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

윤성호 2018년
논문상세정보
'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북한산주
  • 신라
  • 아차산성
  • 한강 유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5 0

0.0%

'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 의 참고문헌

  • 林炳泰, 1967, 「新羅小京考」歷史學報35,36.
  • 李鎔賢, 1999, 加耶と東アジア諸國, 國學院大學 博士學位論文.
  • 李鎔賢, 1997, 「五世期末における加耶の高句麗接近と挫折 -顯宗三年紀是歲條 の檢討-」東アジアの古代文化90.
  • 李銖勳, 1995, 新羅 中古期 村落支配 硏究, 釜山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李明植, 1992, 「慶州 南山新城碑」譯註 韓國古代金石文2, 駕洛國史蹟開發硏 究院.
  • 李昌鉉,辛裕梨, 2010, 「嶺東地方 三國時代 住居址 試論」文化史學33.
  • 李文基, 1997, 新羅兵制史硏究, 一潮閣.
  • 李成市, 1999, 「韓國出土の木簡について」木簡硏究19.
  • 李成市, 1996, 「新羅と百濟の木簡」木簡が語る古代史, 吉川弘文館.
  • 李成市, 1979, 「新羅六停の再檢討」朝鮮學報92.
  • 李基白,李基東, 1982, 韓國史講座Ⅰ-古代篇, 一潮閣.
  • 李基白, 1978,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 李基白, 1976, 韓國史新論, 一潮閣.
  • 李在煥, 2007, 洛東江 上流地域 橫穴式石室 硏究,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 李仁哲, 1993, 新羅 政治制度史 硏究, 一志社.
  •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 李丙燾, 1976,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 李丙燾, 1956, 斗溪雜筆, 一潮閣.
  • 梁柱東, 1965, 增訂古歌硏究, 一潮閣.
  • 臨河댐水沒地域 文化遺蹟 發掘調 査報告書Ⅱ
  • 龍仁할미산성 試掘調査報告書
  • 嶺南大路 -韓國古代路의 歷史地理的 硏究
    崔永俊 高麗大學校 民族 文化硏究所 [1990]
  • 漣川 瓠蘆古壘Ⅳ
  • 漣川 瓠蘆古壘Ⅲ-第2次 發掘調査報告書
  • 漣川 瓠蘆古壘 -精密地表調査報告書-
  • 驪州 梅龍里 용강골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 驪州 梅龍里 용강골古墳群 Ⅱ 發掘調査報告書
  • 화천 원천리 2지구 유물산포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 화천 거래리 유적 -4대강 살리기 북한강 12공구 거례1지구 4구간 A, C~F구역
  • 홍련봉 1, 2보루
  • 홍련봉 1, 2보루
  • 홍련봉 1, 2보루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 함양 사근산성 서문지구간 발굴조사 결과 약보고서
  • 함양 사근산성 -추정동문지 구간 발굴조사-
  • 한우물 -虎岩山城 및 蓮池發掘調査報告書
  • 한성지역 백제토기 분류표준화 방안 연구
  • 한국의 홍수
    건설부 [1969]
  • 한국고지명사전
    전용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93]
  •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노태돈 집문당 [2009]
  •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이해
    신형식 주류성 [2009]
  • 한국 국제전시장전용 진, 출입도로 개설공사 구 간 강매-원흥간 도로 개설공사구간 시굴조사 보고서
  • 한국 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김영하 주류성 [2012]
  • 한강유역의 고구려요새 -구의동유적 발굴조 사 종합보고서
  • 포천 반월성 남벽보수구간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집
  • 포천 반월산성 북벽 보수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 포천 반월산성 -종합보고서(Ⅰ)-
  • 평택 자미산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 평택 가곡리 유적 -평택 진위2 일반산업단지(1단 계) 조성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 파주 칠중성 지표조사 보고서
  • 파주 오두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 파주 덕진산성 정밀지표조사 및 시굴조사 보고서
  • 파주 덕은리 유적
  • 특별전 고구려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
  • 통일동산 및 자유로 개발지구 발 굴조사 보고서
  • 충주 탑평리유적(중원경 추정지) 발굴조사 보고서
  • 충주 제철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보고서
  • 청주 정북동토성 해자 터 연장발굴조사 약보고서 - 동벽구간, 남문지 외측~서북벽 구간-
  • 지방도 357호선(제2자유로 및 연결도로)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허태용 아카넷 [2009]
  • 조선전사 3:중세편 고구려사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1]
  • 전쟁과 역사
    임용한 혜안 [2001]
  • 자유로 2단계지역 문화유적 발 굴조사 보고서
  •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Ⅲ)
    김현구 일지사 [2003]
  •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Ⅱ)
    김현구 일지사 [2003]
  • 인천 계양산성 제8차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
  • 인천 계양산성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 인천 계양산성 9차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 인천 계양산성 7차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 이천목리 기와가마터 -이천 마장휴게시설부지 문화 재 시 발굴조사 보고서-
  • 이천 설봉산성 3차 발굴조사 보고서
  • 이마니시 류 今西龍의 신라사연구
  • 의왕 모락산성
  • 의식과 전쟁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박대재 책사랑 [2003]
  • 음성 망이산성 -2014 발굴조사 보고서-
  • 월롱산성 -정밀 학술조사 보고서-
  • 용인 할미山城(Ⅳ)
  • 용인 할미山城(Ⅲ) -2차 발굴조사 보고서-
  • 용인 할미山城(Ⅱ) -1차 발굴조사 보고서-
  • 용인 보정리 소실유적
  • 용인 보정리 고분군 발굴조사 보고
  • 용인 보정동 고분군 종합정비계획 보고서
    용인시 [2015]
  • 용인 보정동 고분군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 료-
  • 용인 보정동 988-1번지 일원 유적
  • 용인 보정동 442-1 유적
  • 온달산성-2012년 발굴조사 보고서-
  • 오산 독산성 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 오두산성Ⅰ
  • 오두산성 성곽 보수, 정비 관련 동벽 유 구조사보고서
  • 예산지역 백제산성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 예산산성 문화유적 발굴(시굴)조사 약보고서
  • 연천 은대리성 지표 및 시, 발굴조사 보고서
  • 연천 무등리 2보루
  • 연천 무등리 1보루 정밀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 료집
  • 연천 당포성2-시굴조사보고서-
  • 연천 당포성 발굴조사 약보고서
  • 역사자료로 본 삼국과 한강
    황보경 주류성 [2016]
  • 여주 황학산 수목원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驪州 梅龍里 遺蹟
  • 여주 파사성 7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 여주 술천성 주변 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 여주 상리 고분(94, 97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 양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 양천고성지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서울 양천고 성지 제5차 발굴조사) -5차 자문위원회의 자료집
  • 양주 태봉산보루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4차 발굴 조사 약보고서
  • 양주 태봉산 보루Ⅱ
  • 양주 태봉산 보루Ⅰ
  • 양주 대모산성 발굴조사 보고서
  • 양주 대모산성 -동문지, 서문지-
  • 안성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 안성 죽주산성 남벽 정비구간내 유적
  • 안산 성태산성 지표조사보고서
  • 아차산의 전설
  • 아차산의 전설
    김민수 고구려역사문화보전회 [2007]
  • 아차산의 역사와 숨결
    김민수 광진구 [2001]
  • 아차산성 망대지 일원 학술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아차산성 남벽 및 집수지 발굴조사 2차 자문회의 자료집
  • 아차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 아차산성 -‘96보수구간내 실측 및 수습발굴 조사보고서-
    광진구 [1998]
  • 아차산 제4보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 아차산 시루봉 보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의 남진경영
    최종택 서경문화사 [2013]
  • 아차산 4보루 발굴조사 보고서
  • 신라의 북방영토와 김유신
    강경구 학연문화사 [2007]
  • 신라의 바다 황해
    권덕영 일조각 [2012]
  •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이정숙 혜안 [2012]
  • 신라 정치경제사 연구
    이인철 일지사 [2003]
  •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서영일 학연문화사 [1999]
  • 신라 북진기 한강유역과 용인 할미산성」용인 할미산성 발굴 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서영일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5]
  • 세종특별자치시 금이성 복원정비사업 문화재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 서울 호암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 서울 우면동 유적
  • 서울 양천고성지
  • 서울 명륜동 유적
  • 서울 동대문구 전농2동 생태공원 조성부지 내 유 적(배봉산 토루지) 정밀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집
  • 서울 독산동 유적
  • 서부 경남의 성곽
  • 삼척의 고고문화
    이상수 삼척시립박물관 [2012]
  • 삼성동토성 추정지 일대 발굴을 위한 기초조사 용역 보고서
  • 삼국통일전쟁사
    노태돈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 삼국시대 중부지역의 주거시설연구 -주거시설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최인창 수원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 삼국사기 사료비판론
    강종훈 여유당 [2011]
  •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김기흥 역사비평사 [1991]
  • 사비시대 백제토기연구
    김종만 서경 [2004]
  • 불암산성 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 북한산 역사지리
    김윤우 범우사 [1995]
  • 백제토기 탐구
    박순발 주류성 [2006]
  • 백제의 흥망과 전쟁
    문안식 혜안 [2006]
  • 백제의 전쟁
    김수태 주류성 [2007]
  •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노중국 지식산업사 [2012]
  • 백제의 국제관계
    梁起錫 서경문화사 [2006]
  • 백제사연구
    조희승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 백제 한성,웅진성 시대 연구
    이도학 일지사 [2009]
  • 백제 고대국가 연구
    李道學 一志社 [1995]
  •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김일규 학연문화사 [2015]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1-수로왕에서 월광태자까지
    김태식 푸른 역사 [2002]
  • 문화유적 분포지도 -영동군-
  • 문학산의 역사와 문화유적
  • 문경 고모산성1 -남문, 남동곡성 발굴조사-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 당성 3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 단양의 고을고을 그 역사따라 향기따라
