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3-14世紀 麗蒙 接境地域 高麗人 勢力 硏究 = A Study of Goryeo People Group in Goryeo-Mongol Border Area in the 13-14th Century

오기승 2017년
논문상세정보
' 13-14世紀 麗蒙 接境地域 高麗人 勢力 硏究 = A Study of Goryeo People Group in Goryeo-Mongol Border Area in the 13-14th Centu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리와 역사 와 보조 분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0 0

0.0%

' 13-14世紀 麗蒙 接境地域 高麗人 勢力 硏究 = A Study of Goryeo People Group in Goryeo-Mongol Border Area in the 13-14th Century' 의 참고문헌

  • 李治安, 元代行省制度, 中华书局, 2011.
  • 李治安, 元代政治制度硏究, 人民出版社, 2003.
  • 李基白, 高麗兵制史硏究, 一潮閣, 1968.
  • 金渭顯, 高麗時代 對外關係史 硏究, 景仁文化社, 2004.
  • 吏文(구범진 역주
    세창출판사 [2012]
  • 歷代兵要
  • 한중관계사
    金翰奎 아르케 [1999]
  • 몽골제국의 만주 지배사
    윤은숙 소나무 [2010]
  •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김호동 돌베게 [2010]
  • 몽골제국과 고려
    김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몽골비사(유원수 역, 몽골비사
    사계절 [2004]
  • 몽.려전쟁기의 살리타이와 홍복원
    주채혁 혜안 [2009]
  • 고려와 원제국의 교역의 역사
    이강한 창비 [2013]
  •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이정신 景仁文化社 [2004]
  • 고려시대사
    박용운 일지사 [2008]
  • 고려-대원 관계 연구
    이개석 지식산업사 [2013]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韓國 中世 韓中關係史
    김순자 혜안 [2007]
  • 集史(김호동 역주, 라시드 앗 딘의 집사
    사계절, ~2005) [2002]
  • 遼東志
  • 賓王錄(秦星圭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 續資治通鑑
  • 續文獻通考
  • 稼亭集
  • 秘閣元龜政要
  • 牧隱集(임정기 譯 , 國譯 牧隱集
    민족문화추진회 [2000]
  • 東國李相國集
  • 東國兵鑑
  • 朝鮮王朝實錄
  • 明實錄
  • 明史
  • 明代遼東支配政策硏究
    남의현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8]
  • 新增東國輿地勝覽,
  • 新元史
  • 拙藁千百
  • 北巡私記
  • 元高麗紀事(여원관계사연구팀 編, 譯註 元高麗紀事
    선인 [2008]
  • 元史
  • 元史本證
  • 元代麗史資料集錄
    장동익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13~14세기 고려 몽골 관계 연구
    이명미 혜안 [2016]
  • 육군군사연구소 編, 한국군사사4 고려Ⅱ
    육군본부 [2012]
  • 쌍성총관부의 설립과 그 성격
    이정신 한국사학보18, 고려사학회 [2004]
  • 보르지기다이 에르데니 바타르, 팍스몽골리카와 고려
    혜안 [2009]
  • 국사편찬위원회 編, 한국사20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2003]
  • 陈羽佳, 「元世祖朝对东北的统治与辽阳行省的设立」, 河北省群众艺术馆2014年15 期, 河北省群众艺术馆, 2014.
  • 都兴智, 「元代辽阳行省的设置与治所变迁问题探讨」, 辽宁师范大学学报(社会科学 版)2009年01期, 辽宁师范大学, 2009.
  • 薛 磊, 「元代辽阳行省刍议」, 内蒙古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2008年03期, 内 蒙古大学, 2008.
  • 箭內亙, 「滿洲に於ける元の疆域」, 滿洲歷史地理2卷,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2卷,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 池內宏, 「高麗恭愍王朝の東寧府征伐に就いての考」, 東洋學報8卷2號, 東洋文庫, 1918.
  • 森平雅彦, モンゴル覇權下の高麗, 名古屋大学出版大会, 2013.
  • 森平雅彦, 「高麗における元の站赤: ルートの比定を中心に」, 史淵141, 九州大学大 学院人文科学研究院, 2004.
