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일본 현대 디아스포라 문학의 다양성과 상상력 : 이양지·리비 히데오·양이 문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민수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송민수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lements of Diversity and Imagination of Japan Modern Diaspora Literature : with a comparative focus on the literature of Lee Yangji, Levi Hideo and Yang Yi
    • 형태사항 삽도: 26 cm: ii, 151 p.
    • 일반주기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부록: '이양지(李良枝), 양이(楊逸), 리비 히데오(リ-ビ 英雄) 이력' 수록, 지도교수: 김환기,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p. 125-132)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2, 일어일문학과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8
    • 발행사항 동국대학교
    • 주제어 디아스포라 아이덴티티 월경 트랜스네이션
' 일본 현대 디아스포라 문학의 다양성과 상상력 : 이양지·리비 히데오·양이 문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디아스포라
  • 아이덴티티
  • 월경
  • 트랜스네이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4 0

0.0%

' 일본 현대 디아스포라 문학의 다양성과 상상력 : 이양지·리비 히데오·양이 문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어사전 Ver.1.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Dev
    고려대 DaolSoft
  • 프라임 영한한영사전 동아출판 ㈜클비시스템 v
    4.8.3(2)
  • 유숙자 역, 『전후문학을 묻는다 -그 체험과 이념-』
    가와무라 미나토 소화 국제고려학회 일본지부 재일코리안사전 편찬위원회 편 정희선 김인덕 신 [2005]
  • 역,『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김혜신 서경식 돌베게 [2006]
  • 역, 『해녀』
    신동한 이양지 모음사 [1984]
  • 역, 『유희』
    김유동 이양지 삼신각 [1989]
  • 역 외, 「그리스 신화」,『세계의 신화』
    손명현 장기근 대종출판사 [1973]
  • 양이 김난주 역,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
    재인 [2009]
  • 브리태니커 콘사이스 백과사전 Version2
    8 ⓒEncyclop dia Britannica, Inc [2016]
  • 다와다 요코,최윤영 역, 『영혼 없는 작가』
    을유문화사 [2011]
  • 다와다 요코,최윤영 역, 『목욕탕』
    을유문화사 [2011]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동아출판 ㈜클비시스템 v
    2.8.1(3)
  • 齊金英(2011), 「楊逸「ワンちゃん」の逃避行」,『國文』(116) , お茶の 水女子大学國語國文學會
  • 鼎談「アジア文学の豊かな風高樹のぶ子, 楊逸, ジャンビーンダシドンドグ」, 新 潮(2011) 108(6)
  • 青山南(1994), 「英語になったニッポン小説-5-李良枝の「由煕」」,『すば る』16(5)
  • 靑柳悅子(2001), 「複數性と文學ー移植型<境界兒>リービ英雄と水村美苗に みる文學の渴望」,『言語文化論集』56, 筑波大学現代語文化学系
  • 陳乃綺(2012), 「李良枝『かずきめ』論: 「怯え」の行方」,『文藝と批評』 11(5)
  • 鈴木正和(2010), 「精神と言葉の断絶--李良枝『由煕』と村上春樹の「壁 と卵」」,『近代部会誌』, 近代文学研究(27)
  • 金贊汀(1997), 『在日コリアン百年史』, 三五館
  • 金壎我(2004), 『在日朝鮮人女性文學論』, 作品社
  • 鄭百秀(2013), 「ディアスポラの祖国語: 李良枝『由煕』(特集世界文学 に見る故郷)」,『櫻美林世界文学』(9)
  • 芥川賞作家楊逸さんへ5つの質問(特集あなたの世界を広げる本) 楊逸, 原智子, 月刊日本語(2010) 23(12)
  • 磯貝治良(2004), 『<在日>文學論)』, 新幹社
  • 疋田雅昭(2012),「政治と讀むこと或いは人物に寄り添うということ」,『立敎大學 日本學硏究所年報』(9), 立敎大學日本學硏究所
  • 田村聰實(2013), 「リービ英雄論: なぜ日本語を選び執筆するのか」,『ゲス トハウス』5號, 信州大学人文学部人文学科松本和也研究室
  • 玄善允(2002), 『在日の言語』, 同時代社
  • 沼野充義(2008), 「新しい世界文學の場所へ」,『文學界』62(9)
