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성서 탕자의 비유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 연구

이지연 2017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지연
    • 기타서명 A Study of Relational Meanings i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ings Hidden in Silence」 : based on the Bible's 'parable of the Prodigal Son'
    • 형태사항 삽화 +: xiii, 175 p.: 비디오디스크 1매
    • 일반주기 딸림DVD: 공연 동영상, 지도교수: 신은경, 참고문헌: p. 164-171
    • 학위논문사항 2017. 2. 졸업, 무용학과,,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DC 700
    • 발행지 서울 :
    • 언어 kor
    • 출판년 2017
    • 발행사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556)
' 성서 탕자의 비유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술 순수와 응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4 0

0.0%

' 성서 탕자의 비유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침묵 속에 가려진 것들」에 나타난 관계적 의미 연구' 의 참고문헌

  • 지음 『함께의 생명』
    황두용 산해 [2007]
  • 아동의 바람직한 양육환경에 대한 상담학적 관점
    하혜숙 『사회과학논 총. 제 26집 1호. 17-31 [2010]
  • 시기심과 감사-타자의 부정과 수용
    박선영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8. p. 186 [2007]
  • 멜라니 클라인의 시기심과 감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김영란 이 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개역개정판』
    성서원 [2008]
  • 국어대사전
    최학근 제3판. 민중서림 [1994]
  • 가족 레질리언스: 역경을 이기는 힘
    정수경 『사회과학논총』 제26집, 제1 호 [2010]
  • 宮田光雄 『탕자의 정신사 : 예수의 비유를 읽다 』. 양현혜 역
    궁전광웅 홍성사 [2014]
  • 박사
  • 『콤플렉스 치유의 관점에서 본 한국 무속신화 연구』
    조홍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박사
  • 『칼 융(C. G. Jung)의 콤플렉스론과 한의 비교 연구: 기독교 상담학 적인관점에서』
    엄상호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을 근거로 한 무용창작작품 「again and a-gain」의 주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 『이미지 연구를 통한 본문해석-누가복음 15장 11-32절을 중심으 로』
    정준승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음악사를 움직인 100인』
    진회숙 청아출판사 [2013]
  • 『융의 심리학과 종교』
    김성민 동명사 [2004]
  • 『용서와 치료』
    손운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 『신화 드라마 : 한 장으로 보는 그리스 신화 계보도』
    최복현 풀로엮은집 [2009]
  • 『성서속의 인물들 : 성서의 숲에서 사람 향기에 취하다 』
    허영엽 이유 [2006]
  • 『성경주석: 공관복음/증보정정판』
    박윤선 영음사 [1964]
  • 박사
  •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를 통한 새로운 성서해석방법 연구-누 가복음 15:11~32(탕자비유)를 중심으로-』
    계홍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분석심리학』
    이부영 일조각 [2006]
  • 『복음서의 비유들』
    김득중 컨콜디아사 [1993]
  • 『버나드 브랜든 스코트의 비유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
    박인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무용창작론: 시무용의 이론과 실제』
    이해준 국학자료원 [2005]
  • 『무용음악의 이해』
    김은수 삼신각 [1996]
  • 『무대조명의 빛과 색에 관한 연구』
    김민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몸과 움직임 읽기』
    김재리 신상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 『목회자 자녀의 착한 아이 콤플렉스와 그 극복- C. G. 융의 “영원 한 아이” 개념을 중심으로 -』
    정은호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멜라니 클라인의 아동정신분석: 이론 및 임상 체계의 비판적 재구 성』
    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레빈슨의 네러티브 담화 분석론의 탕자 비유에로의 적용』
    김형석 총신 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대상관계이론의 관계중심 목회상담적 적용 가능성 연구』
    문희경 총신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누가복음 새로읽기』
    김영봉 오덕호 한들출판사 [2001]
  • 『누가복음 15장의 “탕자 비유”에 관한 역사 비평적 연구』
    이지륜 경성 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14]
  • 『누가복음 15:11-32의 비전, “통합”-우리의 잔치』
    이용래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2012]
  • 『가족치료이론』
    김용태 학지사 [2000]
  • 『가족치료와 상담』
    김명희 교문사 [2012]
  • 『가족관계』
    유계숙 정현숙 신정 [2005]
  • 『「심청전」에 나타난 죄책감과 희생양 콤플렉스가 개성화에 미치 는 영향』
    조수연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착한아이 콤플렉스’로 인한 한국교회 봉사자들의 심리적 역동 과 내적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원영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T. S. 엘리엇과 융의 개성화 과정』
    배희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5]
  • 『C. G. 융의 관점에서 본 시각예술에 관한 연구』
    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성서에 의한) 무용창작의 완성과 조건』
    박순자 스포츠북스 [2014]
  • van. 『열린 미술관 : 미술을 이해하는 33가지 주제』. 반성완 역
    Os, H. W. 문화 [2004]
  • http://www.chpress.net
  • http://www.britannica.co.kr
  • http://philipglass.com/
  • http://kostat.go.kr
  • Winnicut, D. W.(1986). Object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In P. Buckly (Ed.), Essential Papers on Object Relations .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 Weininger, Otto(1992). Melanie Klein: From Theory to Reality. London: Kamac Books.
  • Timothy Lane 『Relationships: a mess worth making (관계가 주 는 기쁨)』. 이명숙 역
    Paul Tripp 미션월드 [2009]
  • Stein, Robert H., 『비유 해석학』. 오광만 역
    엠마오 [1988]
  • Schwartz, Matthew B. & Kaplan, Kalman J. 『성경 속의 치유와 상담』. 권 명수, 전정운 역
    시그마프레스 [2007]
  • Schlink, Basilea『예수님과 멀어지게 된 45가지 이유』. 이용복 역
    규장 [2013]
