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배우자사별 상실에 대한 심리적 변화와 기독교상담 방안

김희선 2017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희선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오현철
    • 학위논문사항 2017. 8,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기독교상담학전공, 학위논문(박사)-
    • 발행지 안양
    • 언어 kor
    • 출판년 2017
    • 발행사항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배우자사별 상실에 대한 심리적 변화와 기독교상담 방안' 의 참고문헌

  • 효과적 죽음 상담을 위한 죽음 이해
    전요섭 「복음과 상담」12: 43-68 [2009]
  • 호스피스 상담과 기독교적 영적 돌봄
    송정아 신연순 「한국기독교 상담학회지」22: 129-54 [2011]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편. 『복음주의 설교학』
    서울: CLC [2003]
  • 중년여성의 분노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미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 교 대학원 [2002]
  • 중년기 부부 위기와 기독교상담
    김미경 「복음과 상담」15: 137-59 [2010]
  • 좋은 이별
    김형경 서울: 푸른 숲 [2009]
  • 정봉도 김용환. “생활 스트레스, 영적 안녕 및 우울간의 관계
    전겸구 ” 「난청과 언어장애」23: 311-25 [2000]
  • 자살로 인한 사별 가족 경험
    김용분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 학원 [2005]
  • 이혼가정자녀의 부모자녀관계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 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의 매개효과
    정연옥 박사학위논문: 아주대 학교 대학원 [2007]
  • 상실을 경험한 노인의 자기(self)에 대한현상학적 연구
    이소원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두현정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분석심리학
    이부영 서울: 일조각 [1998]
  • 노년기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 로
    정미경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 박사
  • 『여러 종교에서 보는 죽음관』
    이은봉 서울: 가톨릭 출판사 [1995]
  • 『성경인물과 심리분석』
    이관직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7]
  • 『상실과 슬픔의 치유』
    문종원 서울: 바오르 딸 [2012]
  • 『목회상담 사례분석』
    오성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기독교상담학』
    정정숙 서울: 도서출판 베다니 [2003]
  • 『기독교상담과 신앙』
    전요섭 서울: 좋은나무 [2007]
  • 『기독교 인지 행동 치료: 생각을 바꾸면 행복이 보인다』
    전요섭 서울: CLC [2012]
  • 『기독교 상담기법』
    전요섭 서울: CLC [2012]
  • 『가족상실과 위기상담』
    윤상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 “참된 돌봄의 재발견.”
    박은규 「신학과 현장」10: 9-28 [2000]
  • “질병과 죽음의 실천신학.”
    안석모 「신학과 세계」32: 166-203 [1996]
  • “중년여성 분노의 다면적 분석을 통한 기독교상담 방안”
    홍근미 박 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 “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특성: 증상과 독립적인가?.”
    권정혜 권호인 백종우 서신영 함병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9: 117-33 [2010]
  • “우울중의 목회상담과 자존감 회복을 통한 치유와 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판교 열방교회를 중심으로)”
    허락 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1]
  • “예수님의 치유목회.”
    김기수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5: 171-96 [2001]
  • “애도에 관한 정신분석과 기독교 영성적 접근”
    김승연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5]
  • “심리정서적 ‘자기 대화’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방안 William D. Backus의 이론에 기초하여.”
    전요섭 「복음과 상담」21: 255-91 [2013]
  • “슬픔의 치유를 위한 기독교 상담.”
    최재락 「신학과 실천」23: 287-315 [2010]
  •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한 효과적인 위로 사역.”
    홍구화 「한국기독교 신학논총」67: 319-41 [2009]
  • “상실로 인한 슬픔 이해하기.”
    안경승 「복음과 상담」22: 9-40 [2014]
  • “상실과 슬픔과정.”
    김남초 「대한간호」34: 11-17 [1995]
  • “상실 가족의 심리이해와 목회상담.”
    전요섭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7: 313-41 [2000]
  • “사별노인의 생태체계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서 박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사별 상실 경험자들을 위한 목회 돌봄과 죽음준비 교육에 관 한 연구”
    한동우 박사학위논문: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 자원 연구: 영적 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김유심 박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 “부모애착에 의한 하나님 이미지가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독교 교육적 연구: 신앙성숙과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윤영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 “부/모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정서에 대한 현상학적 연 구”
    신연순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7]
  • “목회자의 분노관리”
    전요섭 「복음과 실천신학」17: 9-35 [2008]
  • “로뎀나무 전인 치유 학교를 통한 사별 가족 돌봄”
    박재표 박사학위 논문: 장로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2]
  • “기독교인의 성인애착과 하나님애착 관계.”