  • 楊逸特別対談楊逸 シリンㆍネザマフィ私たちはなぜ日本語で書くのか 『文学界』(2009) 63(11),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なき結婚: 楊逸(200 9)」,『翻訳の文化/文化の翻訳』(4號), 靜岡大學人文學部飜譯 文化硏究會
  • 楊逸(2010), 『ワンちゃん』, 文芸春秋
  • 楊逸(2008), 「金魚生活」,『文學界』62(9)
  • 林浩治(2004), 「途上を生きた人々の系譜(第3回)転換期の作家 李良枝(イヤン ジ)」,『The Kanagawa University review』(47)
  • 林浩治(1991), 『在日朝鮮人日本語文學論』, 新幹社
  • 李良枝(1993), 『李良枝全集』, 講談社
  • 日本語を母語としない作家としてはじめて芥川賞を受賞した"文筆匠人"楊逸さん(特 集日本文学と外国人) 楊逸(2010) The Immigration newsmagazine23(3)
  • 川村湊(1995), 『戰後文學を問う-その體驗と理念』, 岩波書店
  • 川村湊(1995), 『戰後文學を問う-その體驗と理念』
  • 川村湊(1992), 「李良枝(イヤンジ)・「捨て姫」の物語」,『群像』47(9)
  • 小野正嗣(2009), 「インタビュー楊逸言葉と交流」, 『すばる』 31(10)
  • 呉恩英(2005), 「在日朝鮮人にとっての「異文化」とその身体感覚--李良枝 の作品を通して」, 『名古屋大学日本語 日本文化論集』(13)
  • 井口時男(1996), 「越境=りービ英雄(特集:現代作家のキ-ワ-ド)」,『國文 學』41(10)
  • 上田正昭,朴一(2005), 『歷史なかに在日』, 藤原書店
  • リービ英雄(2008), 「仮の水」,『群像』63(4)
  • リービ英雄(2000), 「ぼくの日本語遍歴(特集世界の中の日本語)」,『新潮』 97(5)
  • リービ英雄(1999), 「越境の時代」,『早稲田文学』24(2)
  • リ-ビ英雄 安岡章太郎(1993), 「喪失を書く文学」,『群像』48(6)
  • リ-ビ英雄 中上健次(1984), 「アメリカ,日本文学」,『新潮』81(11)
  • リ-ビ英雄 フィ-ルドノ-マ(1994), 「混血文学の可能性」,『中央公論』109(12)
  • 『기호학』
    전동열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 『李良枝문학 속의 ‘재일적 자아’ 연구』
    윤명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6]
  • 「혼종성의 번역양상에 대한 일고찰-재일디아스포 문학을 중심으로-」
    이나경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일본언어문화』Vol.36 [2016]
  • 「포스트모더니즘에 내재된 서구중심주의 비판」
    최일성 『정치사 상연구』Vol.21, 한국정치사상학회 [2015]
  • 「탈식민 소설과 트랜스내셔널의 전망」
    나병철 『현대문학이론연 구』Vol.54,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 「코리언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윤인진 『한국사회학』Vol.37, 한국사회학회 [2003]
  • 「재일코리안 작가의 조국 체험」
    이한정 『한국민족문화』 제46 집,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문학의 작품 경향에 대한 연구: 195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김태영 임영언 『일어일문학』 Vol.53, 대한일어일문학회 [2012]
  • 「재일조선인 문학에서 ‘기억’과 ‘망각’의 문제」
    고봉준 『우리어 문연구』Vol.30, 우리어문학회 [2008]
  •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김학영, 이양지, 유미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엄미옥 『한민족문화연구』 Vol.41, 한민족문화학회 [2012]
  •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분안과 극복의 모색-김사량, 김학영, 이양지 소설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정보람 『차세대인 문사회연구』Vol.8,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1]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분화」
    김환기 『일본학보』 Vol.74, 한국일본학회 [2008]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분화」
    김환기 『일본학보』 Vol.74, 한국일본학회 [2011]
  •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 『디아스포라연구』Vol.7,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3]
  • 「일본현대작가의 자국어 인식」
    이한정 『일본어문학』Vol.40, 한 국일본어문학회 [2009]
