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한제국기 정치적 결사에 관한 헌법사적 연구

김현정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대한제국기 정치적 결사에 관한 헌법사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한제국
  • 보안법
  • 정치적 결사
  • 헌법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39 0

0.0%

' 대한제국기 정치적 결사에 관한 헌법사적 연구' 의 참고문헌

  • 奏本 (奎17703)0119책
  • 訓令照會存案 (奎제60책( 訓令照會存案 (宮內府內藏院編)7 [1914]
  • 독립신문
  • 매일신문
  • 미군정청 관보
  • 李鎬澈,“朝鮮後期의 社會經濟的發展과 그 性格”, 經濟論集 第35卷第 2 3號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1996]
  • 李鉉淙,“大韓自强會에 對하여”, 震檀學報 제29 30호
    진단학회 [1966]
  • 李泰鎭,“조선시대의 정치적 갈등과 그 해결 –사화와 당쟁을 중심으로 -”,李泰鎭編,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개정판)
    태학사 [2003]
  • 李寅燮, 元韓國一進會歷史 卷之一-卷之三,文明史,1911
  • 李光麟, 開化黨硏究 ,一潮閣,1975
  • 柳永益,“甲午更張과 社會制度改革-改革主體,改革案및 更張의 歷史的 意義에 관한 通說의 再檢討”, 韓國社會發展史論
    一潮閣 [1992]
  • 헌법학 (제6판)
    한수웅 法文社 [2016]
  • 헌법학 (제16판)
    성낙인 법문사 [2016]
  • 헌법
    김효전 소화 [2009]
  • 한성순보 한성주보 번역판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 [1983]
  • 한국학 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홈페이지 http://encykorea
    aks.ac.kr/Contents/Index
  • 한국 회사의 탄생
    전우용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왕현종 역사비평사 [2003]
  • 편저, 韓末近代法令資料集 II
    박용옥 박한설 송병기 대한민국 국회도서 관 [1971]
  • 주제별로 접근한 독일근대사
    김장수 푸른사상 [2010]
  • 정교 저,조광 편,변주승 이철성 김우철 이상식 역주, 대한계년사 권3 권4
    소명출판 [2004]
  •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
  • 안국선,“政治原論”,(김형태 역,김영민 책임편집, 금수회의록 (외)
    범우,2004) [1907]
  • 서울大學校奎章閣
    영인본) [1993]
  • 박은숙,“[특집:1884년 정변의 정령 분석]문벌폐지를 통한 인민평등권 제정과 인재등용”, 역사와 현실 제30권
    한국역사연구회 [1998]
  • 독일法史 上 下
    조규창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 박사
  • 김효전 역, 헌법 국가 자유
    법문사 [1992]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http://stdweb2
    korean.go.kr/search/View.jsp
  • 高宗實錄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 金項勼,“大韓自强會의 自强獨立論”, 東西史學 1권
    한국동서사학회 [1995]
  • 金玉均原著,趙一文譯註, 甲申日錄 ,建國大學校出版部,1984
  • 金正明編, 日韓外交資料集成 第5卷 第6卷上 中,東京:巖南堂書店, 1964/1967a
  • 金弼東, 韓國社會組織史硏究-契組織의 構造的特性과 歷史的變動-
    一潮閣 [1992]
  • 金容浩,“漢城旬報에 관한 文化的解釋”, 言論文化硏究 제6집
    서강대 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988]
  • 金宇植編輯, 國民須知
  • 金哲洙, 韓國憲法史 ,大學出版社,1988
  • 金仁杰,“朝鮮後期村落組織의 變貌와 1862年農民抗爭의 組織基盤”, 震 檀學報 67
    진단학회 [1989]
  • 鄭肯植, 韓國近代法史攷 ,博英社,2002
  • 鄭永和,“헌법상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헌법학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헌법학회 [2012]
  • 鄭昌烈,“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신편)한국사 39
    국사편찬위원 회 [2003]
  • 都倉武之,“4 日本における治安法形成の政治的問題点(2):明治20年・保 安条例を材料に(IV 危機管理政策の現状と課題(2)-テロ関連-)”, 武蔵野学院大学日本総合研究所研究紀要 4,狭山:武蔵野学院大学, 2007
  • 趙聲九, 憲法 ,(民族文化
    1987영인 간행) [1907]