    이향숙 박사학위논문: 성 결대학교 대학원 [2011]
  • “기독교상담에서의 공감과 직면.”
    김수연 「복음과 상담」4: 132-53 [2005]
  • “관계의 상실과 회복에 대한 고찰.”
    석미경 「기독교철학」12: 31-48 [2011]
  • “가족사별의 상실감 극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장성금 박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 “가족사별 후 슬픔경험, 가족의 강인성 및 관리자원과의 관 계.”
    전미영 「대한간호학회지」30: 1569-579 [2000]
  • “John Bowlby와 애착 이론.”
    박경순 「한국심리학회지」2: 109-19 [2010]
  • Young Seok, Kim. “The Revitalization of Hospital Chaplaincy Through Program of Spiritual Care.” Doctor of Ministry: Chicago, Illinois, (2007): 16.
  • You Young Gweon. “Ancestor Commemoration Ceremony in Korea Culture: Its Structure and New Modality in Christian Communities.” Korea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1998): 97-111.
  • Yalom, Irvin 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최해 림 장성숙 역.『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하나의 학사 [2008]
  • Wright, Norman H. Crisis Counseling: Helping People in Crisis and Stress. 전요섭 황동현 공역.『위기상담학』
    서울: 쿰란 [2004]
  • Wright, H. Norman. Self-Talk Imagery and Prayer in Counseling. Wheaton, ILL.: Tyndale House, 1973.
  • William, J. Worden.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Mental Health Practitionor(2nd eds.). NY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1.
  • Wilhelm, Sabine & Steketee, Gail S. Cognitive Therapy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신민섭 설순호 권준수 공역.『강 박증의 인지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 Wetzed, Janice Wood. Clinical Handbook of Depression. New York: Gardner, 1984.
  • Weishaar, Marjorie E. Aron T. Beck. 권석만 역.『아론 벡』
    서울: 학지 사 [2010]
  • Tournier, Paul. TA. Doctor's Casebook in the Light of the Bible. 정동섭 정지훈 공역.『폴 트루니에의 치유』
    서울: CUP [2007]
  • Tillich, Paul. Theology of Culture. London: Oxford University, 1959.
  • Thurman, Chris T. The Lies We Believe. Nashville: Thomas Nelson, 1999.
  • Thurman, Chris T. The 12 Best Kept Secrets for Living an Emotionally Healthy Life. 김병길 역.『성경적 EQ개발: 감성적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12가지 원리』
    서울: 프리셉트 [1997]
  • Terner, John. Healing Church. 김선도 역.『치유하는 교회』
    서울: 광 림 출판사 [1984]
  • Taylor, Charles W. The Skilled Pastor: Counseling as the Practice of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1991.
  • Tan, Siang-Yang. Counseling & Psychotherapy: A Christian Perspective. Grand Rapids: Baker, 2011.
  • Strachey, James. Sigmund Freud. Vol 18, 38-40.
  • Stott, John. God's Book for God’s People. 정관호 역.『왜 성경이 필요 한가?』
    서울: 엠마오 [1986]
  • Sermabeikian. Patricia. Our Client, Ourselves : The Spiritual Perspective and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39(2) (1994): 178-83.
  • Seligman, L. Strategies, and Skill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Upper Saddle Ricer: Prentice-Hill, 2001.
  • Rogers, Carl R. A Way of Being, Revised Edition. Boston: Houghton Mifflin, 1980.
  • Rodney, J. Hunter.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1990, 1103: Webster's Dictionary. 1984.
  • Robert S, Weiss. “Loss and Recovery”, Journal of Social Issues, 44(3) (1988): 37-52.
  • Rizzuto, Ana-Maria. The Birth of the Living God. 이재훈 역.『살아있는 신의 탄생』
    서울: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2000]
  • Rando, Therese A. Grief, Dying, and Death. Chapaign, IL: Research, 1984.
  • Patton, John. Pastoral Care in Context. 장성식 역.『목회적 돌봄과 상 황』
    서울: 은성 [2004]
  • Otto Kemberg. Internal World and External Reality. Mark Paterson, 1985.
  • Otto Kaiser, Eduard Lohse. Death and Life. Nashville: Abingdon, 1981.
  • Nounwen, Henri. Spiritual Formation : Following the movements of the Spirit. 윤 종석 역.『두려움에서 사랑으로』
    서울: 두란노 [2011]
  • Neuger, Christie Cozad. Counseling Women-Narrative, Pastoral Approach. Minneapolis: Fortress, 2001.
