一)」, 『考古美術』第4卷第11號(通卷40號)
    尹容鎭 한국미술사학회 [1963]
  • 「慶北北部地域의 模塼石塔硏究」
    안선우 『안동사학』13, 안동사학회 [2009]
  • 「後漢代佛塔認識과 基源問題」
    조충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崇巖山聖住寺事蹟」, 『考古美術』9卷, 9號
    黃壽永 한국미술사학회 [1968]
  • 「尙州洛上洞寺址石塔의 樣式과 復元檢討」, 『한국고대사탐구』24권
    李順英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 「實相寺百丈庵석탑의 五方神像에 관한 고찰」
    허형욱 『미술사연구』19, 미술사연구회 [2005]
  • 「實相寺百丈庵三層石塔의 表面莊嚴에 對한 硏究」, 『梨大史 苑』13
    徐延受 이화여대 사학회 [1976]
  • 「多寶塔의 경전적인 건립시점 고찰 - 多寶塔과 法華思想의 의 미구현을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선학』29, 한국선학회 [2011]
  • 「多寶塔의 美的考察: 曲線의 美와 空間構成의 美를 中心으로」
    이해주 『사학지』41권, 단국사학회 [2009]
  • 「多寶塔과新羅八角浮圖」, 『考古美術』123 124호
    黃壽永 한국미술사학회 [1974]
  • 「堤川의 模塼石塔二基」, 『考古美術』第1卷第2號(通卷2號)
    鄭永鎬 한국미술사학회 [1960]
  • 「四門塔에 대한 考察」
    박경식 『文化史學』27, 韓國文化史學會 [2007]
  • 「四天王寺址 塑造像의 尊名」
    임영애 『美術史論壇』27, 한국미술연구소 [2008]
  • 「善山竹杖寺模塼石塔의 復元問題」, 『東岳美術史學』3
    張忠植 동악미술사학회 [2002]
  • 「咸安主吏寺四獅石塔址의 調査」, 『考古美術』第3卷第8號
    秦弘燮 韓國美術史學會 [1964]
  • 「元曉의 念佛觀과 淸華의 念佛禪」, 『佛敎學報』71집
    高榮燮 동국대 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 「保寧聖住寺址石塔考」, 『史學硏究』21
    李殷昌 한국사학회 [1969]
  • 「佛敎經典과 曼茶羅에 나타난 多寶塔의 造營特性에 關한 硏究」
    김버들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佛國寺釋迦塔,多寶塔의 構成에 대한 解釋試論」
    최미순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仙巖寺의 獅子塔」, 『考古美術』제6권 제5호
    崔容完 韓國美術史學會 [1965]
  • 「中國云居寺의 唐代石塔에 대한 考察」
    엄기표 『東岳美術史學』9, 동악미술사학회 [2008]
  • 「中國 山東省 佛像과 三國時代 佛像」
    김춘실 『美術史論壇』19호, 한국미술연구소 [2004]
  • 「『해동고승전』『釋안함』전의 분석」
    장활식 『신라문화』46, 동국 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 「『삼국유사』「요동성육왕탑」조에 관한 일고찰」
    윤세원 『신라문화 제학술발표논문집』3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 「『儀鳳四年皆土』글씨기와를 통해 본 新羅의 統一意識과 統一紀年」
    최민희 『慶州史學』21집, 경주사학회 [2002]
  • 「『三國遺事』勝詮髑髏條의 吟味」,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 文集』34輯
    朱甫暾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3]
  •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통일신라 수용과 전개」
    임영애 『신라문화』38,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1]
  • 「9세기 신라 석조미술에 관한 연구」
    박경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9世紀新羅地域美術의 硏究(Ⅰ)-雪嶽山의 石造造形物을 中 心으로-」
    박경식 『史學志』28, 檀國大史學會 [1995]
  • 「7세기 전반기 新羅의 危機意識의 실상과 皇龍寺9층木塔」
    박승범 『신라사 학보』30, 신라사학회 [2014]
  • 「7세기 석탑에 관한 연구」
    채무기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6~9세기 신라목탑 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金正守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 ?
    조경철 『한국고대사연구』57, 한국 고대사학회 [2010]
  • null
    구미시 善山洛山洞三層石塔精密實測調査報告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