  • 「이양지와 리비 히데오(リ-ビ英雄) 소설의 ‘정체성’에 대 한 비교 고찰」
    송민수 『일본연구』Vol.43,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 「이양지문학과 전통 ‘가락’」
    김환기 『일어일문학연구』 제45집, 한국일어문문학회 [2003]
  • 「이양지(李良枝)와 양이(楊逸) 작품의 비교 연구」
    송민수 『일본 학보』제104집, 한국일본본학회 [2015]
  • 「이양지 소설 연구」
    지명현 『국제한인문학연구』 제2집, 국제한 인문학회 [2005]
  • 「이양지 소설 연구-공간에 나타나는 정체성의 변화를 중 심으로」
    지명현 『국제한인문학연구』Vol.2, 국제한인문학회 [2005]
  • 「이양지 문학론-현세대의 ‘무의식’과 ‘자아’ 찾기」
    김환기 『일어 일문학연구』 제43집,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 「요코 타와다와 『목욕』에 나타난 타자성의 문제」
    정윤희 『뷔 히너와 현대문학』Vol.35, 한국뷔히너학회 [2010]
  • 「언어의 몸성과 의미의 “열림으로”의 글쓰기-요코 타와다 의 예」
    이영남 『뷔히너와 현대문학』Vol.48, 한국뷔히너학회 [2017]
  • 「양석일 문학의 유교적 세계관, 그리고 광기와 이단-『血 와 骨』을 중심으로-」
    김환기 『비교일본학』제27집,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2]
  • 「사기사와 메구무의 문학 세계」
    김환기 『한일민족문제연구』 Vol.11, 한일민족문제학회 [2006]
  • 「민족적인 것의 경계를 넘어서-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를 통한 민족사 패러다임 극복 가능」
    박혜정 『독일연구』20, 한국독일 사학회 [2010]
  • 「매체로서의 언어, 매체로서의 몸-요코 타와다의 『목욕 탕』과 『벌거벗은 눈』을 중심으로-」
    최윤영 『독일문학』Vol.99,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 「리비 히데오『성조기가 들리지 않는 방』분석: 길항하는 언어들」
    오미정 『일본어문학』Vol.72, 일본어문학회 [2016]
  • 「리비 히데오(リ-ビ英雄)와 양이(楊逸) 문학 비교 연구- 『성조기가 들리지 않는 방』과 『왕짱』을 중심으로-」
    송민수 『일 본학연구』제51집,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 「리비 히데오(リ-ビ英雄) 문학과 ‘境界人’ 의식 : 『성조 기가 들리지 않는 방(星条旗の聞こえない部屋)』을 중심으 로」
    정현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 「디아스포라적 정체성과 차이의 정치」
    박수경 이상봉 『한일민 족문제연구』Vol.24, 한일민족문제학회 [2013]
  • 「다와다 요코의 탈경계적, 탈민족적, 탈문화적 글쓰기」
    최윤영 『일본비평』Vol.12,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 「다와다 요코(多和田葉子) 문학연구-여성,유랑,엑소 포니
    서문보설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일본어문학’」
    이한정 『일본학보』 Vol.107, 한국일본학회 [2016]
  •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론」
    김환기 『일어일문학연구』제39 집, 한국일어일문학회 [2001]
  • 「경계에서 말하다 : 楊逸의<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을 중 심으로」
    이고은 대한중국학회, 『중국학』 제35집 [2014]
  • 「가네시로 가즈키의 <고(GO)>에 나타난 ‘국적’의 역사적 의미」
    이영미 『현대소설연구』Vol.37,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 「芥川賞作家楊逸さんへ五つの質問」『月刊日本語./アルク.』 23/12, 原智子 (2015)
  • 「楊逸『시간이 스며드는 아침(時が滲む朝)』을 통해 본 재일중국인 문학의 가능성」
    박정이 한국 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제88집 [2014]
  • 「「재일문학」의 디아스포라 양상-민족 정체성 표현을 중심으로」
    박정이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 문화연구소,『비교문화연구』Vol.17 [2005]
  • 「<화교 = 해외'중국인'>에 관한 역사적 고찰」
    최승현 『중국인 문과학』Vol.48 ,중국인문학회 [2011]
  • RISS(http://www.riss.kr/index.do)
  • CINII(http://ci.nii.ac.jp/)
  • (https://ja
    위키백과 wikipedia.org/w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