  • 杉山正明 저, 임대희, 김장구, 양영우 역, 몽골세계제국
    신서원 [1999]
  • 日本東亞硏究所 編, 서병국 역, 북방민족의 중국통치사
    한국학술정보(주) [2002]
  • 方東仁, 「雙城摠管府考(上)」, 關東史學1, 關東大學校, 1982.
  • 方東仁, 「東寧府置廢小考」, 關東史學2, 關東史學會, 1984.
  • 尹龍爀, 高麗對蒙抗爭史硏究, 一志社, 1999.
  • 塚瀬 進, 「元末・明朝前期におけるマンチュリアの社会変動と地域秩序形成 」, 長 野大学紀要32-1, 長野大学, 2010.
  • 和田淸, 「明初の滿洲經略(上)」, 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14, 東京帝國大學文學部, 1934.
  • 周振鶴, 中國地方行政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2005.
  • 叢佩遠, 「元代遼陽行省境內的契丹、高麗、色目與蒙古人」, 史學集刊1993-1, 吉林大 学, 1993.
  • 北村秀人, 「高麗末における立省問題について」, 北海道大學文學部紀要14-1, 北海道 大学, 1966.
  • 北村秀人, 「高麗時代の瀋王についての一考察」, 人文研究24-10, 大阪市立大学大学 院文学研究科紀要, 1972.
  • 「李成桂의 경제적 기반에 대한 연구」
    이형우 한국사학보16, 고려사학회 [2004]
  • 「李安社의 全州 出去에 관한 연구」
    허인욱 한국인물사연구21, 한국인물사연구 회 [2014]
  • 「麗ㆍ元의 領土紛爭과 그 歸屬問題」
    金九鎭 國史編纂委員會, 國史館論叢7 [1989]
  • 「원대 요양행성 宰相考」
    崔允精 대구사학회, 대구사학116 [2014]
  • 「원간섭기 동녕부의 존재형태」
    이정신 韓國中世社會의 諸問題, 韓國中世史學會 [2001]
  • 「원 간섭기 민의 동향」
    김순자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2004]
  • 「요동 고려인 洪氏 세력의 형성과 洪君祥의 행적에 대한 고찰」
    오기승 지역과 역사40, 부경역사연구소 [2017]
  • 「여ㆍ몽전쟁기 변경민의 몽골 ‘체험’과 고려 조정의 대응-1차 여몽전쟁을 중심으로」
    이정란 한국사학보61, 고려사학회 [2015]
  • 「부마국왕(駙馬國王)과 국왕승상(國王丞相): 13-14세기 여원(麗元)관계와 고 려왕조 국체(國體) 보존 문제 이해를 위한 새로운 모색」
    崔允精 대구사학회, 대구사학111 [2013]
  • 「몽골제국의 동방 경영과 요동 고려인 세력」
    오기승 중앙사론43, 중앙사학연구 소 [2016]
  • 「몽골제국과 ‘大元’」
    김호동 역사학보192, 역사학회 [2006]
  • 「몽골의 高麗 北界 분리 시도와 東寧府의 편제」
    강재구 지역과 역사39, 부경역 사연구소 [2016]
  •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의 성립: 元宗代 고려-몽골 관계와 권력구조의 변 화」
    이명미 한국사연구162, 한국사연구회 [2013]
  • 「몽고에 투항한 홍복원ㆍ다구 부자」
    장동익 역사비평48, 역사비평사 [1999]
  • 「대몽항쟁기 민의 동향」
    신안식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2004]
  • 「대몽전쟁기 최씨정권의 해도입보책과 전략해도」
    강재광 軍史66, 국방부 군사 편찬연구소 [2008]
  • 「나하추의 활동과 14세기말 동아시아 政勢」
    윤은숙 명청사연구28, 명청사학회 [2007]
  • 「공민왕대 초반 군주권 재구축 시도와 奇氏一家」
    이명미 한국문화53, 서울대학 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1]
  • 「공민왕대 동녕부 전역(戰役) 고찰」
    오기승 군사연구134, 육군본부군사연구소 [2012]
  • 「공민왕대 대외정벌 정책의 추진과 시행」
    이규철 역사와실학59, 역사실학회 [2016]
  • 「공민왕대 국제정세와 대외관계의 전개양상」
    金暻綠 한국역사연 구회, 역사와현실64 [2007]
  • 「고려후기 이주에 대한 일고찰」
    이형우 한국사연구158, 한국사연구회 [2012]
  • 「고려후기 軍役制의 변화」
    권영국 사학연구52, 한국사학회 [1996]
  • 「고려후기 北界 州鎭의 海島 入保와 出陸 橋寓」
    윤경진 진단학보109, 진단학 회 [2010]
  • 「고려후기 元 屯田의 운영과 변화」
    이강한 역사학보196, 역사학회 [2007]
  • 「고려의 海島入保策과 몽고의 戰略變化: 麗蒙戰爭 전개의 一樣相」
    尹龍爀 역사교육연구회, 역사 교육32 [1982]
  • 「고려시대의 都領」
    김갑동 한국중세사연구3, 한국중세사학회 [1996]
