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 관요 청자 연구

오영인 2017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오영인
    • 기타서명 A celadon produced in the Royal klins of the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삽화: 26cm: 335 p.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전공, 2017. 2,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DDC 709, 2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7
    • 발행사항 서울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조선 관요 청자 연구' 의 참고문헌

  • 柳宗悅, 琉球の陶器, 褣樹社, 1995.
  • 練藜室記述, 李肯翊(1736~1806) 
  • 沈琼华, 龍泉窯盛衰述略, 东方博物 2008年2期, 浙江省博物館, 2008.
  • 沈岳明, 楓洞岩窯址發掘的主要收藏和初步現況, 龍泉大窯楓洞岩窯址, 文物出版社, 2009.
  • 한국도자사
    강경숙 예경 [2012]
  • 한국도자사
    강경숙 일지사 [1989]
  • 조선후기 백자 연구
    방병선 일지사 [2000]
  • 조선전기 상업사 연구
    박평식 지식산업사 [2009]
  • 조선시대 도자기
    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요업 원료학
    이종근 대학교재출판사 [1978]
  •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방병선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 분청사기연구
    강경숙 일지사 [1986]
  • 도자기가마터 발굴보고
    김영진 백산자료원 [2003]
  • 국제교류전 흙을 빚어 옥을 만들다. 용천청자
  • 高麗靑瓷
    고유섭 悅話堂 [2010]
  • 高麗史
  • 韓國陶磁史
    강경숙 一志社 [2001]
  • 韓國白磁陶窯址
    정양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 譯註經國大典註解
    정긍식 한국법제연구원 [2009]
  • 與猶堂全書, 丁若鏞(1762~1836) 
  • 經國大典,
  • 經國大典註解
  • 朝鮮王朝實錄
  • 日省錄,
  • 新增東國輿地勝覽,
  • 承政院日記,
  • 慶尙道續撰地理誌
  • 弘齋全書
  • 大明會典
  • 國朝寶鑑
  • 嘉禮都監儀軌
  • 嘉梧藁略, 李裕元(1814~1888) 
  • 八道地理志
  • 備邊司謄錄
  • 三才圖會
  • 호림박물관 편, 호림박물관명품선집Ⅱ
    호림박물관 [1999]
  • 호림박물관 편, 호림박물관명품선집Ⅰ
    호림박물관 [1999]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장성 추암리 요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나주 대도리 백자요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고창 용산리 요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고창 용계리 요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고창 선운리 백자요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05]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고창 무장읍성Ⅲ
    호남문화재연구원 [2010]
  • 호남문화재연구원 편, 강진 월하리 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9]
  • 해강도자미술관 편, 해강도자미술관
    해강도자미술관 [1990]
  • 해강도자미술관 편, 대전 구완동 요지
    해강도자미술관 [2001]
  • 해강도자미술관 편, 광주 조선백자요지 수집 백자파편 분석 보고서
    해강도자미술관 [2003]
  • 해강도자미술관 편, 광주 우산리 백자요지(Ⅱ)-17호 백자요지 시굴조사 보고서
    해강도자미술관 [1999]
  • 해강도자미술관 편, 광주 우산리 백자 요지
    해강도자미술관 [1995]
  • 해강도자미술관 편, 광주 건업리 조선백자요지-건업리 2호 가마유적 발 굴조사보고서
    해강도자미술관 [2000]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2가 40번지 시전행랑 유적
    한울문화재연구 원 [2010]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8지구 유적Ⅱ(유물)
    한울문화재연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5지구 유적Ⅱ(유물)
    한울문화재연구원 [2012]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2~3지구 유적Ⅱ(유물)
    한울문화재연 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1지구 유적Ⅱ(유물)
    한울문화재연구원 [2011]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12~16지구 유적Ⅳ(유물Ⅱ)
    한울문화재 연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청진12~16지구 유적Ⅲ(유물Ⅰ)
    한울문화 재연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중학구역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1]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어영청지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1]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송월동 서울성곽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울문화재연구원 [2010]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청진8지구 지하보행로부지 유적
    한울문화 재연구원 [2016]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중구 초동72-10번지 일원 유적
    한울문화 재연구원 [2016]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중구 정동1-45번지 유적
    한울문화재연구 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중구 장교4지구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5]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중구 명동2가 1-1번지 유적
    한울문화재연 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통의동 20-5번지 유적 발굴조사 보고 서
    한울문화재연구원 [2015]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옥인동 5번지 유적
    한울문화재연구 원 [2016]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세종로구역 2지구 유적
    한울문화재 연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마로니에공원 내 유적
    한울문화재연 구원 [2014]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돈의동 170번지 유적