  • 단양 적성 -북문 일원 보수공사 서벽구간 시굴조사 보고서-
  • 단양 온달산성 문화재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 단양 온달산성 문화재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 단양 도담-영천 간 복선전철구간 내 단양 당동리 고분군 발굴 조사 약식 보고서
  • 단양 赤城 어제와 오늘
  • 단양 溫達山城 -서문지일원 발굴조사보고서-
  •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편년 -장동호와 옹을 중심으로- 
    김한성 숭실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 연구
    심광주 상명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남한의 고구려 유적 현황조사 및 보존정비 기본계획(안)
  • 남한산성 암문(4). 수구지 일대 발굴조사
  • 남양주의 역사와 문화유적
  • 남양주 수석리 보루
  • 남양주 수석동 유적
  • 남양주 별내 유적Ⅲ
  • 나당전쟁사 연구
    서영교 아세아문화사 [2006]
  • 김포 대능리 유적 -김포 수안산성 주변 이주단지 내 유적 시, 발굴조사-
  • 금석문과 신라사
    朱甫暾 지식산업사 [2002]
  • 광개토왕릉비 1966, 사회과학출판사;
    朴時亨, 푸른나무 [2007]
  • 고양 행주산성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자 문회의 자료집
  • 고양 멱절산유적(1차)
  • 고양 멱절산 유적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 고양 도내동 원당유적
  • 고신라 금석문 연구
    김창호 서경문화사 [2007]
  • 고령 주산성 현장설명회 자료
  • 고대한국 초기국가의 왕과 전쟁
    박대재 景仁文化社 [2006]
  •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최광식 한길사 [1994]
  •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김현숙 모시는 사람들 [2005]
  • 고구려사의 제문제
    손영종 사회과학출판사 [2000]
  • 고구려사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 고구려사연구
    강인숙 리지린 사회과학출판사 [1976]
  • 고구려력사연구-고구려건국과 삼국통일을 위한 투쟁, 성곽-
    채희국 종합대학출판사 [2000]
  • 고구려 정치사 연구
    임기환 한나래 [2004]
  • 고구려 유물 연구
  • 고구려 성 연구
    양시은 진인진 [2016]
  • 고구려 대외정복 연구
    李仁哲 백산자료원 [2000]
  • 고구려 남방 진출사
    장창은 景仁文化社 [2014]
  •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李道學 서경 [2006]
  • 계양산성Ⅲ
  • 계양산성Ⅱ
  • 계양산성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경남지역 고대 石築山城의 연구
    안성현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Ⅱ -한강 Vol. 2 문화유 적(1)
  •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Ⅰ- 임진강 Vol2 문화 유적(1)
  • 경기도 김포시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강원도 화천군 춘천시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 강릉 경포대 현대호텔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가야제국사연구
    이영식 생각과 종이 [2016]
  • 가야제국과 동아시아
    이용현 통천문화사 [2007]
  • 龍仁 彦南里 -統一新羅 生活遺蹟-
  • 高麗 南京 硏究
    최혜숙 景仁文化社 [2004]
  • 高句麗 滅亡 硏究
    鄭媛朱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高句麗 南進政策 硏究 -臨津江에서 錦江까지-
    백종오 서경 [2006]
  • 驪州 婆娑城Ⅱ-2~4차 발굴조사 보고서-
  • 驪州 婆娑城Ⅰ-긴급수습 및 1차 발굴조사 보고서-
  •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金瑛河,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2001]
  • 韓國古代史의 硏究
    李弘稙 新丘文化社 [1971]
  •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金貞培, 신서원 [2000]
  • 韓國古代史學史
    정구복 景仁文化社 [2008]
  • 韓國 古戰史 -古代編-
  • 陜川 大耶城 -陜川郡 大耶城 考證을 爲한 1, 2차 試掘 調査 報告書-
  • 軍事保護區域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江原道篇)
  • 行政中心複合都市 中央綠地空間 및 生活圈 2-4區 域 內 低濕8遺蹟(北쪽) 燕岐 羅城里遺蹟
  • 華川의 歷史와 文化 遺蹟
  • 華川 居禮里遺蹟 -4대강(북한강)살리기 사업구간 내 화천 거례리유물산포지 1지구 5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 華城 석우리 먹실 遺蹟
  • 華城 長安里 遺蹟 -이화-삼계 간 도로 확, 포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 華城 松山洞 農耕遺蹟
  • 聞慶 新峴里 古墳群Ⅱ -2006년도 발굴조사-
  • 考古資料로 본 6~7世紀 新羅의 漢江流域 支配
    李承勳 慶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2010]
  • 統一新羅의 北方進出 硏究
    趙二玉 서경문화사 [2000]
  • 百濟政治史硏究
    노중국 一潮閣 [1988]
  • 百濟城址硏究
    成周鐸 서경문화사 [1990]
  • 百濟 泗沘時代 政治史 硏究
    김주성 全南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0]
  • 百濟 交通路의 考古學的 硏究
    李販燮 忠南大學校 考古學科 博士學 位論文 [2015]
  • 烏山 佳水洞 遺蹟 -늘푸른오스카빌 아파트신축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본문 2>
  • 漣川 大田里山城Ⅰ-시, 발굴조사 보고서-
  • 漢城百濟의 誕生
    박순발 서경문화사 [2001]
  • 溫達山城의 歷史와 文化
  • 淸州 父母山城Ⅰ-1,2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북문 지, 수구부 일원-
  • 淸州 父母山城 -西壁區間 맟 母乳井, 第1堡壘-
  • 法泉里Ⅱ
  • 法泉里Ⅰ
  • 月山 李昊榮의 韓國史學 編歷
    李昊榮 서경문화사 [1984]
  • 曾平 추성산성 -4次 (北城 1次) 發掘調査 報告書-
  • 春川 牛頭洞 遺蹟Ⅰ-직업훈련원 진입도로 확포장공 사구간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春川 槿花洞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내 C구역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春川 槿花洞 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내 B구역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Ⅱ>三國時代(新羅/統一新 羅)~鐵器時代
  • 春川 槿花洞 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 내 A구역 유적 발굴조사-
  • 春川 松岩洞遺蹟 -춘천 의암 레저스포츠타운 조성 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新羅의 據點城 축조와 지방 제도의 정비과정
    朴省炫 서울大學校 國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10]
  • 新羅의 何瑟羅 經營 硏究
    홍영호 景仁文化社 [2006]
  •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李基東 一潮閣 [1984]
  •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李昊榮 書景文化社 [2001]
  • 新羅 地方統治體制 硏究
    姜鳳龍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4]
  • 新羅 中古期 佛敎敎團 연구
    辛善惠 高麗大學校 韓國史學科 博士學 位論文 [2016]
  • 抱川 城洞里 마을遺蹟
  • 忠州 薔薇山城 -1次 發掘調査 報告書
  • 忠州 樓岩里古墳群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 보고서
  • 忠州 樓岩里古墳群 2차 시, 발굴조사 보고서
  • 忠州 塔坪里 탑평들遺蹟
  • 忠州 下九岩里古墳群 발굴조사보고서
  • 忠州 下九岩里 古墳群 地表調査 및 試掘 調査 報告書
  • 忠州 下九岩里 ㈜애강 工場敷地內 忠州 下九岩里遺蹟
  • 幸州山城 -整備復元을 위한 土城址 試掘調査報告書-
  • 峨嵯山에서의 古代史의 諸問題
    金珉秀, 九里文化院 [1999]
  • 峨嵯山 高句麗 堡壘群의 재고찰
    金英燮 檀國大學校 史學科 碩士學 位論文 [2009]
  • 寧越 正陽山城Ⅰ-사적 제446호 영월정양산성 1~3차 발굴조사 보고서-
  • 安羅國史
    南在祐, 혜안 [2003]
  • 安城 長院里,龍舌里, 唐木里 遺蹟 -안성 두교리-죽 산간 도로건설공사 예정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大田 月平洞忠 遺蹟
  • 城南 麗水洞遺蹟-성남 여수지구 국민임대주택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Ⅲ
  • 古代韓日關係史
    延敏洙, 혜안 [1998]
  • 南韓地域 出土 高句麗土器 硏究
    이형호 고려대학교 고곡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 南漢行宮址 -제6차 발굴조사 보고서-
  • 南漢行宮址 -제4, 5차 발굴조사 보고서-
  • 加平 項沙里 遺蹟 -청평-현리 도로건설공사 예정구 간 문화재 발굴조사(B지구)-
  • 事大主義
    이춘식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 丹陽 斜只院里 태장이墓 第2次 發掘調査 報告書
  • 中原 薔薇山城
  • 三陟의 歷史와 文化遺蹟
  • 7세기 신라 정치사 이해
    박명호 景仁文化社 [2016]
  • 7세기 濟,麗同盟 硏究
    宣奉助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博士 學位論文 [2017]
  • 6세기 후반 高句麗의 대외관계와 阿旦城 공격
    전상우 단국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6~7세기 신라의 전략 전술 무기체계의 개발
    송영대 韓國傳統文化大 學校 文化遺産學科 碩士學位論文 [2015]
  • 6~7세기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 진출 양상」
    심재연 신라문화31 [2008]
  • 5세기 중반~7세기 백제의 대외관계
    박윤선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5~6세기 소백산맥 동북부 일대 신라고분 연구(횡구,횡혈식묘 제를 중심으로)
    李辰赫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2016]
  • 2016년 삼성동토성 추정지 발굴(시굴)조사 완료보고서
  •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당성 4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2017]
  • 고구려사 2
    손영종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7]
  • 鮮文大學校 考古學硏究所, 2008, 桂陽山城 -發掘調査 報告書-.
  • 鮎貝房之進, 1937, 「日本書紀朝鮮關係地名攷」雜攷7, 下卷.
  • 鬼頭淸明, 1976, 日本古代國家の形成と東アジア, 校倉書房.
  • 鬼頭淸明, 1974, 「加耶諸國の史的發展について」古代朝鮮と日本, 龍溪書舍.
  • 高麗文化財硏究院, 2017, 金浦 德浦津 附. 金浦 文殊山城.
  • 高麗文化財硏究院, 2017, 漣川 大田里山城Ⅱ.
  •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2007c, 峨嵯山 第3堡壘 -1次 發掘調査報告書-.
  •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2007b, 紅蓮峰 第2堡壘 -1次 發掘調査報告書-.
  •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2007a, 紅蓮峰 第1堡壘 -發掘調査綜合報告書-.
  • 驪州 婆娑城Ⅲ-5, 6차 발굴조사 보고서-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2.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華城白谷里古墳.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13, 議政府 洛陽洞,民樂洞 遺蹟.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10, 龍仁 寶亭洞,新葛洞 遺蹟.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5, 鎭川-鎭川 I,C間 道路 擴,鋪裝工事區間 內 松頭里 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1, 中部內陸高速道路 忠州區間 文化遺蹟 發掘調査報 告書.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7, 尙州 甄萱山城 地表調査報告書.