  • 「고려시기 동계 영역의 변동과 도호부의 이동」
    이정기 한국민족문화47, 부산대 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 「고려말기 지역방어체제와 그 시대성」
    최종석 역사와현실85, 한국역사연구회 [2012]
  • 「고려말 지방군제의 변화」
    권영국 한국중세사연구1, 한국중세사학회 [1994]
  •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 시각의 검토: 고려-몽골 관계사에 대한 공시적, 통 시적 접근」
    이익주 한국중세사연구27, 한국중세사학회 [2009]
  • 「고려, 원(元)의 영토정책, 인구정책 연구」
    김순자 역사와 현실60, 한국역사연 구회 [2006]
  • 「고려 전기 북계민(北界民)의 형성과 그 집단의식」
    김유나 역사와 현실96, 한 국역사연구회 [2015]
  • 「고려 역로망 운영에 대한 원(元)의 개입과 그 의미」
    정요근 역사와 현실64, 한국역사연구회 [2007]
  • 「고려 도령에 관한 재검토」
    박옥걸 사학연구58.59, 한국사학회 [1999]
  • 「고려 대몽항쟁기 南道지역의 海島 入保와 界首官」
    윤경진 軍史89, 국방부 군 사편찬연구소 [2013]
  • 「고려 내 다루가치의 존재 양상과 영향-다루가치를 통한 몽골 지배방식의 경험」
    김보광 역사와현실99, 한국역사연구회 [2016]
  • 「고려 忠烈王代의 麗ㆍ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
    김현라 지역과 역사24, 부경 역사연구소 [2009]
  • 「강화천도 시기 고려국가의 지방지배」
    박종진 한국중세사연구13, 한국중세사학 회 [2002]
  • 「麗蒙戰爭과 在地吏族」
    金光哲 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경계12 [1987]
  • 「麗末의 流民問題」
    梁元錫 일조각, 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1956]
  •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下)」
    高柄翊 역사학회, 역사학보19 [1962]
  •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上)」
    高柄翊 역사학회, 역사학보14 [1961]
  • 「高麗末 東寧府의 形態 變遷과 高麗 流移民」
    오기승 역사민속학46, 한국역사민 속학회 [2014]
  • 「高麗末 東寧府征伐에 대하여」
    朴 焞 中央大學校 史學硏究會, 中央史論4 [1985]
  • 「高麗時代 外交文書 硏究」
    鄭東勳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高麗後期의 軍事指揮體系」
    吳宗祿 國史編纂委員會, 國史館論叢24 [1991]
  • 「高麗後期 邊境地域 변동과 鴨綠江 沿邊認識의 형성」
    宋容德 역 사학회, 역사학보201 [2009]
  • 「高麗後期 軍事制度 硏究」
    권영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高麗後期 瀋王 硏究」
    金惠苑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高麗ㆍ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이익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高麗 末期의 翼軍」
    李基白 新丘文化社, 李弘稙博士回甲紀念韓國史學論叢 [1969]
  •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정치적 변동」
    閔賢九 진단학회, 진단학보107 [2009]
  • 「高麗 元宗代 麗ㆍ蒙 關係의 추이와 東寧府의 설치 목적」
    강재구 한국중세사연 구47, 韓國中世史學會 [2016]
  • 「鐵嶺衛 설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
    박원호 한국사연구136, 한국사연구회 [2007]
  • 「牧隱 李墻의 두 가지 入元 루트」
    森平雅彦 진단학회, 진단학보114 [2012]
  • 「洪福源 一家와 麗ㆍ元關係(一)」
    주채혁 사학연구24, 한국사학회 [1974]
  • 「永寧公 王綧 연구: 몽고침략기 왕족의 모습」
    이정신 민족문화연구35, 고려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 「李成桂의 軍事的 基盤: 東北面을 중심으로」
    柳昌圭 진단학회, 진단학보58 [1984]
  • 「朝鮮初期 軍人送還問題와 朝明間 軍事外交」