    한울문화재연 구원 [2014]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관철동 175번지 유적 발굴조사
    한울 문화재연구원 [2015]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세종문화회관 예술동 증축사업부지내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3]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강진 전라병영성 성내부 유적Ⅰ
    한울문화재연구 원 [2014]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PAGODA타워 종로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2]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중학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울문화재연구원 [2009]
  • 한울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로 공평 1ㆍ2ㆍ4지구 유적 약식보고서
    한울문화재연구원 [2015]
  • 한양도성 출토 15~16세기 청화백자의 조형적 특징과 성격
    김혜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미술사학31 [2016]
  • 한성부내 궁궐 및 관청유적 출토 수입자기의 사용고찰
    김혜인 중원문화재연구원 , 중원 문화재연구4 [2010]
  • 한백문화재연구원 편,, 여주 연라리 유적
    한백문화재연구원 [2011]
  • 한백문화재연구원 편,, 양양읍성-추정 북문지 주변 발굴조사 보고서
    한 백문화재연구원 [2013]
  • 한백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묘광장 어도복원구간 내 유적
    한백문화 재연구원 [2015]
  • 한림대학교박물관 편, 강화 조선 궁전지(외규장각지)
    한림대학교박물 관ㆍ강화군 [2003]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 울산 고지평유적(Ⅲ)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4]
  •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편, 용인 왕산리 요지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2]
  •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편, 광주 도마리 7호ㆍ무갑리 14호 요지
    한국문 화유산연구원 [2013]
  •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편, 광주 대쌍령리 2호 요지 보고서
    한국문화유 산연구원 [2014]
  •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편, 광주 곤지암리 492번지 유적
    한국문화유산연 구원 [2011]
  •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편, 사적 제314호 광주 조선백자도요지 조사성과와 과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1]
  • 한강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종친부터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 한강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수서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5]
  • 한강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서린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2]
  • 한강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도렴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 한강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군기시터 유적(본문)
    한강문화재연구원 [2011]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해미읍성(9차~12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 청자 발색에 미치는 소재(소지, 유약)와 소성 분위기의 영향
    피재환 청자의 발색특성,강진청자박물관 [2010]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천왕동 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2010]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동대문 운동장 유적(Ⅱ) 유물도판
    중원문화재연 구원 [2011]
  • 중앙문화재연구원 편, 보은 적암리 분청사기요지
    중앙문화재연구원 [2004]
  • 조선후기 서화수장론 연구-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황정연 장 서각24,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조선후기 문인의 서화인식과 비평의식연구-서유구ㆍ성해응ㆍ 남공천을 중심으로
    진리바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조선후기 고동완상의 유행과 자하시
    이현일 동아시아문화연구37,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교통로의 측면을 중심으로
    정요근 조선시대사학보46,조선시대사학회 [2008]
  • 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고려말 김윤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박사
  • 조선전기 회청사기연구-요장과 분묘를 중심으로
    이승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조선전기 체아직 연구
    신유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조선전기 조운시고
    최완기 백산학보20,백산학회 [1976]
  • 조선전기 인화상감자기 연구
    구유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조선전기 시전출토 백자와 소비성향 연구
    김지현 홍익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 葵花盃의 조형과 성격
    윤효정 호서사학회 , 역사와 담론 68 [2013]
  • 조선시대 향문화와 의생활
    이경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조선시대 자기가마 구조연구
    김정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조선시대 분원의 성립과 변천 ,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윤용이 경기 도박물관 [2001]
  • 조선시대 법전 편찬의 흐름과 각종 법률서의 성격
    한상권 역사와 현실13,한국역사연구회 [1994]
  • 박사
    조선시대 도자제기 연구
    안성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조선시대 도자기 가마의 명칭과 관요의 설치시기
    김영원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 86 [2014]
  • 조선시대 궁궐유적 출토 자기 연구
