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권순영 2018년
논문상세정보
'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래교육
  • 미래사회
  • 미래의 교사
  • 미래학교
  • 시민교육
  • 윤리교육
  • 진로교육
  • 환경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16 0

0.0%

'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의 참고문헌

  •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언스지가 주목한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 한국정보화 진흥원 미래전략센터 [2017]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6]
  • DR하브루타교육연구회 『하브루타 질문 수업』 서울: 경향비피 [2012]
  • 한국고용정보원 『2014 신직업 육성 추진 계획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014]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역 『교육학 대백과사전1』 서울: 하우동설 [1998]
  • 한국교육개발원 『미래사회 변화와 한국교육의 과제』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1987]
  •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컴퓨터 게임의 활용
    김인철 『한국컴퓨터게 임학회논문지』 Vol.26. No.3. 109-118 [2013]
  • 혐오 혹은 메스꺼움과 배제의 생명정치
    김왕배(Kim, Wang-Bae)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1. 111-149 [2017]
  • 한국일보 비트코인 이외 주목 받는 7가지 암호화폐. http://www.hankookilbo.com (2017.11.24
    검색) [201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교육 방향, 현장에서 답을 찾다』 2017 KERIS 미래 교육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제미래학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 고서』 파주시: 광문각 [201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keris.or.kr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 한국교육개발원 『미래사회 전망과 교육 구상』 제95차 KEDI 교육정책포럼 자료집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6]
  • 한국교육개발원
    https://www.kedi.re.kr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ndsl.kr
  • 한국경제 지진아서 뉴재팬 얼굴된 유토리 세대. http://news.hankyung.com (2017.11.21
    검색) [2017]
  • 한국경제 중국 해커 놀이터 된 독일 74조원 규모 기술 뺏기고도 침묵한 까 닭. ttp://news.hankyung.com (2017.10.04
    검색) [2017]
  • 한겨레 Z세대 글보다 이미지 소통. http://www.hani.co.kr (2017.09.19
    검색) [2016]
  • 하브루타를 통한 교수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세범 『신학과 목 회』 Vol.22. 389-415 [2015]
  • 하버마스와 교육
    한기철 서울: 학지사 [2008]
  • 플라톤 아카데미(편역) 『지속 가능한 미래』
    경기도: 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7]
  • 플라톤 아카데미 Slavoj Zizek의 미래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동영상. http://www.platonacademy.org (2017.10.10
    검색) [2016]
  • 플라톤 아카데미 Bernard Werber의 인간을 보는 다른 시선. 동영상. http://www.platonacademy.org (2017.09.10
    검색) [2013]
  • 편역 The Tao of Learning . 이현주 역(2003)
    Metz, P. 『배움의 도』 서울: 민들레 [1994]
  • 박사
    초등학교의 정보윤리교육 방안
    단동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초등도덕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3]
  • 초등학교 학습공간의 유비쿼터스 시스템 적용방향에 관한 연구
    신동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교육시설정책 전공 석사 학위논문 [2008]
  • 창의와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 및 미래형 교실 환경 연구
    이은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 책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4]
  • 지속가능 미래형 스마트교육 시스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박지현 목원대학교 대학원 IT공학 전공 [2012]
  • 지능정보사회에서 교직의 미래전망과 유아교육정책의 과제
    임승렬 『한국교 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13-52 [2016]
  • 지능정보사회에서 교직의 미래 전망과 중등 교원정책의 과제
