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玉女峰의 風水 形局別 特性 硏究 :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계량적 접근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g Shui Shape Type of Oknyeobong : A Quantitative Approach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서춘석 2016년
논문상세정보
' 玉女峰의 風水 形局別 特性 硏究 :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계량적 접근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g Shui Shape Type of Oknyeobong : A Quantitative Approach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수치고도모델(DEM)
  • 옥녀봉
  •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 판별분석(discriminantanalysis)
  • 평균비교(t-test)
  • 풍수
  • 형국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1 0

0.0%

' 玉女峰의 風水 形局別 特性 硏究 :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계량적 접근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g Shui Shape Type of Oknyeobong : A Quantitative Approach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의 참고문헌

  • 󰡕
    기장군 기장군지 기장군지편찬위원회 [2001]
  • 󰡕
    서천군 서천군지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09]
  • 󰡔驪州郡誌󰡕
    여주군 여주군지편찬위원회 [1989]
  • 󰡔한국지명유래집-충청편󰡕
    진한엠앤비 [2010]
  •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진한엠앤비 [2010]
  • 󰡔한국지명유래집-경상편󰡕
    진한엠앤비 [2011]
  •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박시익 일빛 [2014]
  •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 󰡔한국의 자생풍수Ⅱ󰡕
    민음사 [2011]
  • 󰡔한국의 자생풍수Ⅰ󰡕
    최창조 민음사 [2011]
  •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 󰡔풍수학 사전󰡕
    김두규 비봉출판사 [2005]
  • 󰡔풍수지리학연구󰡕
    천인호 한국학술정보 [2012]
  • 󰡔풍수지리(집과 마을)󰡕
    김광언 대원사 [2012]
  • 󰡔풍경에 다가서기󰡕
    강영조 효형출판 [2003]
  • 󰡔진안 지방의 구전 설화집󰡕
    진안군 진안문화원 [2003]
  • 󰡔제천시지󰡕
    제천시 제천시지편찬위원회 [2004]
  • 󰡔정통풍수지리󰡕
    정경연 평단 [2003]
  • 󰡔도시설계󰡕
    주종원 분운당 [2007]
  • 󰡔구로구지󰡕
    구로구 구로구지편찬위원회 [1997]
  • 󰡔공주지역 마을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에 대한 연구󰡕
    신채식 동방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 󰡔雪心賦󰡕.
  • 󰡔錦囊經󰡕
  • 󰡔赴燕日記󰡕.
  • 󰡔補閑集󰡕.
  • 󰡔葬經󰡕.
  • 󰡔肅宗實錄」.
  • 󰡔益齋亂藁󰡕.
  • 󰡔疑龍經」.
  • 󰡔漢書󰡕 (景仁文化社 影印, 1977)
  • 󰡔正祖實錄」.
  • 󰡔梅湖遺稿󰡕.
  • 󰡔東文選󰡕.
  • 󰡔朝鮮王朝實錄󰡕.
  • 󰡔明山論󰡕.
  • 󰡔日省錄󰡕.
  • 󰡔撼龍經󰡕
  • 󰡔捉脉賦󰡕.
  • 󰡔承政院日記󰡕.
  • 󰡔山經表󰡕.
  • 󰡔山水圖󰡕.
  • 󰡔太平廣紀󰡕.
  • 󰡔地理正宗󰡕
  • 󰡔入地眼全書󰡕.
  • 󰡔人子須知󰡕.
  • 「형국에 따른 공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16(4)
    허준 한국정원학회, , pp.13-21 [1998]
  • 「한국도교의 흐름과 신종교」
    양은용 󰡔한국종교󰡕, 31, , pp.7-23 [2007]
  • 「풍수형국론이 지명형성에 미친 영향 –경기도 이천시를 중심으로-」, 󰡔지명학󰡕 15호
    이욱 한국지명학회, , p.139-178 [2009]
  •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도출에 관한 연구」, 󰡔동북아문화연구󰡕 42
    박재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pp.127-152 [2015]
  • 「풍수지리의 시각적 구조의 과학적 분석과 해석 – 하회,양동 마을의 사례 연구 -」. 󰡔한국조경학회지󰡕 25(1)
    박찬용 현중용 한국조경학회,pp.124-134 [1997]
  • 「풍수 형국론이 갖는 의미의 입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와 우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8(1)
    김동찬 김진성 한국정원학회,pp.1-8 [2000]
  •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 봉황형국을 중심으로-」, 󰡔지명학󰡕 17
    천인호 한국지명학회, , pp.211-246 [2011]
  • 「지명과 지형적 위요(圍繞) 및 공간규모 인식의 관계-전북 진안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28(1)
    김유일 김정규 이진동 정태열 한국전통조경학회, pp.81-92 [2010]
  • 「조선시대 전통마을 풍수의 시각구조에 관한 계량적 분석 -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를 중심으로-」
    󰡔자원문제연구논문집󰡕19(1), pp.116-124 [2000]
  • 「조선 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특성 연구」. 󰡔남도문화 연구󰡕 23
    이재영 천인호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pp.231-263 [2012]
  • 「전통마을의 형국이 비보경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7호
    김철규 박상구 대한건축학회,, PP.71-78 [2012]
  • 「용산의 지형형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24.No.3