    김혜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조선시대 교통로와 역ㆍ원제의 고찰
    원영환 한국향 토사연구전국협의회 , 향토사연구7 [1995]
  • 조선시대 관요체제의 변천-도기소ㆍ자기소에서 분원관안으로
    김영원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66 [2001]
  • 조선시대 관요 청자 연구
    김영미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
    박형순 호서사학 회 , 역사와 담론65 [2013]
  • 조선시대 官窯로의 백자원료 조달방식
    이종민 역사와 담론73호 서사학회 [2015]
  • 조선관요박물관 편, 청자의 色과 形
    경기도ㆍ(재)세계도자기엑스포ㆍ 조선관요박물관 [2005]
  • 조선관요박물관 편, 광주 송정동 5ㆍ6호 백자가마터
    조선관요박물관 [2008]
  • 박사
    조선 초기의 역도 편제와 그 성격
    양정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조선 초기 명나라 청화백자의 유입과 수용 고찰
    전승창 미술사학연 구264,한국미술사학회 [2009]
  • 조선 초기 대명무역의 실제
    박남훈 관동사학회 , 관동사학1 [1982]
  • 조선 전기의 使行密貿易硏究-赴京使行을 중심으로
    백옥경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역사문 화연구25 [2006]
  • 조선 전기 한양의 도자-청화백자를 중심으로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강좌미술사 19 [2003]
  • 조선 전기 한강의 津度
    김종혁 서울시립대학교 서 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23 [2004]
  • 박사
  • 박사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박정민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박정민(Park, Jung Mi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 미술사와 문화유산3 [2014]
  • 조선 전기 관요 최근 조사성과-우산리 9호ㆍ14호 일원을 중 심으로 ,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굴 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강세호 경기도자박물관 [2015]
  • 조선 전기 관요 최근 조사 성과-우산리 9호ㆍ14호 일원을 중심으로 ,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굴 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김경중 경기도자박물관 [2015]
  •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박경자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미 술사학24 [2010]
  • 박사
    조선 15세기 안태용 도자기 연구
    양윤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정도전 사상의 연구
    한영우 서울대출판부 [1989]
  • 전북문화재연구원 편, 장수 명덕리 요지
    전북문화재연구원 [2006]
  • 전북문화재연구원 편, 완주 화심리 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 전남문화재연구원 편, 광양 황방 분청자가마
    전남문화재연구원 [2011]
  • 전남문화재연구원 편, 곡성 구성리 도요지
    전남문화재연구원 [2005]
  • 전남 영광 출토 내섬명 분청사기의 연구
    서정호 한국 문화사학회 , 문화사학28 [2007]
  •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변천연구
    이애령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3]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조선시대 마지막 관요 광주 분원리 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6]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조선백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이화여자대 학교박물관 [1993]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광주 조선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번천리 5호 ㆍ선동리 2, 3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6]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광주 우산리 9호 조선백자 요지 발굴조사 보 고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93]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廣州武甲里10號조선백자 도요지 인접지역 시굴조사 보고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7]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편, 廣州樊川里9號朝鮮白磁窯址
    이화여자대 학교박물관 [2007]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편, 부안 진서리 청자요지-제18호요지 발굴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01]
  •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편, 울주 반곡리 유적
    울산발전연구원 문 화재센터 [2006]
  • 영남문화재연구원 편,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 요지Ⅲ
    영남문화재연구 원 [2009]
  • 영남문화재연구원 편,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 요지Ⅰ
    영남문화재연구원 [2009]
  • 역, 역주 대명률직해
    고사경 박철주 민속원 [2014]
  • 역, 양화소록
    강희안 이종묵 아카넷 [2000]
  •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 연구소 , 한국조경학회지44권 3호 [2016]
  • 안평대군 匪懈堂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신상섭 한국전통조경학회 , 한국전통조 경학회지29권 1호 [2011]
  •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문경 용연리 발굴조사 지도위 자료집
    안동대학 교박물관 [2007]
  • 식기의 형태결정과 휴먼스케일
    최공호 동악미술사학 16,동악미술 사학회 [2014]
  • 세조-성종년간의 分院의 設置와 陶磁樣式의 변천
    김영원 한국미술연구소 , 미술사논 단2 [1995]
  • 성 현 저, 민족문화추진회 편, 용재총화
    솔출판사 [1997]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서울역사박물관 편, 진관사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역사박물관 [2012]
  • 서울역사박물관 편, 종묘광장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역사박물관 [2012]
  • 서울역사박물관 편, 아스팔트 아래 운종가
    서울역사박물관 [2012]
  • 서울역사박물관 편, 서울의 도요지와 도자기
    서울역사박물관 [2006]