    김병찬 김이경 백미원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103-163 [2016]
  •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보고서
    교육부 교육부 [2016]
  • 중앙일보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4개월 AI 시대 대안 될 수 있을까. http://news.joins.com (2017.09.16
    검색) [2017]
  • 중앙일보 21세기로 맞추자 I세대를 위한 준비. http://news.joins.com (2017.09.19
    검색) [2000]
  • 조선일보 중국연구진, 인간 배아단계서 DNA수술로 유전병 제거 세계 최초 성공. http://news.chosun.com (2017.09.29
    검색) [2017]
  • 조선일보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인터뷰. http://news.chosun.com. (2017.04.15
    검색) [2016]
  •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에 대한 토론
    박지현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 논문집』 Vol.2017. No.2. 105-108 [2017]
  •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지배와 적응 사이에서
    조상식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2017. No.2. 31-52 [2017]
  • 정보산업사회의 교육에 대한 철학적 고찰
    전일균 『교육철학연구』 Vol.17. 89-105 [1997]
  • 정보 사회의 사생활 침해와 가치교육. 석사학위논문
    하영미 서울대학교 대학 원 사회교육 전공 [1999]
  • 일자리 빼앗는 로봇에 과세 … 美 로봇세 논의 확산. http://biz.chosun.com (2017.09.16
    조선비즈 검색) [2017]
  • 일간투데이 사설 생명윤리 존중하되 인간배아연구 길 터줘야. http://www.dtoday.co.kr (2017.09.29
    검색) [2017]
  • 인터넷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김지원 전 북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학위논문 [2016]
  • 인간복제배아연구, 생명파괴 윤리문제 피할 수 없어. http://www.nocutnews.co.kr (2017.09.29
    노컷뉴스 검색) [2016]
  • 유엔미래포럼 KFF2016 ‘뇌+AI '증강된 천재’ 온다 2030년 대변혁 제롬 글 렌 밀레니엄 프로젝트회장 미래예측. http://korea2050.net (2017.09.26
    검색) [2016]
  • 알파고 시대를 준비하는 체육교육의 방향
    이대형(Lee Dae Hyung) 『홀리스틱교육연구』 Vol.20. No.4. 141-163 [2016]
  • 세계에너지기구
    http://www.iea.org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원교육』 Vol.31. No
    정기오 특별호. 183-205 [2015]
  • 세계미래보고서 2055
    박영숙 제롬글렌 서울: 비즈니스북스 [2017]
  • 미래형 수학 교실의 규준 연구
    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 미래창조과학부
    http://www.now.go.kr
  • 미래직업 대예측 NEXT JOB
    박세훈 박영숙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2006]
  •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윤리 연구
    김미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미래를 위한 인재양성과 탐구지향 교사교육
    백경미 『미술과교육』 Vol.10. No.1. 23-43 [2009]
  • 미래교육의 방향은 지성교육인가 인성교육인가
    류성창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49-68 [2016]
  •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김성길 『미래교육연구』 Vol.1. No.1. 57-64 [2011]
  •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영옥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전공 [2000]
  • 미네르바 스쿨
    https://www.minerva.kgi.edu
  • 매일경제 IP카메라 해킹영상 중국 성인사이트까지 유포. http://news.mk.co.kr (2017.10.04
    검색) [2017]
  • 로봇이 못하는 일 찾자 인간 vs 로봇 일자리 전쟁 시작됐다. http://www.etoday.co.kr (2017.09.16
    이투데이 검색) [2017]
  • 디지털교과서누리집
    https://st.edunet.net
  • 동아일보 인공지능 의사 ‘왓슨’, 7초 만에 추천 항암제-생존율 술술. http://news.donga.com (2017.04.15
    검색) [2017]
  • 박사
    도덕과 수업을 위한 통합적 가치 교육 모형 연구
    심승보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 다음백과
    http://100.daum.net
  • 기후변화정부간회의
    http://www.ipcc.ch
  • 글로벌리더스포럼
    http://www.glfkorea.com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www.ncic.go.kr
