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규기(窺基)의 미륵사상 :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을 중심으로 = Kuigi’s thought on Maitreya; Focused o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박민현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규기(窺基)의 미륵사상 :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을 중심으로 = Kuigi’s thought on Maitreya; Focused o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철학,의사심리학,신비학, 심리학
  • 규기
  • 극락
  • 도솔천
  • 미륵보살
  • 왕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8 0

0.0%

' 규기(窺基)의 미륵사상 :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을 중심으로 = Kuigi’s thought on Maitreya; Focused o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의 참고문헌

  • 묘법연화경현찬(妙法蓮華經玄贊)(대정장34권)
  • 「술문찬에 나타난 경흥의 정토관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15
    황호정 (부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 「회감의 정토왕생에 대한 이익과 난제의 입증」, 정토학연구19
    정광균 (서울: 한국정토학회 [2013]
  •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정토학연구14
    김천학 신규탁 (서울: 한국정토학회 [2010]
  • 「현장의 인도 구법과 현장상의 추이」, 불교학연구20
    남동신 (경기: 불교학연구 회 [2008]
  • 「한국의 미륵신앙 도량」, 한국미륵사상
    최현각 (서울: 동국대출판부 [1997]
  • 「한국사상에 있어 미륵신앙과 그 사상적 구조」, 마한‧백제문화와 미륵사 상
    (전북: 원광대출판부 [1994]
  • 「중국 초기 정토신앙」, 정토학연구3
    이태원 (서울: 한국정토학회 [2000]
  • 「제불의 정토」, 정토학연구14
    이행구 (서울: 한국정토학회 [2010]
  • 「정토사상에 나타난 장엄」, 중앙승가대학논문집3
    이정모 (서울: 중앙승가대학교 [1993]
  • 「정토교의 왕생인행에 관한 고찰」, 석림20
    이협우 (서울: 동국대학교 석림회 [1987]
  • 「정토 제사의 예참에 대한 소고」, 정토학연구6
    김용환 이태원 (서울: 한국정토 학회 [2003]
  • 「정신에 대한 중국불교계의 이해」, 범한철학61
    (광주: 범한철학회 [2011]
  • 「일제시대의 미륵하생신앙」, 한국미륵사상
    (서울: 동국대출판부 [1997]
  • 「익산 미륵사 창건배경을 통해 본 백제문화의 성격」, 마한‧백제문화와 미 륵사상
    (전북: 원광대출판부 [1994]
  • 「의적의 사상경향과 해동법상종에서의 위상」, 불교학연구6
    (경기: 불교학연구회 [2003]
  • 「의상의 『법계도』에 수용된 중국불교 사상과 전개」, 한국사상사학49
    김천학 (서울: 한국사상사학회 [2015]
  • 「의상 후기사상의 실천론 - 내 몸을 중심으로」, 한국선학35
    (서울: 한 국선학회 [2013]
  • 「의상 화엄사상의 시간 시간성」, 불교연구43
    정호영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15]
  • 「원효의 정토왕생 신앙의 교학적 근거와 특색」, 정토학연구1
    정태혁 (서울: 한국정토학회 [1998]
  • 「원효의 정토사상에 있어서 정토왕생의 논리와 수행체계」, 동아시아불교문화6
    정용미 (부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 「원효의 정토관」, 정토학연구1
    정철호 (서울: 한국정토학회 [1998]
  • 「원효의 미타정토왕생사상 하」, 역사학보21
    (서울: 역사학회 [1961]
  • 「원효의 미타정토왕생사상 상」, 역사학보16
    안계현 (서울: 역사학회 [1961]
  • 「원효의 미륵정토 왕생사상」, 역사학보17・18합집
    (서울: 역사학회 [1962]
  • 「원효의 미륵정토 상생의 신행적 고찰」, 정토학연구21
    박성춘 (서울: 한국정토 학회 [2014]
  • 「원효의 미륵사상에 대하여」, 종교연구20
    최유진 (서울: 한국종교학회 [2000]
  • 「원불교에서 본 미륵사상」. 마한‧백제문화와 미륵사상
    유병덕 (전북: 원광대출 판부 [1994]
  •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전개와 복지정토 관점에서의 조명」, 정토학연구 10
    서병진 (서울: 한국정토학회 [2007]
  • 「염불왕생의 근거」, 정토학연구1
    강동균 (서울: 한국정토학회 [1998]
  • 「아미타신앙과 미륵신앙의 대립과 그 배경」, 대립과 논쟁
    (서울: 여래 [2015]
  • 「십이처설고」, 한국불교학13
    이중표 (서울: 한국불교학회 [1988]
  • 「십대논사 및 제가논사에 대한 소고」, 동국사상7
    (서울: 동국대학교 불 교대학 [1974]
  • 「신라초기 불교의 사상과 문화」, 불교대학원 논총2
    채인환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994]
  • 「신라중대의 미륵신앙」, 한국불교학 연구총서
    김혜완 (서울: 불함문화사 [2003]
  • 「신라의 미륵사상」, 한국불교학연구총서
    서윤길 (서울: 불함문화사 [2003]
  • 「신라승 경흥의 미륵정토왕생사상」, 진단학보25-27