  • 서울역사박물관 편,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서울역 사박물관 [2002]
  • 서울역사박물관 편, 강북구 우이동 가마터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역사 박물관 [2014]
  • 서울역사박물관 편, 강북구 수유동 가마터 보고서
    서울역사박물관 [2013]
  • 서경문화재연구원 편, 광주시 목현동 123번지 일대 유적 발굴조사 개략 보고서
    서경문화재연구원 [2009]
  • 서경문화재연구원 편, 광주 무갑리 10호 도요지 내 유적
    서경문화재연구 원 [2015]
  • 상주박물관 편, 尙州옛 상주를 담다
    상주박물관 [2011]
  • 상주박물관 편, 상주 상판리 자기요지1 발굴조사 약보고서
    상주박물 관 [2015]
  • 상명대학교박물관 편,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 태고종 전통문화전승관 신 축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상명대학교박물관 [2007]
  • 불교중앙박물관 편, 열반 궁극의 행복
    불교중앙박물관 [2014]
  • 불교문화재연구소 편, 서울 종로구 관수동 유적
    불교문화재연구소 [2015]
  • 분청사기 명문연구
    박경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강좌미술사25 [2005]
  • 부안청자박물관 편, 부안 유천리 고려도자
    부안청자박물관 [2006]
  • 부산박물관 편, 기장 상장안 유적
    부산박물관 [2011]
  • 민족문화유산연구원 편, 영암 상월리 유천 4호ㆍ5호 요장
    민족문화유 산연구원 [2016]
  • 민족문화유산연구원 편, 영암 상월리 도요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민족 문화유산연구원 [2013]
  • 민족문화유산연구원 편, 강진 사당리 43호, 용운리 63호 고려청자 요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3]
  •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조선후기 玩物陶瓷
    장남원 미술사학보39,미술사학연구회 [2012]
  •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 도자기
    문화재청 [2015]
  • 문화재청 외, 태안 마도4호선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ㆍ국립해 양문화재연구소 [2016]
  • 문화재연구소 외, 광주의 백자요지(Ⅰ)
    문화재연구소ㆍ해강도자미술관 [1992]
  • 목포대학교박물관 편, 장성 대도리 요지
    목포대학교박물관 [1995]
  •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편, 서울 청진6지구 유적Ⅱ
    명지 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7]
  • 명지대학교박물관 외, 산본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명지대학교 박물관ㆍ호암미술관ㆍ경기도 [1990]
  • 동서문물연구원 편, 김제 청도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부지내 유적 매장 문화재 발굴조사 2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동서문물연구원 [2013]
  • 도자기 원료의 특성 연구
    피재성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대명률 전래와 한국적 변이 양상
    문형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소 , 국제지역연구 제6권 제3 호 [2002]
  • 대동문화재연구원 편, 고령 사부리 요지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
  • 대동문화재연구원 편, 고령 기산리요지(제Ⅲ구역)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
  • 단국대학교박물관 편, 정비ㆍ복원을 위한 경희궁지 제2차 발굴조사보고 서
    단국대학교박물관 [1987]
  • 김조순을 통해 본 19세기 안동김문의 골동서화애호와 감상 풍 조
    황정연 대동한문학43,대동한문학회 [2015]
  • 국립해양유물전시관 편,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003]
  • 국립진주박물관 편, 진주성 전투
    국립진주박물관 [2012]
  • 국립중앙박물관 편, 천하제일 비색청자
    국립중앙박물관 [2012]
  • 국립중앙박물관 편, 삶과 죽음의 이야기 조선묘지명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국립중앙박물관 편,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중앙박 물관 [2011]
  • 국립중앙박물관 편, 광주군 도마리 백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도마리 1 호 요지
    국립중앙박물관 [1995]
  • 국립중앙박물관 편, 광주 충효동 요지
    국립중앙박물관 [1992]
  • 국립중앙박물관 편, 고려 왕실의 도자기
    국립중앙박물관 [2008]
  • 국립중앙박물관 편, 계룡산 분청사기
    국립중앙박물관 [2007]
  • 국립중앙박물관 편, 경복궁 훈국군영 직소지
    국립중앙박물관 [1996]
  • 국립중앙박물관 편, 경기도 광주 중앙관요 요지지표조사보고서 도판편
    국립중앙박물관 [1998]
  • 국립중앙박물관 편,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도판편)
    국립중앙박물관 [1996]
  • 국립중앙박물관 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중국 도자
    국립중앙박물관 [2007]
  • 국립중앙박물관 외, 경기도 광주 중앙관요 요지 지표조사 보고서(도판 편)
    국립중앙박물관ㆍ경기도박물관 [1998]
  • 국립중앙박물관 외, 京畿道廣州中央官窯窯址地表調査報告書解說篇
    국립중앙박물관ㆍ경기도박물관 [2000]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프랑스 세브르 국립도자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조선왕조 행사기록화(화보 및 작품해설)
    국립문 화재연구소 [2011]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숭례문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흥복전지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함화당, 집경당 행각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침전지역발굴조사 보고서(본문, 도면)
    국립문화재연구소 [1995]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용성문 서수문장청지역 발굴조사
    국립 문화재연구소 [2011]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 연구소 [2008]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동편 서편 궁장지역 발굴조사
    국립문화 재연구소 [2011]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경복궁 광화문지역 및 어도지역 발굴조사
    국립 문화재연구소 [2011]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景福宮發掘調査報告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국립광주박물관 편, 전남지방 도요지 도자보고Ⅱ