  • 교육정책네트워크연구센터 시험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기 위한 초안 마 련. http://edpolicy.kedi.re.kr (2017.09.19
    검색) [2017]
  • 교육의 인문성(人文性) 회복의 미래가치 탐색
    곽덕주 방진하 『아시아교육연 구』 Vol.14. No2. 109-141 [2013]
  • 교육의 미래를 바꿀 VR-러닝 활용 방안
    박태정 『공학교육동향』 Vol.24. No.2. 39-43 [2017]
  • 교육을 위한 미래 교육 시설 구축 방향
    박인우 『교육시설』 Vol.20. No.5. 16-20 [2013]
  • 小林 薰 Druker to No Taiwa . 남상진 역(2002)
    『피터드러커 미래를 읽는 힘』 서울: 청림출판 [2001]
  • 內田樹 下流志向. 김경옥 역(2014)
    『하류지향』 서울: 민들레 [2007]
  • 佐藤 学 Gakko Wo Kaikaku Suru . 손우정,신지원 공역(2016). 『사토마나 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서울: 에듀니티 [2012]
  • 佐藤 学 Gakko No Chosen . 손우정 역(2015)
    『학교의 도전 배움의 공동체 를 만들다』 서울: 우리교육 [2006]
  • 『파이데이아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오인탁 서울: 학지사 [2017]
  • 『톨스토이와 평화』
    이문영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6]
  • 『최윤식의 미래준비학교 흔들림 없는 인생을 계획하는 5단계』
    최윤식 최현식 서울: 지식노마드 [2016]
  • 『최윤식의 Future Report2015-미래 생존 전략을 준비해야 할 마지 막 1년』
    최윤식 서울: 지식노마드 [2015]
  •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
    김수행 신정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영재들의 비밀습관 하브루타』
    장성애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2016]
  • 『수업을 왜 하지』
    서근원 서울: 우리교육 [2003]
  • 『배움의 공동체』
    손우정 서울: 해냄출판사 [2016]
  • 『미리 가본 2018년 유엔미래보고서』
    Glenn, J. Gordon, T 박영숙 서울: 교 보문고 [2010]
  • 『미래학이란 무엇인가』
    하인호 서울: 일송북 [2009]
  • 『미래사회와 교육』
    김억환 박찬석 이종문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개편방안(Ⅱ)』
    박재윤 양승실 윤종혁 충북: 한국 교육개발원 [2007]
  • 『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정진원 교육과학기술부 [2012]
  • 『미래를 읽는 9가지 방법』
    하인호 서울: 일송북 [2008]
  •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 전 연구(Ⅰ):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김종윤 유창완 주형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 『만남의 교육』
    강선보 서울: 양서원 [1992]
  • 『로켈에듀』
    추창훈 서울: 에듀니티 [2017]
  • 『로봇 시대, 인간의 일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야 할 이들을 위한 안 내서』
    구본권 서울: 어크로스 [2017]
  • 『당신을 공유하시겠습니까 셀카 본능에서 잊혀질 권리까지, 삶의 격 을 높이는 디지털 문법의 모든 것』
    구본권 서울: 어크로스 [2015]
  • 『기회의 대이동』
    김건주 최윤식 파주시: 김영사 [2014]
  • 『OECD 교육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 분석과 향후과제』
    김은영 윤종혁 최수진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6]
  • 『4차 산업혁명, 부의 기회를 잡아라 제4의 물결이 온다』
    최윤식 최현식 서울: 지식노마드 [2017]
  •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김진영 반상진 최상덕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1]
  • 『2030 대담한 미래』
    최윤식 서울: 지식노마드 [2013]
  • 『2030 대담한 미래2』
    최윤식 서울: 지식노마드 [2014]
  • 『2020 미래교육보고서』
    박영숙 서울: 경향미디어 [2013]
  •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교육부 [2015]
  • • 위키피디아
    https://www.wikipedia.org
  • “Chi No Suitai”
    Kenichi, O. Kara Ika Ni Dasshutsu Suruka? . 양영철 역(2009). 『지식의 쇠퇴: 오마에 겐이치의 21세기 집단지성론』 서울: 도 서출판 말글빛냄 [2009]
  • khan academy. https://ko.khanacademy.org
  • Zeit. Der Stoff, Aus Dem Das Leben Ist. Eine Gebrauchsanleitrun. 유영미 역(2007)
    Klein, S. 『시간의 놀라운 발견』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6]
  • Wie Kommt Der Hunger In Die WELT . 유영미 역(2011)
    Ziegler, J.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 아의 진실』 서울: 갈라파고스 [2000]
  • WEF(2017). The Global Risks Report 2017 12th Edition. World Economic Forum.