    (서울: 진단학회 [1964]
  • 「신라사회의 미륵신앙」, 동국사상5
    이민용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70]
  • 「신라 진표(眞表)의 미륵신앙 재고찰」, 불교학연구37
    박광연 (서울: 불교학연구 회 [2013]
  • 「신라 중대의 정불국토(淨佛國土) 인식과 의미」, 불교학보68
    (서울: 동 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4]
  • 「신라 유가파 신앙의 역사적 성격」, 역사와 교육6
    심효섭 (서울: 역사와 교육학 회 [1998]
  • 「신라 유가사상의 전개와 미륵신앙」, 한국미륵사상
    오형근 (서울: 동국대출판 부 [1997]
  • 「신라 미륵신앙의 전개와 성격」, 한국불교학 연구총서73
    김남윤 (서울: 불함문화사 [2003]
  • 「신라 경흥의 법화경관과 정토관」, 회당학보15
    (서울: 회당학회 [2010]
  •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보조사상45
    (서울: 보조사상연구 [2016]
  • 「세친 『정토론』의 정토사상과 유식불교의 상관성 연구」, 인도철학31
    주명철 (서울: 인도철학회 [2011]
  • 「삼국시대의 미륵신앙」, 한국미륵사상
    김영태 (서울: 동국대출판부 [1997]
  • 「불설 비불설」, 사학 문학 철학17
    권오민 (서울: 한국불교사연구소 [2009]
  • 「불교철학에서 내재와 초월」, 동서철학연구70
    조윤호 (서울: 한국동서철학회 [2013]
  • 「불교의 죽음이해와 그 극복, 불학논총2
    김재성 (서울: 대한불교천태종 출판 부 [2011]
  • 「불교 경전이 말하는 미륵사상:미륵3부경을 중심으로」, 동국사상29
    김호성 (서 울: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98]
  • 「복의 불교철학적 이해」, 용봉인문논총28
    (광주: 전남대 인문과학연구소 [1999]
  • 「법상종에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의 융합」, 한국고대사연구56
    이경화 (서울: 한국고대사학회 [2009]
  • 「백제 후기의 불교학의 전개과정」, 불교학연구28
    (경기: 불교학연구회 [2011]
  • 「백제 후기 미륵사상의 전개과정과 특성」, 한국사상사학37
    (서울: 한국사상사학회 [2011]
  • 「민중해방을 지향하는 민중불교와 민중신학」, 마한‧백제문화와 미륵사상
    변선환 (전북: 원광대출판부 [1994]
  • 「미륵신앙의 현대적 의의」, 한국미륵사상
    목정배 (서울: 동국대출판부 [1997]
  • 「미륵신앙의 재정립」, 동국사상18
    이기영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5]
  • 「미륵사상의 조형화와 그 신앙」, 미륵사상의 현대적 조명
    홍윤식 (충남: 신흥인 쇄 [1990]
  • 「미륵사 창건의 역사적 배경」, 한국사연구159
    최연식 (서울: 한국사연구회 [2012]
  •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경흥(憬興)의 위상」, 한국사상사학47
    (서 울: 한국사상사학회 [2014]
  • 「도작의 안락집에 나타난 정토사상」, 정토학연구11
    김우주 (서울: 한국정토학 회 [2008]
  • 「담란의 정토사상 연구」, 동양학연구4
    정지원 (전북: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 「나말‧후삼국 미륵신앙의 성격」, 한국미륵사상
    이영자 (서울: 동국대출판부 [1997]
  • 「근본불교에서 "일체(一切; sabba)"의 의미」,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18
    (서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2]
  • 「규기 금강반야경유찬의 분과의 내용과 특징」, 한국선학21
    김호귀 (서울: 한 국선학회 [2008]
  • 「계율의 사상학적 함의」, 불학논총(2), 믿음과 수행
    신성현 (서울: 대한불교천태 종 출판부 [2011]
  • 「경흥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 한국사연구171
    (서울: 한국사연 구회 [2015]
  • 「경허당 성우의 도솔이생론과 그 시대적 의의」, 한국미륵사상
    고익진 (서울: 동 국대출판부 [1997]
  • 「元曉의 和諍사상의 논의방식과 사상사적 의미」, 보조사상25
    (서울: 보조사상연구원 [2006]
  • 「『미륵상생경술찬(彌勒上生經述贊)』의 저자 및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 사상사학40
    (서울: 한국사상사학회 [2012]
  • 「『극락장엄경의 5종 장엄과 예토의 정토화」, 정토학연구13
    최봉수 (서울: 한국정토학회 [2010]
  •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신라문화25
    정병삼 (서울: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 「8세기 신라 불교의 동향과 동아시아 불교계」, 불교학연구12
    (경기: 불교학연구회 [2005]
  • 「7~8세기 신라 미륵상 조상의 역사적 의미」, 이화사학연구50
    (서울: 이화사학연구소 [2015]
  • 「6-7세기 東亞細亞에 있어서 彌勒菩薩信仰의 동향」, 마한 백제문화 16
    (전북: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04]
  • 呂徵, 중국불교학 강의, 覺昭 역
    (서울: 민족사 [1992]
  • 현겁경(賢劫經)
    (대정장14권)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만신찬속장경21권)
  • 해심밀경(解深密經)