    국립광주박물관 [1988]
  • 국립광주박물관 편, 무등산 충효동 요지
    국립광주박물관 [1993]
  • 국립광주박물관 편, 무등산 분청사기
    국립광주박물관 [2013]
  • 국립광주박물관 편,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 도요지
    국립광주박물관 [2002]
  • 국립공주박물관 편, 계룡산 분청사기
    국립공주박물관 [2009]
  • 박사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 연구
    노행정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관사명 분청사기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윤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공납용 분청사기의 통일된 양식과 제작배경
    박경자 한국미술사연구소 , 미술사논단27 [2008]
  • 고려청자박물관 편,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고려청자박물관 [2016]
  •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
    정요근 지방사와 지방문화13권 2호,역사문화학회 [2010]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중학동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09]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정동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12]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장교동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13]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신문로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10]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관철동 유적
    고려문화재연구원 [2008]
  • 고려문화재연구원 편, 덕수궁 함녕전 북행각지, 만희당지 발굴조사보고 서
    고려문화재연구원 [2009]
  • 고려말ㆍ조선초 官司銘梅甁의 製作時期와 性格
    김윤정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단호문화연 구8 [2004]
  • 고려말 조선초 왕실용 자기의 제작체계연구
    김윤정 미술사학연구 260, 한국미술사학회 [2008]
  • 고려말 조선초 상감청자 연구
    김현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고려말 조선초 백자연구
    박기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사
    고려~조선시대 자기 돈 연구
    이다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경주 서부동 출토 관사명 분청사기 연구
    심지연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편, 경산 음양리 유적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02]
  • 경북대학교박물관 편, 칠곡 다부동 자기요지, 대구 춘천간 고속도로 건 설예정지역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경북대학교박물관 [1991]
  • 경북대학교박물관 편, 안동 신양리 조선백자요지
    경북대학교박물관 [1992]
  •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편, 진해 웅천자기요지(Ⅰ)
    경남발전연 구원 역사문화센터 [2001]
  •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편, 진해 웅천도요지(Ⅱ)
    경남발전연구 원 역사문화센터 [2004]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하남 법화사지
    경기문화재연구원 [2013]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용인 보정리 청자요지
    경기문화재연구원 [2006]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남한산성 한흥사지유적
    경기문화재연구원 [2014]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남한산성 인화관지
    경기문화재연구원 [2012]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檜巖寺Ⅳ-1~4단지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문화재 연구원 [2013]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檜巖寺Ⅲ-5ㆍ6단지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문화재 연구원 [2009]
  • 경기문화재연구원 편, 檜巖寺Ⅱ-7ㆍ8단지 발굴조사보고서(유물 도면ㆍ 사진)
    경기문화재연구원 [2003]
  • 경기도자박물관 편, 번천리 8호, 선동리 2호 요지 일원
    경기도자박물 관 [2013]
  • 경기도자박물관 편, 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경기도자박물관 [2016]
  • 경기도자박물관 편, 광주 송정동 5ㆍ6호 백자가마터
    경기도자박물관 [2008]
  • 경기도자박물관 편, 경기도의 도자유적
    경기도자박물관 [2008]
  • 경기도자박물관 편, 경기도의 도요지Ⅰ
    경기도자박물관 [2015]
  • 경기도자박물관 편,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 굴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경기도자박물관 [2015]
  • 경기도박물관 편, 경기도 광주 관요종합분석 보고서
    경기도박물관 [2008]
  • 경기도박물관 외, 檜巖寺Ⅱ-7ㆍ8단지 발굴조사보고서(본문)
    경기도박 물관ㆍ기전문화재연구원 [2003]
  • 경기도박물관 외, 檜巖寺Ⅱ-7ㆍ8단지 발굴조사보고서(도판)
    경기도박 물관ㆍ기전문화재연구원 [2003]
  • 경국대전주해
    정긍식 法學제49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 겨레문화재연구원 편, 이천 수하리ㆍ도암리 유적
    겨레문화재연구원 [2012]
  • 겨레문화재연구원 편, 서울 통의동 유적
    겨레문화재연구원 [2015]
  • 겨레문화재연구원 편
    종로 세종로동 76-14번지ㆍ당주동 108번지 유적 [2015]
  • 강진청자자료박물관 편, 청자빛 하늘에 담긴 구름과 학
    강진청자자료 박물관 [2001]
  • 강진청자자료박물관 편, 강진 고려청자 소장 유물 100선
    강진청자박물 관 [2012]
  • 강진청자자료박물관 편, 강진 고려청자 500년-강진 청자요지 발굴유물 특별전
    강진청자박물관 [2006]
  • 강진청자 도편의 분석에 관한 연구 , 강진 비색청자의 과학 적 접근과 동북아 청자의 전개
    노형구 강진청자박물관 [2012]
  • 點刻銘이 부가된 ‘天地玄黃’銘백자들의 사용시기와 성격
    박정민 호서사학회 , 역 사와 담론61 [2012]
  • 麗末~鮮初硬質白磁로의 이행과정 연구
    이종민 호서사학50,호서 사학회 [2008]
  • 高麗~朝鮮時代瓷器高足杯硏究-14~17세기를 중심으로
    김선영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首都博物館編, 龍泉窯靑瓷藝術溫溫玉色照瓷, 北京燕山出版社, 2012.
