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4·19세대 소설의 자기형성과 분화

고지혜 2018년
논문상세정보
' 4·19세대 소설의 자기형성과 분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60년대
  • 4 · 19세대
  • 개인
  • 교양소설
  • 김승옥
  • 박태순
  • 발전주의
  • 서정인
  • 세대론
  • 이청준
  • 자기형성
  • 자유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02 0

0.0%

' 4·19세대 소설의 자기형성과 분화' 의 참고문헌

  •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김병익 민음사 [1972]
  •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 김현 문학전집②
    김현 문학과지성사 [1991]
  • 혁명과 웃음
  • 해방 40년: 민족 지성의 회고와 전망
    김병익 김주연 문학과지성사 [1985]
  • 한국현대소설비판
    김윤식 일지사 [1981]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김영민 소명출판 [2000]
  •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년대
    이혜령 창비, 2016 [1960]
  • 한국현대 비평의 이념과 성격
    한수영 국학자료원 [2000]
  • 한국문학의 반성
    염무웅 민음사 [1974]
  • 한국단편문학전집18: 야행
    김승옥 정음사 [1972]
  • 한국 현대 문학 50년
    유종호 민음사 [1995]
  • 한국 문단사
    김병익 문학과지성사 [2001]
  • 탕아를 위한 비평
    황종연 문학동네 [2012]
  • 지식의 현장 담론의 풍경: 잡지로 보는 인문학
    권보드래 한길사 [2012]
  • 지리산 옆에서 살기
    서정인 미학사 [1990]
  • 작가의 작은 손
    이청준 열화당 [1978]
  • 자서전들 쓰십시다
    이청준 열화당 [1977]
  • 이청준 전집9: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4]
  • 이청준 전집8: 조율사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1]
  • 이청준 전집4: 소문의 벽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1]
  • 이청준 전집3: 꽃과 소리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2]
  • 이청준 전집2: 매잡이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0]
  • 이청준 전집1: 병신과 머저리
    이청준 문학과지성사 [2010]
  • 이청준 깊이 읽기
    권오룡 문학과지성사 [1999]
  • 위반의 시학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1993]
  • 우리 소설과의 만남
    김윤식 민음사 [1986]
  •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이호철 양우당 [1987]
  • 싫을 때는 싫다고 하라
    김승옥 자유문학사 [1988]
  • 시선의 문학사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2015]
  •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천정환 마음산책 [2014]
  • 소문의 벽
    이청준 민음사 [1972]
  •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 서울, 년 겨울
    김승옥 창우사, 1966 [1964]
  • 산문시대와 새로운 문학장(場)의 맹아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4
    서영인 한국문 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 사상계 신인문학상과 년대 소설의 형성 , 우리문학연구 49
    고지혜 우리문학 회, 2016 [1960]
  • 사상계와 년대 문학
    김건우 소명출판, 2003 [1950]
  • 사라진 밀실을 찾아서
    이청준 월간에세이 [1994]
  •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 김현 문학전집⑦
    김현 문학과지 성사 [1992]
  • 별을 보여 드립니다
    이청준 일지사 [1971]
  • 벌판
    서정인 나남 [1984]
  • 민족의 꿈 시인의 꿈
    박태순 한길사 [1986]
  • 문화와 권력
    현택수 나남출판 [1998]
  • 문학의 위족 2
    이남호 민음사 [1990]
  •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김윤식 그린비 [2013]
  • 문학과지성의 초기 행보와 민족주의 비판 , 상허학보 43
    송은영 상허학회 [2015]
  • 문학과 상황인식-한국문학 무엇인 문제인가
    염무웅 유종호 전예원 [1980]
  • 문학, 존재의 변증법
    정과리 문학과지성사 [1985]
  • 문학, 존재의 변증법 2
    정과리 청하 [1986]