    (대정장16권)
  • 한국불교사상사연구
    안계현 (서울: 동국대출판부 [1963]
  • 한국미륵신앙의 연구
    김삼룡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 한국미륵사상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 원 [1997]
  • 한국 고대미륵신앙 연구
    장지훈 (서울: 집문당 [1997]
  • 탑과 사방불
    김왕직 (서울: 화인재 출판사 [1996]
  •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승우 (대정장55권)
  • 최승문보살십주제구단결경(最勝問菩薩十住除垢斷結經)
    (대정장10권)
  •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대정장13권)
  • 중허마하제경(眾許摩訶帝經)
    (대정장3권)
  • 중국불교
    계환 (서울: 민족사 [2014]
  • 중국 역대 불교 인명사전
    임종욱 한보광 (서울: 이회문화사 [2011]
  • 정토불교의 세계
    장휘옥 (서울: 불교시대사 [1997]
  • 일자불정륜왕경(一字佛頂輪王經)
    (대정장19권)
  • 일자기특불정경(一字奇特佛頂經)
    (대정장19권)
  • 인왕경소법형초(仁王經疏法衡鈔)
    (만신찬속장경26권)
  • 인왕경소(仁王經疏)
    원측 (대정장33권)
  • 인도불교사상사
    정순일 (서울: 운주사 [2005]
  •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대정장47권)
  • 유식이십론술기(唯識二十論述記)
    (대정장43권)
  •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대정장14권)
  •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대정장43권)
  • 원시불교의 연구, 석혜능 역
    (서울: 민족사 [2003]
  • 원각경대소석의초(圓覺經大疏釋義鈔)
    종밀 (만신찬속장경9권)
  • 우란분경소효형초(盂蘭盆經疏孝衡鈔)
    우영 (만신찬속장경21권)
  • 우란분경소신기(盂蘭盆經疏新記)
    (만신찬속장경21권)
  •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
    비장방 (대정장49권)
  • 아비달마불교
    권오민 (서울: 민족사 [2003]
  • 아미타경통찬소(阿彌陀經通贊疏)
    (대정장37권)
  •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대정장37권)
  • 십주경(十住經)
    (대정장10권)
  • 십일면신주심경의소(十一面神咒心經義疏)
    (대정장39권)
  •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이통현 (대정장36권)
  • 신수과분육학승전(新修科分六學僧傳)
    담악 (만신찬속장경77권)
  • 승만보굴(勝鬘寶窟)
    (대정장37권)
  • 숫타니파타
    석지현 (서울: 민족사 [2009]
  •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
    (대정장43권)
  • 성유식론별초(成唯識論別抄)
    (만신찬속장경48권)
  • 성유식론료간(成唯識論料簡)
    (만신찬속장경48권)
  • 설무구칭경소(說無垢稱經疏)
    (대정장38권)
  • 서방합론표주(西方合論標註)
    명교표 (만신찬속장경61권)
  • 서방요결석의통규(西方要決釋疑通規)
    (대정장47권)
  •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
    (대정장38권)
  •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김영태 (서울: 불광출판부 [1990]
  • 비화경(悲華經)
    (대정장3권)
  • 붓다의 입멸에 관한 연구
    안양규 (서울: 민족사 [2009]
  •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대정장16권)
  •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대정장12권)
  • 불설십이불명신주교량공덕제장멸죄경(佛說十二佛名神呪校量功德除障滅罪經)
    (대정장21권)
  • 불설미륵하생성불경(佛說彌勒下生成佛經)
    (대정장14권)
  • 불설미륵대성불경(佛說彌勒大成佛經)
    (대정장14권)
  • 불설관무량수불경(佛說觀無量壽佛經)
    (대정장12권)
  •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대정장3권)
  • 불교와 일반시스템이론
    (서울: 불교시대사 [2004]
  • 불교사상사, 원필성 역
    양훼이난 (서울: 정우서적 [2010]
  • 불교대사전
    김길상 (서울: 홍법원 [2003]
  • 불공견삭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變眞言經)
    (대정장20권)
  • 불공견삭비로서나불대광정광진언경(不空罥索毘盧遮那佛大灌頂光真言經)
    (대정장19권)
  • 본생경, 한글대장경
    (서울: 동국역경원 [1988]
  • 보요경(普曜經)
    (대정장3권)
  • 보살종도술천강신모처태설광보경(菩薩從兜術天降神母胎說廣普經)
    (대정장12권)
  •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대정장24권)
  • 보살사상 성립사 연구
    이봉순 (서울: 불광출판부 [1998]
  • 법화현찬의결(法華玄贊義決)
    (대정장34권)
  • 법화의소(法華義疏)
    (대정장34권)
  • 범방경(梵網經)
    (대정장24권)
  • 백법론현유초(百法論顯幽鈔)
    종방 (만신찬속장경48권)
  • 반야바라밀다심경유찬(般若波羅蜜多心經幽贊)
    (대정장33권)
  • 미륵의 나라
    최종례 (서울: 우리출판사 [2006]
  • 미륵신앙과 용화세계