  • Morberg, D. O. “Subjective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Review of Spiritual Research 25(1984): 351-64
  • Miner, Maureen H. “Back to the Basics in Attachment to God: Revisiting Theory in Light of Theology,”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35 (2007): 112-22.
  • Melvin Pollner. “Divine Relations, Social Relation,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0(1989): 92-104.
  • McMinn, Mark R. Sin and Grace in Christian Counseling. 전요섭 박성 은 공역.『죄와 은혜의 기독교상담학』
    서울: CLC [2011]
  • McMinn, Mark R. Psychology, Theology and Spirituality in Christian Counseling. Wheaton, ILL.: Tyndale House, 1996.
  • McMinn, Mark R. Cognitive Therapy Techniques in Christian Counseling. Eugene, Oregon: Wipe & Stock, 1991.
  • McMinn, Mark R. & Timothy R. Phillips (ed.). Care for the Soul. 전요섭 안경 승 강경미 한숙자 김영근 황규명 이은규 김태수 한재희 심수명 강 병문 공역.『영혼돌봄의 상담학』
    서울: CLC [2006]
  • Martin, James L. "Relations between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Ph.D. diss.: Geogia State University, 2005.
  • Mario Marrone. Attachment and Interaction. 이민희 역.『애착 이론과 심 리치료』
    서울: 시그마프러스 [2005]
  • Linehan, M. The Skil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1993.
  • Lily Pincus. Death and The Family. 이인복 역.『죽는이와 남는 이를 위하여』
    서울: 홍익제 [1983]
  • Lew Losoncy. “Encouragement Therapy,” Corsini, Raymond J. (ed.) Handbook of Innovative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2), 108.
  • Lawrence, Richard T. "Measuring the Image of God: The God Image Inventory and the God Image Scales."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25(1997): 214-26.
  • Kirkpatrick, Lee A. “An Attachment-Theory Approach to the Psychology of Relig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2(1) (1992): 3-28.
  • Kim, Young Seok. “The Revitalization of Hospital Chaplaincy Through Program of Spiritual Care.” Doctor of Ministry: Chicago, Illinois, (2007): 16.
  • Jung. Carl G. Analytical Psychology. 이부영 역. 『분석 심리학』
    서울: 일조각 [2006]
  • Jung, Carl G. The Basic Writings of C. G. Jung.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1990.
  • Johnson, Eric L. Foundations for Soul Care. 전요섭 김준수 이은규 안경 승 김영희 변영인 권은혜 공역.『기독교심리학』
    서울: CLC [2012]
  • Johnson, Brad W. "Christian Rational-Emotive Therapy: A Treatment Protocol."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12(1993): 254-61.
  • John Steiner. Psychic retreats : pathological organizations in psychotic, neurotic and borderline patients. 김건종 역.『정신적 은신처』
    서울: NUN [2013]
  • John Steiner, Psychic Retreats: Pathological Organizations in Psychotic, Neurotic and Borderline Patients. The New Library of Psychoanalysis, 2003.
  • John Bowlby. Loss : Sadness and Depression. Tavistock Institude, 1980.
  • John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 Ⅲ,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1980.
  • John Bowlby, Grief and Murning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Psychoanalystic Study of Child.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1960): 123.
  • Hood, Ralph W. Jr, Bernard Spika, Bruce Hunsberger & Richard Gorsuch.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 Empirical Approach(3rd ed.). New York: Guilford, 2003.
  • Hewitt, Paul L. Caelian, Carmen F. Flett, Gorden L. Sherry, Simon B. Collins Lois & Flynn, Carol A. "Perfectionism in Children: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2002): 1049-61.
  • Hendricks, Jeanne W. A Woman for All Seasons. Nashville, TN. : Thomas Nelson, 1990.
  • Hall. A Primer of Freudian Psychology. 백상창 역,『프로이 드 심리학』
    Calivn, S. 서울: 문예출판사 [2000]
  • Groome, Thomas.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an Francisco: Harper, 1980.
  • Graham, Billy. Facing Death and The Life After. 지상우 역.『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죽음이란 무엇인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 트 [1991]
  • Gilson, Mark & Freeman, Atyhur. Overcoming Depression: A Cognitive Therapy Approach for Taming the Depression BEAST. 최병휘 이 종선 공역.『우울증의 인지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Erik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968.
  • Erich Fromm. To Have or To Be?. 홍갑순 역.『소유냐 존재냐』
    서울: 동아문예 [1982]
  • Enns, M. W. & Cox, B. J.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Symptom Sever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7(1999): 783-94.
  • Ellis, Albert.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ew York: Carol, 1994.
  • Ellis, Albert. Anger: How to Live with and without It. New York: Citadel, 2003.