  • 關東大學校博物館, 1994, 東海北坪工團造成地域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 閔德植, 1983, 「高句麗 道西縣城考」史學硏究36.
  • 金泰植, 1993, 加耶聯盟史, 一潮閣.
  • 金德原, 2007, 新羅中古政治史硏究, 景仁文化社.
  • 酒井改藏, 1970, 「三國史記の地名考」朝鮮學報54.
  • 郭長根, 1999, 湖南 東部地域 石槨墓 硏究, 書景文化社.
  • 那珂通世, 1895, 「朝鮮古史考 第五章 三韓考」史學雜志6-6.
  • 辛裕梨, 2011, 中部地方 新羅 竪穴式住居址 硏究, 檀國大學校 史學科 碩士 學位論文.
  •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團, 1975,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報告書-1975年度-.
  • 藤田亮策, 1953, 「新羅九州五京攷」朝鮮學報5.
  • 盧鏞弼, 1996, 新羅眞興王巡狩碑硏究, 一潮閣.
  •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94, 稷山 蛇山城.
  • 白井克也, 1992, 「ソウル,夢村土城出土土器編年試案-いわゆる百濟前期都城論 に關連して-」紀要11, 東京大學文學部考古學硏究.
  • 畿甸文化財硏究院, 2011, 坡州 野塘里Ⅱ 遺蹟.
  • 畿甸文化財硏究院, 2009, 加平 大成里遺蹟 -京春線 複線電鐵 事業區間(第4工 區)內 發掘調査 報告書.
  • 畿甸文化財硏究院, 2008, 廣州 大雙嶺里 遺蹟 -城南~長湖院 道路建設工事(2 工區)內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 畿甸文化財硏究所, 2000, 驪州 上里 , 梅龍里 古墳群 精密地表調査報告書.
  • 申采浩, 1948, 朝鮮上古史, 鐵路書院.
  • 申螢植, 1990, 統一新羅史硏究, 三知院.
  • 申螢植, 1981, 三國史記 硏究, 一潮閣.
  • 田中俊明, 2004, 「廣州船里出土文字銘文の解釋と意義」古代文化56.
  • 田中俊明, 2002, 「百濟都城と熊津城」百濟文化31.
  • 田中俊明, 1992,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吉川弘文館.
  • 漢陽大學校博物館, 2003, 金浦 文殊山城 守安山城 試掘調査 報告書.
  • 漢陽大學校博物館, 2002, 富川 古康洞 先史遺蹟 第5次 發掘調査 報告書.
  • 漢陽大學校博物館, 2001, 唐城-2次 發掘調査報告書-.
  • 漢陽大學校博物館, 2000, 二聖山聖 第8次 發掘調査報告書.
  • 漢陽大學校博物館, 1999, 大母山 文化遺蹟 試掘調査 報告書.
  • 漢陽大學校博物館, 1986, 京畿道 百濟文化遺蹟.
  • 漢陽大學校,河南市, 1991, 二聖山城 三次發掘調査報告書.
  • 漢陽大學校,河南市, 1988, 二聖山城 (二次發掘調査 中間報告書).
  • 漢陽大學校 博物館, 1995, 守安山城 地表調査 報告書.
  • 浜田耕策, 1977, 「新羅の城,村設置と州郡制の施行」朝鮮學報84.
  • 洪再善, 1983, 「積城 七重城 調査略報」佛敎美術7.
  • 津田左右吉, 1913, 「眞興王征服地域考」朝鮮歷史地理Ⅰ, 南滿洲鐵道株式會社.
  • 沈秀貞, 2012, 「二聖山城 出土 新羅土器 硏究, 漢陽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 士學位論文.
  • 池內宏, 1960, 滿鮮史硏究(上世 第二冊), 吉川弘文館.
  • 池內宏, 1929, 「眞興王の戊子巡狩碑と新羅の東北境」昭和四年古蹟調査特別報 告, 朝鮮總督府.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7, 㫌善 臨溪里 古墳群.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6, 㫌善 松溪里山城 發掘調査報告書.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6, 㫌善 古城里山城.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5, 洪川 驛內里 古墳群.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5, 春川 鳳儀山城 發掘調査 報告書.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5, 文化遺蹟分布地圖 -高城郡-.
  • 江原文化財硏究所, 2001, 三陟 寥田山城 基本設計(地表調査) 報告書.
  • 武田幸男, 1979, 「眞興王代におつゐ新羅の赤城經營」朝鮮學報93.
  • 武田幸男, 1979, 「新羅官位制の成立」朝鮮歷史論集上, 龍溪書舍.
  • 權悳永, 1997, 古代韓中外交史 -遣唐使硏究-, 一潮閣.
  • 森公章, 2006, 東アヅアの動亂と倭國(戦争の日本史1), 吉川弘文館.
  • 松島惇, 1926, 「阿旦城址考」朝鮮136.
  • 村上四男, 1978, 朝鮮古代史硏究, 開明書院.
  • 李鍾旭, 1980, 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 李基白, 1986,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 李元根, 1976, 「百濟 娘臂城考」史學志10.
  • 李丙燾, 1959, 韓國史-古代篇-, 乙酉文化社.
  • 朴燦圭, 1991, 「百濟 熊津初期 北境問題」史學志24.
  • 末松保和, 1954, 新羅史の諸問題, 東陽文庫.
  • 末松保和, 1930, 「咸南萬德山に發見せられた新羅眞興王の戊子巡狩碑」朝鮮176.
  • 朝鮮總督府, 1928, 朝鮮土木事業誌, 內務局.
  • 朝鮮總督府, 1928, 昭和二年度 古蹟調査報告書2冊.
  • 朝鮮總督府, 1915, 纛島附近百濟時代遺蹟調査略報告.
  • 新羅 後期 古墳文化 硏究
    홍보식 춘추각 [2003]
  • 文明大, 1980, 韓國彫刻史, 悅話堂.
  •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91, 北漢文化遺蹟發掘槪報.
  • 拜根興, 2003, 七世紀中葉唐與新羅關係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慶州文化財硏究所, 1993, 南彌秩夫城 地表調査報告書.
  • 忠淸文化財硏究院, 2003, 大田 月平洞山城.
  • 忠淸北道, 1982, 傳說誌.
  • 忠州博物館, 1997, 丹陽 下坊里古墳群 發掘調査 報告書.
  • 忠北大學校博物館, 2004, 淸原 南城谷 高句麗遺蹟.
  • 忠北大學校博物館, 1993, 中原 樓岩里 古墳群.
  • 忠北大學校博物館, 1991, 鎭川 聖石里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 忠北大學校博物館, 1991, 鎭川 松斗里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 忠北大學校博物館, 1991, 丹陽 赤城 地表調査報告書.
  • 忠北大學校 湖西文化硏究所, 1996, 鎭川 大母山城 地表調査 報告書.
  •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03, 新羅 百濟激戰地(管山城) 地表調査報告書.
  • 徐榮一, 2001, 「6~7世紀 高句麗 南境 考察」高句麗硏究11.
  • 徐榮一, 1995, 「高句麗 娘臂城考」史學志29.
  • 徐日範, 1999, 北韓地域 高句麗山城 硏究, 檀國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張俊植, 1998, 新羅中原京硏究, 學硏文化社.
  • 建國大學校博物館, 1994, 忠州 丹月洞 古墳群.
  • 平野邦雄, 1978, 「繼體 欽明紀の對外關係記事」末松保和博士古稀記念 古代東 アジア論集下, 吉川弘文館.
  • 崔秉鉉, 1992,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 崔南善, 1930, 「新羅眞興王の在來三碑と神出現の磨雲嶺碑」靑丘學叢2.
  • 山尾幸久, 1978, 「百濟三書と日本書紀」朝鮮史硏究會論文集15.
  • 山尾幸久, 1974, 「朝鮮三國の軍區組織-エホリのミヤケ硏究序說」古代朝鮮と日 本, 龍溪書舍.
  • 小田省吾, 1928, 朝鮮史大系(上世史), 朝鮮史學會.
  • 定森秀夫, 1989, 「韓國ソウル地域出土三國時代土器について」橫山浩一先生退 官記念論文集(生産と流通の考古學).
  • 安啓賢, 1956, 「八關會攷」東國史學4.
  • 大山城一, 1980, 「所謂‘任那日本府’の成立について(下)」古代文化32-12.
  • 大丘大學校博物館, 1992, 星州 禿用山城 地表調査報告書.
  • 坂本太郞 外, 1965, 日本書紀下, 岩波書店.
  • 坂元義種, 1968, 「古代東アゾアの日本と朝鮮 -大王成立をめぐて」史林51-4.
  • 國立文化財硏究所, 1998, 順興 飛鳳山城 發掘調査 報告書.
  • 國立全州博物館, 1994, 扶安 竹幕洞 祭祀遺蹟.
  • 國史編纂委員會, 1988, 中國正史朝鮮傳譯註2.
  • 千寬宇, 1989,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 前問恭作, 1931, 「眞興碑について」東洋學報19-2
  • 兪元載, 1984, 「三國史記 築城記事 分析」湖西史學12.
  • 兪元載, 1979, 「三國史記 僞靺鞨考」史學硏究29.
  • 內藤虎次郞, 1911, 「新羅眞興王巡狩碑考」藝文2-4.
  • 今西龍, 1970,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 今西龍, 1934, 百濟史硏究, 近澤書店.
  • 今西龍, 1934, 「百濟史講話」百濟史硏究, 近澤書店.
  • 今西龍, 1933, 新羅史硏究, 國書刊行會.
  • 京畿道知事, 1935, 「埋藏物發見ニ關スル件」[京保第六二九四號(昭和十年六月五 日)].
  • 井上秀雄, 金東旭,金森襄 譯, 1981, 古代韓國史(古代朝鮮), 日新社.
  • 井上秀雄, 1993, 「古代朝鮮の城郭史」古代東アジアの文化交流, 溪水社.
  • 井上秀雄, 1986, 三國史記3, 平凡社.
  • 井上秀雄, 1980, 三國史記1, 平凡社.
  • 井上秀雄, 1972, 古代朝鮮, 日本放送出版協會.
  • 井上直樹, 2000, 「高句麗の對北魏外交と朝鮮半島の情勢」朝鮮史硏究會論文集 38.