    이종익 (서울: 도서출판 보련각 [1981]
  •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대정장38권)
  • 미륵보살소문본원경(彌勒菩薩所問本願經)
    (대정장12권)
  • 미륵경전
    (서울: 민족사 [2001]
  • 무량수경의소(無量壽經義疏)
    (대정장37권)
  •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주(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註)
    담란 (대정장40권)
  • 무량수경연의술문찬(無量壽經連義述文贊)
    경흥 (대정장37권)
  • 묘법연화경문구(妙法蓮華經文句)
    (대정장34권)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대정장9권)
  • 마하지관(摩訶止觀)
    (대정장46권)
  • 디가니까야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 동아시아 불교와 화엄사상
    조윤호 (서울: 초롱출판사 [2003]
  • 돌에 새긴 희망
    이학종 ( 경기: 이끌리오 [2005]
  • 대승보월동자문법경(大乘寶月童子問法經)
    (대정장14권)
  • 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
    (대정장45권)
  • 대승리취육바라밀다경(大乘理趣六波羅蜜多經)
    (대정장8권)
  • 대비경(大悲經)
    (대정장12권)
  • 대보적경(大寶積經)
    (대정장11권)
  • 대방등무상경(大方等無想經)
    (대정장12권)
  • 대방광삼계경(大方廣三戒經)
    (대정장11권)
  • 대방광보의경(大方廣寶篋經)
    (대정장14권)
  • 대반야바라밀다경반야리취분술찬(大般若波羅蜜多經般若理趣分述讚)
    (대정 장33권)
  •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대정장7권)
  • 기신론소(起信論疏)
    (대정장44권)
  •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대정장1권)
  •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대정장16권)
  • 금광명경(金光明經)
    (대정장16권)
  •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원효 (대정장34권)
  • 금강반야론회석(金剛般若論會釋)
    (대정장40권)
  • 금강반야경찬술(金剛般若經贊述)
    (대정장33권)
  • 근본불교
    (서울: 민족사 [2002]
  • 구사론기(俱舍論記)
    (대정장41권)
  • 관무량수경의소(觀無量壽經義疏)
    (대정장37권)
  •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대정장3권)
  • 고금역경도기(古今譯經圖紀)
    정매 (대정장55권)
  • 가산불교대사림
    이지관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5]
  •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이호근 역
    (서울 : 민족사 [1989]
  • 회감, 석정토군의론(釋淨土群疑論)
    (대정장47권)
  • 혜원(慧遠),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장44권)
  • 혜원(慧苑), 속화엄경약소간정기(續華嚴略疏刊定記)
    (만신찬속장경3권)
  • 혜소, 금광명최승왕경소(金光明最勝王經疏)
    (대정장39권)
  • 혜립 本, 언종 箋,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대정장 50권)
  • 혜림,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대정장54권)
  • 혜균, 미륵경유의(彌勒經遊意)
    (대정장38권)
  • 혜각 等譯, 현우경(賢愚經)
    (대정장4권)
  • 현장 譯,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
    (대정장12권)
  • 현장 譯, 대아라한난제밀다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대정장 49권)
  • 현장 譯,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대정장51권)
  • 팡리티엔, 중국불교철학
    (서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06]
  • 키무라 키요타카, 중국불교사상사, 장휘옥 역
    (서울: 민족사 [1989]
  • 케네쓰 첸, 중국불교 상 하, 박해당 역
    K. S (서울: 민족사 [1994]
  • 카마타 시게오, 중국불교사1,2,3, 장휘옥 역
    (서울: 장승 [1996]
  • 친광 造, 현장 譯, 불지경론(佛地經論)
    (대정장26권)
  • 축불념 譯,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대정장16권)
  • 축법호 譯, 불설미륵하생경(佛說彌勒下生經)
    (대정장14권)
  • 축담무란 譯, 불설다린니발경(佛說陀隣尼鉢經)
    (대정장21권)
  • 찬녕 等撰, 송고승전(宋高僧傳)
    (대정장50권)
  • 징관,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대정장35권)
  • 징관 疏, 종밀 疏鈔, 화엄경행원품소초(圓覺經大疏釋義鈔)
    (만신찬속장경5권)
  • 진제 譯,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대정장32권)
  • 진제 譯, 바수반두법사전(婆藪槃豆法師傳)
    (대정장50권)
  • 지의, 정토십의론(淨土十疑論)
    (대정장47권)
  • 지의 說, 관정 記, 인왕호국반야경소(仁王護國般若經疏)
    (대정장33권)
  • 지승, 개원석교록(開元釋教錄)