  • WEF(2016c). The Global Risks Report 2016 11th Edition. World Economic Forum.
  • WEF(2016b).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World Economic Forum.
  • WEF(2016a). New Vision for Education: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 WEF Robots have been taking our jobs for 50 years, so why are we worried? https://www.weforum.org (2017.09.01
    검색) [2017]
  • WEF 6 ways to make sure AI creates jobs for all and not The few. https://www.weforum.org (2017.09.01
    검색) [2017]
  • Une Br ve Histoire de L’avenir . 양영란 역(2010)
    Attali, J. 『미래의 물 결』 파주시: 위즈덤하우스 [2007]
  • UK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1998).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The Teaching of Democracy in Schools . LD: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 Transparenzgesellschaft . 김태환 역(2017)
    한병철 『투명사회』 서울: 문학 과 지성사 [2012]
  • Tous Ruin s Dans Dix Ans . 양진성 역(2012)
    Attali, J. 『더 나은 미래』 서울: 청림출판 [2010]
  • Tom Brown’s Field Guide to Nature and. 김병순 역 (2006)
    Brown, J. Brown, T. 『산과 들에서 배우는 감각 교육 길잡이 여우처럼 걸어라』 파주시: 보리 [2006]
  • To Have Or to Be. 차경아 역(2012)
    Fromm, E. 『소유냐 존재냐』 서울: 까치글방 [1976]
  • Thinking and Speech . 이병훈,이재혁,허승철 공역(2013)
    Vygotsky, L. S. 『사고와 언어』 파주시: 한길사 [1987]
  • Thinking and Speech . Kellogg, D,배희철,김용호 공역 (2013)
    Vygotsky, L. S. 『생각과 말』 서울: 살림터 [1934]
  • Theories des Kommunikativen Handelns: Zur Kritik der Funktionalistischen Vernunft . 장춘익 역(2015)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2 기능주의적 이성 비판을 위하여』 파주시: 나남 [1981]
  • The ages of Gaia: A Biography of Our Living Earth . 홍 욱희 역(1992)
    Lovelock, J. 『가이아의 시대: 살아 있는 우리 지구의 전기』 서울: 범 양사출판부 [1988]
  •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The Internet of Things, The Collaborative Commons, and The Eclipse of Capitalism. 안진환 역 (2015)
    Rifkin, J. 『한계비용 제로 사회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의 부상』 서울: 민음사 [2014]
  • The Year of Dreaming Dangerously. 주성우 역(2012). 『지금 여 기, 내용 없는 민주주의 실패한 자본주의 멈춰라
    Zizek, S. 생각하라』 서울: 미래엔 [2012]
  • The Tyranny of choice . 박광호 역(2015)
    Salecl, R. 『선택이라는 이데올 로기』 서울: 후마니타스 [2010]
  • The Third Wave. 원창엽 역(2009)
    Toffler, A. 『제3의 물결』 서울: 홍신문 화사 [1980]
  •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How Lateral Power Is Transforming Energy, The Economy, and The World. 안진환 역(2012). 『3차 산업혁명 수평 적 권력은 에너지, 경제
    Rifkin, J. 그리고 세계를 어떻게 바꾸는가』 서울: 민음사 [2011]
  • The Singulaity Is Near . 김명남 장시형 공역(2016)
    Kurzweil, R. 『특이점 이 온다』 파주시: 김영사 [2005]
  • The Shallows . 최지향 역(2011)
    Carr, N.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2010]
  • The Science Times 로봇교사 등장에 학생들 열광 미국 프랑스 학교 에 로봇교사 확산. http://www.sciencetimes.co.kr (2017.09.19