    金暻綠 국방부 군사편찬 연구소, 軍史83 [2012]
  • 「恭愍王代 東寧府征伐의 性格」
    오기승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恭愍王 廢立과 文益漸의 使行」
    김형수 한국중세사연구19, 한국중세사학회 [2005]
  • 「忠肅王代 國王位 관련 논의와 국왕 위상」
    이명미 한국중세사연구36, 한국중세 사학회 [2013]
  • 「征東行省기능의 변천」
    고명수 한국사학보66, 고려사학회 [2017]
  • 「征東行省官 闊里吉思의 고려제도 개변 시도」
    이강한 한국사연구139, 한국사연 구회 [2007]
  • 「對蒙戰爭期 서ㆍ남해안 州縣民의 海島入保抗戰과 海上交通路」
    강재광 지역과 역사30, 부경역사연구소 [2012]
  • 「奇皇后세력의 恭愍王 폐위시도와 高麗國王權」
    이명미 역사학보206, 역사학회 [2010]
  • 「大蒙古國-高麗 關係 연구의 재검토」
    이개석 동양사학연구99, 동양사학회 [2007]
  • 「大元제국 다루가치체제와 지방통치: 다루가치의 掌印權과 職任을 중심으 로」
    趙 阮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125 [2013]
  • 「大元帝國 末期 政局과 고려 충혜왕의 즉위, 복위, 폐위」
    권용철 한국사학보56, 고려사학회 [2014]
  • 「元에 진출한 高麗人」
    장동익 민족문화논총1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 「元末明初 劉益의 明朝 투항과 高麗의 對明 使行의 성격」
    윤은숙 역사학보221, 역사학회 [2014]
  • 「元末明初 朝鮮 明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
    남의현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42 [2012]
  • 「元代 遼東地方의 高麗軍民」
    金九鎭 敎學社, 李元淳敎授華甲記念史學論叢 [1986]
  • 「元代 兩都內戰(1328)과 동북지역」
    崔允精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논총46 [2014]
  • 「元代 동북지배와 遼陽行省」
    崔允精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110 [2010]
  • 「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윤은숙 역사문화연구51, 역사문화연구소 [2014]
  • 「元 간섭기 遼瀋地域 高麗人의 동향」
    梁義淑 역사와 교육학회, 역사와 교육4 [1996]
  • 「Ssangsŏng Ch’onggwanbu as the Border between Koryŏ and Yuan Dynasty」
    Nakano Kota 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18(1), 고려 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 「15세기 明의 東八站 地域 占據와 朝鮮의 對應」
    유재춘 朝鮮時代史學報18, 朝 鮮時代史學會 [2001]
  • 「14세기 전반 高麗ㆍ元關係와 政治勢力 동향 - 忠肅王代의 瀋王擁立運動을 중심으로」
    이익주 한국중세사연구9, 한국중세사학회 [2000]
  • 「13세기 麗元 관계와 洪茶丘」
    崔允精 중국사학회, 中國史硏究105 [2016]
  • 「13ㆍ14세기 고려와 요동의 경제적 교류」
    위은숙 민족문화논총3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6]
  • 「1356년 공민왕 反元政治 再論」
    이익주 역사학보225, 역사학회 [2015]
  • 「'친원'과 '반원'을 넘어서-13~14세기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이강한 역사와 현실 제78, 한국역사연구회 [2010]
  • Б.Я.Владимирцов 저, 주채혁 역, 몽골 사회 제도사
    대한교과서주식 회사 [1993]
  • Luc Kwanten 저, 송기중 역, 유목민족 제국사
    민음사 [1984]
  • David M. Robinson,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9).
  •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이익주(Lee, Ikjoo) 동북아역사논총53, 동북아역사재단 [2016]
  • 14세기 고려사회 성격 연구반 編,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