  • 養花小錄, 姜希顔(1417~1464)
  • 陆明华, 明代龍泉官用靑瓷問題探索, 文物 2007年5期, 文物出版社, 2007.
  • 銘文資料를 통해 본 廣州牛山里窯址群의 性格
    김봉준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 구266 [2010]
  • 金沢陽, 中國明淸時代の陶磁生産と海外輸出, 陶磁器流通の考古學, 高志書院, 2013.
  • 警修堂全藁, 申緯(1769~1847) 
  • 蒋忠义, 浙江龙泉县安福龙泉窑址发掘简报, 考古 1981年6期, 科學出 版社, 1981.
  • 荷齋日記, 池圭植(1851~?) 
  • 福岡市敎育委員會編, 箱崎6, 福岡市敎育委員會, 1998.
  • 福岡市敎育委員會編, 東蒲池門前遺跡, 福岡市敎育委員會, 2013.
  • 福岡市敎育委員會編, 五ヶ山1, 福岡市敎育委員會, 2013.
  • 福岡市敎育委員會編, 下木佐木安堂遺跡ㆍ東蒲池蒲池遺跡ㆍ西蒲池池田 遺跡, 福岡市敎育委員會, 2013.
  • 王光堯, 明代宮庭陶瓷史, 紫禁城出版社, 2010.
  • 王光堯, 中国古代官窑制度, 紫禁城出版社, 2004.
  • 王健华, 浅谈故宮藏明代仿汝, 官, 哥窑靑瓷, 故宮博物院院刊 2000年 5期, 故宮博物院, 2000.
  • 燕岐松亭里분청사기 대접
    강경숙 한국미술사 학회 , 미술사학연구197 [1993]
  • 炎黃藝術館編, 景德镇出土元明官窯瓷器, 文物出版社, 1999.
  • 濯纓集, 金馹孫(1464~1468) 
  • 湖南地域덤벙粉靑沙器硏究
    권혁주 호 남문화재연구원, 호남문화재연구원논문집6 [2007]
  • 湖北省考古硏究所編, 梁庄王墓, 文物出版社, 2007.
  • 淸秘藏, 張應文
  • 淮南子, 泰族訓
  • 淮南子, 天文訓
  •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編, 龙泉东区窑址犮掘報告, 文物出版社, 2004.
  •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編, 龍泉東區窯址發掘報告書, 文物出版社, 2005.
  •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外, 龍泉大窯楓洞巖窯址出土瓷器, 文物出版社, 2009.
  •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外, 龍泉大窯楓洞岩窯址, 文物出版社, 2009.
  • 沖繩縣敎育委員會編, 首里城京の内跡出土品展, 沖繩縣敎育委員會, 2004.
  • 沖繩縣敎育委員會編, 首里城京の内跡出土品展青花の文様で観る, 沖 繩縣敎育委員會, 2008.
  • 沖繩縣敎育委員會編, 陶磁器の美-首里城京の内にもたらされた秀逸品, 沖繩縣敎育委員會, 2005.
  • 沖繩縣敎育委員會編, 陶磁器から古の神事(祭祀ㆍ儀式)を考える-首里城 京の内神事における陶磁器使用の在り方-, 沖繩縣敎育委員會, 2006.