    검색) [2016]
  •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 김묵한,박행웅,오은주 공 역(2003)
    Castells, M.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0]
  • The Origins of Virtue. 신좌섭 역(2017)
    Ridley, M. 『이타적 유전자』 서 울: 사이언스북스 [1996]
  • The New York Times Move Over, Millennials, Here Comes Generation Z. https://www.nytimes.com (2017.09.19
    검색) [2015]
  • The New Realites . 김용국 역(1989)
    Drucker, F. P. 『새로운 현실』 서울: 시사영어사 [1989]
  • The Meaning of The 21st Century . 류현 역(2009)
    Martin, J. 『미래학 강 의』 파주시: 김영사 [2006]
  • The Master Algorithm: How The Quest for The Ultimate earning Machine Will Remake Our World. 강형진 역(2016)
    Domingos, P. 『마스터알 고리즘 머신러닝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서울: 비즈니스북스 [2015]
  • The Half_Life of Facts . 이창희 역(2014)
    Arbesman, S. 『지식의 반감기』 서울: 책읽는 수요일 [2013]
  • The Glass Cage. 이진원 역(2014)
    Carr, N. 『생각을 통제하는 거대한 힘 유리감옥』 서울: 한국경제신문 [2014]
  • The Fourth Way . 이찬승,김은영 역(2016)
    Hargreaves, A. Shirly, D. 『학교교육 제4의 길』 서울: 교육을 바꾸는 책 [2015]
  • The Fourth Industrial Revolotion . 송경진 역(2017)
    Schwab, K. 『클라우 드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서울: 메가스터디 [2016]
  • The Essential Drucker Ⅲ . 이재규 역(2001)
    Drucker, F. P. 『이노베이 터의 조건 어떻게 스스로를 혁신할 것인가』 서울: 청림출판 [2000]
  • The Essential Drucker Ⅱ. 이재규 역(2011)
    Drucker, F. P. 『변화 리더 의 조건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 갈 것인가』 서울: 청림출판 [2000]
  • The End of Work. 이영호 역(2016)
    Rifkin, J. 『노동의 종말』 서울: 민음사 [1995]
  • The Empathic Civilization . 이경남 역(2012)
    Rifkin, J. 『공감의 시대』 서 울: 민음사 [2009]
  • The Chomsky-Foucault Debate-On Humanl Nature by Noam Chomsky . 이종인 역(2017). 『촘스키와 푸 코
    Chomsky, N. A. Foucault, M.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서울: 시대의 창 [2006]
  • The Art of The Long View . 박슬라 역(2009)
    Schwartz, P. 『미래를 읽는 기술』 서울: 비즈니스북스 [1996]
  •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 오영환 역(2004)
    Whitehead, A. N. 『교육의 목적』 파주시: 궁리 [1967]
  • The Age of Empathy: Nature’s Lessons for a Kinder Society . 최재천 역(2017)
    Waal, D. F. 『공감의 시대』 파주시: 김영사 [2009]
  • The Age of Access. 이희재 역(2002)
    Rifkin, J. 『소유의 종말』 서울: 민음사 [2001]
  • Survivre Aux Crises. 양영란 역(2010)
    Attali, J. 『살아남기 위하여』 파주 시: 위즈덤하우스 [2009]
  •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 오생근 역 (2017)
    Foucault, M.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경기도: 나남 [1975]
  • State of Crisis. 안규남 역(2014)
    Bauman, Z. Bordoni, C. 『위기의 국 가』 파주시: 동녘 [2014]
  • Silent Spring. 김은영 역(2012)
    Carson, L. R. 『침묵의 봄』 서울: 에코리 브르 [2002]
  • Sapiens . 조현욱 역(2015)
    Harari, N. Y. 『사피엔스』 파주시: 김영사 [2011]
  • Sadovnik, R. A.(ed)(2007). Sociology of Education . NY: Routledge.