  • 西友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西北學會月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行政裁判所編, 行政裁判ニ関スル法令 下,東京:文光堂,1901
  • 薛錫圭, 朝鮮時代儒生上疏와 公論政治
    도서출판 선인 [2002]
  • 萬歲報
  • 舊韓國官報
  • 統監府文書 6권
    국사편찬위원회 [1991]
  • 統別法律關係往復文 一(奎17852)
  • 皇城新聞
  • 疏文-”, 한국정치연구 2권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990]
  • 畿湖興學會月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申宇澈, 比較憲法史:大韓民國立憲主義의 淵源
    法文社 [2008]
  • 甲午改革과 獨立協會運動의 社會史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 田鳳德,“大韓國國制의 制定과 基本思想”, 法史學硏究 創刊號
    한국법 사학회 [1974]
  • 湯本豪一,연구공간 수유+너머 동아시아 근대 세미나팀 역, 일본 근대 의 풍경
    그린비 [2004]
  • 湖南學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法規提要 .明治22年編 中巻,東京:法制局, 1903
  • 法規便覧 ,東京:帝国議会事務局,1890
  • 法令全書 (明治13年),東京:内閣官報局,1912
  • 河喆永,“近代韓國의 君主制”, 동의법정 第11輯
    동의대학교 법정대학 [1995]
  • 每日申報
  • 森山誠一, “集会条例(1880)制定過程の一考察--邦訳ドイツ結社法およびボ アソナ-ド案の影響を中心に-上-”, 金澤經濟大學論集 第28卷1 号,金澤:金澤經濟大學,1994
  • 柳漢喆,“日帝韓國駐箚軍의 韓國侵略過程과 組織”, 한국독립운동사연 구 제6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1992]
  • 柳永烈, 大韓帝國期의 民族運動
    一潮閣 [1997]
  • 朴贊勝,“韓末自强運動論의 각 계열과 그 성격”, 韓國史硏究 제68호
    한국사연구회 [1990]
  • 朴泳孝著,金甲千譯
    “朴泳孝의 建白書-內政改革에 대한 1888년의 上
  • 朝鮮總督府官報
  • 最新六法全書.昭和5年度版 ,東京:日本通信大学出版部,1930
  • 日本에서의 西洋憲法思想의 受容에 관한 硏究:「大日本帝國 憲法」의 制定에서 「日本國憲法」의 ‘出現’까지
    김창록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1994]
  • 新井勝紘,“自由民権と近代社会”,新井勝紘編, 自由民権と近代社会 ,東 京:吉川弘文館,2004
  •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http://sjw.history.go.kr/main.do) 照會 1(奎17754)
  • 愼鏞廈,“東學과 甲午農民戰爭의 結合”, 韓國學報 67
    일지사 [1992]
  • 徐珍敎,“대한제국기 商務社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99]
  • 帝國新聞
  • 崔鍾庫,“韓國最初의 法學通論 ”
    서울대학교 法學 제22권 4호 [1981]
  • 崔起榮,“憲政硏究會에 관한 一考察”,趙恒來編, 年代의 愛國啓蒙 運動硏究
    亞細亞文化社,1993 [1900]
  • 崔德壽,“개항의 역사적 의의”, (신편)한국사 37
    국사편찬위원회 [2000]
  • 尾立維孝, 集会及政社法講義 ,大阪:大阪講法館,1891
  • 尹致昊日記 六,國史編纂委員會,1976
  • 尹慶老, “梁起鐸과 民族運動”, 國史館論叢 第10輯
    국사편찬위원회 [1989]
  • 安秉旭,“朝鮮後期自治와 抵抗組織으로서의 鄕會”, 聖心女子大學校論 文集 第18輯
    聖心女子大學校 [1986]
  • 安廓, 朝鮮文明史 ,匯東書館,1923
  • 姜在彦著,鄭昌烈譯, 韓國의 開化思想
    比峰出版社 [1981]
  • 太極學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大韓興學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大韓自强會月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6]
  • 大韓每日申報
  • 大韓帝國期의 政治思想硏究
    김도형 지식산업사 [1994]
  • 大韓帝國期의 愛國啓蒙運動과 思想
    이송희 국학자료원 [2011]
  • 大韓學會月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大韓協會會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6]
  • 大朝鮮獨立協會會報 (韓國學文獻硏究所編,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78]
  • 國史編纂委員會編, 駐韓日本公使館記錄 21-24권
    國史編纂委員會, /1998 [1997]
  • 國分典子,“兪致衡과 穗積八束-한일 초기헌법론의 비교”, 法史學硏究 제23호
    한국법사학회 [2001]
  • 初期開化思想과 甲申政變硏究
    지식산업사 [2000]
  • 兪致衡, 憲法 (亞細亞文化社
    영인 간행) [1981]
  • 兪星濬, 法學通論 (3판),廣韓書林,(한국법제연구원
    1997 영인 간 행) [1910]