  • 무너진 극장
    박태순 정음사 [1972]
  • 무너진 극장
    박태순 책세상 [2007]
  • 말없음표의 속말들
    이청준 나남 [1985]
  • 르네상스인 김승옥
    백문임 앨피 [2005]
  • 뜬 세상 살기에
    김승옥 지식산업사 [1977]
  •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사상계연구팀 소명출판 [2012]
  • 내가 만난 하나님
    김승옥 도서출판 작가 [2004]
  • 낮에 나온 반달 정처
    박태순 삼성출판사 [1973]
  • 김주연 평론문학選
    김주연 문학사상사 [1992]
  • 김승옥 소설전집 1~5
    김승옥 문학동네 [2004]
  • 김병익 깊이 읽기
    성민엽 문학과지성사 [1998]
  • 글동네에서 생긴 일
    정규웅 문학세계사 [1999]
  •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김영찬 소명출판 [2006]
  • 권력과 학술장: 년대~1980년대 초반
    김영선 서은주 신주백 혜안, 2014 [2014]
  • 강
    서정인 문학과지성사 [1976]
  • 강
    서정인 문학과지성사 [1996]
  •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나병철 문예출판사 [2007]
  • 가족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권명아 책세상 [2000]
  • 가위
    서정인 홍성사 [1977]
  • 가위
    서정인 책세상 [2007]
  • 가슴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박태순 열화당 [1977]
  • 1960년을 묻다
    권보드래 천정환 천년의상상, 2012 [2012]
  • 1960년대 문학연구
    문학사와 비평 연구회 예하, 1993 [1993]
  • 1960년대 문학연구
  • 후송
    서정인 사상계 [1962]
  • 황석영과 서정인 소설의 ‘작부’ 재현 방식과 그 의미 , 한국학연구 46
    정재림 고려 대 한국학연구소 [2013]
  • 황벼주 체제의 지배담론-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황병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8]
  • 형성
    박태순 세대 [1966]
  • 혁명, 언어, 젊음: 4 19의불가능성과4 19세대문학 , 한국학논집 51
    김영찬 계명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해방후 한글세대의 독서체험과 글쓰기 , 어문론총 71
    박숙자 한국문학언어학회 [2017]
  • 박사
  •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서사시학 연구
    최현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
    김병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
    남미영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한국 발전주의의 담론 구조 , 경제와 사회 103
    김종태 비판사회학회 [2014]
  •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단편양식의 위상-단편의 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 민 족문학사연구 16
    박헌호 민족문학사학회 [2000]
  • 한국 근대소설사 연구에서‘양식’의 문제-양식론의 이론적 위상과그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 , 국어국문학 132
    박헌호 국어국문학회 [2002]
  • 푸코를읽는김현-비평의전회와실존의곤혼 , 민족문학사연구 59
    김항 민족문학 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 편, 증언으로서의 문학사
  • 퇴원
    이청준 사상계 [1965]
  • 최인훈 소설의 세대론적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죄의식과 주체화 , 한국현대 문학연구 37
    서영채 한국현대문학회 [2012]
  • 초기 산업사회의 명암과 그 지양-김승옥의 역사 에 대한 구조적 분석 , 어 문논집 48
    이승준 민족어문학회 [2003]
  • 좌담: 문학과 세대적 체험론 , 문예중앙
    김승옥 겨울 [1977]
  • 제3세대-‘새 차원’의 음악을 듣자
    이어령 중앙일보 [1966]
  • 젊은이는 무엇인가
    박태순 아세아 [1969]
  • 자유주의와 우울-김승옥론 , 민족문학사연구 30
    조현일 민족문학사학회 [2006]
  • 이야기로서의 한국 현대사, 국민 형성과 발전의 신화 , 사이(SAI) 20
    황병주 국제 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 의상을 입어라
    서정인 세대 [1963]
  • 우산
    비와 서정인 세대 [1966]
  • 역사의식과 소시민의식-60년대 예술비평
    구중서 사상계 [1969]
  • 여순사건과 4월 혁명, 혹은 김승옥 문학의 시공간 정치학: 반공과 자유주의의 길항 관계를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22