  • Elisabeth, Kubler-Ross.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New York: A Touchstone Book, 1975.
  • Elisabeth Kubler-Ross. On Death and Dying. 성염 역.『인간의 죽음』
    경북: 분 도 [1997]
  • Dunkley, David M. Blankstein, Kirk Halsall, R. J. Williams M. & Winkworth, G.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istress: Hassle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l of Counseling Psychology 47(2000): 437-53.
  • Digiulio, Robert C. “Beyond Widowhood From Bereavement to Emergence and Hope.” New York: The Free Press (1989): 59-106.
  • Dattilio, Frank M. & Padesky, Christine A. Cognitive Therapy with Couples. 곽욱환 김영란 김윤정 남주영 박영애 조정혜 공역.『부 부를 위한 인지치료』
    서울: 학지사 [2010]
  • Dal, Sasso G. and Roberto, Coggi. Compendio Della Somma Teologica di San Tomm so d' Aquino. 이재룡 이동익 조규만 공역.『성 토 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요약』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3]
  • Craske, Michelle G. & Barlow. David H. Mastery of Your Anxiety and Worry. 최병휘 곽욱환 공역.『범불안장애의 인지 행동 치료- 불안과 걱정의 극복』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Crabb, Lawrence J. Understanding Who You Are: What Your Relationships Tell You about Yourself. Colorado Springs: NAV, 1997.
  • Crabb, Lawrence J. Understanding People: Deep Longings for Relationship. Grand Rapids: Zondervan, 1987.
  • Corsini, Raymond J. & Danny Wedding. Current Psychotherapies. Belmont CA.: Brooks, 2008.
  • Collins, Gary R. Helping People Grow. Hyattsville: Vision House, 1980.
  • Collins, Gary R. Helping People Grow. Christian Counseling 3rd ed. Wheaton: Thomas Nelson, 2007.
  • Collins, Gary R. Counseling for Deprssion. 피연희 역.『우울증 상담』
    서울: 두란노 [1996]
  • Clinebell, Howard. Basic Types of Pastoral Care & Counselling. 박근원 역.『목회상담신론』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출판국 [1987]
  • Chapman, Gary. The Five Love Languages. 장동숙 역. 『5가지 사랑의 언어』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3]
  • Capps, Donald E. Biblical Approaches to Pastoral Counseling. Eugene, OR.: Wipf & Stock, 2003.
  • Burkgardt, M. A. “Spirituality: An Analysis of the Concept,” Holistic Nursing Practice 3(1989): 69-77.
  • Bobgan, Martin & Bobgan, Deidre. How to Counsel from Scripture. 전요 섭 역.『영혼 치료상담』
    서울: CLC [2008]
  • Billy Graham. Facing Death and The Life After. 지상우 역. 『기독교적 관점에 서 본 죽음이란 무엇인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1]
  • Benner, David G. Psycho-Spirituality. 이만홍 강현숙 공역.『정신치료와 영 적 탐구』
    서울: 하나의학사 [2000]
  • Benner, David G. Care of Souls: Revisioning Christian Nurture and Counsel. 전요섭 김찬규 공역.『영혼돌봄의 이해』
    서울: 기독 교문서선교회 [2010]
  • Beck, Aron T. Freeman, Arthur & Davis, Denise D.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New York: Guilford, 2004.
  • Backus, William D. The Good News about Worry. 전요섭 역.『희망소식』
    서 울: CLC [2013]
  • Backus, William D. Hidden Rift with God. 전요섭 노철우 공역.『하나 님은 우리를 어떻게 치유하시는가?』
    서울: CLC [2013]
  • Backus, William D. & Backus, Candace. What Your Counselor Never Told You. Minneapolis: Bethany House, 2000.
  • Backus, William D. & Backus, Candace. Teaching Your Children to Tell Themselves the Truth. Minneapolis: Bethany House. 1992.
  • Aubin, Dan P. McAdams & E. de St.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n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1992): 1003-15.
  • Anderson, Ray S. Christians Who Counsel. Pasadena, CA.: Fuller Seminary, 1990.
  • Anderson, J. Kerby. Life, Death and Beyond, Grand Rapids: Zondervan, 1980.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Washington, DC.: APA, 2000.
  • Albert Ellis.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ew York: Carol, 1994.
  • Aden, Leroy & Benner, David G. eds. Counseling and the Human Predicament. 전요섭 역.『용서와 상담』
    서울: CLC [2012]
  • Adams, Jay E. More Than Redemption: A Theolory of Christian Counselin., Phillipburg, NJ: Presbyterian & Reformed,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