  • 兪吉濬, 西遊見聞 ,交詢社,1895(兪吉濬全書編纂委員會編, 西遊見聞 (兪吉濬全書I),一潮閣,1971)
  • 任善和,“선교사의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인식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를 중심으로-”, 全南史學 第14輯
    전남사학회 [2000]
  • 『인민의 탄생: 공론장의 구조변동』
    송호근 민음사 [2011]
  • 「조선 침략과 지배의 물리적기반 조선군」
    강창일 한일역사공동연구보 고서 제5권,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5]
  • “황제권 중심 국민국가체제의 수립과 좌절”
    도면회 역사와 현실 50, 한국역사연구회 [2003]
  • “한말 李儁의 정치ㆍ계몽활동과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29집,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 “한말 지식인들의 입헌론과 근대국가 건설”
    김소영 한국학연구 4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한말 서구 ‘사회과학’수용 연구동향과 과제”
    이태훈 한국문화연구 20,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 “한말 대한제국기 ‘민(民)’개념의 변화와 정당정치론”
    정병준 사회 이 론 43권,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 “통감부 설치기의 통치체제”
    김운태 (신편)한국사 42,국사편찬위원 회 [2003]
  • “조선 공론정치의 이상과 현실(I)”
    김영수 韓國政治學會報 39輯5號, 한국정치학회 [2005]
  • “정당민주주의와 정당법 –정당개혁의 관점에서-”
    송석윤 공법연구 제42집 제3호,한국공법학회 [2014]
  • “전통적 국가체제의 위기와 재편(1863-1880)”
    조재곤 역사와 현실 50, 한국역사연구회 [2003]
  • “일제강점기 언론 출판법제”
    김창록 한국문학연구 30집,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6]
  • “일제강점기 미디어로서의 강연회의 형성과 불온한 지식의 탄 생”
    송민호 한국학연구 제32집,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일본의 정당발생 과정에 관한 연구”
    이신일 國際政治論叢 제43집 4 호,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 “일본에서 독일 헌법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호즈미 야쯔카 (穗積八束)의 국가론과 그 독일적 배경을 중심으로-”
    강광문 공법연구 제41집,한국공법학회 [2013]
  • “일본 메이지유신(明治維新)기 메이로쿠샤(明六社)결성과 문명개화론의 성격”
    이건상 정혜정 일본학연구 제33집,단국대학교 일본연구 소 [2011]
  • “인물조사를 통해 본 한국 초기 ‘사회과학’수용주체의 구성과 성격”
    이태훈 한국문화연구 22,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 “애국계몽단체”
    이송희 (신편)한국사 43,국사편찬위원회 [2003]
  • “실학과 개화사상의 관계에 대한 재검토”
    강만길 편, 조선후기 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 “산업진흥정책”
    오두환 (신편)한국사 42,국사편찬위원회 [2003]
  • “명치초기 일본의 지식인운동 - 「明六社」의 사회계몽활동을 중심으로”
    김용덕 국제지역연구 2권 1호,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993]
  • “동학정치사상과 甲午東學農民運動-한국민족주의의 民衆化”
    김혜승 정치사상연구 제11집 1호,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 “대한제국의 성립”
    이민원 (신편)한국사 42,국사편찬위원회 [2003]
  • “대한제국기 민권운동 연구의 재인식”
    김종준 한국학연구 제31집,인 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대한제국기 ‘근대 조직’변동의 추이”
    사회와역사 통권 107 집,한국사회사학회 [2015]
  • “년대 후반 관비유학생의 도일 유학”
    한일공동연구총서 2,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2000 [1900]
  • “근대 ‘사회과학’의 동아시아 수용과 메이지 일본 ‘사회과학’의 특질 –블룬칠리 국가학 수용을 중심으로-”
    전상숙 이화사학연구 제44 집,이화사학연구소 [2012]
  • “국권상실의 정치사상적 요인”
    김정호 동양정치사상사 제9권 2호,한 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 “국가와 사회의 구별”
    김승환 공법연구 제26집 제1호,한국공법학회 [1998]
  • “구한말 輔安會의 창립과 민족 운동”