    김미란 대중서사학회 [2009]
  • 여성교양소설의 불/가능성-‘한국-루이제 린저’의 경우(1)
    김미정 문학과 사회 116 [2016]
  • 앙팡 모랄리스뜨-우리 세대의 문학
    김병익 사상계 [1968]
  • 앓는 세대의 문학
    김윤식 현대문학 [1969]
  • 알레고리로서의 419와 519-박종홍과 마루야마 마사오의 , 상허학보 30
    김항 상허학회, 2010 [1960]
  • 시각체험과 6 70년대 도시빈민 소설의 새로운 형식-박태순과 조세희 소설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33(2)
    김주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 소환되는 역사와 혁명의 기억-최인훈과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 상허학 보 30
    서은주 상허학회 [2010]
  • 소유, 교환, 화폐-자본주의와 소설시학: 김승옥 소설을 대상으로 , 현대문학 의 연구 27
    차혜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05]
  • 소시민, 레드콤플렉스의 양각-~70년대 염상섭과 한국 리얼리즘론의 사 정 , 대동문화연구 82
    이혜령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960]
  • 소설의 방법
    이어령 사상계 [1963]
  • 세상의 이치
  • 세대의 역사, 그 가능성과 과제 , 서양사론 93
    고유경 한국서양사학회 [2007]
  • 세대와 세대담론의 문화정치 , 사이(SAI) 9
    이기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한국인구학 25(2)
    전상진 한국인구학회 [2002]
  • 세대교체의 진정한 의미
    김현 세대 [1969]
  • 세대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박재흥 한국 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한국 사 회학회 [2002]
  •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 , 한국 사회학 38(5)
    전상진 한국 사회학회 [2004]
  • 성장소설과 발전 이데올로기 , 상허학보 12
    차혜영 상허학회 [2004]
  •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 서정인의 강 에 나타나는 서술방식 연구 , 인문과학논총 17
    정혜경 순천향대학교 [2006]
  • 서정인의 <강>에 나타난 공간 구조의특징과 의미 , 어문연구 81
    김민옥 어문연구 학회 [2014]
  • 서정인 초기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타율성과 책임의 관련 양상 , 한국학논집  34
    이수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서정인 강의 서사적 은유 , 시학과 언어학 15
    오윤호 시학과 언어학회 [2008]
  • 서울 년의 외로운 방랑자 ,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김승옥 양우당, 1987 [1960]
  • 새시대 문학의 성립-인식의 출발로서 60년대
    김주연 아세아 창간호 [1969]
  • 산업화시기야성적상상력의서사적양상-김승옥과홍성원의소설을중심으 로 , 현대소설연구 52
    오양진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 사상계를 읽다
    권보드래 아프레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 비루한 것의 카니발
    황종연 문학동네 [2001]
  • 불안한 주체와 근대 , 상허학보 12
    김영찬 상허학회 [2004]
  • 분열에대하여-청년김승옥과무진(霧津)으로떠나기이전의그의소설들 ,  작가세계 65
    차미령 세계사 [2005]
  • 분열식
    서정인 월간중앙 [1968]
  • 별을 보여 드립니다-불혹의 세월이 남긴 기록들
    이윤옥 열화당 [2013]
  • 반복과종언혹은년대문학/문화연구의문제들 , 사이(SAI) 14
    김영찬 국제한 국문학문화학회, 2013 [1960]
  • 박태순초기소설에나타난작가의식연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10
    김진기 한국문 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 박정희 체제의 통치성, 인구, 도시 , 현대문학의 연구 52
    송은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 박정희 체제의 근대적 시공간 인식과 시골/도시 담론 , 역사연구 31
    황병주 역사학 연구소 [2016]
  •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 민족문학사연구 44
    권보드래 민족문학사학회 [2010]
  • 미감아의 질주
    염무웅 세대 [1967]
  • 물결이높던날 의서술기법연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55
    윤애경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학회 [2012]