    (대정장55권)
  • 종의, 법화경삼대부보주(法華經三大部補注)
    (만신찬속장경28권)
  • 정토불교의 역사와 사상
    현송 서울: 운주사 [2014]
  • 작자미상, 서방요결과주(西方要決科註)
    (만신찬속장경61권)
  • 작자미상, 미륵상생경술찬(彌勒上生經述贊)
    (만신찬속장경21권)
  • 일행 共譯, 대일경(大日經)
    선무외 (대정장18권)
  • 이시다 미즈마로, 「중국의 정토사상」, 중국불교의 사상
    정순일 역 (서울: 민족 사 [2006]
  • 의정, 금광명최승왕경소(金光明最勝王經疏)
    (대정장39권)
  • 의정 譯, 불설미륵하생성불경(佛說彌勒下生成佛經)
    (대정장14권)
  • 유정 等譯, 불설해의보살모문정인법문경(佛說海意菩薩所問淨印法門經)
    (대정장 13권)
  • 원조, 관무량수불경의소(觀無量壽佛經義疏)
    (대정장37권)
  • 용수 造, 구마라집 譯,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대정장26권)
  • 용수 造, 구마라집 譯, 대지도론(大智度論)
    (대정장25권)
  • 오백아라한 等造, 현장 譯,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대정장27 권)
  • 오늘의 미륵
    고은 미륵사상의 현대적 조명, (충남: 신흥인쇄) [1990]
  • 연수 集, 종경록(宗鏡錄)
    (대정장48권)
  • 역주, 숫타니파타
    전재성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4]
  • 역, 팔리경전이 들려주는 고타마붓다
    최봉수 (서울: 불광출판부 [1979]
  • 여성, 득우용화수증참의(得遇龍華修證懺儀)
    (만신찬속장경74권)
  • 에띠엔 라모뜨, 인도불교사 1,2, 호진 역
    (서울: 시공사 [2006]
  • 양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소(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疏)
    (대정장33권)
  • 아함의 중도체계
    이중표 서울: 불광출판부 [1991]
  • 십지경-오리지널화엄경
    전재성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3]
  • 실차난타 譯, 80권,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장10권)
  • 실역, 일체지광명선인자심인연불식육경(一切智光明仙人慈心因緣不食肉經)
    (대정 장3권)
  • 실역, 수십선계경(受十善戒經)
    (대정장24권)
  • 실역,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
    (대정장23권)
  • 실역, 비니모경(毘尼母經)
    (대정장24권)
  • 실역, 불설불명경(佛說佛名經)
    (대정장14권)
  • 실역, 불설방발경(佛說放鉢經)
    (대정장15권)
  • 실역, 불설미륵래시경(佛說彌勒來時經)
    (대정장14권)
  • 실역, 불설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멸경(佛說金剛三昧本性清淨不壞不滅經)
    (대정 장15권)
  • 실역, 반니원경(般泥洹經)
    (대정장1권)
  • 실역,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劫千佛名經)
    (대정장14권)
  • 실역, 대승비분타리경(大乘悲分陀利經)
    (대정장3권)
  • 실역, 과거장엄겁천불명경(過去莊嚴劫千佛名經)
    (대정장14권)
  • 신공 외, 계율과 불교윤리
    (서울: 조계종출판사 [2011]
  • 시호 譯, 대승사려사담마경(大乘舍黎娑擔摩經)
    (대정장16권)
  • 승가발마 譯, 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薩婆多部毘尼摩得勒伽)
    (대정장23권)
  • 승가발다라 譯,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
    (대정장24권)
  • 승가바라 譯, 아육왕경(阿育王經)
    (대정장50권)
  • 스구로 신죠, 대승불교, 문을식 역
    마사오 시즈타니 (서울: 여래 [1995]
  • 수천 集, 미륵상생경서응초(彌勒上生經瑞應鈔)
    (만신찬속장경21권)
  • 세친 造, 현장 譯,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장29권)
  • 세친 造, 현장 譯, 변중변론(辯中邊論)
    (대정장31권)
  • 세친 造, 진제 譯, 아비달마구사석론(阿毘達磨俱舍釋論)
    (대정장29권)
  • 세친 造, 보리류지 等譯, 십지경론(十地經論)
    (대정장26권)
  • 세친 造, 늑나마제, 승랑 等譯, 묘법연화경론우바제사(妙法蓮華經論優波提舍)
    (대정장26권)
  • 세친 造, 급다공행거 等譯, 섭대승론석론(攝大乘論釋論)
    (대정장31권)
  • 선도 集記, 관무량수불경소(觀無量壽佛經疏)
    (대정장37권)
  • 비니다류지 譯, 대승방광총지경(大乘方廣總持經)
    (대정장9권)
  • 불타야사 축불념 共譯,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장1권)
  • 불타선타 譯, 여래사자후경(如來師子吼經)
    (대정장17권)
  • 불타발타라 譯, 불설관불삼매해경(佛說觀佛三昧海經)
    (대정장15권)
  • 불공 譯,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
    (대정장8권)
  • 보리류지 譯,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대정장8권)
  • 보량 等集, 대반열반경집해(大般涅槃經集解)
    (대정장37권)
  • 보광, 구사론법종원(俱舍論法宗原)
    (만신찬속장경53권)
  • 법호 等譯, 불설대승보살장정법경(佛說大乘菩薩藏正法經)
    (대정장11권)
  • 법현 譯, 불설대반니원경(佛說大般泥洹經)
    (대정장12권)