    사회와 역사 44집,한 국사회사학회 [1994]
  • “광무신문지법과 일본 신문지법의 비교”
    한영학 韓國言論學報 55권 1 호,韓國言論學會 [2011]
  • “광무 양전 지계사업의 성격”
    왕현종 한국역사연구회 토지대장연구반 편, 대한제국의 토지제도와 근대 ,혜안 [2010]
  • “결사의 자유”
    김승환 헌법학연구 제6권 제2호,한국헌법학회 [2000]
  • “개화기 조선의 民會활동과 「議會通用規則」- 「의회통용규칙」 의 유통과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류충희 東方學志 제167집 [2014]
  • “개항기 농업의 상업화와 지주제의 변화”
    김동노 사회와 역사 제50 권,한국사회사학회 [1996]
  • “갑오개혁기 정부의 관리등용제도”
    정일균 사회와 역사 제94집,한국 사회사학회 [2012]
  • “開化思想의 形成과 그 發展- 實學의 傳統및 西歐思想의 受容 과 관련하여”
    이건상 정혜정 한국사 시민강좌 제4집,일조각 [1989]
  • “近代日本憲法思想의 形成”
    김창록 法史學硏究 제12호,한국법사학 회 [1991]
  • “薛泰熙의 協同組合主義와 ‘文化運動論’”
    조형열 韓國史硏究 제130호, 한국사연구회 [2005]
  • “自由民權運動의 背景과 展開”
    배성동 日本硏究論叢 vol.2,현대일본 학회 [1981]
  • “甲申政變과 立憲主義”
    전종익 법학논문집 제35집 제2호,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 “甲午東學農民運動의 목표와 방향으로서의 弊政改革案”
    김진윤 민족사 상 제5권 제3호,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 “東學農民軍執綱所의 社會身分制改革과 土地改革政策”
    震檀 學報 78,진단학회 [1994]
  • “朴泳孝의 保民과 민권신장 구상”
    김현철 정치사상연구 2집,한국정 치사상학회 [2000]
  • “朝日修好條規의 역사적 위치”
    윤소영 한일관계사연구 제18집,한일 관계사학회 [2003]
  • “大韓協會의 組織과 活動에 관한 性格”
    趙恒來編, 年代의 愛國啓蒙運動硏究 ,亞細亞文化社,1993 [1900]
  • “大韓協會의 政治活動硏究”
    東西史學 第5號,한국동서사학회 [1999]
  • “大韓協會에 關한 硏究”
    亞細亞硏究 통권 39호,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0]
  • “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會報」에 관한 硏究- 그 創刊趣 旨 經緯 內容을 중심으로”
    차배근 言論情報硏究 제35집,서울대학교 언 론정보연구소 [1998]
  • “19세기 후반 한 중 양국의 근대적 정치개혁운동 비교 -무술변 법운동과 독립협회운동을 중심으로”
    민병학 대한정치학회보 7집 2호, 대한정치학회 [1999]
  • “19세기 후반 嶺南儒林의 정치적 동향 -萬人疏를 중심으로-”
    정진영 지역과 역사 제4호,부산경남역사연구소 [1997]
  • “19세기 프랑스 시민사회의 형성”
    나병균 아시아문화 제10호,한림대 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1994]
  • “19세기 민중의식의 성장과 민중운동-‘향회’와 ‘민란’을 중심으로 -”
    역사비평 1호,역사문제연구소 [1987]
  • “19세기 독일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
    박근갑 아시아문화 제10호,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4]
  • “19세기 농민항쟁의 전개와 변혁주체의 성장”
    고석규 한국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연구 1-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역사비평 사 [1994]
  • “1884년 정변 주도세력의 상업 개혁구상과 혜상공국(惠商公局) 문제”
    조재곤 역사와 현실 제30권,한국역사연구회 [1998]
  • “1880년 일본 집회조례의 제정과 정치/학술의 담론적 위계화의 기원-메이지 일본의 정치적 ‘공론장’형성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송민호 大東文化硏究 제79집,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 “1862년 농민항쟁의 배경과 주도층의 성격”
    양진석 한국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연구 2 –18 19세기의 농민항쟁- ,역사비평사 [1992]
  • “18,19세기 계급구성의 변동과 농민의식의 성장”
    최윤오 한국역사연구 회, 1894년 농민전쟁연구1-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역사 비평사 [1991]
  • “(해설)趙聲九의 生涯와 著作”
    김효전 趙聲九, 憲法 ,民族文化 [1987]
  • “ 憲政硏究會趣旨書 해제”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집,한국근 현대사학회 [1996]
  • ______,湯目補隆訳, 政党論 上巻,東京:九春社,1884