  • Rousseau Juge de Jean Jaques. 진인혜 역(2012). 『루소
    Rousseau, J. J. 장자크를 심판하다-대화』 서울: 책세상 [1959]
  • Riskante Moderne: Die Deutschen und der Neue Kapitalismus. 윤종석 역(2010)
    Nolte, P. 『위험사회와 새로운 자본주의』 서울: 도 서출판 한울 [2008]
  • Richesse du Monde, Pauvret s des Nations . 주명철 역 (2000). 『부유해진 세계
    Cohen, D. 가난해진 사람들』 서울: 시유시 [1997]
  • Revolutionary Wealth . 김중웅 역(2016)
    Toffler, A. Toffler, H. 『부의 미 래』 서울: 청림출판 [2006]
  • Ranciѐre, J. Le Maȋtre Ignorant. 양창렬 역(2013)
    『무지한 스승』 서울: 궁리출판 [1987]
  • Power Shift. 이규행 역(1995)
    Toffler, A. 『권력이동』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0]
  • Platform Revolution . 이 현경 역(2017)
    Alstyne, V. M. Choudary, P. S. Parker, G. G. 『플랫폼 레볼루션』 서울: 부키 [2016]
  • Philosophic Foundations of Education . 김동구 역 (1998)
    Shermis, S. S. 『교육의 철학적 기초』 서울: 학지사 [1967]
  •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역(2011)
    Freire, P. 『페다고지』 서 울: 그린비 [1970]
  • Only Humans Need Apply. 강미경 역(2017)
    Davenport, H. T. Kirby, J. 『AI시대 인간과 일』 파주시: 김영사 [2016]
  •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OECD Press.
  • OECD(2001). Education Policy Analysis . OECD Publishing.
  • OECD Global competency for an inclusive world . https://www.oecd.org (2017.09.27
    검색) [2016]
  • Not For Profit . 우영석 역(2016)
    Nussbaum, C. M. 『학교는 시장이 아니 다』 파주시: 궁리 [2011]
  • Natural-Born Cyborgs . 신상규 역(2016)
    Clark, A. 『내추럴-본 사이보그』 파주시: 아카넷 [2003]
  • My Views on Education. 고병헌 역(2014). 『간디, 나의 교육 철학
    Gandhi, M. 서울: 문예출판사 [1970]
  • Mube: Vom Gl ck des Nichtstuns . 김희상 역(2016)
    Schnabel, U. 『아 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 파주시: 가나출판사 [2010]
  •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 이한우 역(2017)
    Niebuhr, R.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1960]
  • Managing in The Next Society . 이재규 역(2011)
    Drucker, F. P. 『넥스 트 소사이어티』 서울: 한국경제신문 [2002]
  • MBC 미래인간. 동영상. http://www.imbc.com (2017.09.19
    검색) [2016]
  • M digKeitsGesellSchaft. 김태환 역(2014)
    한병철 『피로사회』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0]
  • L’homme Nomade. 이효숙 역(2010). 『호모 노마드
    Attali, J. 유목하는 인 간』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2003]
  • L’Herm neutiques du Sujet. 심세광 역(2007)
    Foucault, M. 『주체의 해 석학』 서울: 동문선 [2001]
  • Liquid Modernity . 이일수 역(2009)
    Bauman, Z. 『액체근대』 서울: 강 [2000]
  • Lignes D’horizon. 유재천 역(1993)
    Attali, J. 『21세기 승자』 서울: 다섯수레 [1990]
  • Le Capital au XXIe SIC LE. 장경덕,유엔제이 공역(2014)
    Piketty, T. 『21 세기 자본』 파주시: 글항아리 [2013]
  • Kurzweil, R,Grossman, T. Transcend: Nine Steps to Living Well Forever . 김희원 역(2015)
    『영원히 사는 법 의학혁명까지 살아남기 위 해 알아야 할 9가지』 서울: 승산 [2009]
  • Jr, A. J. Berge, Z.(2011). Digital natives and digital immigrants: getting to know each other.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 Vol.43. No.7. 460-466.