    강영조 한국조경학회. , pp.68-78 [1996]
  • 「옥녀봉의 풍수 형국별 특성에 대한 계량적 접근」, 󰡔문화역사지리󰡕 제28권 제1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pp.90-115 [2016]
  • 「옥녀봉설화와 현대사회의 전승양상」, 󰡔慶南文化硏究󰡕 20
    김영일 慶尙大學校 慶南文化硏究所, , PP.67-130 [1998]
  • 「신선을 지명소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No.3
    노재현 박주성 심우경 한국전통조경학회, ,pp.61-77 [2011]
  •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옥녀봉의 형국 유형별 풍수적특성 연구」, 󰡔국토연구󰡕 통권 85권
    서춘석 천인호 국토연구원, , pp.23-39 [2015]
  • 「도교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교육문제연구󰡕 제29집
    김귀성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pp.1-22 [2007]
  • 「太平經의 ‘皇天’觀念에 관한 논구」, 󰡔論文集:人文社會科學藝體能󰡕, 19
    윤찬원 仁荷大學校, , pp.107-133 [1994]
  • 「GIS 환경에서 GRID 와 AHP를 이용한 Geoprocessing 에 관한 연구-풍수지리와 도시입지 요소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연구보󰡕12집(단일호)
    김태형 이성호 부산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pp.13-22 [2002]
  • 沈鎬 저, 허찬구 역, 󰡔地學󰡕
    육일문화사 [2001]
  • 호남문화재연구원
    「정읍시 지명유래」. http://www.hmy.or.kr
  •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CD-ROM〕
    서울: 한글학회 [1998]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 한국지역진흥재단
    향토자원. http://www.oneclick.or.kr
  •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
  • 충청북도, 󰡔전설지󰡕
    충북전설지편찬위원회 [1982]
  • 충주문화원, 󰡔충주의 향토사󰡕
    충주향토사편찬위원회 [2002]
  • 충주문화원, 󰡔충주의 구비문학󰡕
    충주구비문학편찬위원회 [2002]
  • 착맥부.동림조담
    양형석 홍성서 한국학술정보(주) [2013]
  • 지형학적 산지의 분포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환 손일 탁한명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1호, 대한지리학회, 2013, pp.1-18. [2013]
  • 지지털서산문화대전
    http://seosan.grandculture.net
  • 지명유래
    순흥면 영주시 http://www.yeongju.go.kr
  •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 저, 金東奎 譯著, 󰡔人子須知(前)󰡕
    서선계 서선술 명문당 [2008]
  • 이인면지
    이인면 이인면지편찬위원회 [2005]
  • 의흥면
    지명유래. http://www.gunwi.go.kr/ch/uiheung
  • 우리마을유래
    문경시 http://tour.gbmg.go.kr
  • 옥녀봉의 지형경관 특성과 장소성
    강송아 박철웅 󰡔지명학󰡕 20, 한국지명학회, 2014, pp.5-38. [2014]
  • 역해, 󰡔明山論󰡕
    비봉출판사 [2002]
  • 역주. 󰡔靑烏經 錦囊經󰡕
    민음사 [2012]
  • 역주
    󰡔감룡경 의룡경󰡕 [2009]
  • 엄정면지
    엄정면 엄정면지편찬위원회 [2008]
  • 서천지명유래
    서천군 http://www.seocheon.go.k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
  • 서산시 역사와 유래
    서산시 http://www.seosan.go.kr
  • 산림청, 「전국 산통계 분석자료」
    대전: 산림청 [2007]
  • 산동면 마을유래
    구례군 http://www.gurye.go.kr
  • 브이월드 지도
    http://map.vworld.kr
  • 보령시, 󰡔보령시지(하)󰡕
    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보령시
    읍면동 마을유래. http://www.brcn.go.kr
  • 백곡면 지명유래
    진천군 http://www.jincheon.go.kr
  • 디지털공주문화대전
    http://gongju.grandculture.net
  • 디지털강릉문화대전
    http://gangneung.grandculture.net
  • 다음 지도서비스
    http://map.daum.net
  • 논산시, 󰡔놀뫼의 전설󰡕
    논산문화원 [1981]
  • 네이버 지도서비스
    http://map.naver.com
  • 남면 우리읍면동
    여수시 http://nam.yeosu.go.kr
  •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
    진한엠앤비 [2008]
  • 국토지리 정보원
    지명사전. http://www.land.go.kr/portal/main.do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조사보고서, 󰡔달빛 아래 신선이 노는
    월하성 마을󰡕 [2010]
  • 구보 노리따다 지음, 최준식 옮김, 󰡔道敎史󰡕
    분도출판사 [2000]
  • 관촌면
    임실군 지명총람. http://kc.imsil.go.kr
  • 가평문화원
    향토사 지명과 유래. http://www.gpc.or.kr
  • 葬書譯註
    곽박 허찬구 비봉출판사 [2005]
  • 葛洪, 󰡔神仙傳󰡕 (󰡔四庫全書󰡕 子部)
  • 村山智順 著 최길성 역, 󰡔조선의 풍수󰡕
    민음사 [1990]
  • 撼龍經.疑龍經
    김두규 양균송 비봉출판사 [2009]
  • Spreiregen. P.D, 󰡔The Architecture of Towns and Cities󰡕, McGraw- Hill, 1965.
  • Kocca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 Grohmann, C.H. ; Smith, M.J.; Riccomini, C.; “Multiscale Analysis of Topographic Surface Roughness in the Midland Valley,Scotland,”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vol.PP, no.99, 2010, pp.1-14.
  • , 󰡔抱朴子󰡕 (󰡔四庫全書󰡕 子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