  • 법칭 造, 법호 等譯, 대승집보살학론(大乘集菩薩學論)
    (대정장32권)
  • 법천 譯, 불설칠불경(佛說七佛經)
    (대정장1권)
  • 법장,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대정장35권)
  • 법보, 구사론소(俱舍論疏)
    (대정장41권)
  • 법립, 법거 共譯, 대루탄경(大樓炭經)
    (대정장1권)
  • 법구 造, 승가발마 等譯,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
    (대정장28권)
  • 법경 等撰, 중경목록(眾經目錄)
    (대정장55권)
  • 번경사문 및 학사 等撰, 중경목록(眾經目錄)
    (대정장55권)
  • 백시리밀다라 譯, 불설관정경(佛說灌頂經)
    (대정장21권)
  • 반야 譯, 대승본생심지관경(大乘本生心地觀經)
    (대정장3권)
  • 미륵 造, 현장 譯,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장30권)
  • 무착 造, 바라파밀다라 譯,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대정장31권)
  • 무성 造, 현장 譯,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대정장31권)
  • 무라차 譯, 방광반야경(放光般若經)
    (대정장8권)
  • 명상, 대당고삼장현장법사행장(大唐故三藏玄奘法師行狀)
    (대정장50권)
  • 만다라선 譯, 보운경(寶雲經)
    (대정장16권)
  • 둔륜(도륜), 유가론기(瑜伽論記)
    (대정장42권)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편,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서울: 동국대출판부 [1976]
  • 도작, 안락집(安樂集)
    (대정장47권)
  • 도세 集, 제경요집(諸經要集)
    (대정장54권)
  • 도선,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대정장55권)
  • 대승불교의 보살
    안성두 서울: 씨 아이 알 [2008]
  • 달마급다 譯, 대방등대집경보살염불삼매분(大方等大集經菩薩念佛三昧分)
    (대정 장13권)
  • 다까다 오사무, 불상의 탄생
    (서울: 예경 [1994]
  • 나련제야사 譯,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대정장15권)
  • 길장, 금강반야소(金剛般若疏)
    (대정장33권)
  • 길가야, 담요 共譯, 잡보장경(雜寶藏經)
    (대정장4권)
  • 길가야, 담요 共譯, 부법장인연전(付法藏因緣傳)
    (대정장50권)
  • 길가야 譯, 불설칭양제불공덕경(佛說稱揚諸佛功德經)
    (대정장14권)
  • 금강지 譯, 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경(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
    (대정장18권)
  • 규기, 관미륵상생도솔천경찬(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대정장38권)
  • 구사 造, 실역, 아비담감로미론(阿毘曇甘露味論)
    (대정장28권)
  • 구담승가바제 譯,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
    (대정장2권)
  • 구담승가바제 譯, 중아함경(中阿含經)
    (대정장1권)
  • 구나발타라 譯,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장2권)
  • 구나발타라 譯, 대법고경(大法鼓經)
    (대정장9권)
  • 관정, 대반열반경소(大般涅槃經疏)
    (대정장38권)
  • 공파 무구, 부처님의 유언
    (서울: 태일출판사 [1996]
  • 가재, 정토론(淨土論)
    (대정장47권)
  • 鶴岡静夫, 「日本に於ける弥勒下生信仰について」, 宗教研究144, (東京: 日本宗教 学会, 1955).
  • 高橋晃一, 「초기 유가행파 사상」, 유식과 유가행, 김성철 역
    (서울: 씨 아이 알 [2014]
  • 高崎直道, 佛敎 インド思想史典, (東京: 春秋社, 1987).
  • 香川孝雄, 「弥勒と阿逸多」, 印度学仏教学研究24, (東京: 印度学仏教学研究, 1964).
  • 靜谷正雄, 勝呂信靜, 대승불교, 문을식 역
    (서울: 여래 [1995]
  • 集, 법화경현찬요집(法華經玄贊要集)
    서복 (만신찬속장경34권)
  •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정순일 역
    (서울: 경서원 [1985]
  • 鍵主良敬, 「大乗菩薩道における声聞の位置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22, (東 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63).
  • 金永晃, 「弥勒仏信仰と仏像」, 仏教文化学会紀要16, (東京: 仏教文化学会, 2008).
  • 金岡照光, 「弥勒菩薩」, 名古屋大学文学部研究論集108, (東京: 佼成出版社, 1987).
  • 金子寛哉, 「弥陀弥勒両信仰について」, (東京: 山喜房仏書林, 2003).
  • 造, 현장 譯,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안혜 (대정장31권)
  • 造, 진제 역,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마명 (대정장32권)
  • 速水侑, 彌勒信仰-もう一つの淨土信仰, (東京: 評論社, 1971).
  • 輯, 대장일람(大藏一覽)
    요순어중 진실 (가흥대정장21권)
  • 趙愛姫, 「上代新羅の弥勒浄土信仰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44, (東京: 日本 印度学仏教学会, 1974).
  • 赤沼智善, 佛敎經典史論, (京都: 法藏館, 1981).