  • ______,平田東助訳, 国法汎論(第10-12巻) ,東京:司法省,1890
  • ______,“舊韓末政治 社會 學會 會社 言論團體調査資料”, 亞細亞學報 第2輯,亞細亞學術硏究會,1966b
  • ______,Dokumente zur Deutschen Verfassungsgeschichte Bd.3,3., neubearbeiteteAuflage,Stuttgart:Kohlhammer,1990
  • ______,Dokumente zur Deutschen Verfassungsgeschichte Bd.2,3., neubearbeiteteAuflage,Stuttgart:Kohlhammer,1986
  • ______,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seit1789 Bd.3 :Bismarck und das Reich,3., berarb.Aufl.,Stuttgart;Berlin ;K ln ; Mainz:Kohlhammer,1988b
  • ______,Charakterund Geistderpolitischen Parteien,N rdlingen:C. H.Beck,1869
  • ______, 朝鮮駐箚軍歷史 (日韓外交資料集成別冊), 東京: 巖南堂書店, 1967b
  • Wahl,Rainer.“DieEntwicklung desdeutschenVerfassungsstaatesbis 1866”,Josef Isensee und PaulKirchhof(Hg.),Handbuch des StaatsrechtsderBundesrepublik Deutschland Bd.1,3.,v llig neubearbeiteteund erw.Aufl.,Heidelberg:C.F.M llerVerlag, 2003
  • Scalapino,RobertA.“Japan:BetweenTraditionalism andDemocracy”, SigmundNeumanned.,ModernPoliticalParties–Approaches to Comparative Politics-,Chicago:TheUniversity ofChicago Press,1956
  • Reichsgesetzblatt1872,Berlin
  • Reichs-Gesetz-BlattNr.16,Frankfurta.M.,28.04.1849
  • Pauly, Walter. “Die Verfassung der Paulskirche und ihre Folgewirkungen”, Josef Isensee und Paul Kirchhof(Hg.),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1,3.,v llig neubearbeiteteunderw.Aufl.,Heidelberg:C.F. M llerVerlag,2003
  • Menger,Christian-Friedrich.김효전 김태홍 역, 근대 독일헌법사
    교 육과학사 [1992]
  • Huber,ErnstRudolf.DeutscheVerfassungsgeschichteseit1789Bd.2 :DerKampfum EinheitundFreiheit1830bis1850,3., berarb. Aufl.,Stuttgart;Berlin;K ln;Mainz:Kohlhammer,1988a
  • Huber, Ernst Rudolf(Hg.). Dokumente zur Deutschen Verfassungsgeschichte Bd.1,3.,neu bearbeitete und erweiterte Auflage,Stuttgart:Kohlhammer,1978
  • Hattenhauer,Hans(Hg.).Allgemeines Landrechtf rdie Preu ischen Staatenvon1794,Frankfurtam Main:AlfredMetzner,1970
  • Hardwig, Wolfgang. "Verein", Otto Brunner, Werner Conze und ReinhartKoselleck (Hg.),Geschichtliche Grundbegriffe Bd.6, 1.Aufl.,Stuttgart:Klett-Cotta,1997
  • Gastroph,Clauss.Die Politischen Vereinigungen,Berlin:Duncker& Humblot,1970
  • Bluntschli, Johann Caspar. Allgemeines Staatsrecht Bd.2(4. aufl.), M nchen:J.G.Cotta,1868
  • Bauer,Hartmut.“Artikel9[Vereinigungsfreiheit]”,HorstDreier(Hg.), Grundgesetz KommentarBand I,2.Auflage,T bingen:Mohr Siebeck,2004
  • B ckenf rde,Ernst-Wolfgang.김효전 역, 국가와사회의 헌법이론적 구 별
    법문사 [1989]
  • Abernathy,Glenn.TheRightofAssemblyand Association,Columbia: UniversityofSouthCarolinaPress,1961
  • 105인 사건과 신민회 연구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2]
  • (柳父章)저,서혜영 역, 번역어 성립사정
    아키라 야나부 일빛 [2003]
  • (新版)獨立協會硏究 (상) (하)
    일조각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