  • 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 , 상허학보 13
    전상기 상허학회 [2004]
  • 문학연구의 우울 , 현대문학의 연구 57
    김영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 문학사와 비평
    김윤식 문학사와 비평1 [1991]
  • 문학과 사회, 그리고 문학연구 , 상허학보 37
    강진호 상허학회 [2013]
  • 문단의 세대연대론
    김병익 사상계 [1967]
  • 무너진 극장
    박태순 월간중앙 [1968]
  • 땅 언덕 위-외촌동 사람들
    박태순 정든 민음사 [1973]
  • 딜레마의 미학-김승옥론 , 작가세계 65
    정혜경 세계사 [2005]
  • 동인지 산문시대 연구 , 우리문학연구 21
    임영봉 우리문학회 [2007]
  • 동원된 근대화
    조희연 후마니타스 [2010]
  • 도전의 문학
    임헌영 사상계 [1969]
  • 대도시와 군중-박태순의 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 22
    조현일 한국현대문학회 [2007]
  • 내 인생 속의 문학 ,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서정인 양우당 [1987]
  • 나의 문학, 나의 소설작법
    이청준 현대문학 [1984]
  • 끝에서 본 기원과 비평/문학 연구 , 상허학보 35
    김영찬 상허학회 [2012]
  • 김승옥과 ‘고백’의 문학
    송태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
    김미란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김병익의 초기 대중문화론과 4.19세대의 문화민주주의 , 대중서사연구 20(3)
    송은영 대중서사학회 [2014]
  •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 근대의 서사시
  • 근대어의 형성과 한국문학의 언어적 정체성: 한글세대 문학언어의 특징-김승 옥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 59
    서영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광주단지 4박5일
    박태순 월간중앙 [1971]
  • 과도기 의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김승옥의 강변부인 에 대하여 , 반교 어문연구 33
    오양진 반교어문학회 [2012]
  • 공알앙당
    박태순 사상계 [1964]
  • 계승의 문학적 인식-<소시민의식> 파악이 갖는 방법론적 의미
    김주연 월간문학 10 [1969]
  • 개인의 진실과 그 꿈속의 말 ,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이청준 양우당 [1987]
  • 개인과 사회의 대립적 인식과 그 의미
    류보선 문학사상 211 [1990]
  • 개발독재 시대의 윤리와 부(富): 광주대단지사건의 텍스트들과 ‘이웃사랑’의 문제 , 민족문학사연구 61
    정주아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 개발 독재 체계의 알레고리-∼70년대 서정인의 소설을 중심으로 , 상허 학보 11
    서은주 상허학회, 2003 [1960]
  • 가족 관계와 ‘가난과 이주’에 대한 윤리적 대응 연구-김승옥의 염소는 힘이 세다 , 생명연습 , 역사 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 35
    오윤호 국제어문학회 [2005]
  • 박사
  • ’발전국가‘의 변화와 국가-시민사회, 사회운동의 변화: 한국에서의 발전주의의 성격 및 사회운동의 변화를 중심으로 , 사회와 철학 4
    조희연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2]
  • ‘아비 부정’, 혹은 년대 미적 주체의 모험 , 상허학보 12
    장세진 상허학회, 2004 [1960]
  • ‘시민-소시민 논쟁’의 정치학 , 현대문학의 연구 29
    김미란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
  • ‘순수’한 청년들의 ‘평화’ 시위와 오염된 정치 공간의 정화 , 상허학보 31
    김미란 상 허학회 [2011]
  • <화전민의식>과 <소시민의식>의 역사적 거리 , 반교어문연구 10
    이봉범 반교어 문학회 [1999]
  • 60년대 작가개관
    정창범 월간문학 14 [1969]
  • 60년대 문학의 위치
    김병익 사상계 [1969]
  • 6, 70년대 장삼이사들의 삶-서정인의 단편들 , 작가세계 21
    이남호 세계사 [1994]
  • 4월 혁명의 재조명: 사회학적 해석 , 문학과 사회 50
    김호기 문학과지성사 [2000]
  • 4 19혁명의 사회학적 분석 , 사상 4
    한상진 사회과학원 [1990]
  • 4 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소시민 논 쟁과 리얼리즘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 35
    이현석 한국현대문학회 [2011]
  • 4 19와 한국문학-무엇이 말해지지 않았는가?