  • 中部考古學硏究所, 2016, 坡州 德津山城 -3次 學術發掘調査 中間 報告書.
  • 中部考古學硏究所, 2014, 坡州 德津山城 -1,2次 學術發掘調査.
  • 中田薰, 1956, 古代朝日交涉史斷片考, 創文社.
  • 中央文化財硏究院, 2014, 慰禮地區 宅地開發事業 2-2區域內 城南 倉谷洞 遺蹟.
  •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忠州 塔坪里遺蹟.
  • 中原文化財硏究院, 2011, 沃川 農産物 集散團地 內 文化遺蹟 發掘調査 沃川 金龜里 新羅 古墳群.
  • 中原文化財硏究院, 2008, 淸原 IC~芙蓉面 道路工事區間內 淸原 南城谷 高句 麗遺蹟 -2006年度 追加 發掘調査.
  • 中原文化財硏究院, 2006, 淸州 飛下洞遺蹟.
  • 中原文化財硏究院, 2005, 鎭川 都堂山城 -地表,試掘調査 報告書-.
  • 中原文化財硏究院, 2005, 淸原 芙蓉面地域 山城 地表調査 報告書.
  • 中原文化財硏究院, 2004, 聞慶 新峴里 古墳群Ⅰ.
  • 三品彰英, 1962,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上), 吉川弘文館.
  • 『고구려사』
    손영종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 『魏書』
  • 『高麗史』
  • 『隋書』 
  • 『阮堂善生全集』
  • 『輿地圖書』
  • 『資治通鑑』
  • 『荷塘先生文集』
  • 『舊唐書』
  • 『與猶堂全書』
  • 『石泉遺稿』
  • 『海東繹史續』
  • 『東國通鑑』
  • 『東史綱目』
  • 『日本書紀』
  • 『新增東國輿地勝覽』
  • 『新唐書』
  • 『南齊書』
  • 『北史』 
  • 『三國遺事』
  • 『三國志』
  • 『三國史記』
  • 『三國史節要』
  • 「六世紀前半 伽倻諸國을 둘러싼 百濟, 新羅의 動向 -소위「任那 日本府」說의 究明을 위한 序章-」
    延敏洙 新羅文化7 [1990]
  • 「六世紀 安羅國史 硏究」
    이영식 國史館論叢62 [1995]
  • 「北漢山碑에 보이는 甲兵 문제」
    金昌鎬 文化財25 [1992]
  • 「北漢山 眞興王巡狩碑」
    노중국 譯註 韓國古代金石文2, 駕洛國史蹟開 發硏究院 [1992]
  • 「北漢山 文殊寺 內의 石窟」
    李丙燾 眞檀學報61 [1986]
  • 「金石文에 보이는 高句麗의 年號」
    정운용 韓國史學報5 [1998]
  • 「삼국사기 원전자료와 사료비판」
    정구복 韓國古代史硏究42 [2006]
  •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
    강종훈 韓國古代史硏究 42 [2006]
  • 「高麗史 「樂志」에 나타난 三國~高麗歌謠의 相」
    김창원 고전과 해석 10 [2011]
  • 「三國志 魏略의 斯盧國과 魏書의 斯羅 -6세기 초 羅濟同盟의 향방과 관련하여-」
    서영교 歷史學硏究59 [2015]
  •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李康來 嶺土問題硏究2 [1985]
  • 「三國史記 溫達傳 所載 阿旦城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윤성호 韓國 史學報66 [2017]
  • 「三國史記 交聘 記事를 통해 본 羅濟同盟 時期의 再檢討」
    정운용 百 濟硏究44 [2006]
  • 「후기의 정세변동」
    임기환 한국사5 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국 사편찬위원회 [1997]
  • 「화성 당성의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
    김기룡 배기동 이상현 신라성곽의 축성과 운영, 그리고 가야성곽 연구(한국성곽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 대회 자료집), 한국성곽학회 [2017]
  • 「화성 당성 주변 성곽의 나말여초기 이후 경영 연구」
    김호준 先史와 古代52 [2017]
  • 「홍련봉 1,2보루의 축조방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안성현 百濟文化 55 [2016]
  • 「함경남도의 유래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
    한석정 문화유산 62-4 [1960]
  • 「할미산성을 통해 본 신라의 영역화 과정」
    현남주 용인의 고대에서 중 세로의 변화 -할미산성과 석성산성, 한국고대학회 [2013]
  • 「한국고대의 수리시설과 농경에 대한 몇 가지 검토」
    노중국 한국고대 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2010]
  • 「한강유역의 역사 인문지리」
    양보경 홍금수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 술조사 Ⅲ-한강 Vol.1 환경과 삶-, 경기도박물관 [2002]
  • 「한강유역 신라 石室墳의 受容과 展開」
    홍보식 畿甸考古5 [2005]
  • 「한강 유역 회복과 관산성 전투」
    정운용 泗沘都邑期의 百濟(백제문화 사대계 연구총서5),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 「통일의 배경과 요인」
    김기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4-신라의 삼국 통일, 경상북도 [2016]
  • 「통일기 신라의 客館 운영과 그 분포」
    최희준 韓國史學報69 [2017]
  •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加耶史硏究 -대가야의 政 治와 文化-
    李熙濬 慶尙北道 [1995]
  • 「충주지역 누암리,하구암리 고분의 위계분석」
    김종구 신라사학보40 [2017]
  • 「충주 제철유적의 조사현황과 성격」
    어창선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
    김상헌 2016년 호서지역 문화유적 발굴성 과, 호서고고학회 [2016]
  • 「충주 달천유역의 고구려계 고분에 대하여」
    김정인 高句麗와 中原文化 , 주류성 [2014]
  • 「축성기법을 통해 본 대전리산성과 주변 성곽의 역사적 위상」
    심광주  연천 대전리 산성 학술회의-대전리 산성, 매초성 인가, 경기문화재단 [2013]
  • 「최근 북한 고고학계의 고구려 연구 동향-」조선고고연구를 중심으로」
    양시은 高句麗渤海學會56 [2016]
  • 「초기국가의 성격」
    金貞培 韓國史4 國史編纂委員會 [1997]
  • 「청주 부모산성의 조사 성과와 의의」
    차용걸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3]
  • 「철제농기구와 우경」
    김재홍 한국사연구입문①, 풀빛 [1995]
  • 「집단기억과 역사」
    최호근 歷史敎育85 [2003]
  • 「증평 이성산성과 道西,都西,道安縣」
    강민식 중원문화연구21 [2013]
  • 「중원의 신라고분」
    최병현 중원의 고분,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9]
  • 「중원문화권 고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최병현 중원문화 정립을 위한 조사 연구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8]
  • 「중세」
    류기선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김성명 박영복 昌山 金正基博士 華甲 紀念論叢 [1990]
  •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 신라 연속조영 고분군」
    최병현 고고학14-2 [2015]
  • 「조선전기 畿甸의 牧馬場 설치」
    이홍두 서울과 역사93 [2016]
  • 「조선 사복시 살곶이목장」
    류기선 박물관휘보5 [1994]
  • 「정치체제의 정비」한국사7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신라,가야
    李宇泰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정복사업의 추진과 영역확장」
    정운용 신라의 체제 정비와 영토확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03), 경상북도 [2017]
  • 「장미산성 출토 土器의 양상과 성격」
    박중균 東亞世亞 歷史文化論叢, 서경문화사 [2014]
  • 「장미산성 축조에 관한 검토」
    이규근 중원문화재연구2 [2008]
  • 「임진강유역의 新羅遺蹟」臨津江流域의 古代社會
    金性泰 인하대학교 박물관 [2001]
  • 「임진강 유역의 역사와 관방유적」
    심광주 임진강, 경기도박물관 [2009]
  • 「일제시기의 진흥왕순수비론 -滿鮮’의 경역인식과 관련하여-」
    김영하 韓國古代史硏究52 [2008]
  • 「일산 충적 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 변화와 해면활동」
    황상일 대한지 리학회지33-2 [1998]
  • 「인천 계양산성 출토 유물 검토 -도,토기류를 중심으로」
    김병희 인천 계양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인천 계양산성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2013]
  • 「인천 계양산성 축성 및 활용에 대한 시고」
    김호준 인천의 고성 계양 산성, 인천광역시 검단선사박물관 [2015]
  • 「유적을 통해 본 이사부 출항지 검토」
    이상수 이사부와 동해2 [2010]
  • 「유물과 유적을 통해 보는 안동의 고대」
    임세권 고대 안동의 역사와 문화, 안동시 [2009]
  • 「웅진시대 백제의 蟾津江 水系 진출」
    주성지 慶州史學22 [2003]
  •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 대외관계 기사의 재검토」
    임기환 百濟文化 37 [2007]
  • 「웅진,사비시기 百濟의 領域」
    김영심 古代 東亞世亞와 百濟, 서경 [2003]
  • 「웅진 도읍기 백제와 신라관계」
    주보돈 古代東亞世亞와 百濟, 서경 [2003]
  •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광개토왕비, 중원고구려비」
    임기환 울진봉평리 신라비와 한국고대 금석문, 한국고대사학회 [2011]
  • 「용인 할미산성 다각형 건물지의 구조와 특징」
    이상국 용인 할미산성 발굴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5]
  • 「온달전설의 분포와 전승」
    임동철 온달문학의 설화성과 역사성, 박이 정 [2000]
  • 「온달산성의 축조양상과 경영변화」
    전혁기 古代城郭의 修築과 改築(한 [2017]
  • 「온달문화축제의 성격과 전망」
    이창식 온달문학의 설화성과 역사성, 박이정 [2000]
  • 「영일냉수리 신라비에 보이는 部의 성격과 정치운영문제」
    문경현 한국 고대사연구3 [1990]