  • Scharff, E. D. & Scharff, J. S.(1991). Object Relations Family Therapy.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 Rosen, D.(1999). What is the family? Nature, Culture, and the law. In A. Skolnick & J. Skolnick, Family in transition (10th ed.) NY: Longman.
  • Richards, Larry(1978). Developing Family Life Ministry Life Education. Ed. Gilpeterson, Glen Ellyn, Ⅲ. Scripture press Ministry.
  • Petersen, William J. & Petersen, Randy. 『말씀의 힘 : 세상을 바꾼 성경 말씀 100』. 서희연 역
    엔크리스토 [2008]
  • O'Laughlin, Michael 『세계 영성의 거장 시리즈 헨리 나우웬 : 그의 삶, 그 의 꿈』. 마영례 역
    가치창조 [2008]
  • Nouwen, Henri 『헨리 나우웬 영성 모던 클래식 집으로 돌아가는 길 』. 최종훈 역
    포이에마 [2010]
  • Nouwen, Henri 『탕자의 귀향』. 최종훈 역
    포이에마 [2009]
  • Nolland, John 『WBC 성경주석 , 35』. 김경진 역
    솔로몬 [2003]
  • Michael St. Clair 『대상관계 이론과 자기 심리학』. 안석모 역
    시그마프레 스 [2009]
  • Maldonado, Jorge 『성경속의 일곱가족 : 가족치료와 가족윤리의 기본 원 리』. 박철호 역
    홍익재 [2002]
  • Mahler, M. S.(1986). The First Three Subphases of the Separation and Individuation Process. In P. Buckly (Ed). Essential Papers on Object Relations.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 Klein, Melanie(1987). 『Notes on Some Schizoid Mechanism(1946)』 in M. Klein, The Selected Melanie Klein, edited by Juliet Mitchelle. New York: Free Press.
  • Klein, Melanie(1975). The Development of a Child, in Love, Guilt and Reparation, Ed. Roger Money Kyrle. New York: The Free Press.
  • Klein, Melanie (1986). A Contribution to the Psychogenesisof Manic-Depressive State. In P. Buckly(Ed.), Essential Papers on Object Relations.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 Klein, Melanie (1984).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trans. by Alix Strachey. New York: Free Press.
  • Klein, Melanie (1984). Love, Guilt and Reparation and Other Works 1921-1945. New York: The Free Press.
  • Klein, Melanie (1957).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 1946-1963. New York: The Free Press.
  • Klein, M.(1975).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 vol. 4. New York: Delacorte.
  • Kistemaker, Simon J. 『예수님의 비유』. 김근수, 최갑종 역
    기독교문서선 교회 [1986]
  • Kernberg, O.(1976). Dealing with the Borderline Patient. In G. Schoenewolf (Ed.) Turning Points in Analytic Therapy. Northvale: Jason Aronson Inc.
  • Keller, Timothy J. 『(마르지 않는) 사랑의 샘 : '돌아온 탕자'의 비유에서 배우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 전성호 역
    베가북스 [2011]
  • Keller, Timothy J 『팀 켈러의 탕부 하나님』. 윤종석 역
    두란노 [2016]
  • Jeremias, Joachim 『예수의 비유』. 허혁 역
    분도출판사 [2007]
  • Hayes, Elizabeth R. 『무용창작론』. 조은미 역
    정담 [2000]
  • Hawkins, Alma M. 『안으로부터의 움직임: 새로운 무용창작의 방법』. 이숙 재 역
    현대미학사 [1994]
  • Hanna, Segal 『멜라니 클라인: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학』. 이재훈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 Han film, 15min 57sec, 2014.
  • Grosskurth, Phyllis(1995). Melanie Klein: Her World and Her Work. Northvale: Aronson.
  • Greenberg, Jay R. & Mitchell, Stephen A.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 이 론』. 이재훈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83]
  • Goldstein, E. G.(2001).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logy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Free Press.
  • Goldstein, E. G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Fuch, Theodore(1929). Stage Lighting. Boston: Little, Bround Co.
  • Frankl, Viktor Emil 『빅터 프랭클의 심리의 발견』. 강윤경 역
    청아 [2008]
  • Fairbairn, W. R.(1952). Psychoan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 Routledge.
  • Erber, R. & Erber, M.(2001). Intimate relationships: Issues, theories and research.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 Eisenberg, N. & Miller, P. A.(1987).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 Dommermuth-Gudrich, Gerold 『클라시커 50 신화』. 안성찬 역
    해냄 [2001]
  • Dolto, Frandoise 『인간의 욕망과 기독교 복음』. 김성민 역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2000]
  • Dinouart, Joseph-Antoine-Toussaint 『침묵의 기술』. 성귀수 역. 아르떼. Dolto, Frandoise(2000). 『인간의 욕망과 기독교 복음 : 정신분석학으로 성서 읽 기』. 김성민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6]
  • Denney & James D. 『리치처럼 승부하라』. 안종설 역
    Pat Williams 나무 [2013]
  • Cox, F.(1999). Human intimacy: Marriage, the family and its mean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Clark, K. B.(1980). Empathy : A neglection topic in psychological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 Blum, L. A.(1980). Friendship, altruism and moralit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Blom, Lynne Anne , Chaplin, L. Tarin 『안무의 실제』. 조은미 역
    정담 [1994]
  • Batson, C. D.(1991). The Altruism question: Toward a socialpsychological answer. Hillsdale, NJ: Eribaum.
  • (坂部 惠) 외 4명 『칸트 사전』. 이신철 역
    판부혜 도서출판 b [2009]
  • ( 『사도 막달라 마리아의 리더십을 토대로 한 무용창작작품 「사랑 으로 거듭나다」에 관한 표현적 특성 연구』
    이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