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후설의 생활세계와 자아 개념

안명진 2018년
논문상세정보
' 후설의 생활세계와 자아 개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생활세계
  • 선험적자아
  • 지향성
  • 판단중지
  • 현상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43 0

0.0%

' 후설의 생활세계와 자아 개념' 의 참고문헌

  • 한국현상학회 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심설당 [1987]
  • 한국현상학회 편, 『생활세계의 현상학과 해석학』
    서광사 [1992]
  • 인식론
    J. 헤센 (김보현 옮김) [1994]
  • 소콜로브스키, 로버트,(최경호 옮김), 『현상학적 구성이란 무엇인가』
    이론과 실 천 [1992]
  • 브뢰커, W.,(김진역 옮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사상』
    범우사 [1987]
  • 新田義弘(박인성 옮김),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파b [2014]
  • 『흄』
    최희봉 이룸 [2004]
  • 『현상학과 해석학』
    이남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철학의 철학』
    신오현 문학과 지성사 [1988]
  • 『자유와 비극』
    신오현 문학과 지성사 [1986]
  • 「흄의 현상론에 대한 후설의 비판」
    안명진 『철학연구』 제136집, 대한철학회 [2015]
  • 「후설의 ‘자아’ 개념의 선험적 성격」
    이성환 『철학논총』 제28집, 새한철학회 [2002]
  • 「현상학적 환원과 그 철학적 의의」
    신귀현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심설당 [1987]
  • 「관념론의 유산과 후설의 현상학」
    이성환 『철학연구』 제91집, 대한철학회 [2004]
  • 박사
    「Husserl의 자아 개념」
    강동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7]
  • 「Husserl의 現象學에 있어서 態度(Einstellung)의 問題」
    손봉호 『哲學』 제12 집 [1978]
  • 「HEIDEGGER의 <실존> 개념」
    이성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1988]
  • 「E. Husserl의 생활세계와 보편학」
    여종현 『현상학의 이념』, 민음사 [1984]
  • 「E. Husserl의 생활세계론」
    박인철 『철학논구』 제16집 [1988]
  • ≪현대의 위기와 생활세계≫
    이종훈 동녘 [1994]
  • Richard Roty,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9.
  • Platon,(최명관 옮김)
    『플라톤의 대화편』, 창 [2011]
  • Platon,(천병희 옮김)
    『국가』, 숲 [2015]
  • Michael Hammond, Jane Howarth, Russell Keat, Understanding Phenomenology. Oxford: Basil Black, 1991.
  • MacDonald, P, S., Descartes and Husser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0.
  • M ller, M.,(박찬국 옮김),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서광사 [1990]
  • Kline, Morris,(박영훈 옮김), 『수학, 문명을 지배하다』
    경문사 [2009]
  • Kern, Iso,(배의용 옮김), 『후설과 칸트』
    철학과 현실사 [2001]
  • E. Allison,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Yale University Press. 1983.
  • David Woodruff Smith, Mind World : Essays in Phenomenology and Ontology, Canbridge University Press. 2004.
  • Aristotle,(조대호 역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2011]
  • Aristotle,(유원기 역주), 『영혼에 관하여』
    궁리 [2010]
  • (최상안 옮김), 『그리스 로마 철학 기행』
    Held, K. 도서출판 백의 [2000]
  • (최경호, 박인철 옮김), 『현상학의 운동1』
    Spiegelberg, H. 이론과 실천 [1991]
  • (조주환 김영필 옮김), 『에드문트 후설』
    Diemer, A. 이문출판사 [1990]
  • (전양범 옮김), 『존재와 시간』
    Heidegger, M. 동서문화사 [2012]
  • (임헌규 옮김), 『후설의 현상학』
    Kockelmans, J. J. 청계 [2000]
  • (이현복 옮김), 『성찰』
    Descartes, R. 문예출판사 [2006]
  • (이현복 옮김), 『방법서설』
    Descartes, R. 문예출판사 [2006]
  • (이준호 옮김), 『오성에 관하여 :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제1권』
    Hume, D. 서광 사 [2004]
  • (이종흡 옮김), 『서양과학의 기원들』
    Lindberg, D. C. 나남 [2009]
  • (이종훈 하병학 옮김), 『형식논리학과 선험논리학』
    Husserl, E. 나남 [2010]
  • (이종훈 옮김),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Husserl, E. 한길사 [2003]
  • (이종훈 옮김), 『시간의식』
    Husserl, E. 한길사 [2003]
  • (이종훈 옮김),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3』
    Husserl, E. 한길사 [2009]
  • (이종훈 옮김),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2』
    Husserl, E. 한길사 [2009]
  • (이종훈 옮김),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1』
    Husserl, E. 한길사 [2009]
  • (이종훈 옮김), 『데카르트적 성찰』
    Fink, E. Husserl, E. 한길사 [2016]
  • (이종훈 옮김), 『경험과 판단』
    Husserl, E. ㈜믿음사 [1997]
  • (이재영 옮김), 『철학의 탄생』
    Vamvacas, C. J. ㈜알마 [2008]
  • (이영호 이종훈 옮김), 『현상학의 이념/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
    Husserl, E. 서 광사 [1989]
  • (이길우 옮김), 『현상학』
    Marx, W. 서광사 [1989]
  • (안명진 역), 『후설철학과 코기토』
    Berger, G. 대명인쇄 [1998]
  • (신오현 옮김), 『현상학적 심리학 강의』
    Husserl, E. ㈜민음사 [1992]
  • (신오현 옮김), 『심리현상학에서 선험현상학으로』
    Husserl, E. ㈜민음사 [1994]
  • (백종현 옮김), 『순수이성비판2』
    Kant, I. 아카넷 [2014]
  • (백종현 옮김), 『순수이성비판1』
    Kant, I. 아카넷 [2014]
  • (박인성 옮김), 『현상학적 마음』
    Gallagher, S. Zahavi, D. 도서출판b [2013]
  • (김점석 옮김), 『신화와 형이상학』
    Gusdorf, G. 문학동네 [2003]
  • (김성진 옮김), 『고대 그리스 철학』
    Ricken, F. 서광사 [2000]
  • (김동효 옮김), 『방법서설/성찰/정념론/철학의 원리』
    Descartes, R. 삼성출판사 [1987]
  • (강성위 옮김), 『서양철학사』, 상권
    Hirschberger, J. 이문출판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