  • 沖繩縣敎育委員會編, 土でつくられた緑の宝石小型青磁, 沖縄県教育 委員会, 2009.
  • 沈岳明外, 云和县横山周窑址发掘简报, 东方博物 2009年4期, 浙江省 博物館, 2009.
  • 江西省文物考古研究所外, 景德鎮湖田窑址1988-1999年考古发掘报告(下) , 文物出版社, 2007.
  • 江西省文物考古研究所外, 景德鎮湖田窑址1988-1999年考古发掘报告 (上), 文物出版社, 2007.
  • 江西省博物馆外, 江西明代藩王墓, 文物出版社, 2010.
  • 江華行宮출토 조선도자 연구 , 조선왕실 출토품으로 본 조 선도자
    김경중 경기도자박물관 [2008]
  • 江建新, 略论明清时期窑业, 景德镇学院学报 2015年2期, 景德镇陶瓷 考古研究所, 2015.
  • 森達也, 中國靑瓷の硏究-編年と流通, 汲古書院, 2015.
  • 梅花詩帖, 李滉(1501~1570) 
  • 林下筆記, 李裕元(1814~1888) 
  • 李知宴, 浙江龙泉青瓷山头窑发掘的主要收获, 文物 1981年10期, 文 物出版社, 1981.
  • 李永强, 北京毛家湾出土的明代龙泉官窑瓷器, 收藏家 2009年1期, 北 京市文物局, 2009.
  • 朝鮮王室金屬祭器硏究
    김종임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77 [2013]
  • 朝鮮時代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조재경 중앙고고연구5,중 앙문화재연구원 [2009]
  • 朝鮮時代玉器硏究-朝鮮王朝實錄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 文 化史學
    신대현 한국문화사학회 [2002]
  • 朝鮮時代官窯靑磁硏究
    김영미 한국미술사학 회, 미술사학연구266 [2010]
  • 朝鮮時代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관한 硏究(一)
    윤용이 한국미술사학회 , 고고미술 149 [1981]
  • 朝鮮時代分院의 成立과 變遷硏究
    윤용이 한국미술 사학회, 考古美術151 [1981]
  • 朝鮮後期白磁의 製作技術硏究
    방병선 한국미 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14 [1997]
  • 朝鮮後期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 林圖를 중심으로
    정봉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朝鮮前期의 王權과 政局運營-成宗ㆍ燕山君ㆍ中宗代를 중심으 로-
    김 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朝鮮前期吉禮用粉靑祭器硏究
    정소라 미술사학연구223,한국미 술사학회 [1999]
  • 朝鮮前期‘軟質白磁’製作技術에 대한 科學的硏究
    강경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미술사학 20 [2006]
  • 朝鮮初酒器의 조형 변화와 원인
    김윤정 한국미술 사연구소 , 강좌미술사37 [2011]
  • 朝鮮17世紀前半分院의 白磁樣式變化
    장기훈 미술사학연구224,한국미술사학회 [1999]
  • 月沙集, 李廷龜(1564~1635) 
  • 春風堂隨筆, 陸琛
  • 星湖僿說, 李瀷(1681~1763) 
  • 慵齋叢話, 成俔(1439~1504) 
  • 徐學琳, 元明龍泉靑瓷的若干問題, 东方博物23, 浙江省博物館, 2007.
  • 弓楊紀知, 靑花の道, 日本放送出版協會, 2008.
  • 尹福生, 龍泉明代潘床口窯址的調査, 东方博物 2008年1期, 浙江省博 物館, 2008.
  •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한형주 역사민속학28,한국 역사민속학회 [2008]
  • 宿踐諸衙圖
    허경진 美術史論檀11,한국미술연구소 [2000]
  • 容齋集, 李荇(1478~1534) 
  • 宣和奉使高麗圖經, 徐兢(1091~1153) 
  • 宋子大全, 宋時烈(1607~1689) 
  • 姜世晃의 <淸供圖>와 文房淸玩
    이경화 한 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71ㆍ272 [2011]
  • 奥田直栄, 古瀨戸, 平凡社, 1989.
  • 太平會盟圖의 역사적 배경
    신윤호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85 [2014]
  • 堀內秀樹外, 日本出土の中國明淸時代の陶磁器, 陶磁器流通の考古學, 高志書院, 2013.
  • 國立故宮博物院編, 碧绿明代龍泉窯靑瓷, 國立故宮博物院, 2009.
  • 周仁外, 龙泉历代靑瓷胎的化学組成和分子式, 考古學報 1973年1期, 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 1973.