  • Independent Eu to vote on declaring robots to be ‘eletronic person’. http://www.independent.co.uk (2017.10.13
    검색) [2017]
  • Illich, I Deschooling Society. 박홍규 역(2009)
    『학교 없는 사회』 서울: 생 각의 나무 [1970]
  • Ich und Du . 표재명 역(2017)
    Buber, M. 『나와 너』 서울: 문예출판사 [1923]
  • IT world 사람인 줄 알았는데 인공지능 조교, 조지아공과대학 등장. http://www.itworld.co.kr (2017.09.19
    검색) [2016]
  • Humans Are Underrated . 신동숙 역(2016)
    Colvin, G.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 서울: 한스미디어 [2015]
  • How To Create A Mind The Secret of Human Thought Revealed . 윤영삼 역(2013)
    Kurzweil, R. 『마음의 탄생 알파고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 을 훔쳤는가』 서울: 크레센도 [2012]
  •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이종인 역(2017)
    Huizinga, J.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파주시: 연암서가 [1938]
  • Homo Economicus . 박상은 역(2013)
    Cohen, D. 『호모 이코노미쿠스: 새 로운 시대에 방황하는 선구자』 파주시: 글항아리 [2013]
  • Homo Deus: A Brief History of Tomorrow . 김명주 역 (2017)
    Harari, N. Y. 『호모데우스 미래의 역사』 파주시: 김영사 [2015]
  •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이진원 역(2014)
    Tapscott, D. 『디지털 네이티브』 서울: 비즈니스북스 [2009]
  • Governing the Commons . 강은숙,김종석 역(2016). 『엘리너 오스트롬
    Ostrom, E. 공유의 비극을 넘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0]
  • Google 학술검색
    https://scholar.google.co.kr
  • Google Cloud Platform. https://cloud.google.com
  • Goertzel, B
    박영숙 『인공지능 혁명 2030』 서울: 더블북 [2016]
  • GAIA: A New at Life on Earth . 홍욱희 역(2017)
    Lovelock, J. 『가이아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서울: 갈라파고스 [1979]
  • Future of Life Institute
    Asiloma AI Principles. https://futureoflife.org 검색) [2017]
  • Future Shock. 이규행 역(1998)
    Toffler, A. 『미래 쇼크』 서울: 한국경제신 문사 [1970]
  • Future Minds. 이진원 역(2011)
    Watson, R. 『퓨처 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2010]
  • Frey, B. C.,Osborne, M.(2013). The Future of Empliyment. LD: Oxford Martin School.
  • Fraternit s. 이세욱 역(2001)
    Attali, J. 『합리적인 미치광이』 서울: 중앙M&B [1999]
  •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 인수 역(2015). 『몰입
    Csikszentmihalyi, M.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서울: 한울림 [1990]
  • First Published in English as The Posthuman. 이경란 역 (2016)
    Braidotti, R. 『포스트휴먼』 파주시: 아카넷 [2013]
  • Finding Flow . 이희재 역(2007)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서 울: 해냄출판사 [1997]
  • Exploring Well-Being in Schools . 이지헌 김희봉 공역(2014)
    White, J. 『잘삶의 탐색 학교교육의 새로운 목적』 파주시: 교육과학사 [2011]
  • European Parliament Robots: Legal Affairs Committee calls for EU-wide rules. http://www.europarl.europa.eu (2017.10.13
    검색) [2017]
  • Entropy. 이창희 역(2014)
    Rifkin, J. 『엔트로피』 서울: 세종연구원 [1980]
  • Eeziehung Ist Sich Erziehen . 손승남 역(2004)
    Gadamer, H. G.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서울: 동문선 [2000]
  •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Future . 성기산 역(1996)
    Maxcy, J. S. 『미래를 위한 교육철학』 서울: 집문당 [1994]
  • EBS 미래의 학교. https://www.youtube.com/user/docuclassic (2017.09.19
    검색) [2010]
  • Devenir Soi. 김수진 역(2016)
    Attali, J. 『언제나 당신이 옳다』 서울: 미래엔 [2014]