  • 「영월 정양산성 발굴성과 및 의의」
    김진형 영월 정양산성 보존 및 활 용방안 학술 심포지엄,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4]
  • 「영월 정양산성 내 신라~고려시대 수혈주거지」
    신유리 영월 정양산성 보존 및 활용방안 학술 심포지엄,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4]
  • 「양주 대모산성 출토 삼국,통일신라시대 토기의 검토」
    심재연 양주 대 모산성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4]
  • 「안성 죽주산성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서영일 안성 죽주산성의 역 사적 가치 재조명, 안성시,한국고대학회 [2015]
  • 「안성 비봉산성 수습 「本彼」銘 기와의 고찰」
    徐榮一 文化史學11,12,13 [1999]
  • 「안변 용성리 고분발굴보고」
    량익룡 문화유산58-4 [1958]
  •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역관계」아차산성과 삼국의 상호관 계(아차산 일대 성곽문화재 보수정비를 위한 기초조사 용역 학술회의 자료집),
    장창은 가경고고학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연구 -구의동 보루를 중심으로-」
    안성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월례발표회 자료 [2016]
  • 「아차산 4보루 성벽의 구조와 특징」
    홍형우 경기도의 고대문화-최근 발굴 성과를 중심으로-(한국고대학회 춘계학술회의 자료집), 한국고대학회 [2011]
  • 「신라통일기 육상교통망과 五通」
    한정훈 釜大史學27 [2003]
  •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에 대한 고찰」
    이인철 鄕土서울57 [1997]
  •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 과정 검토-신주 설치 이전을 중심으 로-」
    윤성호 한국고대사학회 제154회 정기발표회(발표문), 한국고대사학회 [2017]
  • 「신라의 영토확장과 북한산주」
    신형식 鄕土서울66 [2005]
  • 「신라의 성장과 한강 지역 지배」
    정운용 서울 2천년사 -⑥삼국의 각축 과 한강-, 서울역사편찬원 [2015]
  • 「신라의 대고구려 전쟁과 고구려 멸망」
    서영교 서울 2천년사 -⑦신라 의 삼국통일과 한주-, 서울역사편찬원 [2015]
  • 「신라의 道薩城,錦峴城 전투와 國原 진출」
    윤성호 한국고대사연구87 [2017]
  • 「신라의 安城地域 진출과 의미」
    황보경 韓國古代史探究25 [2017]
  • 「신라와 가야제국의 전쟁과 외교」新羅의 對外關係史 硏究
    李永植 新羅文化宣揚會 [1994]
  • 「신라시대 한주지역 토기완 연구
    이상희 세종대학교 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10]
  • 「신라성곽」
    심광주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2003]
  • 「신라 하대 지방 제도 개편에 대한 연구」
    배종도 學林11 [1989]
  • 「신라 통일기 금석문에 나타난 천하관 역사의식 -삼한일통의식 의 성립시기 고찰-」
    윤경진 史林49 [2014]
  • 「신라 진흥왕대 州의 廢置와 巡狩 -眞興王巡狩碑를 통해 살펴 본 순수의 전략적 의미-」
    임평섭 신라문화48 [2016]
  • 「신라 중고기 주(州)의 성격 변화와 군주제(君主制)」
    전덕재 역사와 현 실40 [2001]
  • 「신라 불교의 호국사상」新羅佛敎硏究
    金煐泰 民族文化社 [1987]
  • 「신라 眞平王代 金庾信의 활동」
    金德原 신라사학보10 [2007]
  •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최희준 先史와 古代47 [2016]
  • 「신라 5소경의 설치와 서원소경」신라 서원소경 연구
    梁起錫 서경문 화사 [2001]
  • 「순수비에 담긴 진흥왕의 꿈과 아망」
    강봉룡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 「세종시 봉산리산성 및 수습 백제 기와 소개」 성곽과 기와
    김경애 소재윤 한국기와학회,한국성곽학회 [2013]
  • 「서울지역 고구려 보루 유적 조사 성과와 과제」
    양시은 서울지역 고중 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제60회 전국역사학대 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서울특별시,한국고고학회 [2017]
  • 「서울에서 세계문명을 보다」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1]
  • 「서울,경기,강원지역 성곽 발굴조사 성과」
    안성현 계간 한국의 고고학 34 [2016]
  • 「서울, 京畿地域의 新羅墳墓와 出土遺物」
    尹炯元 고고학1-1 [2002]
  •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新羅 地方石室墳 硏究(1)-」
    崔秉鉉  崇實史學10 [1997]
  • 「삼국의 성립과 영역 확립」
    이강래 한국사 3.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 로-1, 한길사 [1994]
  • 「삼국시대 한강유역 마을의 생업경제」
    박중국 한강 유역의 마을과 생 업경제, 한성백제박물관 [2017]
  • 「삼국시대 충주의 진출과 지배」
    강진주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 「삼국시대 임진강 유역 관방체계와 덕진산성」
    서영일 파주 덕진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 및 활용 방안, 중부고고학연구소 [2015]
  • 「삼국시기 안동 지역의 역사」
    김현숙 고대 안동의 역사와 문화, 안동시 [2009]
  • 「삼국 항쟁과 아차산성」
    서영일 아차산성, 광진구,광진문화원 [2014]
  • 「삼국 및 통일신라의 수리시설」
    전덕재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 설, 서경문화사 [2010]
  •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김태식 白山學 報68 [2004]
  • 「백제의 지방지배 방식과 섬진강유역」
    김영심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 화사 [2008]
  • 「백제의 섬진강 유역 진출에 대한 고찰」
    정재윤 백제와 섬진강, 서경 문화사 [2008]
  • 「백제의 가야지역 관계사 - 교섭과 정복-」
    김태식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 「백제와 동진의 교섭 항로」
    임동민 백제연구17 [2015]
  • 「백제 사람들의 음식」
    오승환 서울 2천년사 -⑤한성백제의 문화와 생활 -, 서울역사편찬원 [2015]
  • 「밀양지역 고대 治所城에 대한 검토 -推火山城과 佳山里山城을 중심으로-」
    이동주 석당논총41 [2008]
  • 「문학산성의 조사현황과 향후 과제」
    이희인 인천의 산성, 그 역사적 가치 재조명-인천 문학산성 복원과 보존 방향-,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16]
  • 「무왕의 권력강화」
    김주성 사비도읍기의 백제(百濟文化史大系 硏究叢書 5),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 「무왕과 미륵사 -익산의 역사지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윤선태 백제 문화의 보고, 미륵사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동해안 일대의 신라무덤에 대하여」
    박진욱 고고민속1967-3 [1967]
  • 「남한지역 고구려유적 조사연구의 현황과 전망」
    최종택 수도권 문화유 적 조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 공간적 정체성」
    양시은 고고학10-2 [2011]
  • 「남한산성의 축성기술」
    심광주 남한산성, 경기도박물관 [2011]
  • 「남한강의 수로와 수운」
    최영준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길사 [1997]
  • 「군사제도와 외곽 방어체계」
    서영일 서울 2천년사 -④한성백제의 도성 과 지배체제-, 서울역사편찬원 [2015]
  • 「광주 대쌍령리 고분 출토 ‘南漢山助舍’銘 청동제 방울 고찰」
    황보경  문화사학31 [2009]
  • 「광개토왕릉비」譯註 韓國古代金石文1
    盧泰敦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 「관산성전투 전후 시기 대가야,백제와 신라의 대립」
    김영심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 , 대가야박물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고대」
    이도학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 「고구려의 한성 공격과 한강 유역 지배」서울 2천년사 -⑥삼국 의 각축과 한강-
    장창은 서울역사편찬원 [2015]
  • 「고구려의 중원 지역 진출에 대한 소고」
    신광철 高句麗渤海硏究51 [2015]
  • 「고구려의 장신구」
    이한상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 려대학교박물관 [2005]
  • 「고구려의 불교와 불상」
    정영호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려대학교박물관 [2005]
  • 「고구려의 백제 교통로 고찰」
    서영일 史學志38 [2006]
  •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와 가야제국 -「大加耶聯盟」 과 「任那復興會議」-」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대가야박물관
    井上直樹 이재석 역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고구려 연개소문의 대백제 신라 정책에 대한 고찰」
    金德原 한국학논총 45 [2016]
  • 「고구려 금동불상과 중국 산동 금동불상 교류」
    문명대 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불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 「고구려 강역에 대한 연구쟁점과 과제」