  • 向井亙, タイㆍミャンマーの陶磁生産と海外輸出, 陶磁器流通の考古學, 高志書院, 2013.
  • 叶英挺外, 犮現, 大明處州龍泉官窯, 西泠印社出版社, 2005.
  • 北京市文物硏究所編, 毛家灣明代瓷器坑考古發掘報告(上), 科學出版 社, 2007.
  • 初期粉靑沙器가마터 분포에 대한 一考察(Ⅰ)
    강경숙 태동고전연구소 , 태동고전연 구10 [1993]
  • 冯先铭外, 宋龙泉窑瓷器及其仿品, 收藏家 1997年6期, 北京市文物局, 1997.
  • 冯先铭, 龍泉窯與龍泉窯系, 中國古陶瓷論文集, 紫禁城出版社ㆍ兩木 出版社, 1987.
  • 保閑齋集, 申叔舟(1417~1475) 
  • 使和記略, 朴泳孝(1861~1939) 
  • 余家栋外, 从江西出土龙泉釉靑瓷看赣浙地区窯业的渊源关系, 中国古陶 瓷硏究8, 紫禁城出版社, 2002.
  • 佔畢齋集, 金宗直(1431~1492) 
  • 京都國立博物館編, 日本人が好んだ中國陶磁-特別展覽會, 京都國立博 物館, 1991.
  • 京畿道廣州官窯의 設置時期와 燔造官
    전승창 미술사연구22,미 술사연구회 [2008]
  • 五洲衍文長箋散稿, 李圭景(1788∼1863)
  • 中國陶瓷全集編輯委員會編, 中國陶瓷全集10 元, 上海人民美術出版社, 2000.
  • 三杉隆敏, 元の染付-海を渡る世界に拡がる焼物文化, 農文協, 2004.
  • 「선초 조선출신 명 사신의 행적」
    정구선 경주사학23,경주사학회 [2004]
  • 「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
    정동훈 역사와 현실84,한 국역사연구회 [2012]
  • 「경국대전의 편찬과 대명률」
    李成茂(Lee Sŏng-mu) 역사학회 , 역사학보125 [1990]
  • ‘處’명백자를 통해 본 조선 전기 내수사(內需司)의 왕실용 백자 제작
    박정민 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야외고고학22호 [2015]
  • K. Koh Choo, K. H. Kim, Y. E. Lee and J. S. Kim, “A Scientific Study Of Chosǒn White Ware: Early Porcelain From A Royal Kiln at Kwangju Usanni”, Archaeometry Vol.44, No.2, Oxford : Oxford University, 2002.
  • Gibbsite 질 고령토를 이용한 고강도 백색소지 제조에 관한 연 구
    오유근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18~19세기 서울 문인지식인층의 고동서화 취미에 나타난 차 문화
    주명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8세기 朝鮮文人들의 繪畵蒐集活動과 畵壇
    박효은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233ㆍ234 [2002]
  • 18세기 朝ㆍ淸官窯의 운영체제와 제작기술
    방병선 고려사학회 , 한국사학보11 [2001]
  • 박사
  • 17세기 명문백자를 통해 본 관요의 운영시기-생산ㆍ소비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김경중 한국고고학회 , 한국고고학보77 [2010]
  • 16세기 중후반 조선 관요 운영 시기 및 제작양상 연구-가마터 출토 명문백자를 중심으로
    김경중 한국문화재조사연 구기관협회 , 야외고고학15 [2012]
  • 16세기 조선 對明불법무역의 확대와 그 의의
    구도영 한국사연구회 , 한국사연구 170 [2015]
  • 15~17세기 관요 백자 명문의 변화와 그 배경
    김귀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야외고고학 17 [2013]
  • 15~17世紀官窯白磁銘文硏究
    김귀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5~16세기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 관요연구
    전승창 홍익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7]
  • 15세기 조선과 명의 御用磁器제작체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김윤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고문화85 [2015]
  •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강경숙 한국미술사학회 , 미술사학연구237 [2003]
  • 15세기 朝․明宮廷用磁器의 제작 체제와 관리 , 미술을 통 해 본 동아시아사
    김윤정 중국사학회 [2007]
  • 15세기 剝地粉靑沙器硏究
    나상철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5ㆍ16세기 조선백자의 양상 , 한ㆍ일도자문화의 교류양상
    윤용이 경인문화사 [2005]
  • 15-16세기 朝鮮白磁에 보이는 明代磁器의 影響
    이현정 미술사학 연구270,한국미술사학회 [2011]
  • 14~15세기 경상도지역 자기소 출토 분청사기 연구
    신순철 영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