  • 4 19시기 과연 혼란기였나 , 역사비평 8
    김동춘 역사문제연구소 [1990]
  • 4 19세대의 회고와 반성 , 문화과학 62
    강내희 문화과학사 [2010]
  • 4 19세대의 문화사적 의미 , 황해문화 67
    임헌영 새얼문화재단 [2010]
  • 4 19세대 작가들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낙오자’ 모티프의 의미 , 한국근대 문학연구 16
    김건우 한국근대문학회 [2007]
  • 4 19세대 비평의 유형학 , 문학과 사회 50
    김동식 문학과지성사 [2000]
  • 4 19세대 비평의 성과와 한계 , 문학과 사회 50
    권성우 문학과지성사 [2000]
  • 4 19세대 비평 담론의 형성과정 , 우리문학연구 16
    임영봉 우리문학회 [2003]
  • 2005년의 무진기행 , 작가세계 65
    김경수 세계사, [2005]
  • 1970년대 창작과 비평 민족문학론 연구
    한영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012]
  • 1970년대 문학사회학의 담론 지형 , 현대문학의 연구 45
    서은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2011]
  • 1968년의 작가상황
    김현 사상계, 1968.12 [1968]
  • 1964년의 담론 지형: 반공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성장주의 , 대 중서사연구 22
    김건우 대중서사학회, 2009 [2009]
  • 1960~70년대 소설에 나타난 서울의 변화와 서울 사람의 탄생
    김문정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017]
  • 1960년대 후반 문학 담론에서 ‘자유’와 민주주의 근대화주의의 관계 , 상허학 보 41
    김현주 상허학회, 2014 [2014]
  • 1960년대 후반 ‘자유’의 인식론적, 정치적 전망-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  현대문학의 연구 48
    김현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2012]
  •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노영기 외 선인, 2004 [2004]
  • 196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 양상 연구
    백지연 경희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08]
  •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 연구
    복도훈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14]
  • 1960년대 초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 , 역사비평 65
    임대식 역사문제연구소, 2003 [2003]
  • 1960년대 지식인 소설 연구
    임경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001]
  • 1960년대 지성계의 동향-산업화와 근대화론의 대두와 지식인사회의 변동 , 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1963~1970
    홍석률 백산서당, 1999 [1999]
  • 1960년대 지배담론의 수사와 서울 1964년 겨울 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 Journal of Korean Culture
    박진영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4 [2014]
  • 1960년대 인구사회학적 변화와 도시화 ,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1963~ 1970
    박길성 백산서당, 1999 [1999]
  • 1960년대 외국문학 전공자 그룹과 김현 비평 , 국제어문 40
    박연희 국제어문학회, 2007 [2007]
  • 1960년대 소설의 주체와 지식인적 정체성 , 상허학보 12
    임경순 상허학회, 2004 [2004]
  • 1960년대 소설의 소시민적 성격 고찰 , 어문연구 33
    오창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2005]
  • 1960년대 소설의 나르시시즘 연구
    강유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005]
  •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시민적 일상성과 자기세계의 양상 , 동아인문학 24
    윤애경 동아인문학회, 2013 [2013]
  • 1960년대 세대론 연구 , 한국문예비평연구 3
    홍성식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8 [1998]
  • 1960년대 문학적언어관의지형—순수/참여논쟁의결과에드러난1960년대적 ‘문학성’의 양상 , 국제어문 46
    백지은 국제어문학회, 2009 [2009]
  •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을 ‘다시’ 생각한다 , 상허학보 40
    김영찬 상허학회, 2014 [2014]
  • 1960년대 문학과 6 25의 기억 , 세계문학비교연구 35
    김영찬 세계문학비교학회, 2011 [2011]
  • 1960년대 문학, 문화원형의 문학공간으로 평가되기를 기대하며 , 상허학보 40
    박태순 상허학회, 2014 [2014]
  • 1960년대 등단제도의 문단적 문학적 의의와 영향 , 반교어문연구 37
    이봉범 반교 어문학회, 2014 [2014]
  • 1960년대 등단제도 연구 , 상허학보 41
    이봉범 상허학회, 2014 [2014]
  • 1960년대 도시발달의 유형과 특징-발전주의국가의 공간조작 , 1960년대 사 회변화 연구: 1963~1970
    강명구 백산서당, 1999 [1999]
  • 1960년대 담론 환경의 변화와 지식인 통제의 조건에 대하여 , 대동문화연구 74
    김건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2011]
  • 1960년대 ‘방’을 통해 재현된 도시적 불안-김승옥의 <역사>와 박태순의 <서 울의 방>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20
    오창은 우리문학회, 2006 [2006]
  • 1960년대 4 19세대의 비평의식과 서정주론 , 한국문학연구 48
    서은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5 [2015]
  • 박사
    1960.70년대 한국문학비평 연구
    전상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002]
  • 1950년대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실존주의를중심으로 , 헤겔 연구 27
    나종석 한국헤겔학회, 201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