    정호섭 한국 역사상의 강역과 국경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백산학회 [2017]
  • 「고구려 嬰陽王代의 新羅攻擊과 國內政治」
    崔豪元 韓國史硏究157 [2012]
  • 「고구려 ‘南平壤’의 실체와 출현 배경」
    윤경진 서울과 역사95 [2017]
  • 「경기지역의 新羅係 평기와 小考」
    허미형 畿甸考古5 [2005]
  • 「경기지역 新羅 ‘北進期城郭’에 관한 일고찰」
    권순진 新羅史學報9 [2007]
  • 「경기도 지방의 신라고분 연구 시론 서울경기지역의 신라유적 과 유물
    최형균 서울경기고고학회 [2006]
  • 「강화지역의 해양방어체제」
    윤명철 고구려산성과 해양방어체제연구, 백산자료원 [2003]
  • 「강원도의 신라고분」
    박수영 흙에서 깨어난 강원의 신라문화, 국립춘 천박물관 [2013]
  • 「가야의 대외관계」
    이용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 「가야와의 문물교류」
    이성주 백제의 문물교류(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 10),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가야국명의 재검토(Ⅰ)」
    李永植 伽倻文化17 [2004]
  • 「麗羅戰爭史의 再檢討」
    朴京哲 韓國史學報26 [2007]
  • 「麗羅密約說의 검토」
    이영재 韓國古代史硏究80 [2015]
  • 「麗濟連和說의 檢討」
    李昊榮 慶熙史學9,10 [1982]
  • 「麗,濟 連和說의 재검토」
    방용철 民族文化論叢62 [2016]
  • 「高句麗의 성장과 그 영역」한국사의 전개과정과 영토
    申瀅植 국사 편찬위원회 [2002]
  • 「高句麗의 錦江流域進出에 대한 小考」
    鄭永鎬 山耘史學3 [1989]
  • 「高句麗의 百濟 攻擊과 南進路」
    서영일 경기도 고구려 문화유산, 경 기도박물관 [2007]
  • 「高句麗의 漢江유역 進出과 關防體系」
    김희선 서울학연구20 [2003]
  • 「高句麗의 漢水流域 喪失의 原因에 대하여」
    盧泰敦 韓國史硏究13 [1976]
  • 「高句麗와 新羅의 영역문제 -順興地域의 考古學 자료와 관련하여-」
    金貞培 韓國史硏究61,62 [1988]
  • 「高句麗時代의 靺鞨 硏究」
    韓圭哲 釜山史學14,15 [1988]
  • 「高句麗, 新羅의 漢江流域 進出 問題」
    李昊榮 史學志18 [1984]
  • 「高句麗 領域으로서의 北漢江 流域 -靺鞨문제와 관련하여-」
    금경숙 韓 國史學報11 [2001]
  • 「高句麗 金製耳飾 硏究」
    정나리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5]
  • 「高句麗 嶺土 연구 -三國史記를 중심으로-」
    梁泰鎭 軍史18 [1989]
  • 「高句麗 寶藏王代 對新羅關係와 認識」
    최호원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 「高句麗 娘臂城 위치에 대한 검토」
    박종서 국학연구17 [2010]
  • 「高句麗 南進과 임진강유역」
    이용현 臨津江流域의 古代社會, 인하대 학교 박물관 [2002]
  • 「高句麗 倭 連和와 阿旦城 전투」
    서영교 軍史81 [2011]
  • 「韓國木簡연구의 현황과 咸安城山山城출토 木簡」
    李成市 韓國古代史硏 究19 [2000]
  • 「韓國古代史에 있어서 丹陽의 位相」
    신형식 仁山 金在浩會長 古稀紀念 論文集 -丹陽과 그 이웃의 先史文化-, 학연문화사 [2007]
  • 「韓國 上古時代의 領域認識」韓國 國境劃定硏究
    方東仁 一潮閣 [1997]
  • 「陽平地域의 關防遺蹟」
    閔德植 忠北史學23 [2009]
  • 「附加口緣臺附長頸壺를 통해 본 新羅의 漢江流域 진출」
    姜眞周, 경기도 의 고고학 ,주류성 [2007]
  • 「阿旦城과 長漢城에 대한 考察」
    金永上 鄕土서울51 [1992]
  • 「阿旦城 所在地와 溫達城 初築國에 관한 論議」
    이도학 韓國古代史探究18 [2014]
  • 「鎭川 校成里 發掘調査 報告書」오창~진천 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 내 文化遺蹟 試掘, 發掘調 査報告書
  • 「鎭川 大母山城의 分析的 硏究」
    閔德植 韓國史硏究29 [1980]
  •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 內政」
    朱甫暾 韓國學論叢20 [1993]
  • 「金庾信의 政治指向」
    朱甫暾 新羅史學報11 [2007]
  • 「華城郡 麻道面 白谷里 百濟古墳과 土器類」
    金元龍 百濟硏究2 [1971]
  • 「船里. 銘文瓦 考察」
    김규동 성재현 考古學志7 [2011]
  • 「聖王의 漢江流域 占領과 喪失」
    김주성 百濟史上의 戰爭, 서경문화사 [2000]
  • 「考古資料로 본 南漢江 上流地域의 三國 領域變遷」
    山本孝文 韓國上古 史學報40 [2003]
  • 「羅濟同盟에 관한 硏究」
    金秉柱 韓國史硏究46 [1984]
  • 「羅濟同盟期 新羅와 百濟 關係」
    鄭雲龍 白山學報46 [1996]
  • 「羅唐연합군의 백제정벌 루트의 재검토」
    김민수 군사학연구10 [2013]
  • 「統一新羅時代 高句麗流民의 動向」三國時代史硏究
    申瀅植 삼지원 [1988]
  • 「紺岳山 古碑에 대하여」
    李龍範 佛敎美術7 [1983]
  • 「管山城 關聯遺蹟의 現狀과 保存方向」
    趙順欽 車勇杰 中原文化論叢12 [2008]
  • 「管山城 戰鬪의 背景」
    김주성 中原文化論叢12 [2008]
  • 「管山城 戰鬪의 樣相과 影響」
    양기석 中原文化論叢12 [2008]
  • 「竹嶺路와 그 부근 嶺路沿邊의 古城址 調査硏究」
    車勇杰 國史館論叢 16 [1990]
  • 「眞興王碑의 隨駕臣名 硏究」
    姜萬吉 史叢1 [1955]
  • 「眞興王代 新羅의 北方進出과 對高句麗 領域向方」
    張彰恩 新羅史學報 24 [2012]
  • 「眞興王 巡狩碑에 대한 몇 가지 疑問과 새로운 理解」
    曺凡煥 신라사학 보27 [2013]
  • 「眞興王 北漢山巡狩碑 建立의 背景과 그 目的」
    盧鏞弼 鄕土서울53 [1993]
  • 「百濟의 國家祭祀와 竹幕洞 祭祀遺蹟의 性格」扶安 竹幕洞 祭 祀遺蹟 硏究
    崔光植 國立全州博物館 [1998]
  • 「百濟의 加耶進出過程」
    李永植 韓國古代史論叢7 [1995]
  • 「百濟와 加耶의 교섭」
    洪潽植 百濟文化27 [1998]
  • 「百濟末期 國境線에 대한 考察」
    成周鐸 百濟硏究21 [1990]
  • 「百濟山城의 新類型」
    尹武炳 成周鐸 百濟硏究8 [1977]
  • 「百濟初期古墳에 대한 再考」
    金元龍 歷史學報62 [1974]
  • 「百濟儀式考 -祭儀 田獵 巡撫 閱兵 習射 儀式에 關한 檢討-」
    成周鐸 車勇杰 百濟硏究12 [1981]
  • 「百濟 阿旦城硏究 -百濟初期 都城硏究를 위한 일환으로-」
    閔德植 韓國 上古史學報17 [1994]
  • 「百濟 近肖古王代의 北境」
    金起燮 軍事29 [1994]
  • 「百濟 蛇城의 位置에 대한 再檢討」
    李道學 韓國學論集17 [1990]
  • 「百濟 熊津期 漢江流域支配 問題와 그에 대한 認識」
    이도학 鄕土서울73 [2009]
  • 「百濟 東城王代 對外政策의 變化」
    박진숙 百濟硏究32 [2000]
  • 「百濟 威德王의 정치와 외교」
    김수태 韓國人物史硏究2 [2004]
  • 「百濟 威德王代의 對外關係 -對中關係를 중심으로 -」
    梁起錫 선사와 고대19 [2004]
  • 「百濟 威德王代 王權의 存在形態와 性格」
    梁起錫 百濟硏究21 [1990]
  • 「牛首州의 설치와 변천에 관한 고찰」
    전덕재 江原文化硏究28 [2009]
  • 「父母山城 出土 土器의 樣相과 性格」
    박중균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3]
  • 「燕行의 山下와 燕行使의 歷史意識」
    蘇在英 東洋學35 [2004]
  • 「熊津時代의 百濟支配層硏究」
    梁起錫 史學志14 [1980]
  • 「熊津時代 百濟와 新羅의 關係에 대한 考察 -羅濟同盟에 대한 비판적 검토-」
    鄭載潤 湖西考古學4,5 [2001]
  • 「熊津 遷都와 熊津城」
    朴賢淑 百濟文化30 [2001]
  • 「漢江流域 新羅 古墳의 現況과 特徵 硏究」
    皇甫慶 文化史學27 [2007]
  • 「漢江流域 支配權의 變遷 考察」
    이도학 삼국 한강, 광진문화원 [2015]
  • 「漢江流域 新羅 土器의 性格」
    姜眞周 先史와 古代26 [2007]
  • 「漢江地域 高句麗古墳」
    강인구 古墳硏究, 學硏文化社 [2000]
  • 「漢江北岸 高句麗堡壘의 築造時期와 그 性格」
    최장열 韓國史論47 [2002]
  • 「漢江以北의 城址와 新羅의 防禦體系 -坡州地域을 中心으로-」
    徐榮一  文化史學10 [1998]
  • 「漢江, 錦江流域의 嶺南地域系統 文物과 그 意味」
    成正龍, , 百濟硏究 46 [2007]
  • 「漢城百濟의 沒落과 首都 移轉」
    盧重國 鄕土서울64 [2004]
  • 「漢城百濟의 時空的 上限과 下限」
    權五榮 百濟硏究53 [2011]
  • 「漢城末 熊津時代 百濟王系의 검토」
    李道學 韓國史硏究45 [1984]
  • 「漢城期 百濟土器 編年再考」
    金一圭 先史와 古代27 [2007]
  • 「溫達의 南下經路와 戰死處 阿旦城 檢證」
    이도학 東아시아古代學32 [2013]
  • 「湖南 東部地域의 加耶세력과 그 成長過程」
    郭長根 湖南考古學報20 [2004]
  • 「淸原 南城谷 高句麗 山城의 構造와 運用」
    정운용 동북아역사논총39 [2013]
  • 「泗沘時代 百濟의 軍事組織과 그 運用」
    李文基 百濟硏究28 [1998]
  • 「沃川 已城山城 발굴조사」
    조인규 호서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호서 고고학회 [2016]
  • 「毗曇의 亂과 善德王代 政治運營」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 論叢(上)
    朱甫暾 一潮閣 [1994]
  • 「歷史地理的으로 본 鷄立嶺」
    崔壹聖 湖西史學14 [1986]
  • 「武烈王係의 성립과 활동」韓國古代史의 新硏究
    申瀅植 一潮閣 [1984]
  • 「武寧王代의 對外關係」百濟武寧王陵
    兪元載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 「楊州 大母山城의 築造方法과 築城時期」
    심광주 양주 대모산성의 재조 명,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4]
  • 「椵岑城의 位置와 그 戰鬪의 역사적 성격」
    전덕재 역사와 경계87 [2013]
  • 「桂陽山城의 築造方法과 築造時期」
    심광주 인천 계양산성의 역사적 가 치와 활용(인천 계양산성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자료 집) [2013]
  • 「東濊考-江陵 濊國說과 관련하여-」
    金澤均 江原文化硏究16 [1997]
  • 「朝鮮後期의 歷史認識」韓國史學史의 硏究
    趙珖 乙酉文化社 [1985]
  • 「日本書紀를 통해 본 안라국과 주변제국-특히 왜를 중심으로-」