  • 譯, 태자서응본기경(太子瑞應本起經)
    지겸 (대정장3권)
  • 譯, 정법념처경(正法念處經)
    반야류지 (대정장17권)
  • 譯, 불설처처경(佛說處處經)
    안세고 (대정장17권)
  • 譯, 불설십지경(佛說十地經)
    시라달마 (대정장10권)
  • 譯, 불설미증유인연경(佛說未曾有因緣經)
    담경 (대정장17권)
  • 譯, 불설무량수경(佛說無量壽經)
    강승개 (대정장12권)
  • 譯, 불설교량수명경(佛說較量壽命經)
    천식재 (대정장17권)
  • 譯, 불설관약왕약상이보살장경(佛說觀藥王藥上二菩薩經)
    강랑야사 (대정장20권)
  • 譯,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佛說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저거경성 (대정 장14권)
  • 譯, 보살염불삼매경(菩薩念佛三昧經)
    공덕직 (대정장13권)
  • 譯, 방광대장엄경(方廣大莊嚴經)
    지바가라 (대정장3권)
  • 譯,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구마라집 (대정장8권)
  • 譯, 동방최승등왕여래경(東方最勝燈王如來經)
    사나굴다 (대정장21권)
  • 譯,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담무참 (대정장12권)
  • 譯, 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아지담다 (대정장18권)
  • 譯, 관허공장보살경(觀虛空藏菩薩經)
    담마밀다 (대정장13권)
  • 設, 현장 譯,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사리자 (대정장26권)
  • 西野光一, 「弥勒浄土から阿弥陀浄土への展開」, 大正大学綜合仏教研究所叢書21, (東京: 勉誠出版, 2008).
  • 西芳純, 「慈恩釈における無漏種子考(一)」, 印度学仏教学研究68, (東京: 日本印度 学仏教学会, 1986).
  • 藤能成, 「元暁の『弥勒上生経宗要』について」, (東京: 印度学仏教学研究, 2002).
  • 藤田宏達, 原始浄土思想の研究, (東京: 岩波書店, 1970).
  • 菅原泰典, 「弥勒の原意と世親の改変」, 印度学仏教学研究65, (東京: 日本印度学 仏教学会, 1984).
  • 舟崎 正孝, 「弥勒信仰の展開」, 史潮48, (東京: 大塚史学会, 1953).
  • 等譯, 지거다라니경(智炬陀羅尼經)
    제운반야 (대정장21권)
  • 等譯, 선비요법경(禪祕要法經)
    구마라집 (대정장15권)
  • 等譯, 사리불아비담론(舍利弗阿毘曇論)
    담마굴다 담마야사 (대정장28권)
  • 竹本寿光, 「過去仏と弥勒仏」, 仏教論叢35, (京都: 浄土宗教学院, 1991).
  • 竹本寿光, 「過去仏と弥勒仏」, (京都: 浄土宗教学院, 1991).
  • 石上善應, 「三國彌勒信仰の 日本流入」, 한국미륵사상
    (서울: 동국대불교문화연 구원 [1997]
  • 源弘之, 「新羅浄土教の特色」, 新羅仏教研究, (東京: 山喜房仏書林, 1973).
  • 渡辺章悟, 「大乘佛敎における法藏と授記の役割」, 大乘佛敎の 誕生, (東京: 春秋 社, 2011).
  • 渡辺照宏, 사랑과 평화의 마이트레야, 여익구 역
    (서울: 여래 [1983]
  • 江隈薫, 「『釈浄土群疑論』における念仏義」, 印度学仏教学研究45, (東京: 日本印 度学仏教学会, 1974).
  • 水野弘元, 原始佛敎, (京都: 平樂寺書店, 1958).
  • 気賀沢保規, 「隋末弥勒教の乱をめぐる一考察」, 仏教史学研究23, (京都: 仏教史 学会, 1981).
  • 武田浩学, 「釈尊および大乗菩薩の「入涅槃の危機」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 87,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95).
  • 武內紹晃, 「불타관의 변천」, 大乘佛敎槪說, 정승석 역
    (서울: 김영사 [1989]
  • 横山紘一, 「弥勒作論書の著者問題」, 印度学仏教学研究37, (東京: 日本印度学仏 教学会, 1970).
  • 桜部建, 「弥勒と阿逸多」, 仏教学セミナー 2, (京都: 大谷大学仏教学会, 1965).
  • 林香奈, 「基の仏身・仏土論」, 宗教研究346, (東京: 日本宗教学会, 2005).
  • 松本昭, 「仏教伝来と弥勒信仰の展開」, (東京: 光葉会, 1989).
  • 松本文三郞, 彌勒淨土論 極樂淨土論, (東京: 平凡社, 2006).
  • 村上真瑞, 「『釈浄土群疑論』に説かれる浄土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63, (東 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83).
  • 木村宣彰, 「弥勒信仰について--「観弥勒菩薩上生兜率天経」の考察」, 大谷学報62, (京都: 大谷学会, 1983).
  • 望月信亨, 中國淨土敎理史, 이태원 역
    (서울: 운주사 [1997]
  • 服部英淳, 「釈迦三尊と弥勒菩薩」, (成田: 成田山新勝寺, 1984).
  • 普賢保之, 「弥勒等同思想の研究」, (東京: 印度学仏教学研究, 1989)
  • 明神洋, 「弥勒三部経の成立について」, (東京: 早稲田大学東洋哲学会, 1988).
  • 明石恵達, 「瑜伽派と弥勒菩薩」, 仏教学研究5, (京都: 龍谷大学仏教学会, 1951).
  • 斉藤舜健, 「伝慈恩大師撰『阿弥陀経疏』の仏身・仏土論」, 印度学仏教学研究, (東 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94).
  • 撰, 법원주림(法苑珠林)
    (대정장53권)
  • 愛宕邦康, 遊心安樂道と日本佛敎, (東京: 法藏館, 2006).