  • Democracy and Education . 이홍우 역(2007)
    Dewey, J. 『민주주의와 교 육』 파주시: 교육과학사 [1916]
  • Cyborg Citizen . 석기용 역(2016)
    Gray, H. C. 『사이보그 시티즌』 파주시: 김영사 [2001]
  • Curious: The Desire to Know and Why Your Future Depends on It. 김승진 역(2016)
    Leslie, I. 『큐리어스』 서울: 을유문화사 [2014]
  • Creativity: Flow and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노혜숙 역(2017)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서울: 더난콘텐츠그룹 [1996]
  • Communication Power . 박행웅 역(2014)
    Castells, M. 『마누엘 카스텔의 커뮤니케이션 권력』 파주시: 도서출판 한울 [2013]
  • Communicating with The Future: How Re-engineering Intentions Will Alter The Master Code of Our Future . 이미숙 역 (2016)
    Frey, T. 『미래와의 대화』 파주시: 북스토리 [2011]
  • Clean Disruption Of Energy & Transportation . 박영숙 역 (2017)
    Seba, T. 『에너지 혁명 2030』 경기도: 주식회사 교보문고 [2014]
  • Capitalism, Socialism, Democracy . 변상진 역(2016). 『자본주의,사회주의
    Schumpeter, J. 민주주의』 파주시: 한길사 [1942]
  • Caillois, R Les Jeux et Les Hommes . 이상률 역(1994)
    『놀이와 인간』 서 울: 문예출판사 [1967]
  • Beyond Beef. 신현승 역(2012)
    Rifkin, J. 『육식의 종말』 서울: 시공사 [1993]
  • Authentic Happiness . 김인자,우문식 공역(2014). 『마 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경기도: 물푸레
    Seligman, E. P. M. 한국긍정심리연구소 [2002]
  • All That We Share. 박현주 역(2013)
    Wallijasper, J. 『우리가 공유하는 모 든 것』 서울: 검둥소 [2010]
  • Aegidius, K. K
    고병헌 송순재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마크 자유교육』 서 울: 민들레 [2015]
  •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2012)
    Pink, D. 『새로운 미래가 온다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서울: 한국경제신문 [2006]
  • 17세기 영국 농업 경영 변화와 그 원인
    이경아 『논문집』 Vol.11. No.1. 379-388 [1997]
  • . 일자리 혁명 2030. 이희령 역(2017)
    Glenn, J 박영숙 『일자리 혁명 2030』 서울: 비즈니스 북스 [2017]
  • (et al) Disabling Professions. 신수열 역(2017)
    Caplanm J. Illich, I. McKnight, J. 『전문가들의 사회』 파주시: 사월의 책 [2011]
  • (ed). Ethics and Robotics. 변순용 송선영 공역 (2013)
    Capuro, R. Nagenborg, M. 『로봇윤리 로봇의 윤리적 문제들』 서울: 어문학사 [2012]
  • (ed) Masters of Wisdom: Gandhi . 조계현 역(2015)
    Jacobs, A. 『간디』 경 기도: 지와 사랑 [2012]
  • (1899). The School and Society
    Dewey, J. 이인기 역 『학교와 사회』 서 울: 박영사 [1975]
  • (1894). Evolution and Ethics- The Romanes Lecture, Prolegomena
    Huxley, H. T. 이종민 역 『진화와 윤리』 부산: 산지니 [2014]
  • (1889). G tzen-D mmerung oder Wie man mit dem Hammer philosophirt
    Nietzsche, F. 박찬국 역 『우상의 황혼』 경기도: 아카넷 [2015]
  • (1871).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Darwin, R. C. 김관선 역 『인간의 유래1』 파주시: 한길사 [2009]
  • (1803). Kants Vorlesung Ueber Paedagogik
    Kant, I. 조관성 역 『칸트의 교육학 강의』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7]
  • (1787). Kritik Der Reinen Vernunft
    Kant, I. 정명오 역 『순수이성비판』 서울: 동서문화사 [2015]
  • (1754). Discour sur L’origne, et les Fondements de L’in galit Parmi les Hommes
    Rousseau, J. J. 김중현 역 『인간 불평등 기원 론』 서울: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0]
  • (1637).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 & Discours de la M thode
    Descartes, R. 이현복 역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서울: 문예출판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