    이재석 한국민족문화연구51 [2014]
  • 「新羅의 龍仁地域 定着過程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姜眞周 新羅史學報 36 [2016]
  • 「新羅의 發展段階와 戰爭」
    金瑛河 韓國古代史硏究4 [1991]
  • 「新羅의 淸州地域 進出」
    梁起錫 文化史學11,12,13 [1999]
  • 「新羅의 東海岸 方面 進出과 于山國」
    鄭雲龍 이사부와 동해12 [2016]
  • 「新羅의 東宮制度」
    이승현 한국고대사연구55 [2009]
  • 「新羅의 東北地方 國境과 그 變遷에 관란 고찰」
    전덕재 軍史91 [2014]
  •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尹星鎬 韓國史硏究155 [2011]
  • 「新羅의 北進經略에 관한 新考察」
    이도학 慶州史學6 [1987]
  • 「新羅와 百濟의 管山城 戰鬪」
    金甲童 白山學報52 [1999]
  • 「新羅時代 서울지역 經營」
    林相先 鄕土서울61 [2001]
  • 「新羅時代 巡守의 性格」
    金瑛河 民族文化硏究14 [1979]
  • 「新羅時代 太子制度의 性格」
    金昌謙 韓國上古史學報13 [1993]
  • 「新羅上代 지증왕계의 왕위계승과 박씨왕비족」
    李喜寬 東亞硏究20 [1990]
  • 「新羅 奈勿王系의 血緣意識」
    李基東 歷史學報52,53 [1972]
  • 「新羅 花郞徒의 武藝와 手搏」
    全德在 韓國古代史硏究38 [2005]
  • 「新羅 眞興王代 大等의 分化와 그 政治的 背景-昌寧 眞興王巡 狩碑 會集人名의 大等관계 부분의 분석을 중심으로-」
    盧鏞弼 歷史學報127 [1990]
  • 「新羅 發展과 漢江」
    申瀅植 韓國史硏究77 [1992]
  • 「新羅 樹枝形帶冠의 退化型式 設定」
    함순섭 東垣學術論文集3 [2000]
  • 「新羅 智證王代 北魏에 사신 파견과 목적」
    曺凡煥 서강인문논총46 [2016]
  • 「新羅 文武王代의 對唐交涉 術論」
    拜根興 新羅文化16 [1999]
  • 「新羅 官等制度의 成立年代 問題와 赤城碑의 發見」
    李基東 歷史學報 78 [1978]
  • 「新羅 大祀 中祀 小祀의 祭場 硏究」
    최광식 역사민속학4 [1994]
  • 「新羅 城郭 出土 文字기와」
    심광주 성곽과 기와, 한국기와학회,한국성 곽학회 [2013]
  • 「新羅 四瀆의 위치와 그 祭場의 성립」
    박승범 新羅史學報23 [2015]
  • 「新羅 南川停址의 硏究」邊太燮博士 華甲紀念 史學論叢
    鄭永鎬 三英社 [1985]
  • 「新羅 初期 佛敎와 貴族勢力」
    李基白 震檀學報40 [1975]
  • 「新羅 五小京의 設置와 西原京」
    梁起錫 湖西文化硏究4 [1993]
  • 「新羅 中古期의 郡司와 村舍」
    朱甫暾 韓國古代史硏究1 [1988]
  • 「新羅 中古期의 村制와 地方社會構造」
    김재홍 韓國史硏究72 [1991]
  • 「新羅 中古期의 政治過程試論 -中代王權成立의 理解를 위한 前 提-」
    金瑛河 泰東古典硏究4 [1988]
  • 「新羅 中古期 州의 構造와 性格」
    李銖勳 釜大史學12 [1988]
  •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
    曺凡煥 新羅文化35 [2010]
  • 「新州 位置에 대한 硏究」
    皇甫慶 白山學報53 [1999]
  • 「新唐書渤海傳所載 泥河의 再檢討」
    徐炳國 東國史學15,16 [1981]
  • 「抱川 城東里山城의 變遷過程 檢討」
    白種伍 先史와 古代20 [2004]
  • 「抱川 半月山城 出土〈馬忽受解空口單〉銘 기와의 考察」
    徐榮一 史學 志29 [1996]
  • 「抱川 半月山城 出土 ‘고구려’기와 銘文의 再檢討」
    李道學 高句麗硏究3 [1997]
  • 「慰禮城과 漢城에 對하여(Ⅰ)」
    車勇杰 鄕土서울39 [1981]
  • 「忠州地域의 歷史地理的 背景」中原京과 中央塔
    金顯吉, 忠州工業專 門大學博物館 [1992]
  • 「忠州 薔薇山城 北壁部 遺構와 遺物 -2010年度 整備區間 收拾報告-」
    백종오 오강석 최진호 中原文化22 [2010]
  • 「忠州 地域 新羅 築城의 변화」
    노병식 중원문화연구22 [2014]
  • 「忠北 北部地域의 傳說考1-溫達傳說의 分包와 傳承을 中心으 로-」
    林東喆 忠北大學校論文集27 [1984]
  • 「德津山城과 臨津江 流域 高句麗와 新羅의 築城法 比較」
    심광주 坡 州 德津山城 -1,2次 學術發掘調査-, 중부고고학연구소 [2014]
  • 「廣開土王碑에 보이는 百濟관련 記事의 檢討 -永樂 6년조 기사 의 역사지리적 검토를 중심으로-」
    임기환 漢城百濟 史料 硏究,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5]
  • 「廣開土太王代 高句麗와 新羅의 關係」廣開土太王과 高句麗 南 進政策
    徐榮一 學硏文化社 [2002]
  • 「廣開土大王의 南下征服地에 대한 一考」
    金侖禹 龍巖 車文燮敎授華甲 紀念 史學論叢 [1989]
  • 「巡幸을 통해 본 三國時代의 王」
    申瀅植 韓國學報24 [1981]
  • 「峨嵯山城의 築造年代에 대하여」
    任孝宰 尹相悳 淸溪史學16,17 [2002]
  • 「山淸 中村里古墳群에 대한 小考」
    하승철 慶南硏究2 [2010]
  • 「小白山脈 北麓式 水口形式 試論」韓國史의 理解고대,고고Ⅰ
    車勇杰 신서원 [1991]
  • 「嬰陽王代 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隋關係」
    김진한 高句麗渤海硏究33 [2009]
  • 「娘臂城과 孃子谷城考」
    金崙禹 史學志21 [1988]
  • 「大加耶의 世系와 道設智」
    金泰植 震檀學報81 [1996]
  • 「外來系文物을 통해 본 固城 小加耶의 對外交流」
    하승철 가야의 포구 와 해상활동(제17회 가야사학술회의), 김해시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 구소 [2011]
  • 「城山山城 출토 荷札木簡의 製作地와 機能」
    李京燮 韓國古代史硏究 37 [2005]
  • 「國際法上 領土의 槪念 및 그 權限」
    柳炳華 領土問題硏究1 [1983]
  • 「國原小京과 于勒」
    梁起錫 忠北史學16 [2006]
  •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의 性格 檢討」
    朴鍾益 韓國考古學報48 [2000]
  •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의 基礎的 檢討」
    朱甫暾 韓國古代史硏究19 [2000]
  •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에 대하여」咸安城山山城
    金昌鎬 國立昌原 文化財硏究所 [1998]
  • 「咸安 城山山城 出土 木簡」韓國의 古代木簡
    李鎔賢 國立昌原文化財 硏究所 [2004]
  • 「古墳資料로 본 新羅勢力의 湖西地方 進出」
    山本孝文 湖西考古學4,5 [2001]
  • 「古代韓日關係史 硏究의 현단계와 문제점 -金鉉球, 金泰植氏의 업적을 중심으로-」
    延敏洙 歷史學報143 [1994]
  • 「古代國家成長過程에 있어서의 對服屬民施策(上) -其人制 起源 說에 대한 檢討에 붙여서 -」
    韓㳓劤 歷史學報12 [1960]
  • 「古代 領域 관념의 형성과 王土儀式」
    金昌錫 韓國史硏究129 [2005]
  • 「古代 淸州地域의 歷史的 動向」
    김영관 白山學報82 [2008]
  • 「古代 地方道路와 陸上交通路 - 燕岐地域을 中心으로 -」
    李販燮 湖西 考古學35 [2016]
  • 「南韓地域의 高句麗 유적」
    沈光注 高句麗硏究12 [2001]
  •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硏究」
    崔鍾澤 先史와 古代24 [2006]
  • 「南韓內 高句麗古墳의 檢討」
    白種伍 高句麗渤海硏究35 [2009]
  • 「南韓 地域 出土 高句麗 기와의 特徵」
    심광주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 산, 경기도박물관 [2007]
  • 「南漢江 流域의 古代史 硏究」
    梁起錫 江原文化史硏究4 [1999]
  • 「南漢地域 高句麗 關防體系 -臨津江流域을 중심으로-」
    白種伍 先史와 古代26 [2007]
  • 「南山新城의 築造와 南山新城碑 -第9碑를 중심으로-」
    朱甫暾 新羅文 化10,11 [1994]
  • 「南山新城碑의 綜合的 考察」
    秦弘燮 歷史學報26 [1965]
  • 「南山新城碑를 통하여 본 新羅의 地方統治體制」
    李鍾旭 歷史學報64 [1974]
  • 「北韓山碑의 新考察」
    李宇泰 서울학연구12 [1999]
  • 「北漢山州 置廢 問題」
    李丙燾 鄕土서울6 [1959]
  • 「加耶의 消滅過程을 통해 본 加耶-百濟-新羅關係」
    李熙眞 歷史學報 141 [1994]
  • 「加耶의 國際環境과 外交 -新羅關係를 중심으로-」加耶의 對外 關係 -第5回 加耶史學術會議 資料集-
    李成市 金海市 [1999]
  • 「加耶諸國의 外交形式」
    李永植 韓國古代史硏究7 [1994]
  • 「加羅(大加耶)를 둘러싼 국제적 환경과 그 대외교섭」
    이용현 韓國古代 史硏究18 [2000]
  • 「利川 雪城山城에 대한 고찰」
    徐榮一 史學志32 [1999]
  •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이동희 韓國上古史學報 46 [2004]
  • 「光名市 關防遺蹟」
    백종오 한준영 광명시의 역사와 문화, 세종대학교박물관 [2003]
  • 「伽耶史의 新考察-大伽耶 問題를 中心으로-」
    文暻鉉 大丘史學9 [1975]
  • 「仁川沿岸의 古代城郭에 대하여」
    白種伍 문화사학23 [2007]
  • 「京畿地域 山城出土 新羅기와 硏究」
    서봉수 京畿史學6 [2002]
  • 「京畿北部地域 高句麗 堡壘 硏究」
    서영일 文化史學17 [2002]
  • 「京畿,서울,仁川 地域 關防遺蹟의 硏究現況」
    김병희 김주홍 백종오 學藝誌8 [2001]
  • 「京畿 海岸島嶼의 歷史 文化와 東아시아」
    金炳坤 東아시아古代學14 [2006]
  • 「于勒의 삶과 가야금」
    주보돈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 문화, 고령 군,대가야박물관,계명대학교 학국학연구원 [2006]
  • 「二聖山成 出土의 木簡과 道使」
    朱甫暾 慶北史學14 [1991]
  • 「二聖山城 출토의 木簡 年代 問題」
    金昌鎬 韓國上古史學報10 [1992]
  • 「二聖山城 出土 木簡의 檢討」
    李道學 韓國上古史學報12 [1993]
  • 「二城山城 출토 문자유물을 통해서 본 신라 지방사회의 문서행 정」
    이경섭 역사와 현실81 [2011]
  • 「丹陽赤城의 歷史 地理的 性格」
    金元龍 史學志12 [1978]
  • 「丹陽眞興王拓境碑의 建立年代와 性格」
    邊太燮 史學志12 [1978]
  • 「丹陽新羅赤城碑의 再檢討 -碑文의 復元과 分析을 中心으로-」
    朱甫暾  慶北史學7 [1984]
  • 「丹陽 新羅 赤城碑 建立의 背景 -也尒次의 功籍과 恩典의 性格 을 중심으로-」
    李宇泰 泰東古典硏究8 [1992]