  • 彌勒信仰과 民衆思想
    宮田登 미륵신앙의 현대적 조명, (충남: 신흥인쇄) [1990]
  • 平川彰, 「대승불교의 특질」, 大乘佛敎槪說, 정승석 역
    (서울: 김영사 [1989]
  • 平川彰, 初期大乘佛敎の硏究, 東京: 春秋社, 1968.
  • 平岡定海, 日本彌勒淨土思想展開史の硏究, (東京 : 大藏出版, 1977).
  • 干潟 竜祥, 「メシア思想と未来仏弥勒の信仰について」, 日本学士院紀要31, (東京: 日本学士院, 1973).
  • 小谷信千代, 「大乗菩薩行と信」, 仏教思想11, (京都: 平楽寺書店, 1992).
  • 小谷仲男, 「ガンダーラの瑜伽師と弥勒信仰」, (富山: 富山大学人文学部紀要, 1994).
  • 小林圓照, 「弥勒のふるさととその住処」, 宗教研究327, (東京: 日本宗教学会, 2001).
  • 小川一乘, 大乘佛敎の 根本思想, (京都: 法藏館, 1995).
  • 寺岡正博, 「弥勒下生思想の一断面」, (札幌: 北海道印度哲学仏教学会, 1986).
  • 定方晟, 「ミイロと弥勒」, 東海大学紀要文学部35, (神奈川; 東海大学文学部, 1981).
  • 宇井伯壽, 「彌勒菩薩と彌勒論師」, 印度学仏教学研究1, (東京: 日本印度學佛教學 會, 1952).
  • 大崎啓造, 「弥勒が弥勒になるまで」, (東京: 青土社, 2006).
  • 大南竜昇, 「慈恩大師の浄土観」, 仏教論叢15, (京都: 浄土宗教学院, 1971).
  • 塚本善隆, 望月佛敎大辭典, (東京: 世界聖典刊行協會, 1975).
  • 塚本啓祥, 「대승의 교단」, 大乘佛敎槪說, 정승석 역
    (서울: 김영사 [1989]
  • 坪井俊映, 淨土敎槪論, 한보광 역
    (경기: 여래장 [2000]
  • 吉野惠子, 「弥勒菩薩下生年代考」, 東方19, (東京: 東方学院, 2004).
  • 吉村誠, 「玄奘の弥勒信仰について, 日本仏教学会年報70, (京都: 日本仏教学会 西部事務所, 2005).
  • 利根川浩行, 「慈恩大師基の戒律観」, 鎌田茂雄博士還暦記念論集, (東京: 大蔵出 版, 1988).
  • 佐藤成順, 「慈恩大師の教体説」, 三康文化研究所年報6 7, (東京: 三康文化研究所, 1975).
  • 伊藤隆寿, 「『弥勒経遊意』の疑問点」, 駒沢大学仏教学部論集4, (東京: 仏教学部研 究室, 1973).
  • 中‧韓 彌勒信仰的 比較
    楊白衣 한국불교학연구총서73, (고양시: 불함문화사) [2003]
  • 下田正弘, 涅槃經の硏究, (東京: 株式會社春秋社, 1997)
  • 上原和, 「ガンダーラの弥勒菩薩像をめぐる諸問題」, 仏教芸術160, (東京: 毎日新 聞社, 1985).
  • 三枝充悳, 「보살과 바라밀」, 大乘佛敎槪說, 정승석 역
    (서울: 김영사 [1989]
  • 60권,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장9권)
  • , 「釈道安の弥勒信仰」, 大谷学報240, (京都: 大谷大学大谷学会, 1984).
  • , 「慧均撰『弥勒上下経遊意』の出現をめぐって」, 駒沢大学仏教学部研究紀 要35, (東京: 駒沢大学仏教学部, 1977).
  • , 「慈恩大師基の伝記の再検討」, 印度学仏教学研究122, (東京: 日本印度学 仏教学会, 2010).
  • , 「慈恩大師の浄土観」, 仏教文化研究17, (京都: 浄土宗教学院研究所, 1971).
  • , 「弥勒経遊意と大品経遊意」, 印度学仏教学研究44, (東京: 印度学仏教 学研究 1974).
  • , 「弥勒仏の出世について」, 仏教学セミナー 37, (京都: 大谷大学仏教学 会, 1983).
  • , 「基撰とされる諸経疏の成立過程について」, (東京 : 東洋大学大学院, 2007).
  • , 「基の著作における菩薩の二種身と仏の三身との関係について」, (東京: 日本 印度学仏教学会, 2008).
  • , 「基の弥勒信仰: 仏身論・仏土論を中心に」, (東京: 仏教思想学会, 2011).
  • , 「史的人物としての彌勒及び無着の著述」, (東京: 印度哲學硏究, 1965).
  • , 「中国人の見たインドの弥勒信仰」, (東京: 光葉会, 1989).
  • , 「『釈浄土群疑論』における慈恩の影響」, 印度学仏教学研究71,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87).
  • , 大乘佛敎の 誕生, (東京: 春秋社, 2011).
  • , 大乘佛敎の 實踐, (東京: 春秋社, 2011).
  • (起世經)
    기세경 사나굴다 (대정장1권)
  • (西方合論)
    서방합론 원굉도 (대정장47권)