  • 「中原高句麗碑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張彰恩 歷史學報189 [2006]
  • 「中原高句麗碑의 몇 가지 問題」
    金貞培 史學志13 [1979]
  • 「中原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 城과 國防體系 -于伐城과 古牟 婁城을 중심으로-」
    徐榮一 高句麗硏究10 [2000]
  • 「中原文化圈의 歷史的 展開 -그 地政學的 戰略的 位相 變化를 中心으로-」
    朴京哲 先史와 古代15 [2000]
  • 「中原地域 高句麗 遺蹟 遺物의 檢討」
    白種伍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 「中原 古墳遺蹟의 검토」
    박중균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 「三韓의 國家形成」
    千寬宇 韓國學報2,3 [1976]
  • 「三韓에 대한 認識의 變遷」
    盧泰敦 韓國史硏究38 [1982]
  • 「三國의 曾坪地域 進出과 二城山城」
    양기석 중원문화연구18,19 [2012]
  • 「三國의 抗爭」 韓國史3
    李萬烈 國史編纂委員會 [1989]
  • 「三國과 南北朝 交涉의 性格」
    徐榮洙 東洋學11 [1981]
  •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최희준 한국 학논총36 [2011]
  • 「三國時代 韓中外交의 전개와 성격」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徐榮洙 三知院 [1987]
  • 「三國時代 新羅 異斯夫의 軍事 活動」
    정운용 先史와 古代50 [2016]
  • 「三國時代 城郭과 二聖山城」
    심광주 二聖山城 -이성산성 발굴 20주년 기념 특별전-, 한양대학교박물관 [2006]
  • 「三國史記 溫達傳을 통해 본 온달의 역사적 위상과 阿旦城」
    정호섭 한 성사학29 [2014]
  •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비정」
    홍영호 韓國史硏究150 [2010]
  • 「一統三韓의 실상과 의의」
    김영하 한국고대사연구59 [2010]
  •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시기에 대한 재검토」
    윤경진 史林45 [2013]
  • 「「中原高句麗碑」의 釋讀과 내용의 의의」
    篠原啓方 史叢51 [2000]
  • 「《高麗史》〈樂志〉의 史學史的 檢討」
    全用宇 湖西史學14 [1986]
  • 「“羅唐戰爭” 硏究 中의 몇 가지 問題」
    拜根興 中國學報46 [2006]
  • 「“三國史記” ‘靺鞨’기사의 考古學的 接近」
    李弘鍾 韓國史學報5 [1988]
  • 「‘廣開土王碑文’에서의 ‘安羅人戍兵’과 安羅國」
    南在祐 成大史林12,13 [1997]
  •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의 의의」
    황보경 軍史96 [2015]
  • 「7세기 전쟁의 확대와 신라인의 巡國主意的 生死觀」
    나희라 한국고대 사연구53 [2009]
  • 「7세기 삼국통일전쟁과 신라의 군사활동 -660년 이전 對高句 麗戰을 중심으로-」
    강종훈 新羅文化24 [2004]
  • 「7세기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전쟁」
    임기환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一潮閣 [2006]
  • 「7세기 高句麗 軍事活動의 주요 變數」
    李仁哲 新羅文化24 [2004]
  • 「7世紀 新羅와 百濟와의 關係」
    노중국 新羅學國際學術大會論文集-7世 紀 東亞世亞의 新羅, 慶州市,新羅文化遺産硏究院 [2010]
  • 「7~11세기 경기도 북부지역에서의 간선교통로 변천과 ‘長湍渡 路’」
    정요근 韓國史硏究131 [2005]
  • 「6세기 후반~7세기 초반 高句麗의 南進과 對新羅 領域向方」
    張彰恩  民族文化論叢55 [2013]
  •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百濟, 新羅의 전쟁과 大耶城」
    金昌錫 新羅文化 34 [2009]
  •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경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 국 경계의 재검토-」
    박성현 역사와 현실76 [2010]
  • 「6세기 중엽 중서부에서의 백제 신라의 영토교환 제의」
    김민수 군사학 연구11 [2016]
  • 「6세기 중반 한강유역 쟁탈전과 管山城 戰鬪」
    장창은 眞檀學報111 [2001]
  • 「6세기 말 고구려의 정국과 대왜 교섭 재개의 배경」
    이영재 역사와 현 실83 [2012]
  • 「6세기 百濟의 加耶진출과 그 성격」
    김애경 梨花史學硏究27 [2000]
  • 「6世紀 新羅의 北進路와 淸原 飛中里 石佛」
    徐榮一 史學志30 [1997]
  • 「6世紀 新羅의 加耶 倂合과 그 意味」
    정운용 史叢52 [2000]
  • 「6世紀 新羅 ‘大王’의 成立과 그 國際的 契機」
    李文基 新羅文化祭學術 發表會論文集9 [1988]
  • 「6世紀 前半 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外關係」
    金鎭漢 軍史64 [2007]
  • 「6~7세기 신라토기 相對編年 試論-慶州芳內里古墳群을 중심으 로-」
    尹相悳 韓國考古學輔45 [2001]
  • 「6~7世紀 全南東部地域의 考古學的 性格」
    이동희 史林15 [2001]
  •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당의 전쟁」
    장창은 신라사학보38 [2016]
  •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對新羅攻勢의 배경」
    윤성환 국학 연구17 [2010]
  • 「648, 649년 신라의 對百濟戰 승리와 그 의미」
    李文基 新羅文化47 [2016]
  • 「603年 北漢山城 전투 고찰」
    황보경 韓國史學報58 [2015]
  • 「602년 阿莫城 戰鬪의 배경과 성격」
    박종욱 韓國古代史硏究69 [2013]
  • 「6, 7세기 高句麗 귀족세력의 동향」
    林起煥 韓國古代史硏究5 [1992]
  • 「5세기말엽 7세기중엽 삼국통일을 위한 고구려의 남방진출연구 」
    최준경 고구려사연구론문집(2), 사회과학출판사 [2005]
  • 「5세기 후반~6세기 중엽 高句麗와 百濟의 국경 변천」
    여호규 百濟文 化48 [2013]
  • 「5세기 후반 고구려와 신라의 국경선」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 선, 서경문화사 [2008]
  • 「5세기 후반 加羅國의 성장과 帶山城 전투의 성격」
    신수진 韓國史硏究 172 [2016]
  • 「5세기 중후반 신라 소지마립간대의 대고구려 관계」
    윤성호 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재조명(학술회의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17]
  • 「5世紀 高句麗 勢力圈의 南下」
    鄭雲龍 史叢35 [1989]
  • 「5~6세기 한강유역사 再論 -식민사학의 병폐와 관련하여-」
    임범식 漢 城史學15 [2002]
  • 「5~6세기 영주,순흥 재지세력의 동향」
    서지영 大丘史學120 [2015]
  • 「5~6세기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경영」
    서영일 博物館紀要20 [2005]
  • 「5~6세기 삼국간 국경변동에 관한 諸說의 검토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종훈 大丘史學116 [2014]
  • 「5~6세기 백제의 北界 -475~551년 百濟의 漢江流域 領有問 題를 중심으로-」
    양기석 博物館紀要20 [2005]
  • 「5~6세기 고구려의 남진과 영역 범위」
    임기환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 유산, 경기도박물관 [2007]
  •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고구려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을 중심으로-」
    金榮官 北方史論叢11 [2006]
  •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고구려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을 중심으로-」
    노중국 北方史論叢11 [2006]
  •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박성현 역사와 현실82 [2011]
  • 「5~6세기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 故地’의 實際-」
    張彰恩 白山學報88 [2010]
  • 「5~6세기 高句麗와 新羅의 관계 -신라의 漢江流域 진출과 관 련하여-」
    주보돈 북방사논총11 [2006]
  • 「5~6세기 高句麗와 加耶의 관계」
    金泰植 北方史論叢11 [2006]
  • 「5~6世紀 前半 新羅와 百濟의 關係」
    梁起錫 新羅文化際學術發表會論 文集15 [1994]
  • 「552년 백제의 한강유역 포기[棄]와 신라,고구려의 밀약설(密 約說)」
    강민식 선사와 고대40 [2014]
  •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 변천」
    여호규 역사와 현실84 [2012]
  • 「4~6세기경 小白山脈 以東地域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 志의 慶北地域 ‘高句麗郡縣’을 중심으로-」
    金賢淑 韓國古代史硏究26 [2002]
  • 「4~6세기 전반기 삼국통일정책 실현을 위한 고구려의 투쟁」
    최창빈  력사과학논문집14 [1989]
  • 「4~6세기 신라의 동해안 지역 진출과 지방 지배방식」
    홍승우 4~6세 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2009]
  • 「4~5세기 신라의 농업생산과 사회발전」
    李賢惠 韓國上古史學報8l [1991]
  • 「4~5세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정재윤 高句麗渤海硏究44 [2012]
  • 「475~551년 한강유역 領有國 論議에 대한 검토」
    김현숙 鄕土서울 73 [2009]
  • 「475~551년 한강 하류 유역 領有國 문제에 관한 考察」
    윤대준 정신 문화연구118 [2010]
  •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정동준 역사와 현실46 [2002]
  •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국성곽학회 한국성곽학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